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단국사학계의 인식론과 대학의 이념

        허철부(Hur, Chul-Boo)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주요대학 국사학계의 고대사연구에 중세적 인식론인 사대주의와 일본제 국주의의 유산인 식민사관의 그늘이 짙게 깔려있다. 이 같은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시정하기 위한 본고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역사교육과 연구의 중심점에 있는 국사학계가 재야사학계와 대학의 인접학문분야 연구사들의 혹독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사학도 인류공통의 현대문명의 소산이자 그 한 측면을 기록하며 과거기록을 재조명하고 인류 현대문명의 창조자의 중요한 몫을 하는 ‘학문적 지식’이자 지식’의 이론, 즉 지식론이며 현대철학의 중요한 부분인 ‘인식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지난 삼세기에 걸친 지식론인 인식론의 큰 변화를 바로 파악할 알 필요가 있다. ‘강단 국사학계’가 표방하는 인식 론은 실증철학이다. 논리 실증주의란 19세기의 과학철학이며 과학철학은 자연과 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한다. 1930년대까지 세계의 대표적 지성계인 유럽학 계의 과학철학이었다. 19세기와 20세기는 특히 미국 학계가 2류에서 세계 일류로 도약하면서 영국 과학철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20세기와 21세기의 물리학의 발전에 따른 과학철학의 발전의 영향을 입어 인식론의 발전이 이루어진 바 이의 이해를위한 문제도 약술도 하고자 한다. 한국 ‘강단국사학계’의 인식론/연구방법론이 표면상 19세기의 과학철학이자 인식론인 논리 실증주의를 표방하가 있지만 사실상 후기 조선후반기를 독점하면서 우암 송시열의 유지에 고착되어 근본주의에 빠져들게 된 노론의 인식론과 유사한 바 이도 부연하려 한다. 이 중세적 인식론의 악폐를 청산하기 위하여서도 지식론이자 현대철학의 중요한 분야인 한국적 인식론의 문제를 제대로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 바탕위에서 우리 강단국사학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2) 인식론과 이에 관련되는 그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현대문명의 큰조류를 이루는 큰 줄기인 ㄱ. 세계 지성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세계 지성사의 이해를 위하여 지식의 역사학자와 지식의 사회사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약술하려 한다. ㄴ. ‘학문적 지식’인 올바른 인식론과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국사 학’을 연구하고 교육을 행하며 사회적으로 확산하는 대학의 이념과 이를 올바르게 시행하기 위한 한국대학의 좌표를 논하고자 한다. (3) 결론부분에서 서구문명의 세계화 속에서 우리대학이 그 것을 충분히 섭렵하고난 뒤 강단국사학계가 우리의 독창적 세계적 수준의 ‘학문적 지식’의 성과를 내어 세계학계에 기여하는 것도 한국대학의 걸머져야 할 사명이 아닌가 한다. The study of the Korean history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the country is deeply shadowed by colonialism, under the shadow of toadyism the heritage of medieval epistemology and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article, an attempt is made to heal and correct this pathology. (1) The established university Korean history scholars are at the center of history education and research. And yet, they are subject to harsh criticism from the researchers in the fields and also from the university adjunct area scholarship in the Korean universities. The subject of Korean history is a part of the common academic knowledge and the source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shared commonly by all humankind, and it also becomes the subject of epistemology, theory of knowledge. And they too have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great change of epistemology, the knowledge theory over the past three centuries. The epistemology manifested by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y academia is logical positivism, the science philosophy of the nineteenth century. Science philoso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science. Until the 1930s, it was the scientific philosophy of the European academic world, the world s leading intellectual sphere.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the British and American academia took the world academic leadership including the area of epistemology centering on their scientific philosophy, empiricism.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theory of epistemology / research methodology claimed by the Korean history researchers from the key academia is expressed as the logical positivism which is the scientific philosophy, the epistemology of the nineteenth century on the surface, in fact, it is similar to the medieval No Ron epistemolog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medieval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problem of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ians epistemology which is an important field of knowledge and modern philosophy. On this basis, we should seek a new course of Korean national history research method. (2)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epistemology and its contex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ig tide of modern civilization, 1)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world intellectual history. 2) Based on the ideal of the university and on the correct epistemology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societal diffusion and the correct course of action for the Korean university is proposed. (3) In the conclusion, correct epistemology of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y scholars is proposed for the purpose of globalization of the Korean universities.

      • 강단 국사학자들의 19세기 과학철학과 기타 문제점들

        허철부(Hur, Chul-boo)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2

        강단사학계와 민족사학례의 대립이 첨예화되어 있다. 그 원인인 강단사학 계의 “식민사관”과 “사대사관”이 현대 국민/민족국가이전의 16세기적 인생관과 당 =시의 근본주의/원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기인한다. 강단사학계가 주장하는 실증주의란 19세기 과학철학의 논리 실증주의이며 그 배경은 고전물리학을 완성한 뉴톤의 혁명적 이론과 고대 희랍부터 계승되어 중세의 교부의 신앙이라는 고압적이고 권위주의적 지식체계에서 서서히 이성적 판단의 틈을 벌여온 토마스 아퀴나스와 데카르트에 의한 이성의 시대가 배경이다. 개인의 판단을 중시하던 시대가 전개되었으며 이것이 베이컨의 귀납적 논리체계와 연이은 경험철학의 전개로 20세기 21세기의 과학철학은 더욱 개방적이 되었고 “전문가”의 독주가 부당하다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즉 강단사학계는 중세적 인식론에서 탈피하여 국사연구와 교육의 독점이라는 근본주의/원리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논하고 있다.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an essential elements of the western philosophy from the time of the ancient Greek thinkers, while Asian philosophy mainly Confucian thoughts have centered around ethics. As a result, Asian philosophers especially the Korean neo Confucian thinkers have emphasized Li( 理 , divine truth—ethics) and neglected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se had been related to Li( 利 , selfish human interest) toward the latter part of Yi Dynasty. Scientific philosophy parallel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or mainly to physics,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epistemology,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Western civilization, centering arou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attained remarkable progress since Renaissance and the Age of Reason based largely upon the open and egalitarian epistemology while the Korean Confucian thinkers have prohibited the egalitarian epistemology especially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Yi dynasty in Korea and thus blinded the intellectuals and leaders of the nation. As a result, the contemporary scholars and educators of the Korean history and Korean philosophy are not free from the past and creating many problems of colonialism and flunkeyism. This paper attempts to awaken the Korean history writers to embrace the essence of the 20 Century scientific philosophy oriented empiricism in place of 19 Century logical positivism, and organic world view in stead of machine world view.

      • 주류강단사학자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원홍(Cho Won Hong) 세계환단학회 2017 세계환단학회지 Vol.4 No.1

        일제의 압박으로부터 광복된지 7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한국의 주류 강단사학계에서는 일제 <조선사편수회>가 축소. 왜곡, 날조한 한국사의 내용을 그대로 교육하고 있다. 반면에 중공은 1983년 이후 우리 선조들이 이룩해낸 ‘홍산문화’를 본격적으로 발굴작업에 착수했다. 홍산문화(문명)는 세계4대문명의 하나인 황하문명보다 무려 1000여년이나 앞선 인류 최초의 문명임이 밝혀졌다. 이로 말미암아 중국인들의 문화적 우월감은 손상을 입게 됐던 것이다. 또 2000년 초 세계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져 중공의 공산체제가 위협을 당하자, 이 틈을 타 중공은 자국내 55개 소수민족들이 분리독립운동을 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속지주의’와 ‘신중화주의’ 사관에 의해 중공내 소수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말살, 전부 중국화하는 역사만행을 저지르고, 중국의 새 政體(polity) 론인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정립해 갔다. 이로 말미암아 20세기말부터 동북아 에서는 중국, 한국, 일본 3국간에 역사전쟁이 첨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차대한 역사전쟁의 시점에서 국내의 주류사학자들은 중공의 한국 상고사 훼손과 왜곡을 지탄하고 우리 역사를 지켜내야 마땅하거늘, 그러기는커녕 여전히 구태의연한 일제 식민사관과 慕華사관에 젖어 있다. 특히 그들은 국내 재야사학자들이 ‘국사찾기협의회’. ‘대한史郞’, ‘한배달’, ‘세계환단학회’, ‘역사의병대’, ‘한사모’(=‘한뿌리사랑세계모임’) 및 ‘미사협’(=‘미래로 가는 바른역사협의회’) 등의 역사연구 카르텔을 형성하여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를 배격하고, 중공의 동북공정과 요하문명 론의 허구를 비판하는 역사연구태도를 비난하고 있고, 심지어 땅덩어리만 크면 최고냐?, 과거의 위대한 조선의 환상에 사로잡혀 뭐하자는거냐?, 하고 비아냥거리면서 재야사학자들을 ‘사이비’ 역사학자나 ‘파시스트’ 역사학자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런 기성 강당시학자들의 옹졸하고 그릇된 역사연구태도를 비판하고, 중국과 일본의 한국상고~고대사 말살에 맞서 한국의 올바른 역사정립을 위해, 한국의 대륙사관의 실증적 사료들을 담고 있는 중국 문헌들과 한국의「환단고기」에 입각하여 본 논의를 전개해 보려 한다. However, such fears are utterly groundless. We historians, both the academic professors and the private researchers out of universities alike ought to meet together at the aca- demic seminars or conferences so that we may redress the historical errors transferred from the wicked Japanese col- onial historians, and that we may erect the objective and rightful Korean National History to satisfy the Korean pe- oples’ requirements. In order to attain such an object we have to interchange our different opinions and useful data concerning the problematic historical issues and finally we ought to make our consensus so as to provide a good Korea History Text for our promising younger generations.

      • 『환단고기』 위서론의 발생과 최근 동향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979년 『환단고기』가 출간된 이후 『환단고기』는 많은 대중의 관심을 받았고 사학계에서도 이를 주시했다. 그러나 『환단고기』가 담은 고대사 내용은 역사학 계의 정통 학설과 양립할 수 없었다. 고대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다. 몇 편의 위서론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논조와 내용은 대동 소이하며, 『환단고기』의 가치를 인정하는 다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충분히 반박되었 다. 한동안 잠잠하던 위서론이 최근 젊은 역사전공자들을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었 는데, 이들은 『환단고기』의 내용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중심으로 하는 재야사학계의 정통성과 학문적 권위를 문제 삼고 있다. 정통 역사학이 아닌 유사역사학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위서론의 성립 배경과 과정을 년대별로 살펴보고, 논박하는 한편, 최근 젊은 역사학자 모임에서 제기한 위서론을 검토 비판하면서, 위서론의 전반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Since its publication in 1979, the Hwandangogi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which interested many scholars in the historical circle. But its content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ere so unique that they could not be harmonized with orthodox theories supported by mainstream scholars. In this context, some of the scholars studying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claimed that the Hwandangogi was a forgery by presenting several papers related to the theory of forgery. However, while points and contents they suggested were very similar with one another, their claims were sufficiently refuted by the majority of scholars who had accepted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Hwandangogi. Recently, the forgery theory forgotten for a time has been proposed once again by a group of young scholars, who this time around did not target the texts themselves of this ancient scripture but instead raised doubts on the legitimacy of non-mainstream historians and their scholastic authority. The mainstream historians derogatorily claimed that the non-mainstream historians do not deal with orthodox history but pseudo history. This paper reviews in refutation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forgery theory about the Hwandangogi year by year. Also, this study shows an analytical criticism on the forgery theory that was recently suggested by a group of young historians. In this way, this paper discloses the overall problematic matters involving the forgery theory and probes into the hidden motivation behind it.

      • 『환단고기』 위서론 논박 論駁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한국 고대사를 담은 사서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환단고기』라는 책이 출판되고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논의가 발생했다. 대다수 국민들은 우리 상고사의 위대함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환단고기』의 내용이 기존의 역사학계의 주장과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이었다. 강단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고, 이를 입증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들의 위서론은 역사적 사실과 상식에 어긋나고 논리적 모순을 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단고기』 위서론의 논리를 비판하고 그 논리적 부당성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위서론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학술적 입장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부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조작설이며 허구임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논문은 위서론자들의 논리를 그들의 주장 내에서 비판하고, 그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해서 위서론이 어떤 가능한 학문적 주장이 아니라 허구적 내용을 담은 허구 의 논리임을 입증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1980s, stirring much debate among historians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a field which until this time featured almost no historical records. Many Koreans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greatness of their early ancient history as a result. However, mainstream history academia hasn’t accepted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This is because the Hwandangogi presents information far different from prevailing academic theories about Korean history. Some mainstream historians contend the Hwandangogi is a forgery, and have attempted to offer evidence for their assertions. However, their arguments defy both historical facts and common senses. They are also logically inconsistent. This essay presents a critique against the logic of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ies and sheds light on the inconsistencies in their argumentation. Furthermore, the essay shows that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y isn’t a true academic position based on research; rather it is a means of argumentation concocted to repudiate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Above all, this essay is a critique on the logic of the assertions made by those who claim the Hwandangogi is an inauthentic work of history. In doing so it proves that the claims of such theorists are not based on any form of possible conclusion from the study of history, but rather on fabricated evidence for the sake of false arguments.

      • KCI등재

        나의 ‘미술사와 미학’ - 체험적 접근 -

        권영필 미술사학연구회 2006 美術史學報 Vol.- No.27

        About My ‘Art History and Aesthetics’ - an empirical approach - Kwon Youngpil (Former Professor,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is essa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 studies from the 1960s until now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s. Here, especially, I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t history and aesthetics. In the early 60s, the two fields of studies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s of Kyung-sung(jap. Kei-jo) University which was founded during the colonial ages of Japan, and the lectures on art history were just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s even without showing slides-that is, there were no image materials used. However, in the 70s, we can see that the tendencies in the study of Korean art history had been somewhat “globalized” to the point of introducing the theory of style of the German school. Since the 1980s, there had been serious studies on the methodology of art history. The Korean Society of Art History had played a primary role in the center of the studies. In contemporary era, the field of art history has been developed a lot to the point of making different schools. However, the need of aesthetic interpretation on the specific phenomena of the art history still remains. In the mean time, the study on German aesthetics of the ‘Getty Center for the History of Art and the Humanities’ in USA could be a good lesson to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