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대산(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횡성군)의 월별 거미상 변이

        예성훈(Seong-Hun Ye),김주필(Joo-Pil Kim),장지현(Ji-Hyeon Jang) 한국거미연구소 2014 한국거미 Vol.30 No.2

        2013년 1차(5월 11일부터 13일까지), 2차(6월 6일부터 9일까지), 3차(7월 12일부터 14일까지), 4차(8월 14일부터 18일까지), 5차(8월 30일부터 9월 2일까지), 6차(10월 18일부터 23일까지)에 걸쳐서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및 횡성군 소재 국립공원 오대산에서의 거미를 채집한 결과 25과 99속 226종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거미들의 월별 거미상 변이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과거 오대산의 거미상 조사는 2004년 김주필 등이 질뫼늪, 소황병산늪, 조개동늪 등에서 조사·연구하여 23과 82속 117종을 확인·발표하고, 월별 우점종으로 4월에는 못금오접시거미, 5월에는 팔공접시거미와 별늑대거미, 7월에는 대륙접시거미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로부터 9년 후인 본 연구에서는 25과 99속 226종이라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월별 우점종이 5월에는 촌티늑대거미, 7월에는 말꼬마거미 그리고 9월과 10월에는 기생왕거미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우점종 거미의 서식 밀도 변화가 오대산 지역의 기온이 9년 동안 약1℃ 높아진 기후 변화의 영향과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spiders of Mt. Odaesan from May to October 2013 in monthly. In the present paper Woljeong area, Sangwon area, and Sogeumkang area, 246 species 106genera belong to 28 families were identified. Neriene emphana and Pardosa astrigera were widely collected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04, and in 2013 Parasteatoda tepidariorum and Araneus ventricosus were collected a lot. Plenty of Evarcha albaria were collected in late summer and fall in 2004, but Larinioides cornutus were collected outstandingly in 2013. Gasteracantha kuhli which are environmental indicator species were rare lower in the valley, and tropical spider, Ordgarius sexspinosus were collected, and Larinioides cornutus which live in a warm climate, inhabit widely around the area where people live near the valley. The reason why a variety of species was found in 2013 survey is as the climate gets warmer, there were an increase in the species which are accustomed to its existing inhabited environment and the newly showed species can be influenced by the rise in temperature.

      • 한국산 물거미의 신종 가능성 진단

        이영보,박해철,황석조,강태화,한태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물거미, Argyroneta aquatica (Clerck, 1757)는 거미류 중 유일하게 물속 생활로 진화된 보존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이다. 세계적으로 구북구지역에만 분포 하며 1속 1종이 알려져 있다. 다만, 학자에 따라서 그 종의 상위분류군을 물거미과 (Argyronetidae) 또는 굴뚝거미과(Cybaeidae)로 취급하는 정도에서 이견이 있을 뿐이다. 국내에서는 1995년 서식처가 새롭게 발견되면서 천연기념물로 물거미 서 식지가 지정되어 보전생물학적 지표종으로 가치가 부각된 바 있다. 최근 대두된 분자분류 기술을 통해 4개의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여 Argyroneta aquatica의 기산 지인 유럽산 물거미와 국내서식 물거미표본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 과 각각 COI에서 10.7%, HistonH3에서 1.5%, 18S rRNA에서 0%, 28S rRNA에 서 0.08%로 특히 종동정 지표로 이용되는 COI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으며, HistonH3에서도 종간 특이 경향을 나타냈을 뿐 아니라 28S rRNA에서도 3 InDel events를 보여주었다. 또한 거미류 91속 179종의 333개 COI 염기서열에 대한 Neighbor-joining 분석을 추가로 수행한 바, 한국산 물거미와 유럽산 물거미의 유 전적 변이수준은 거미류 종들의 종간 변이수준으로 분지됨이 뚜렷이 입증되었다.

      • A new species of the Genus Leptoneta Simon, 1872 (Araneae : Leptonet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김태우(Tae Woo Kim)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잔나비거미속(Leptoneta)의 新種을 記載한다. 잔나비거미속은 잔나비거미科(Leptonetidae)에 속하는 거미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19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추가로 다음 20種이 된다. 旣知種 Family Leptonetidae Simon, 1890 잔나비거미과 Genus Leptoneta Simon, 1872 잔나비거미속 1. Leptoneta coreana Paik & Namkung, 1969 고려잔나비거미 2. Leptoneta handeulgulensis Namkung, 2002 한들잔나비거미 3. Leptoneta hogyegulensis Paik & Namkung, 1969 호계잔나비거미 4. Leptoneta hongdoensis Paik, 1980 홍도잔나비거미 5. Leptoneta hwanseonensis Namkung, 1987 환선잔나비거미 6. Leptoneta jangsanensis Seo, 1989 장산잔나비거미 7. Leptoneta kwangreungensis Kim et al., 2004 광릉잔나비거미 8. Leptoneta namhensis Paik & Seo, 1982 남해잔나비거미 9. Leptoneta namkungi Kim et al., 2004 남궁잔나비거미 10. Leptoneta paikmyeonggulensis Paik & Seo, 1984 백명잔나비거미 11. Leptoneta secula Namkung, 1987 마귀잔나비거미 12. Leptoneta simboggulensis Paik, 1971 심복잔나비거미 13. Leptoneta soryongensis Paik & Namkung, 1969 소룡잔나비거미 14. Leptoneta spinipalpus Kim, Lee & Namkung, 2004 가시잔나비거미 15. Leptoneta taeguensis Paik, 1985 대구잔나비거미 16. Leptoneta waheulgulensis Namkung, 1991 와흘잔나비거미 17. Leptoneta yebongsanensis Kim, Lee & Namkung, 2004 예봉잔나비거미 18. Leptoneta yongdamgulensis Paik & Namkung, 1969 용담잔나비거미 19. Leptoneta yongyeonensis Seo, 1989 용연잔나비거미 新種 Leptoneta seogwipoensis spec. nov. 서귀포잔나비거미(신칭) (Figs. 1-5) 記載한 新種 Leptoneta seogwipoensis는 암컷의 생식기 및 수컷의 생식기 형태가 기존의 종에서 는 볼 수 없으며 육지와 고립된 섬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해온 新種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describe one new species of the family Leptonetidae from Korea, named Leptoneta seogwipoensis spec. nov.

      • A new species of the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Araneae : Pholc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유령거미속(Pholcus)의 新種을 記載한다. 유령거미속은 유령거미科(Pholcidae)에 하는 거미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25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추가로 다음 26種이 된다. 旣知種 1. Pholcus acutulus Paik, 1978 목이유령거미 2. Pholcus chiakensis Seo, 2014 치악유령거미 3. Pholcus crassus Paik, 1978 부채유령거미 4. Pholcus extumidus Paik, 1978 엄지유령거미 5. Pholcus gajiensis Seo, 2014 가지유령거미 6. Pholcus gosuensis Kim & Lee, 2004 고수유령거미 7. Pholcus joreongensis Seo, 2004 새재유령거미 8. Pholcus juwangensis Seo, 2014 주왕유령거미 9. Pholcus kwanaksanensis Namkung & Kim, 1990 관악유령거미 10. Pholcus kwangkyosanensis Kim & Park, 2009 광교유령거미 11. Pholcus manueli Gertsch, 1937 대륙유령거미 12. Pholcus montanus Paik, 1978 묏유령거미 13. Pholcus nodong Huber, 2011 노동유령거미 14. Pholcus okgye Huber, 2011 산유령거미 15. Pholcus palgongensis Seo, 2014 팔공유령거미 16. Pholcus parkyeonensis Kim & Yoo, 2009 박연유령거미 17. Pholcus phalangioides (Fuesslin, 1775) 집유령거미 18. Pholcus pojeonensis Kim & Yoo, 2008 포전유령거미 19. Pholcus simbok Huber, 2011 심복유령거미 20. Pholcus socheunensis Paik, 1978 소천유령거미 21. Pholcus sokkrisanensis Paik, 1978 속리유령거미 22. Pholcus uksuensis Kim & Ye, 2014 욱수유령거미 23. Pholcus woongil Huber, 2011 운길유령거미 24. Pholcus yeongwol Huber, 2011 영월유령거미 25. Pholcus zichyi Kulczyński, 1901 산유령거미 新 種 26. Pholcus cheongogensis spec. nov. (Figs. 1-10) 記載한 新種 Pholcus cheongogensis 는 암컷의 생식기와 수컷의 생식기의 모양과 협각의 돌기의 모양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다른 종과 구별되는 新種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describe one new species of the family Pholcidae from Korea, named Pholcus cheongogensis sp. nov. This specimen is deposited at the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Kyunggi-do.

      • A New Species of The Genus Sinopoda Jäger, 1999 (Araneae, Sparassidae) in Korea

        김주필(Joo Pil Kim),이준기(Jun Gi Lee),이준호(Jun Ho Lee),홍성화(Sung Hwa Hong)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韓國産 거북이등거미屬(Sinopoda Jäger, 1999)의 新種이 南楊州市 茶山記念館에서 發見되어 이를 記載한다. 거북이등거미屬은 거북이등거미科(농발거미科)의 한 屬으로, 지금까지 7種이 韓國에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記載로 다음 8種이 된다. 旣知種 Family Sparassidae Bertkau, 1872 거북이등거미科(농발거미科) Genus Sinopoda Jäger, 1999 거북이등거미屬 1. Sinopoda aureola Kim, Lee & Lee, 2014 금빛거북이등거미 2. Sinopoda clivus Kim, Chae & Kim, 2013 비탈거북이등거미 3. Sinopoda forcipata (Karsch, 1881) 화살거북이등거미 4. Sinopoda jirisanensis Kim & Chae, 2013 지리거북이등거미 5. Sinopoda koreana (Paik, 1968) 한국거북이등거미 6. Sinopoda stellatops Jäger & Ono, 2002 별거북이등거미 7. Sinopoda yeoseodoensis Kim & Ye, 2015 여서도거북이등거미 新種 8. Sinopoda dasani sp. nov. 다산거북이등거미(신칭) (Fig. 1-2) 記載한 新種 Sinopoda dasani 다산거북이등거미는 韓國의 Sinopoda aureola 금빛거북이등거미, 中國의 Sinopoda hamata, Sinopoda minschana 와 類似하나, 背甲과 腹部의 體色과 무늬, 수컷의 鬚髥器官의 細部 構造의 差異로 分明히 區別되는 新種이다. 新種의 完模式標本은 京畿道 南楊州市 주필거미박물관에 收藏되어 있다. A Sparassid species, Sinopoda dasani sp. nov., collected in Dasan Memorial Hall,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is found to be a new species. this species is similar to S. aureola, S. hamata and S. minschana, bu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hree species with its unique body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male palp.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 holotype male specimen of S. dasani are given in this paper. The holotype specimen is deposited at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Araneae : Pholcidae), with Redescription of P. zichyi Kulczyński, 1901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이준호(Jun Ho Lee),이준기(Jun Gi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2

        國産 유령거미科 유령거미屬의 2新種이 發見되어 이를 記載한다. 유령거미屬은 韓國에서 지금까지 25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다음 두 新種들의 記載로 總 27種이 된다. 新種 Family Pholcidae C. L. Koch, 1850 유령거미科 Genus Pholcus Walckenaer, 1805 유령거미屬 26. Pholcus crypticolenoides sp. nov. 등줄유령거미(신칭) (Fig. 1-3) 27. Pholcus yeoncheonensis sp. nov. 연천유령거미(신칭) (Fig. 4-6) 記載한 2新種 Pholcus crypticolenoides sp. nov. 등줄유령거미, Pholcus yeoncheonensis sp. nov. 연천유령거미는 日本의 Pholcus crypticolens, 中國의 Pholcus spilis와 그 外形이 類似하나, 腹部의 줄무늬와 암컷의 外部生殖器와 그 內部 構造, 수컷의 鬚髥器官의 細部 構造의 差異로 區別할 수 있는 新種들이다. 追加的으로, 韓國産 산유령거미가 2011년 P. crypticolens에서 P. zichyi로 再分類된 以後 國內에서의 記載가 存在하지 않았으므로, 이 種에 대해 再記載한다. 두 新種의 模式標本들을 비롯한 硏究에 使用된 標本들은 京畿道 南楊州市 주필거미박물관에 收藏되어 있다. Two Pholcid species from Korea, Pholcus crypticolenoides sp. nov. and P. yeoncheonensis sp. nov., is newly described here in detail. These are very similar to P. crypticolens and P. spilis, But ar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with the difference in shapes of abdomen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female epigyne, internal genitalia and male palp.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wo new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paper. Moreover, one Pholcid species, P. zichyi from Korea is redescribed here with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Examined specimens are deposited at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 Redescription of Ozyptila scabricula (Westring, 1851) and Two New Record Species of the Genus Ozyptila, Xysticus (Araneae: Thomis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김병우(Byung Woo Kim) 한국거미연구소 2016 한국거미 Vol.32 No.1

        2015년 8월 3일부터 5일 사이 한국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육백산에서 채집한 Ozyptila scabricula (Westring, 1851) 두꺼비곤봉게거미를 분류학적으로 재 기재하고, 2008년 9월 16일 한국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서 채집한 한국산 거미목 Ozyptila 속의 1 미기록종인 Ozyptila sincera Kulczyński, 1926 상원곤봉게거미(신칭)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 한국의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에서 채집한 한국산 거미목 Xysticus 속의 1 미기록종인 Xysticus transversomaculatus Bösenberg & Strand, 1906 흰게거미(신칭)를 발표하는 바이다. 채집된 상기 표본들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주필거미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Two unrecord species and one redescription of Thomisids spiders are described in this paper.

      • A new species of the genus Atypus Latreille, 1804 (Araneae : Atypidae) from Korea

        김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노광래(Gwang Rae Noh) 韓國거미硏究所 2015 한국거미 Vol.31 No.2

        유령거미속(Pholcus)의 新種을 記載한다. 유령거미속은 유령거미科(Pholcidae)에 하는 거미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25種이 報告되어 왔으나 이 新種의 추가로 다음 26種이 된다. 旣知種 1. Pholcus acutulus Paik, 1978 목이유령거미 2. Pholcus chiakensis Seo, 2014 치악유령거미 3. Pholcus crassus Paik, 1978 부채유령거미 4. Pholcus extumidus Paik, 1978 엄지유령거미 5. Pholcus gajiensis Seo, 2014 가지유령거미 6. Pholcus gosuensis Kim & Lee, 2004 고수유령거미 7. Pholcus joreongensis Seo, 2004 새재유령거미 8. Pholcus juwangensis Seo, 2014 주왕유령거미 9. Pholcus kwanaksanensis Namkung & Kim, 1990 관악유령거미 10. Pholcus kwangkyosanensis Kim & Park, 2009 광교유령거미 11. Pholcus manueli Gertsch, 1937 대륙유령거미 12. Pholcus montanus Paik, 1978 묏유령거미 13. Pholcus nodong Huber, 2011 노동유령거미 14. Pholcus okgye Huber, 2011 산유령거미 15. Pholcus palgongensis Seo, 2014 팔공유령거미 16. Pholcus parkyeonensis Kim & Yoo, 2009 박연유령거미 17. Pholcus phalangioides (Fuesslin, 1775) 집유령거미 18. Pholcus pojeonensis Kim & Yoo, 2008 포전유령거미 19. Pholcus simbok Huber, 2011 심복유령거미 20. Pholcus socheunensis Paik, 1978 소천유령거미 21. Pholcus sokkrisanensis Paik, 1978 속리유령거미 22. Pholcus uksuensis Kim & Ye, 2014 욱수유령거미 23. Pholcus woongil Huber, 2011 운길유령거미 24. Pholcus yeongwol Huber, 2011 영월유령거미 25. Pholcus zichyi Kulczy?ski, 1901 산유령거미 新 種 26. Pholcus cheongogensis spec. nov. (Figs. 1-10) 記載한 新種 Pholcus cheongogensis 는 암컷의 생식기와 수컷의 생식기의 모양과 협각의 돌기의 모양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다른 종과 구별되는 新種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describe one new species of the family Pholcidae from Korea, named Pholcus cheongogensis sp. nov. This specimen is deposited at the Joo-Pil Spider Museum, Namyangju-si, Kyunggi-do.

      • 한국산 가야산비탈가게거미(거미목, 가게거미과)의 암컷 기재

        김주필(Joo-Pil Kim),예성훈(Seong-Hun Ye) 한국거미연구소 2013 한국거미 Vol.29 No.1

        2012년 11윌 10일과 2013년 1월 12일에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용수리 중대교 부근에서 채집한 거미를 조사 연구한 결과 한국산 거미목, 가게거미과 비탈가게거미속 Alloclubionoides kayasanensis(Paik 1972)[=Ambanus kayasanensis (Paik 1972) = CoeJotes kayasanensis] Agelenidae C. L. Koch, 1837 가야산가게거미를 한국산 가야산비탈가게거미(거미목, 가게거미과)의 암컷으로 기재한다.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describes a new record species, Alloclubionoides kayasanensis (Paik, 1972) [=Ambanus kayasanensis (Paik 1972) = Coelotes kayasanensis]. from Korea. The original description was based on male. female specimen from Korean.(Ambanus kayasanensis (paik 1972) [= Coelotes kayasanensis] Agelenidae C. L. Koch, 1837)

      • 한국산 깡충거미(거미목: 깡충거미과)의 지리적 분포 경향

        김주필(Joo-Pil Kim),신승용(Seung-Yong Sin),장지현(Ji-Hyun Jang),박종은(Jong-Eun Park) 한국거미연구소 2013 한국거미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및 문헌자료 분석을 토대로 한국 깡충거미의 분포 및 종 구성을 식생 및 지형의 유형에 따라 산, 섬, 내륙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했다. 산림식생에서는 예봉산(31종), 오대산(17종), 속리산(16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산림식생을 제외한 평지에서는 가평(8종), 남해(8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섬으로는 제주도(41종), 울릉도(20종), 임자도(19종)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 별로는 흰눈섭깡충거미(Evarcha albaria), 털보깡충거미(Carrhotus xanthogramma), 살깃깡충거미(Mendoza elongate), 불개미거미(Myrmarachne japonica), 까치깡충거미(Rhene atrata), 눈깡충거미(Phintella arenicolor)가 가장 많은 지역에서 분포했고, 흰수염깡충거미(Menemerus fulvus), 해안깡충거미(Hakka himeshimensis)는 섬 및 해안지역에서 다수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눈깡충거미(Phintella abnormis),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Telamonia vlijmi), 어리개미거미(Synagelides agoriformis), 네온깡충거미(Neonreticulatus)는 주로 산 지역에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한국 고유종인 명환까치깡충거미(Rhene myunghwani)와 금골풀무깡충거미(Helicius kimjoopili)는 백령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식지의 보호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 investigated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of jumping spiders in Korea , based on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Types of survey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island, inland and mountains. In mountainous areas, jumping spiders of 31 species in Yebong-san, 17 species in Odae-san, and 16 species in Songni-san are distributed, respectively. ln island areas, 41 species in Jeju-do, 20 species in Ullung-do , and 19 species in lmja-do were distributed. ln inland areas, 8 species in Gapyeong and 8 species in Namhae were distributed. Evarcha albaria, Carrhotus xanthogramma, Mendoza elongata, Myrmarachne japonica, Rhene atrat and Phintella arenicolor were the most common species. Menemerus fulvus and Hakka himeshimensis are distributed only on the island . Phintella abnormi, Telamonia vlijmi, Synagelides agoriformis and Neon reticulatus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mountains. Endemic species Rhene myunghwani and Helicius kimjoopili were found only on Baengnyeong-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