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鶴峯 金誠一의 父親喪 行禮 儀節

        유영옥(Yu Young-O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鶴峯 金誠一은 禮學을 깊이 考究하여 ?喪禮考證?과 편지 ?與或人? 등 喪禮에 관한 저술을 많이 남겼다. ?상례고증?과 ?여혹인?은 모두 父親인 靑溪公 金璡의 초상을 치르는 과정에서 지어진 글이다. 학봉은 父親喪을 계기로 여러 禮書들을 硏?하면서 나름대로 喪禮의 의미와 절차들을 규정해 나갔다. ?상례고증?과 ?여혹인?은 바로 그런 과정에서 형성된 산물이다. 한편, 그의 둘째 형인 龜峯 金守一이 쓴 ?終天錄?도 부친상의 葬禮과정을 일부 보여주고 있어 高評된다. 본고는 이들 자료를 중심으로 鶴峯家의 3년상 예법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학봉의 禮의식과 조선중기 喪禮문화의 일면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16세기는 ??家禮??가 보편화되어 상례도 대개는 ??가례??에 근거하여 거행되었기에, 학봉 집안에서도 크게는 ??가례??를 따라 부친의 3년상을 치렀다. 하지만 成殯의 장소, 反哭의 폐지와 侍墓, ?祭의 시기와 거행 방법 등이 ??가례??와 크게 달라 주목된다. 成殯 장소는 묘소 인근이고, 反哭의 절차는 폐지했으며, ?祭는 大祥 이후에 거행했는데, 이는 모두 侍墓 때문에 발생한 일종의 變禮이다. 학봉 집안은 3년 내내 그 당시 成俗이었던 여묘살이를 시행했기 때문에, 장례 이후 返魂의 절차를 제대로 거행하지 못했고, 虞祭와 卒哭에 이어져야 할 ?廟도 25개월의 大祥 이후로 미루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학봉 부친상의 큰 특징은 時俗과 국가제도를 禮書와 절충하려는 학봉의 學的 태도에 기인한다. 학봉은 ??가례??를 완성된 저작으로 여기지 않았고, 더욱이 조선의 당대 時俗과 國制도 아울러 수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스승인 退溪 李滉이 지향하는 예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학봉은 부친상을 치르는 과정에서 三禮 중에 특히 ??禮記??를 천착했고, 禮書와 時俗을 절충하고자 하는 퇴계의 가르침에 기반을 두고 다단한 상례절차들을 거행해 나간 것이다. Hakbong, Kim Sung-il from the Kims of UiSeong(義城金氏), Toegye(退溪)"s disciple, had a great interest in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禮學) and wrote many works on mourning manners such as ""Sanglyegojung"" (?喪禮考證?) and ""A Letter Sending to Someone""(?與或人?). Hakbong wrote ""Sanglyegojung"" and ""A Letter Sending to Someone"" in the period of mourning for his father, Chunggyegong Kim Jin(靑溪公金璡). He laid down the import and form of mourning manners(喪禮), examining books on manners with the mourning for his father. ""Sanglyegojung"" and ""A Letter Sending to Someone"" were the products of this process. ""Jongchunlok(?終天錄?)"" which Gwibong Kim Su-il(龜峯 金守一), his second elder brother wrote also showed an aspect of the mourning for his fa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akbong"s thoughts of courtesy and the mourning manners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by examining manners and formalities that Hakbong"s family observed the mourning of their father for three years. Because a mourning was generally performed on the baisis of Garae(??家禮??) in the sixteenth-century, Hakbong"s family also observed the mournig for his father according to Garae. But Hakbong didn"t think Garae as a perfect book on courtesy. He tried to accept customs and national institutions of those days as well as Garae. This attitude is a characteristic of Toegye"s Courtesy scriptures theory. While the mourning for Hakbong"s father was observed in the form of the mourning of three years(三年喪) according to Garae, its manners was different from ones of Garae in respect of place laying the remains in state(殯所), the abolition of bewailing in shrine after holding a funeral(反哭), manners of protecting a tomb and living by the side of it, the method and the time of performing Buje(?祭). Hakbong studied hard Yegi(??禮記??) out of Three Books on Courtesy(三禮), reflecting on his faults in procedures of the mourning for his father. He accepted national institutions and a popular custom on the basis of the teaching of Toegye which tried to harmonize the books on courtesy with popular manners. In conclusion, Hakbong performed a mourning on the basis of this thoughts.

      • KCI등재

        鶴峯 金誠一 시에서의 ‘屈騷’의 의미

        정일남,안해숙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학봉 김성일은 조선조 시기 보기 드문 충신이다. 그만큼 그의 시는 ‘屈騷’와 관련이 밀접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그의 시문학의 ‘굴소’ 수용 및 그 의미를 굴원 관련 故事를 비롯하여 <離騷>・<漁父> 등 초사 작품의 수용 양상을 통해 고찰하였다. 우선 굴원이 사망한 날을 用事로 사람들이 國界가 없이 충신을 기리고 있음을 묘사하였고, 굴원의 추방을 슬퍼하는 것으로 자신의 심경을 기탁했다. <이소>와 관련해서는 작품에 서린 한과 처절함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것으로 스스로의 심적 갈등을 표출했고, 작품을 읊는 것으로 심중의 고민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漁父>를 언급한 시에서는 굴원의 고결한 인격에 동조했으며, 작품의 요소를 들어 잠시나마 隱居 및 자연 친화 성향을 나타냈다. 기타 작품의 수용에서는 <橘頌>・<卜居>・<招魂>・<九辯> 등을 직간접적으로 거명하면서, 그것을 시인의 사상정서를 표출하는데 이용했다. 평생 우국우민의 삶을 살다 간 학봉이지만 이상의 고찰을 통해 그에게서 가끔씩 나타나는 出處의 갈등과 정치생활에서의 고민을 엿볼 수 있었다. 강하고 방정한 기품, 곧고 꿋꿋한 기질, 민첩하고 호탕한 재주, 비범한 志趣, 정치 고민 등은 학봉이 초사를 수용할 수 있었던 主因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굴소’와 학봉의 인격은 상호 택스트성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Hakbong(鶴峯) Kimsungil(金誠一) was a rare loyalist in the Chosun(朝鮮) dynasty and also his poetries are closely related to Chu Yuan's Cho-sa(屈騷). This paper is in consideration of that, studies his poetic literature's acceptance aspects and the meanings of Chu Yuan's Cho-sa by studying the uses of Chu Yuan's stories and “Li-sao(離騷)" in his poetries. First of all, he mentions Chu Yuan's death to assert that people are also paying their respects to the loyalists and mainly deposits his mind. He expresses emotional conflicts and tries to solve his inner troubles by using “Li-sao". He also sympathizes Chu Yuan's virtuous personality through “Yu-fu(漁父)", and indicates his tendency of retirement and nature friendship. Through the consideration, we can make the conclusion that Chu Yuan's Cho-sa and Hakbong's personality has intertextuality and can also get a sense of Hakbong's conflicts between official career and retirement as well as his trouble in government position.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