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유물론의 새로운 개념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객체지향존재론으로 보는 과학기술적 인공물의 구성방식 분류

        이준석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2 No.-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six categories of object-assemblages. They include: (1) hyperobjects, which had been argued by Timothy Morton and are existent in the form of vast assemblages that they are dispersed through the large amount of space-time continuum; (2) nano-objects, which are at the opposite position in the objective spectrum to the hyperobject. Nano-objects are so small that they can’t be seen nor heard throughout the space-time. However when the nano-objects form specific actor-networks, they gain visibility in our naturecultures. (3) Auxiliary objects: these are the objects that are needed to construct the final actor-network, but need to be discarded/deconstructed just before the final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e completion; (4) paradoxical objects: these are objects that have paradoxical properties; (5) facade object: these are the small objects that work as the facade/node of complex actor-networks. (6) Interdependent objects: these are the objects that operate interdependently. I discuss this classification and categories of specific objects in order to fill in the theoretical gap of Object-Oriented Ontology. This will be a starting point of identifying specific actor-network objects in our anthropocene. 이 연구는 과학기술학(STS)의 맥락에서 객체들의 분류체계를 연구한 조프리보커⋅수전 리 스타(1999) 및 브루노 라투르(2013)의 관점과, 신유물론의 맥락에서 하이퍼객체의 개념을 주장하는 티모시 모턴(2013)의 관점을 이어서, 객체행위자-네트워크의 분류체계를 조금 더 확립하려는 시도이다. 라투르에 의하면 과학혁명 이후 우리의 자연문화는 점점 더 많은 하이브리드행위자-네트워크를 양산해 왔다. 근대성보다는 비근대성을, 그리고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이 작동하는 정화 작용보다는 하이브리드적 생태화를 주장하는 라투르는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방식을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으며, 나아가 가이아 2.0으로 표현되기도하는통치성과 레짐의 구성을 역설하고있다. 이새로운 세계는 하이브리드 행위자-네트워크로 충만한 인류세의 레짐이며, 그 안에서 새로운 누리정치(cosmopolitics)가 이루어져야 한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객체지향존재론의 관점에서 볼 때, 라투르가 이야기하는 누리정치는 다양한 종류의 객체 행위자-네트워크들로 이루어진 세계다. 과학기술적 인공물을 포함하여 우리의 세계를 구성하는 다종의 객체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특성을 논하는 것은 더 좋은 누리정치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파사드 객체, 패러독스적 객체, 보조객체, 나노객체, 연기적 객체 등의 새로운 개념을 살펴본다.

      • KCI등재

        Fuzzy C-means와 CONDENSATION을 이용한 객체 검출 및 추적 시스템

        김종호(Jong-Ho Kim),김상균(Sang-Kyoon Kim),황구선(Goo-Seun Hang),안상호(Sang-Ho Ahn),강병두(Byoung-Doo Ka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4

        동영상에서의 움직이는 객체 검출과 추적은 객체 식별, 상환인식,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등 많은 시각 기반 응용 시스템에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전처리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배경과 조명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추출하고 움직이는 객체가 다른 물체에 가려지는 경우에도 강인하게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객체의 효과적인 검출을 위해서 효과적인 고유 공간과 Fuzzy C-means(FCM)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검출된 객체를 강인하게 추적하기 위해 Conditional Density Propagation (CONDENS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먼저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에서 수집한 학습데이터를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으로 선형변환 한다. 주성분들의 고유 특성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객체와 배경에 대하여 판별 능력이 우수한 주성분을 선별하여 고유 배경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이전단계에서 구성된 고유 벡터와 입력 영상을 결합한 연산 결과를 FCM의 입력 값으로 사용해서 객체를 검출한다. 최종적으로 검출된 객체의 좌표를 CONDENSATION의 입력으로 사용해서 객체를 추적한다. 고정된 카메라에서 조명변화와 배경변화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된 카메라에서 움직이는 다양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수집하여 학습데이터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방법이 조명변화와 배경변화 그리고 객체의 부분적 움직임에 모두 강인하게 객체를 검출하고 다른 물체나 배경에 의해 객체가 일부 가려지더라도 객체를 추적함을 보여준다. Detecting a moving object from videos and tracking it are basic and necessary preprocessing steps in many video systems like object recognition, context aware, and intelligent visual surveill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is able to detect a moving object quickly and accurately in a condition that background and light change in areal time. Furthermore, our system detects strongly an object in a condition that the target object is covered with other objects. For effective detection, effective Eigen-space and FCM are combined and employed, and a CONDENSATION algorithm is used to trace a detected object strongly. First, training data collected from a background image are linear-transform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econd, an Eigen-background is organized from selected principal components having excellent discrimination ability on an object and a background. Next, an object is detected with FCM that uses a convolution result of the Eigen-vector of previous steps and the input image. Finally, an object is tracked by using coordinates of an detected object as an input value of condensation algorithm. Images including various moving objects in a same time are collected and used as training data to realize our system that is able to be adapted to change of light and background in a fixed camera. The result of tes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cts an object strongly in a condition having a change of light and a background, and partial movement of an object.

      • KCI등재

        하이퍼객체와 ‘나노객체’의 세계: 염지혜와 네트워크화된 객체들

        이준석 ( June-seok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3 No.-

        본고의 앞부분에서는 객체지향존재론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특징들을 간략히 알아본 다음, 과학기술학(STS)에서 많이 언급되는 사례들을 통해, 이 두 이론이 자연-문화에 존재하는 존재자들을 해석하는데 있어 서로 상보적임을 제안한다. 이어서 객체지향존재론자인 티모시 모튼이 주장하는 하이퍼객체의 개념에 대해 고찰해보고, 그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의 ‘나노객체’의 개념을 시론적으로 검토한다. 하이퍼객체는 시공간에 너무나 거대하게(hyper-) 퍼져 있어서 인간의 인식을 벗어나는 객체(-object)이며, 지구 온난화 현상 등의 객체가 이에 해당한다. 나노객체는 스펙트럼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존재자들이며, 시공간에 너무나 왜소하게(nano-)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의 인식을 벗어나는 객체다. 때로 물리적으로는 크기가 크더라도 나노객체로서 존재할 수도 있는데, 가령 멸종 위기에 처한 코뿔소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동물보호단체들이 활동하기 전에 코뿔소의 존재는 나노객체였다. 인권단체가 주목하기 전, 다양한 사회적 폭력의 희생자들이 내던 (혹은 내지 못하던) 작은 목소리들 역시 나노객체로 볼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 역시 나노객체이다. 이러한 나노객체는 다섯 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반투명성(개체수가 적을 때는 투명해서 보이지 않다가, 충분한 수가 확보되면 불투명하게 가시화됨), 세계적 국지성(global locality)과 국지적 세계성(local globality), 테크노사이언스와의 강한 연계성, 자연/문화의 이분법을 넘는 존재양식, 그리고 응집되어 가시화되기 이전에 산발적으로 존재하는 산존성(散存性, scatteredness)이 그것이다.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염지혜 작가의 작품을 사례연구로 삼아 하이퍼객체 및 나노객체의 개념을 검토해 본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heoretical possibilities of expanding object-oriented ontology. In the first half of the article, it is argued that both object-oriented ontology and actor-network theory can gain theoretical edges when applied together. This article uses some famous examples from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to show this. After that, the concepts of hyperobjects and nano-objects are explored. Hyperobjects are objects that are so vastly spread out in time and space that humans cannot easily recognize them. Nano-objects, a new concept suggested in this article, li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trum to hyperobjects. Nano-objects are so miniscule that humans cannot easily recognize them. Five characteristics of nano-objects have been identified so far: translucency, global locality/local globality, technoscientific relatedness, crossover existence between the nature/culture divide, and their scattered existence. At the end of the article, artist Ji-Hye Yeom’s work will be analyzed as a case study.

      • 지리-객체와 지리-필드에서 기하 속성과 공간관계 역할에 기반한 객체 지향 공간 데이터 모델

        이홍로,Lee, Hong-R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8 No.5

        지리정보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다루고 있다. 각 용용 분야를 위한 필요한 정보는 지리정보의 설계 단계에서 지리영역의 응용관점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현상에서 발생하는 각 객체의 독립성과 동질성 여부에 따라 표현해야 한다. 이 논문은 지리-객체, 지리-필드와 비지리-객체 상에서 속성과 관계 역할에 대한 정의와 정리를 통한 형식화에 대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지리-객체는 지리-필드와 비지리-객체의 관계역할에 대한 형식화 관점에서 재구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 이 논문은 공간 클래스의 정적상태 특성인 속성-영역 관계를 공간 관계 역할로 표현하고, 형식화함으로써 기하 속성과 공간 관계 역할에 기반한 지리정보시스템의 효율적 설계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CIS) deal with data which can potentially be useful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The information needed by each application can be vary, specially in resolution, detail level, application view, and representation style, as defined in the modeling phase of the geographic database design. To be able to deal with such diverse needs, GIS must offer features that allow multiple representation for each geographic entity of phenomenon. This paper addresses on the problem of formal definition of the objects and their relationships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The geographical data is divided into two main classes : geo-objects and geo-fields, which describe discrete and continuous representations of spatial reality. I studied the attributes and the relationship roles over geo-object and nongeo-object. Therefore, this paper contributed on the efficient design of geographical class hierarchy schema by means of formalizing attribute-domains of classes.

      • 내부 객체를 이용한 객체 영상 인식 과정

        이인근,서석태,단나,권순학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8 No.2

        객체 영상 인식은 영상에서 추출할 수 있는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특정 개념으로 분류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영상의 특징은 상황에 따라 다른 정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특징 정보가 객체 인식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징 영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최소한의 특징 정보만을 이용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객체 인식 과정의 애매성을 줄이기 위해 ‘내부 객체’를 이용한 객체 영상 인식 과정을 제안한다. 제안한 객체 영상인식 과정에서는 객체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객체’의 정보를 지식베이스에 정의하고, ‘주 객체’ 인식 결과와 지식베이스를 참조한 ‘내부 객체’의 인식 결과를 통합하여 객체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객체 영상 인식 과정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 KCI등재

        기계학습과 품질 메트릭을 활용한 객체간 링크결합강도 분류에 관한 연구

        정성균 ( Sung Kyun Jung ),안재균 ( Jae Gyoon Ahn ),여윤구 ( Yun Ku Yeu ),박상현 ( Sang Hyu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2 No.10

        객체지향 설계는 상속 및 은닉과 같은 개념이 도입되어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크기 가 커지게 되면 이를 구성하는 객체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비례하여 상속 또는 호출과 같은 객체간 결합관계가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객체간 결합관계는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의 복잡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다수의 결합관계는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를 높이어 결국에는 소프트웨어 품질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컴포넌트 기반의 설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객체간 결합관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객체 품질 메트릭을 정의, 산출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활 용하여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 연구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컴포넌트와 같은 시스템 분해 관점에서 객체 상호간 결합링크 속성의 분석을 통하여 서브시스템 분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전까지의 연구들이 개별객체를 평가하고 수치화하여 이를 누적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연구는 소프트웨어 복잡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객체간 상호간의 링크결합관계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객체간 링크의 속성분석 및 결합강도 예측에 기계학습을 활용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Object oriented design brought up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software quality by adopting some concepts such as inheritance and encapsulation. However, both the number of software`s classes and object couplings are increasing as the software volume is becoming larger. The object coupling between classes is closely related with software complexity, and high complexity causes decreasing software quality. In order to solve the object coupling issue, IT-field researchers adopt a component based development and software quality metrics. The component based development requires explicit representation of dependencies between classes and the software quality metrics evaluates quality of software. As part of the research, we intend to gain a basic data that will be used on decomposing software. We focused on properties of the linkage between classes rather than previous studies evaluated and accumulated the qualities of individual classes. Our method exploits machine learning technique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linkage and predict the strength of dependency between classes, as a new perspective on analyzing software property.

      • KCI등재

        내부 객체 정보를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의 객체 영상 인식

        이인근(In K. Lee),서석태(Suk T. Seo),석지권(Jikwon Seok),권순학(Soon H. Kw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9 No.6

        객체 영상에서 색, 모양과 같은 특징은 객체의 특성을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한된 특징 정보는 객체 영상인식의 애매성을 야기한다. 최근에는 객체 인식에서의 애매성을 줄이기 위해 지식베이스에 기반한 영상의 인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영상은 수치적 정보로 표현되고 지식베이스는 개념적 정보로 표현되어 영상과 지식 베이스의 결합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과 지식베이스의 정보 표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성한다. 그리고 내부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 영상 인식 과정에서의 애매성을 줄이는 객체 영상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과일 영역에서의 객체 영상 인식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Since the features in object-images such as color and shape cannot clearly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objects, those features lead to vagueness of object-image recognition. Recently there have been studied on object-image recognition based on knowledge base in order to reduce the vagueness. However, because images are represented by numerical information but knowledge bases are represented by conceptual information, combining two kinds of information is difficult. In this paper, we compose knowledge base by using ontology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two kinds of information, and propose a method for object-image recognition to reduce the vagueness by using information on inner-object. Moreover, we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s on object-image recognition in fruit domain.

      • 데이타베이스 :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로킹 프로토콜

        배석찬(Bae Seok Chan),황부현(Hwang Bu 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동시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로킹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복합 객체의 요소 객체에 그 객체의 루트를 확인하도록 부여된 루트 객체 식별자를 이용한다. 복합 객체에 로크를 요구하는 하나의 트랜잭션은 접근하고자 하는 요소 객체의 루트객체 식별자가 있는지, 그 루트 객체에 로크되어 있는 지를 검사한다. 그러나 하나의 트랜잭션에 의해 어느 한 복합 객체의 루트 객체가 로크되어 있더라도 또다른 트랜잭션들은 복합 객체의 요소 객체가 속한 클래스내의 다른 루트 객체 식별자를 갖는 인스턴스를 접근해서 읽거나 갱신하게 함으로써 동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a new locking protocol which can increase the concurrency in an Object Oriented Database System is proposed. The proposed locking protocol uses the Root object identifier to identify the root of a component object in a composite object. The transaction that requests a lock on the component object checks whether Rid of the component object has been locked by another transaction. Even though the class of the component object is locked by one transaction, other transactions can concurrently access other instances in the class, if each Rid of them is not locked by any other transaction. This can increase the degree of concurrency.

      • KCI등재

        효과적인 다중 차량 추적을 위한 객체 특징 추출 및 매칭

        조두형 ( Du Hyung Cho ),이석룡 ( Seok Ly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2 No.11

        차량 추적 시스템(vehicle tracking system)은 교통 흐름 파악, 차량 감시, 사고 감지 등을 통하여 교통 정체에 따른 차량의 이동 경로를 유 도할 수 있고,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효과적인 차량 추적을 위해서는 먼저 연속된 영상 내의 각 객체의 특징 값 을 추출하여 영상 내에 존재하는 차량 객체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검출된 다중 객체에 대하여 영상 간 객체 매칭을 통해 연속된 프레임에 걸쳐 출현하는 동일한 차량을 인식함으로써 각 차량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 영상의 이진화 및 레이블링 (labeling)을 통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객체의 최소 외접 직사각형(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의 중심 좌표와 이 MBR의 가로, 세로 방향에 대한 라인(line)별 1D FFT(fast Fourier transform) 변환 결과의 평균 계수 값을 계산하여 객체의 특징 값을 구한다. 다음으로, 연 속된 프레임에 걸쳐 출현하는 객체들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객체 쌍을 동일한 객체로 인식하여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객체의 기하학적 특성에 기초한 기존 방법들에 비하여 정확한 추적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A vehicle tracking system makes it possible to induce the vehicle movement path for avoiding traffic congestion and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advance by recognizing traffic flow, monitoring vehicles, and detecting road accidents. To track the vehicles effectively, those which appear in a sequence of video frames need to identified by extracting the features of each object in the frames. Next, the identical vehicles over the continuous frames need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matching among the objects` feature values. In this paper, we identify objects by binarizing the difference image between a target and a referential image, and the labelling technique. As feature values, we use the center coordinate of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MBR)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the averages of 1D FFT(fast Fourier transform) coefficient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of the MBR. A vehicle is tracked in such a way that the pair of objects that have the highest similarity among objects in two continuous images are regarded as an identical object.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existing methods that use geometrical features in tracking accuracy.

      • KCI등재후보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홍수방어 시뮬레이션 구현

        이홍로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2

        이 연구는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리-객체와 지리-필드를 연결하는 지리-객체필드 방법을 규정하고, 수계-객체필드를 이용하여 새만금호 수량과 배수갑문수위를 조작하는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의 홍수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그리고 새만금 수계 수자원에 발생하는 자연현상과 인공현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 수계-객체필드로 구성되는 객체지향 클래스 계층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홍수통제 알고리즘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시에 UML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리-객체필드와 단계적인 부분 지리-객체필드의 클래스계층구조를 가시화하고자 하며, 각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는 ZEUS/COM과 Win32 API을 이용한 Visual Basic 6.0을 사용함으로써 각각 호환성과 재사용성 기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인 물관리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fines the prototype of the geographic-object field that links the geographic-object and the geographic-field using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n implements the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rn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hat manipulates the water quantity of saemangeum lake and the height of gate using the watershed-object field. This paper combines the natural phenomena with the artificial phenomena that occurs on the water resources of the saemangeum, and designs the object oriented class hierarchy that is composed of the total watershed-object field, and then presents the algorithm for flood control. To visualize the class hierarchy of the whole geographic-object field and the partial geographic-object field, I use the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ttributes and methods of each class acquire the functional reusability and compatibility using the COM of the ZEUS and the Visual Basic 6.0 of Win32 APLs. By means of implementing the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finally, this paper contributes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