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 시청과 사회 · 경제적 계층소속감의 상호작용이 가족건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변상호(Sang-ho Byeon),유연주(Yeon-joo Yo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1

        본 연구는 공중파 방송사를 통해 방영중인 <슈퍼맨이 돌아왔다>, <오! 마이 베이비>, <아빠를 부탁해> 등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 시청이 현실유사성 지각과 가족건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탐구하였다. 결혼 여부와 사회 · 경제적 계층소속감에 따라 이러한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방식에 근거한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을 수집하여 온라인 설문조사(N = 317)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 시청은 가족건강성 지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시청은 현실유사성 지각을 매개로 가족건강성 지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 여부에 따라 가족건강성 지각의 직 · 간접인 영향에 있어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사회 · 경제적 계층소속감의 경우 차이가 있었다, 중상위 계층소속감을 가진 개인의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 시청이 현실유사성 지각을 경유하여 가족건강성 지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결혼과 사회 · 경제적 계층소속감에 따른 4개 집단 가운데 미혼 · 중상위 집단과 기혼 · 중상위 집단에서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 시청이 현실유사성 지각을 경유하여 가족건강성 지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론적 · 현실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V family-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have an effect on perceived family strength. It also explored roles of some variables such as perceived reality, marriage, and sense of socioeconomic status belonging in the process. A nationwide online survey(N = 317) was conducted with a stratified sampling.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V family-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don’t have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family strength. Second, TV family-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have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family strength, mediated by perceived reality. Third, TV family-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don’t interact with marriage. Fourth, TV family-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interact with sense of socioeconomic status belonging. In the middle- high group, TV family-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have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family strength, mediated by perceived real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유사성의 개념을 통한 김수장 자작 시조의 배열 원리 고찰 - 주씨본 『해동가요』에 수록된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

        이혜경(Lee, Hye-gyoung)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18세기 가집 『해동가요』에 수록된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의 자작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작품이 가집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탐구(Philosophische Untersuchungen)』가운데 핵심 개념인 ‘가족유사성(family resemblance)’을 기반으로 하여 작품 배열 원리를 확인하였다. 『해동가요』에 수록되어 있는김수장자작 사설시조는소재나 주제에 의한 일정 기준 없이 작품들이 흩어져 무질서한 나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인접한 소재와 연상작용에 의한 배열방식으로, 작품배열의 전후에 놓인 유사성에 의해 일정한 관계성을 유지하고 있는 편집체재였다. 즉 각 작품의 소재에서 발견되는 유사성들의 중첩에 의한 연결을 통하여 본고에서 설명하고자했으며, 이러한 발견은 비트겐슈타인의‘가족유사성’ 개념과 상통하였다. 조선후기 가객 김수장의 일상세계는 곧 작품세계로 형상화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묘사가 당시의 사실과 가객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첫 작품은 놀이의 ‘풍류’와 관련된 유사한 소재들로 묶여 배치되어 있었으며 곧이어 ‘시름’, ‘유교적 세계관’, ‘김수장의 일상’, ‘신선’, ‘인물’, ‘몽유’, ‘유흥’ 등 8가지의 소재로 분류 및 나열된 편집체재 규칙을 찾았다. 작품 전후에 놓인 다른 소재와의 경계는 뚜렷하게 나누어지지 않고 서로 맥락이나 단어의 유사성에 의한 중첩 양상을 보였다. 가객 김수장은 사설시조를연행의 놀이공간에서 향유하기 위한 용도로 창작하였으며 놀이 개념을 자신의 작품편집체재에도 적용시켰다. 이것은 예리한 경계 구분에 의한 작품 나열이 아닌, 서로 겹치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배열규칙으로설명된다. 결론적으로 김수장의 자작사설시조의 배열 규칙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으로 설명됨을 지적하여 본고에서는 김수장이 가집 편찬자이자 편집자로서의 면모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조선후기 시조사에서 가객 김수장의 위치를 재조명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are works collected in Gajip, mainly with the focus on saseol-si-jo among the types of si-jo in Haedong-ga-yo(海東歌謠) of the 18th century composed by No Ga-jae(老歌齋) Kim Su-jang (金壽長, 1690∼?), and that the principle of arrangement in those works can be clarified, based on Family Resemblance becoming the key concept of the second philosophy of Philosopher 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e case of Saseol-sijo composed by Kim Su-jang and collected in Haedong-ga-yo, it s works appear to be arranged irregularly without certain criteria of subject matter or topic, at a first glance. Yet, the method of arrangement based on similar subject matter or association is interpreted from the same framework as the edition format that keeps regular relations according to similarity in the contexts of work arrangement. To put it in another way, the role of arrangement is to clarify a certain object, in association with overlapping similarity found in subject matter of each work. The facts that this research paper discovered correspond to the concept, Family Resemblance , that Philosopher 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had established. The daily world of Gagaek Kim Su-jang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expressed into the work world. The description about a work reflected the epochal fact and his experiences as Gagaek. Thus, it was found that his first work was grouped and arranged into similar subject matters in association with pungryu, and subsequently, the regularity of edition format of his work was classified and categorized into eight subject matters, Grief , Confucian World View , Daily Life of Kim Su-jang , Gravy Training , Character , Fiction , Pleasure .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boundary between similar and different subject matters in the context of the work was not clearly drawn, with the pattern overlapped by similar contextual words. The conclusions can be drawn that Gagaek Kim Su-jang created saseol-sijo for the purpose of pursuing pleasure in a play space, according to the yeonghaeng law, and that he applied the concept of play into his work edition format to establish the regularity of the arrangement of similarity-based work, not the arrangement of sharp boundary classification-based work. Through it, the theory of Family Resemblance of Wittgenstein w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finally, got to investigate Kim Su-jang s tendency as a compiler and editor of Gajip, providing the momentum to shed a new light on the position of Gagaek Kim Su-jang, in a history of sijo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가족생활주기별 부부관계신념 지각, 유사성, 적용이 부부간 긍정적 행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윤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that the perception, similarity, and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have on partner satisfaction. It also explored ways of strengthening the marital relationship at different points along the family life cycle. Methods: The researcher surveyed 570 couples in the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ocusing on the perception, similarity, and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as well as on partner satisfaction.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8.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factors of relationship beliefs, in partner satisfaction, and in partner positive behaviors, relative to the timing of the family life cycle. Relevant variables were distinguished for newly married couples (e.g., education, power-control standards, etc.), couple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e.g., boundary perception, relationship-investment standards, etc.) and couples with school-aged children (e.g., marital type, etc.). Conclusions: Family life cycle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couples’ perceptions, similarities, application of relationship standards, and partner behaviors. Relationship standard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family life cycle, should be addressed during couple counseling. 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별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유사성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 결과를 부부치료 시에 활용할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둔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신혼기, 미취학자녀기, 취학 자녀가 있는 부부 각 190쌍으로 총 570쌍의 부부였으며, 부부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 척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신념 유사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기별로 차이가 나타났고 실제생활의 적용에서는 신혼기 부부가 가장 잘 적용된다고 여기고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외부와의 경계 신념은 신혼기와 학령기 집단에서, 배우자의 힘-통제신념, 부부간 투자신념 지각은 신혼기, 미취학기와 학령기 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족생활주기별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배우자의 애정적 행동, 도구적 행동, 돌봄 행동에 대한 만족감은 각 주기별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각 주기별 긍정적 행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차이가 있다. 신혼기 부부는 학력, 결혼유형, 배우자에 대한 힘-통제 신념의 유사성, 관계투자신념 적용정도의 변인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미취학자녀를 둔 부부는 결혼기간, 종교일치성, 부부간 경계신념 지각, 배우자에 대한 힘-통제와 관계투자 신념 유사성, 경계신념 적용 정도가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학령기 자녀를 둔 부부는 결혼기간, 결혼유형만이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가족생활주기에 따라서 부부의 동일한 행동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차이가 있음으로 부부치료에서 부부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개입 시에도 가족생활주기, 그들의 부부관계신념의 기대정도, 유사성, 일상생활의 적용 정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족적인 것의 확장 : 유사성과 차이성

        류도향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1

        This paper is an attempt to newly discover the principle of family expansion, which is not fully explained by the 20th century nuclear family paradigm. Here the adjective "the familial" is used as a methodological concept that is not reduced to the non-united and objectified term, "The Family". Until now, in the discourse of modern nuclear families, the principle of family expansion has been discussed in terms of “intimacy” without objections. However, not all families are intimate, and since intimate relationships inherent in 'mental communicability' modeled after the Western Christian ideal, there is a risk of distortion in the abstract solidarity that exclude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that accompany the body. (Section 2. Intimacy as a Principle of Family Restructuring) In tracking the generative origin of the space of the family, the family refers to a friendly relationship that is not explained solely by intimate feelings and emotional bonds, such as pain, illness, impulsiveness, instinct, etc. It seems to be linked to the 'bodily mediated communality' of humans with inherent independence and fragility. When it is understood not as a formation but as a relationship akin to an attitude and an embodied habit, it is constantly created and inherently family-like spanning across both time and place. The flexible principle can thus be explained (as a family of four sections that extend the principles of attitude; that is the dialectic between similarity and difference.) 이 글은 최근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가족현실을 20세기 핵가족 패러다임으로 해명하 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가족 확장의 원리를 새롭게 탐색하려는 시도다. 여기서 나는 명사화되고 사물화된 ‘가족(The Family)’으로 환원되지 않는 형용사 ‘가족 적인 것’(the familial)을 방법적 개념으로 사용한다. 지금까지 근대 핵가족 담론에서 가족 의 확장원리는 별다른 이의제기 없이 친밀성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모 든 가족이 친밀한 것은 아니며, 친밀한 관계는 자칫 관계를 제약하는 정치경제적 조건과 신체에 수반된 질적 차이를 추상화시키는 낭만적 연대에 머물 수 있다.(2절. 가족 재구조 화 원리로서 친밀성) 가족이라는 공간의 발생적 연원을 추적해볼 때 가족적인 것은 친밀 한 감정과 정서적 유대로만 설명되지 않는 신체매개적 공동체성을 지시하는데, 그것은 고통, 질병, 충동, 동물성 등 근원적 부자유와 취약함을 지닌 인간 공통의 어두운 면과 밀 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3절. 가족적인 것: 신체매개적 공동체성) 이때 신체매개적 공동체성을 혈연이나 친족과 같은 자연발생적 원형이 아닌, 자연사적·사회문화적으로 매개된 태도이자 체현된 습관으로 이해할 때, 시대와 장소를 초월해서 가족적인 것을 끊 임없이 생성·변화케 하는 유동적 원리가 설명될 수 있다.(4절. 태도로서 가족확장원리 : 유사성과 차이성의 변증법)

      • KCI등재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한 과학 PCK 변화 탐색

        곽영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With the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rapid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expansion of students' choice of curriculum, changes are also required in PCK, the expertise of science teachers. In other words, the categories constituting the existing ‘consensus-PCK’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CK’ are not fixed, so more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can be ad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area of science PCK required to cope with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orm of 'Family Resemblance Science PCK (Family Resemblance-PCK, hereafter)' through Wittgenstein's family resemblance approach.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focus groups. In the focus group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discussed how the science PCK required for science teachers in future schools in 2030-2045 will change due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n-depth interview tex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emblance-PCK’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consensus-PCK’. In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emblance-PCK, which are newly requested along with changes in role expectations of science teachers, were examined by PCK area. As a result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Family Resemblance-PCK, it was found that Family Resemblance-PCK expands its boundaries from the existing consensus-PCK, which is the starting point, and new PCK elements were added. Looking at the aspects of Family Resemblance-PCK, [AI−Convergence Knowledge−Contents−Digital], [Community−Network−Human Resources−Relationships], [Technology−Exploration− Virtual Reality−Research], [Self-Directed Learning−Collaboration−Community], etc., form a distinct network cluster, and it is expected that future science teacher expertise will be formed and strengthened around these PCK are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hanges in the professionalism of science teachers in future schools and countermeasures were proposed as a conclusion.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 학생의 교육과정 선택권확대 등과 같은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과학교사의 전문성인 PCK에도 변화가 요청된다. 즉, 기존 합의-PCK를 구성하는 범주 및 과학 PCK의 특성은 고정된것이 아니어서 새로운 범주와 특성이 추가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접근을통해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과학 PCK의 잠재성의 영역을 ‘가족유사성 과학 PCK’ 의 형태로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의 초점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초점집단 심층면담에서는 미래사회와 교육환경 변화로 인해 2030 년-2045년의 가까운 미래 학교의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과학 PCK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심층면담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기존합의-PCK와 차별화되는 가족유사성-PCK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담 텍스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semantic network)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에서미래사회 교사의 역할기대가 변함에 따라 새롭게 요청되는 과학교사의 가족유사성-PCK의 특징을 PCK 구성영역별로 살펴보았다. 미래학교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가족유사성-PCK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결과를살펴보면, 가족유사성-PCK는 출발점에 해당하는 기존합의-PCK로부터 그 외연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PCK요소가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사성-PCK의양태를 살펴보면, [인공지능−융복합지식−콘텐츠− 디지털], [지역사회−네트워크−인적자원−관계], [기술−탐구−가상현실−연구], [자기주도학습−협업− 공동체] 등이 뚜렷한 네트워크 군집을 형성하면서 미래학교의 과학교사의 전문성을 형성, 강화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학교 과학교사 전문성의 변화 동향과 대처 방안을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족유사성'의 의미와 그 배경

        신상형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3 No.1

        본 논문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탐구』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가족유사성'을 그 개념이 성립한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가족유사성의 출발 배경을 살피고, 잘못된 접근들을 제시하고, 또 이 개념으 올바른 이해의 방식을 제공하는 순서를 밟아,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하고자 했던 이 개념의 의미를 보여주려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첫째, 비트겐슈타인은 아우구스티누스, 프레게, 러셀 및 초기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의미의 '계산 모델'을 배척한다. 즉 한 단어의 의미는 늘 동일하고도 공통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이들의 계산은 우리의 실제 삶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계산이다. 다시 말해서 단어란 쓰임새의 맥락이나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한 단어의 다른 맥락상의 의미들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유사한' 것이다. 이 유사도 공통적이거나 보편적인 유사가 아니라, 서로 엇갈리는 〈가족 유사〉인 특징을 갖는다. 둘째, 이런 이유에서, 한 단어의 의미는 엄격한 고정적 계산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 취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자연히 나올 수 있는데, 의미에 대한 것으로 두 가지 주장이 있다. 하나는 단어의 개념이란 형식적이라는 주장이다. 개념의 의미란 한 단어라는 기호가 가리키는 형식적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그 담지자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담지자와 그 기호의 관계는, 『탐구』에서 보듯이, 우유적 관계로서 그 의미의 올바른 설명에는 미흡하다. 또 하나는 그것을 심리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입장인데, 이런 입장에 선 사람들은 기술을 1, 3인칭으로 분석하면서 한 주체의 의미 이해를 객관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나 사람의 행동과 기술은 불일치하는데, 이것은 '의도', '믿음', '의미' 등의 개념은 이해의 과정이 아니라, 정신적 동반물이기 때문이다. 셋째, 따라서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은 바로 삶의 형식이자 그것을 보여주는 '의미'에 대한 기술이다. 우리의 삶은 분석 불가능하고, 한정 불가능하며, 다만 주어지는 것으로 언어사용은 바로 역사적 실천의 결과이다. 그렇다면, 단어의 의미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는 무엇으로, 단어의 다양한 사용의 용례들 사이에는 최소의 유사의 법칙만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불명료하더라도 이것만이 '사실로서' 우리가 〈보고 알게 되는〉 전부이다. The essa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family resemblance' which Wittgenstein puts forward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is essay, the writer attempts to say what a concept/word means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giving the idea of family resemblance, showing misguided approaches, and providing us with a valid method to understand it properly. First, Wittgenstein does, says the writer, reject 'the model of calculus' suggested by Augustine, Frege, Russell and earlier Wittgenstein, according to which a word always has its same and common meaning. But this is not found to be true in, and does not applies to, our ordinary life. In other words, the meanings of a word depend upon in what context it is used, and are not the same or identical with, but the common as each other. Therefore, Wittgenstein calls it family resemblance. Second, for this reason, it is claimed that the meanings of a word are not able to be calculated, but what are different, and should be treated with as something else. This claim goe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one is the claim that the concept of a word is formal. According to the claim, a word is formal, and asks for a certain bearer, without which a word, therefore, does no longer exist. However, we have seen in the Investigations, this claim could not go for Wittgenstein's valid interpretation. Another is to regard it as psychological, and attempts to analyse descriptions into those with first or third person. But in this analysis, human behaviors do not agree with their descriptions, for 'intend', 'believe', or 'mean' aren't the process of, but superveniences to, those actions. Third, thus, w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r meaning of a word is not something as said above, but something else, which, according to Wittgenstein, is 'form of life.' For our life, though thoroughly scrutinized, is not divisible, definite, but given in a certain way. The use of a language is a result of historical practice of words; and the meanings of a word is something understood in that context, which is shown minimally in application of it to diverse uses of its examples. This is, though unclear, all we 'look and see' as realities.

      • KCI등재

        미학적 인간과 예술의 열린 개념 - 가족유사성, 삶의 형식, 예술화 -

        김혜영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5 No.-

        이 글의 목적은 분석미학사에서 이뤄졌던 ‘예술의 열린 개념’ 논쟁을 검토하고, 비트겐 슈타인의 ‘가족유사성’ 개념에 제기되는 상대주의 문제를 ‘자연사’에 대한 이해와 ‘미학적 인간의 공공성’의 관점에서 완화하는 데 있다. 먼저 예술의 열린 개념 논제는 「미학에서 이론의 역할」(1956)이라는 와이츠의 논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와이츠는 이 논문에서 예술 을 필요충분조건으로 정의할 수 없는 열린 개념이라고 규정하고,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예 술 정의의 가능성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기 분석미학자인 캐럴은 예술의 열린 개 념 논제를 ‘정의불가론’이라는 회의주의자의 논변으로 분석한다. 그 주된 근거는 가족유사 성이 ‘전시적인’ 유사성에 토대를 둔다는 데 있다. 캐럴은 이 유사성에 제약이 없다면 1) 모든 것이 예술이 된다는 상대주의적인 결론을 함축하게 되거나, 2) 그러한 함축을 피하기 위해 필요 또는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순간 더 이상 유사성에 기반한 정의를 실현할 수 없 는 조건적 정의가 된다고 비판한다. 이 문제에 필자는 와이츠의 문제의식과 비트겐슈타인 의 가족유사성 개념을 다시 옹호함으로써, 예술은 열린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대신 가족유 사성의 제약적 구조는 후기 비트겐슈타인 언어에 대한 자연사적 이해와 문화인류학자로서 디사나야케가 제공하는 ‘예술화’ 개념의 공공성을 통해, 예술의 기원에 관한 발생론적 해 명을 필요로 한다고 밝힌다. 그 결과 이 글은 예술 정의 문제에서 비트겐슈타인적인 탐구 의 방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controversy of“the open concept of art”in the history of analytic aesthetics, and convincingly undermines the problem of relativism concerning Wittgenstein’s“family resemblance,” drawing on the natural history and“the commonality of Homo Aestheticus.” The major controversy concerning the open concept of art comes from Weitz’s 1956 paper,“The Role of Theory in Aesthetics.”In this paper, Weitz argues that the essential definition of art is unavailable and that art can never acqui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properties to be properly defined. Instead, Weitz prefers to lean on defining art in accordance with family resemblance. This position, however, is evaluated as the nullification of the definition of art, and is mostly considered by later analytic aestheticians to be inadequate, since the definition depends on“the similarity of exhibited properties.”In particular, Carroll, who is one of later analytic aestheticians, discloses that his claim falls into the horns of a dilemma: either the definition is doomed to imply the skeptic conclusion that“everything is art” by not revealing to the certain constraint of the resemblance, or, if it sets out to establish a necessary or sufficient condition to avoid the implication, and turns out to be the conditional definition. Accordingly, either approach is impractical for applying the definition of family resemblance. However, I insist that all the concepts including art open in nature and thereby endorse both of Weitz’s critical observations and Wittgenstein’s family resemblance. Instead, I clarify how the constraint of family resemblance verifies in terms of the continuity between“language game”and“forms of life,”namely“the natural history,”which Carroll pretermits. Additionally, I go further to indicate that the structure of the constraint involved in the concept“artification,” which is the commonality of species as Homo Aestheticus that has evolved within the flourishing and the survival of all human beings, and has been long studied by cultural anthropologist Dissanayake. Consequently, I maintain that family resemblance can be a suitable model for the naturalist categorization of art, and thereby Wittgensteinian approach to exploring the definition of art still remains valid.

      • KCI등재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이수아,전영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 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 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 역시 비슷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자기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나는 가족 유사성의 범주별 분석 결과와 그것에 근거한 융합 지식 체계를 반영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활동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수학의 단위, 비와 비율의 개념은 과학의 속력 개념과 연계되어 있어서 두 교과의 개념을 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체육 활동은 수학과 과학 개념을 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여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을 촉진시킬 수 있었 다.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간학문적 융합 지식 체계와 교사인 나의 인식론적 신념 간의 간극과 해결 양상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a complex type consisting of survey study and self-study. The former investigated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on convergence knowledge and teaching. As a representative of the result of survey study I, as a teacher as well as a researcher, was the participant of the self-study, which investigated my epistemological belief on convergence knowledge and teaching and my execution of convergent science teaching based on family resemblance of mathematics,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A set of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28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ing teachers considered convergent teaching as discipline-using or multi-disciplinary teaching. They also have epistemological beliefs in which they conceived convergence knowledge as aggregation of diverse disciplinary knowledge and students could get it through their own problem solving processes. As a teacher and researcher I have similar epistemological belief as the other teachers. During the self-study, I tried to apply convergence knowledge system based on the family resemblance analysis among math, science, and PE to my teach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onvergence teaching was not easy for me to conduct. Mathematical units, ratio and rate were linked to science concept of velocity so that it was effective to converge two disciplines. Moreover PE offered specific context where the concepts of math and science were connected convergently so that PE facilitated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teaching. The gaps between my epistemological belief an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knowledge based on family resemblance and the cases of how to bridge the gap by my experi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비감각적 유사성과 가족유사: 벤야민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조효원 ( Hyo Won Ch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발터 벤야민과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동시대인이다. 동일한 시대에 동일한 정치적 문화적 배경 하에서 살았다는 점에서 그러할 뿐 아니라, 똑같은 정신적분위기 안에서 호흡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러나 이들의 형이상학적 동시대성을 가장 또렷이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보다 언어이다. 이 글의 목표는 벤야민의 비감각적 유사성 이론과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연관성에 대해 해명하는 것이다. 이 글은 벤야민이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를 질투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독일의 벤야민 연구가 데틀레프 쇠트커의 가설에 의지하여 다음과 같은 확장적 가설을 내세우려 한다.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적 탐구』는 마치 벤야민의 비판적 물음("무엇이 해결되었을까?")에 대해 진지하고 성실하게 답변하기 위해 쓰여진 듯 보인다.`` 베를린 출신의 비평가가 언어를 (아주 특수한) 공간으로 표상한다면, 캠브리지의 철학자 는 언어를 도시에 비유한다. 다시 말해, 두 사람의 언어이론은 마치 도시처럼 다양한 양태와 밀도로 이루어진 특수한 공간을 상정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특유한 낱말-장소론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들은 생활세계 속의 구름인 낱말이 모종의 공간, 특유한 장소를 창출해낸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죽음의 가능성에 직결되어 있는 사물 세계, 피조물의 세계를 직시하는 관점과 직결된다. 요한 페터 헤벨이라는 경건주의적 작가를 좋아했던 이들은 피조물의 관점을 세계의 내면으로 들어가는 입구라고 보았다. 그런데 모든 피조물은 예외 없이 일그러진 피조물이다. 즉 일그러짐이라는 특징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을 묶어주는 비감각적/가족적 유사성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사유의 중요한 과제는 사물의 말 없는 언어를 수용하여 이름으로 번역해 주는 것이 된다. 이것은 나 자신을 포함한 세상 만물을 오롯이 피조물로 바라본다는 뜻이다. 모든 인간과 사물은 일그러진 피조물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 세상의 모든 소리는 피조물의 (목)소리라는 점에서 비감각적/가족적으로 닮았다. 그리고 깨어진 파편들이 서로 닮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전체의 차원에서 바라볼 때이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모두 파편이라는 점에서만 닮았을 뿐이다. 이처럼 특수하고 유일무이한 닮음을 포착했다는 사실은 바로 벤야민과 비트겐슈타인 언어철학의 핵심을 이루며 또한 그들의 사유가 초현실적으로 조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Walter Benjamin and Ludwig Wittgenstein are contemporaries. Not only because they lived in the same period and had the almost same cultural background, but also they breathed in the exactly identical intellectual atmosphere, But what constructs their metaphysical contemporariness is first and foremost the issue of language (Sprache).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ies of unsensuous similarity (Benjamin) and of family resemblance (Wittgenstein). Espousing Detlev Schottker`s hypothesis that Benjamin highly envy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this essay suggests that we could read the masterpiece of Wittgenstein in the final years, Philosophical Investigation as if it were written earnestly to reciprocate Benjamin`s sacarstic question ("Was ist ``gelost``"?) which he inserted in his One-Way Street. This virtuoso of literature (Schrifttum) from Berlin regards the language as an idiosyncratic space, while the fastidious philosopher in Cambridge metaphorizes it as a kind of city (scape) that ist comprised of old and new streets, buildings, and many an alley. That is to say, the one who follows their theory of language could or should imagine a labyrinth like metropolis streets which have diverse intensity and modality. And we might name it word-place-model (Wortplatzlehre). Benjamin and Wittgenstein precisely figure force of words as peculiar clouds in lifeworld(Lebenswelt) out by presenting them as an agency producing the singular place or atmosphere. With reference to this conception, the creaturely perspective, with which many a jewish intellectual brings his unique thoughts out in fin de siecle and the Weimar period, emerges as very noteworthy. For it points the perishability of worldly things out, and, moreover, makes us see the arcane interior of them. All in favour of Johann Peter Hebel, the pietistical german author in 18th century, both of them credited the creaturely perspective with accessibility to the innermost secret of worldliness. And they found this secret at the disfigurement of all creatures. This specific mark constitutes the unsensuous similarity/family resemblance of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The mission of intellectuals of utmost importance, then, is to translate the silent language of things into names. It means that they consider all things in this world, even themselves too, fugacious creatures. All human beings and things resemble in terms of their distortedness. All sounds in this world echo each other, because they are voices of creature. And all things in this world are similar in aspect of their brokenness. But this brokenness can be perceived only in the dimension of the wholeness (das Ganze). That Benjamin and Wittgenstein together, but in each way, did grasp this idiosyncratic affinity(Verwandschaft) between human beings and things is the quintessence of their philosophy of language, and at this point we watch a kind of surreal correspondence between two different thinkers.

      • KCI등재

        예술에 대한 클러스터 설명의 불완전성

        김희정 ( Hee Jeong Kim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3

        1960년대 이후 예술을 정의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거트(B. Gaut)는 이런 정의들을 비판하고 가족유사성 이론의 한 버전인 클러스터 설명을 옹호한다. 그 설명은 예술에 대해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라, 선언적으로 필요한(disjunctively necessary) 기준 속성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 설명은 예술을 제대로 설명하는데 치명적인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예술을 특징짓는 기준 속성을 무비판적으로 채택하고, 예술의 정체성, 예술과 비예술의 구분, 예술의 통합성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들 가지고 있다. 논문의 I절에서 필자는 가족 유사성 이론의 또 다른 버전인 범형 유사성 설명과 함께 클러스터설명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II절에서는 클러스터 설명은 기준 속성들을 무원칙적으로 채택한다는 점을 보인다. III절에서는 클러스터 설명은 예술의 정체성을 정립하지 못하며, 예술, 비예술, 그리고 경계 경우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IV절에서는 클러스터 설명은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속성에만 호소하기 때문에, 예술의 통합성을 설명하지못한다는 점을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V절에서는 이제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략히 요약한다. Multiple attempts are made to define art since 1960s. B. Gaut criticizes all these definitions and defends a cluster account of art, one version of family resemblance theory of art. The account presents the list of criteria properties, which are disjunctively necessary, not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an object to be art. However it has critical problems. It accepts the criteria properties without any principle. It cannot take account of the identity of art and of the distinction among art, non-art and borderline cases. Moreover it does not take account of the unity of art, since it merely appeals to partial identity. In I, I present what a cluster account is and the problems of paradigm resemblance version of family resemblance theory of art. In II, I show that criteria properties are uncritically accepted in the cluster account. In III, I argue that the account does not establish the identity of art and is indeterminate of the distinction among art, non-art and borderline cases. In IV I argue that the account does not take account of the unity of art since it appeals to a partially shared property. Finally in V, I summarize what I hav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