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실태와 지원요구

        구수연(Goo, Soo Yhu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 사업 운영의 실태를 알아보고 어려움과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전염병 대유행에 대비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J도에 위치한 12곳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 지원센터센터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전달하여 조사하였고, 연구결과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에 대하여 이메일이나 전화를 통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COVID-19 발생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운영에서 사업 중지, 전환, 축소 등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코로나 19기간 동안 휴관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한 사업의 운영에 있어 센터 구성원들은 대상 기관의 휴관으로 인한 사업진행의 불투명, 방역의 어려움, 활동꾸러미와 동영상 수업의 문제, 온라인수업의 문제, 예산 운영의 어려움, 실적에 대한 압박감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센터 종사자들은 앞으로 COVID-19와 같은 전염병 팬데믹이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센터 구성원들과 이용자들의 온라인 수업을 위한 앱과 기기사용교육, 비상 시 사업운영의 자율성 부여, 사업 수의 축소와 집중화를 요구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염병 팬데믹 상황에서 진행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의 사업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이후 도래할 전염병 팬데믹에 대비한 몇 가지 요구와 제안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나, J도에 한정되어 조사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 prepared to cope with the pandemic of the infectious disease by examining the operation and the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for COVID19 pandemic.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papers were delivered to 12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s in J provi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via e-mail or phone for additional questions about the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brought about changes such as program suspension, conversion, and reduction in operation of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Second, in the operation of programs that were not implemented due to closure of cente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staffs of the center were uncertain of program accomplishment due to closures of connected institutions, having difficulties in quarantine, problems with sending activity packages and video tips by on-line, problems with online classes, budget management, and feeling pressure of accomplishing the goals of programs. Third, to prepare with a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pandemic, it was needed for center staffs to train for using devices for online classes, granting autonomy of staffs with program operation in emergencies, and reduction the number of programs were required. The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propose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mmarizes and presents several requests and suggestions for the upcoming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study in that it was investigated only in J. province.

      •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비판적 검토와 가족정책의 과제

        진미정(Meejung Chin)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2

        이 글은 2021년 4월 발표된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기조와 내용을 가족정책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건강가정기본법에 근거하여 2021~2025년의 가족정책을 총괄할 4차 기본계획은 가족제도의 개선을 위한 내용은 강조되어 있으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의 향상을 지원한 정책 내용은 미흡하여 편향적인 기본계획이 되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가족생활의 어려움이 커지고 관계상의 갈등과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4차 기본계획이 대응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보편적, 예방적 성격의 가족정책에 대한 몰이해, 가족 변화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조와 행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념이 아닌 과학에 기초한 가족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본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행계획을 추가로 수립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지역사회 전달체계에서 실제 주민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 향상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4th National Plan for Healthy Famili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is plan, which will be implemented during 2021 to 2025, challenges traditional family norms by presenting alternative laws and leads to an advance in family laws. This plan, however, leaves policy gaps in terms of enhancing family life and relationship, especially for those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economic and relational hardships due to COVID-19.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to complement the resultant policy gaps.

      • KCI등재

        한국 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지속가능한 통합을 위한 제언: 통합운영되고 있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주정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4

        The family service delivery system, which has been divided and operated as a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being reorganized to promote the integration of two centers under the spirit of social integration by the driv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the integrated center called the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currently carrying out family welfare projects based on the existing Healthy Family Support Basic Act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even though the legal system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Field staff of the local centers face many difficulties because the center integration is being promoted in advance without the business direc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legal system being unified. Therefore,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field staff conducting the integrated family projects is essential for the government-led integration strategy to be eff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sustainable integration of the Korean Family Service Delivery Systems focusing on the voices of the field staff of the support centers for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ose who run integrated family projects. The study offers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refore we hopes to subdivide this study into cognitive,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legal, institutional, naming, business, and human resources aspects and to reflect these aspects in the policy of the Korean family service delivery system. Then, the integrated family support service centers will be reformed as sustainable service centers.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이원화되어 분리ㆍ운영해왔던 가족서비스 전달체계는 정부의 국민 대통합이라는 사회통합의 기조 하에 두 센터의 통합을 추진하는 방향으로재편 중에 있다. 그런데 현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칭하는 통합센터는 아직 법적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건강가정기본법,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한 가족복지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건강가정기본계획과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토대로 정책과연계하여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사업방향과 법제도에 대한 행정체계가 일원화되지않은 상태에서 센터통합이 먼저 추진되고 있어서 현장에서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주도의 통합전략이 실효성을 거두려면 실질적으로 통합가족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현장의 목소리가 중요하다. 이에 통합가족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인식적인 측면, 행정업무적인 측면, 조직적인 측면, 법ㆍ제도적인 측면, 명칭적인 측면, 사업적인 측면, 인력적인 측면으로 세분화시켜 분석한 제언이 정책에 반영되어 지속가능한 가족지원서비스 통합센터로 거듭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소외 경험

        권인욱(In-wook, Kwon),이병권(Byeong-kwon, Lee),김수영(Su-young,Kim)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0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 중 일부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에 있어 소외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많은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자 이주민이라는 이유로 이중적 소외자로서의 경험을 한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결혼이주민과 그 가족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기관이므로 이러한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적 소외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과연 정말 그러한가, 아니면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적 소외를 유지 및 강화하는 측면이 있지는 않은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당사자에게 직접 의견을 묻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어떤 결혼이주여성이 어떻게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이용에서 소외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사회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여성이자 이주민으로서 기대되는 특정 이미지를 규정하고 있었고, 그것에 걸맞지 않은 결혼이주여성은 소외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소외 경험을 줄이기 위하여 방문 서비스, 다양한 취업 지원서비스, 다국어 안내 서비스, 자조모임, 실무자 역량 등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etermine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of some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being alienated from the use of the service at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any marriage migrant women experience dual alienation as being both women and migrants in Korean society. Since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an institution to promote the welfare of married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it is expected to ease the dual alien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But is it really so, or is there any aspect of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dual alien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Hence, a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are excluded from the use of the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y directly asking to marriage migrant women themselves. As a result, the center as well as Korean society set up specific images expected for marriage migrant women as women and migrants, and marriage migrant women who did not meet the images experienced alienation.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visiting services, various employment support services, multilingual guidance services and self-help groups to reduce such alienation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박연진(Park, Yeon-Jin),박윤조(Park, Yoon-Joe)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송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참여 및 경험유무에 따른 만족도, 위드코로나 시대의 대면 및 비대면 사업의 만족도, 프로그램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사업에 참여한 주민들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회수는 한 두 번 혹은 1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불편함을 적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센터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육 및 자녀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센터사업에 참여한 주민들의 만족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센터사업 이용회수가 한 두번이거나 이용기간이 1년 미만에 그친 경우가 있었으므로 프로그램의 중복참여 및 지속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과 홍보가 요구된다. 둘째,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프로그램을 비대면으로 전환하여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은 불편함을 낮게 인식하였고,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에도 위드(with)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다각화 및 다양화를 시도하여 센터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사업 중 양육, 자녀교육, 가족 중심 프로그램 등에 대한 요구도 및 만족도가 높으므로 이를 보다 확장하고 세분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healthy family/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ojects in the era of With Corona, and satisfaction with each program were investigated for Songpa res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enter project was high, and the frequency of use was found to be once or twice or less than a year. Second, the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program was high, and it was found that they perceived less discomfort. Third, th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programs conducted by the center were found to be high.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and satisfaction for programs related to child rearing and children s education were high. Based on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despite the high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enter project, there were cases where the number of use of the center project was once or twice or the period of use was less than one year. publicity is required. Second, despite adding a non-face-to-face program or converting an existing program to a non-face-to-face program due to COVID-19, local residents perceived the inconvenience as low and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iversify and diversify programs suitable for the era of with Corona so that the number of customers who use the center continuously increases. Third, among the projects operated by the Center for Healthy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is a high demand and satisfaction for child rearing, child education, and family-oriented programs,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ubdivide them.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주정(Joo, Je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젠더와 문화 Vol.7 No.2

        현재 우리나라 가족서비스 전달체계는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이원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두 센터는 급속한 사회변화와 가족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로 자리매김하면서 다양한 가족들의 서비스 욕구를 해결하는데 기여해 왔다. 그런데 최근 분절적으로 수행되어 왔던 두 전달체계를 일원화하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시범사업 모델이 개발되는 등 개선안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적 관점에서 가족지원서비스의 제고를 위해, 두 센터의 서비스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통합개편될 시 잠재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는 그동안 양적자료에 기반한 최근 논의와 달리, 종사자 입장과 이용자 입장이 표명된 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다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도합의 장을 열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향후 이 연구가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중 의미있는 대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the main parts of the family service delivery system run by the government of Korea. The family service delivery system has been developing in these two different paths throughout the years and contributing to solving related issues. Recently, there has been a movement toward integrating these two separate centers and a demonstration project on better ways for development is now under discussion. Thus,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delivery system model from a long-term perspective with the objectives of enhancing efficiency in operating two different centers and minimizing the potential problems. We analyze qualitative data building on the views and thoughts of specialists in the field, unlike recent discussions based on only quantitative data. This study is a foundation work on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centers in terms of reconciling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 KCI등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참여 프로그램 효과 분석

        이현아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0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0 No.2

        본 연구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아버지참여 프로그램의 현황과 프로그램 참여 전후 아버지들의 변화를 통해서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전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 4개 센터 5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대구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연구윤리심의를 받았다. 먼저 아버지참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는 자녀와의 관계 개선 측면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아버지 정체성 측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전사후조사를 통해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 가족응집적응력, 부모효능감, 배우자지지도를 측정하고 이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부모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프로그램 참여 이후 높아졌다. 특히 7-8회기로 진행된 프로그램의 경우 효과가 두드러져, 7회기 이상 다회기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아버지역할지원을통한 부모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부주도로 이루어지는아버지프로그램의 현황과 효과를 분석하여, 아버지참여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증거기반정책의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 관점에 기초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분석

        박인옥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support center by analyzing the projects of the support center, which is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huncheon city family center was selected as an example, and seven intercultural education elements, namely communication, interaction, diversity, empathy, respect for human rights, cooperation, and sense of communit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73 operational projects in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sense of community” and “interaction” are relatively reflected in the entire project, and the areas of “local community with family” and “family relations” of the basic project reflect a lot of intercultural educational elements. In addition, this reflection was more common in projects targe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an in projects targeting integrated families. It was proposed as an improvement plan to expand the operation of projects targeting integrated families and to prepare various programs that can reflect the elements of “diversit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본 연구는 사회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을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통합센터의 바람직한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춘천시 가족센터를 사례로 선정하고, 7개의상호문화교육적 요소(의사소통, 상호작용, 다양성, 공감, 인권 존중, 협력, 공동체의식) 를 설정하여 2021년에 운영되었던 63개의 사업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사업에서 ‘의사소통’, ‘공동체의식’, ‘상호작용’ 요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되어 있으며, 기본사업의 ‘가족과 함께하는 지역공동체’와 ‘가족관계’ 영역이 상호문화교육적 요소를 많이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반영은 통합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보다 다문화가족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지역 특성화 사업은 기본사업과의 중복이 많으며, 춘천 지역의 가족 특성을 반영한 사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선 방안으로 통합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의 확대 운영과 ‘다양성’과 ‘인권존중’ 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춘천 지역의 가족 특성을 반영한사업 개발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아버지 자조모임 참여자의 경험과 기대

        김선미(Kim, Seon-Mi),이승미(Lee, Seung-Mie),구혜령(Koo, Hye-Ryou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논총 Vol.20 No.1

        본 연구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모임’ 사업의 참여자의 경험과 기대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아버지모임의 운영 방향과 구체적인 운영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아버지모임에 참여하는 아버지 17명과 사업 실무자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표적집단면접과 개별 면접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은 부인의 권유나 실무자 주도 하에, 혹은 자발적으로 아버지모임에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들은 아버지모임을 통해 휴식을 갖기를 원하고, 아버지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좋은 아버지가 되기를 원하고 양육방식에 대한 부부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싶어서 아버지모임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모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자조활동과 프로그램 형식에 대한 요구가 있으며 아버지모임에 가족모임을 배합할 것을 원하였다. 또한 아버지모임을 지속적이면서 주체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강제성을 띤 그러나 출석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는 느슨한 연대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끝으로 실무자들은 아버지모임에서 주도자가 아닌 조력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아버지참여 프로그램과는 차별성을 갖는 자조모임으로서의 아버지모임의 운영 방향과 사업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fathers" self-help group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fathers" self-help group program in healthy families‧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The data of the study was drawn from 17 fathers and 8 worker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groups or individually. The research determined four main themes related to the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fathers" self-help group program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rst main theme was ‘participation route’ which had sub-themes, ‘recommendation of wife’, ‘worker-directed’,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e second main theme was ‘purpose of self-help group’ which included the sub-themes, ‘for rest’, ‘ for social solidarity’, ‘for being a good father", and "for resolving marital conflicts". The third main theme was ‘operating methods of self-help group’ which included the sub-themes, ‘form and content of self-help activity’, ‘loosely bonded", and ‘activity with family or father alone". The final main theme was "worker as a facilitator". From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fathers" self-help group program were provided. Further studies for more revelatory documentation were also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