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흥섭(Han Heung-sub) 한국국학진흥원 2004 국학연구 Vol.5 No.-
고대 한국인의 의식을 지배한 사상 가운데 풍류도라는 것이 있다. 그러나 그 본질적 성격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그럼에도 신라 진흥왕 시절 화랑들의 정신적 교육적 이념이고 바탕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한 풍류도는 중국의 삼교가 유입되면서 그 이후 점차 한국철학사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풍류’라는 용어는 지금도, 특히 한국전통음악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논자는 최치원이 말한 현묘한 도로서의 풍류가 한국전통음악에서의 풍류와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필사본 화랑세기’를 토대로 확인하였다. 그 중요한 단서는 ‘금도’와 ‘선도’다. ‘금도’에 관해서는 화랑 가운데 향가를 잘하고 청유를 즐기는 운상인과 운상의 존재를 통해서, 그리고 ‘선도’에 관해서는 가악에 능하고 청유를 즐기며 지위를 버리고 내면적 도를 추구하는 삼교적 요소로 인해 풍류도와의 연관성을 입증하였다. 금도는 옥보고 이후 한 세기 동안 그 계보가 이어졌고, 선도는 진흥왕 초장기부터 화랑들에 의해 화랑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구되었음도 확인하였다. 이로써 풍류도는 금도 및 선도와 서로 매우 흡사함이 논증된 셈이다. 또한 화랑들에게는 선도와 금도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음악이 중요한 요소였는데, 이는 곧 도는 음악을 통해 추구할 수 있고, 반대로 음악은 도를 표현할 수 있는 것임을 뜻한다. 따라서 풍류도와 한국전통음악은 서로 매우 밀접히 연관된다. Poong-ryu-do(風流道) is one of the ancient Korean thought, even though scholars have another opinion about its true nature each other. However, it is clear that Poong-ryu-do is the spiritual or educational idea of 'Hwa-rang'(花郞), a novel young man in Silla society. Poong-ryu-do had gradually been disappeared from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fter influx of Chinese Three Thought,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However, a word of 'Poong-ryu' is used to usually in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owadays. This treatise refers to a connection between Poong-ryu-do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mportant clues for proof this connection are 'Keum-do'(琴道), 'Sun-do'(仙道), and a copy of Hwa-rang-se-ki(花郞世記). The word of 'keum-do' includes 'Woon-sang'(雲上) and 'Woon-sang-in'(雲上人) who sings Hyang-ga(鄕歌) very well and enjoy pleasure for pursuit Tao among the Hwa-rang. The meaning of 'Sun-do' also include Hwa-rang who sing very well and enjoy pleasure excursion. In addition, they pursuits Tao which includes Three Teaching as well. The practice content of Poong-ryu-do is to study moral principle, to joy sing and dancing, and to stroll mountains and rivers. As a result of this, we can confirm that the Poong-ryu-do, Kuem-do, Sun-do have common factors, which are to sing songs and to pursuit Tao. It means that Tao can be achieved by music. Therefore, we can explain that Poong-ryu, which is the word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s derived from Poong-roy-do that is mysterious Tao.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지형과 역사적 변동 - 이보형 자료를 중심으로 -
임미선 한국국악학회 2016 한국음악연구 Vol.59 No.-
20세기에 지방 여러 곳에 존재했던 풍류방 문화는 대부분 단절되고 오늘날에는 이리, 구례, 정읍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지방에서 전승되는 향제풍류에 본격적인 조사는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1976년부터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문화재관리국에서 문화재관리국에서 실시한 전라남도국악실태조사(조사기간 1976~80), 전라북도국악실태조사(조사기간 1981~82), 전국 일원의 향제풍류 실태 조사(1984)에서 이보형의 조사로 녹음된 음원을 중심으로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지형과 역사적 변동을 살폈다. 변화가 드러나는 시점을 해방 이전과 이후, 1970년대 이전과 이후로 설정하고,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변화를 전반기(일제강점기까지), 중반기(해방 후~60년대), 후반기(70년대 이후)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이를 통해 20세기 중반까지 명맥이 유지되었던 호남, 영남, 충청, 경기 지역 풍류 중 경기와 영남의 풍류는 후반기에 들어와서 단절되었고, 그보다 앞서 해서풍류는 한국전쟁 직후 가장 먼저 단절되고, 1970년대 이후 풍류방 문화는 급격히 쇠퇴되면서 점차 그 명맥을 잃고, 현재 대전, 이리, 구례, 정읍 등 일부 지역 풍류회를 통해 전승이 이루어진 과정을 밝혔다.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지형도를 살핀 내용을 토대로 20세기 풍류방, 풍류객의 전반적 성격을 밝히는 논의로 발전시켰다. 이에 대해서는 20세기 풍류방의 성격, 풍류객의 성격과 음악적 지향, 풍류객의 연주 악기, 풍류방의 교류 등의 측면에서 논하였다. 논의 과정에서 20세기 전반기에 형성된 율계(律契)는 조선 후기 풍류 전통을 계승하면서 근현대 풍류방 문화의 전승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비조직체였던 풍류회도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전승에 큰 역할을 하였음을 부각시켰다. 20세기 풍류방은 형태가 율계이든 비조직체의 풍류회이든 연주악곡, 율객들의 신분, 풍류 공간 등 여러 면에서 조선 후기와 구별되었다. 특히 20세기 풍류방은 계층 간의 질서를 넘어 계원들이 풍류를 향유하는 모임이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풍류문화와 구별되었다. 20세기 율객들은 대부분 가곡반주보다 줄풍류에 주력하였으며, 시대적 변화에 따라 민속악을 수용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체로 줄풍류가 중심을 이루었다. 율객들이 풍류에 입문할 때에는 양금을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그 다음으로 거문고, 가야금의 현악기를 주로 다룬 반면, 해금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풍류 가락의 지역적 차이는 있었으나, 풍류 가락이 유연하게 운용될 수 있는 자율성이 담보된 음악이라는 특징이 있어 풍류방의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review the sound source related to Hyangje Pungryu implemented by Lee Bo-Hyeong including the sound source that Lee Bo-Hyeong studied to make a survey report 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6), Hyangje Pungryu, and study the topography and historical changes of the Pulngryubang culture in the 20th century. The points of time when changes started appearing were analyzed after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National Liberation Day and 1970s and the changes of Pungryubang in the 20th century classified into early period (until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middle period (National Liberation Day to 1960s) and late period (since 1970s). The results have revealed that the Pungryu of Gyeonggi and Yeongnam among that of Honam, Yeongnam, Chungcheong, and Gyeonggi region handed down until the mid-twentieth century was discontinued, Haeseo Pungryu earliest right after the Korean War; the Pungryubang Culture started declining rapidly and lost its existence gradually after 1970s; some regions including Daejeon, Iri, Gurye, Jeongeup, etc are inheriting it through Pungryuhoe. The reviews on the topographic map of the Pungryubang Culture in the 20th century were further discussed to revea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ungryubang and Pungryugaek. This subject was discussed from the pro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ungryubang in the 20th century, characteristics, musical orientation, musical instruments of Pungryugaek, and exchange among Pungryubangs.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ere were highlighted the fact that Ulgye form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heriting the culture of modern and contemporary Pungryubang succeeding to the tradition of Pungry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ungryuhoe, non-organizational body, played a large role in passing down the culture of Pungryubang in the 20th century. The Pungryubang of the 20th century was distinct from the culture of Pungryu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at it was a meeting whose members enjoyed Pungryu beyond its order of hierarchy. The Yulgaek in the 20th century mostly devoted themselves to Julpungryu rather than melody accompaniment and generally showed their interest in Julpungryu even though they sometimes accommodated folk music according to chronological changes. When Yulgaek entered the Pungryu world, they played Yanggeum most frequently, which was followed by string instruments including Geomungo and Gayageum, but hardly Haegeum. Pungryu melodies were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but could be exchanged among Pungryubangs as they were autonomy-guaranteed music that could be flexibly operated.
한영숙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풍류음악은 초․중등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에 대표적으로 수록되는 악곡 중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풍류음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풍류음악의 올바른 지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풍류음악의 지도내용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교과서에는 전혀 수록되지 않았고, 5~6학년군 및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는 풍류음악을 간략하게 다루었으나 일부 개념을 잘못 제시하거나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 오류가 있다. 풍류음악의 관련 내용이 극히 단편적으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내재된 역사․문화적 맥락과 문화적 가치 등을 폭넓게 지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풍류음악의 지도방향을 설정해 보았다. 첫째, 역사적 맥락에 기초하여 풍류음악은 풍류객들이 풍류방에 모여서 연주하고 즐겼던 음악임을 알고, 풍류객들이 인격 수양, 즉 자신의 정서를 순화하기 위하여 연주한 음악이었음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풍류음악의 범주는 원래 기악곡에 영산회상과 천년만세가 해당하고, 성악곡에는 가곡․시조․가사가 포함된다. 근래에 악기편성의 맥락에서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줄풍류와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대풍류로 구분한다는 것에 유의하여 지도해야 하며, 간혹 악곡명으로 쓰이는 경우 영산회상을 보통 줄풍류라고 한다. 사용 용도에 따라서 동일한 악기편성이지만 무용반주인 삼현육각에 비해 감상 위주의 기악곡으로 연주될 때, 대풍류라고 부른다. 또한 지영희가 계승한 ‘대풍류 한바탕’에서 대풍류라는 명칭이 하나의 악곡명으로 자리매김하였는데, 기악곡이나 일부 무용 반주음악에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풍류음악과 관련이 있는 고악보와 가집을 통해서 선비들이 가장 즐겨 연주했던 악기는 거문고이며, 영산회상과 가곡을 즐겨 연주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영산회상과 가곡은 오랜 세월 동안 보존․전승되었고,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음을 이해함으로써 풍류음악의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풍류음악의 교수․학습은 음악교과서에 명확한 개념 제시와 적절한 악곡 수록, 그리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문화적 가치 인식에 관한 활동이 수록될 때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풍류음악의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악곡을 이해시키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지도내용을 구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Pungryu music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pertoires for appreciation in music textbooks. This study aims to find a desirable educational approach to Pungryu music by examining the contents relevant to Pungryu music in music textbooks. The examination of the Pungryu music in the textbooks revealed that the music was included in none of music textbooks for 3th and 4th grade and only short description of the music was introduced in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In addition, errors were identified in defining some concepts and setting categories, so it was believed that there was a limit to extensively teac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Pungryu music. For this, the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Pungryu music were set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ly,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the focus of the educational approaches should be on the fact that Pungryu music is a type of music that Pungryugaek played and enjoyed in pungryubang and it was meant for building their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in other words, musical performance for refining their emotions. Secondly, in the original category of Pungryu music, Yeongsanhoesan and Cheonnyeonmanse belong to instrumental music while gagok, gasa, and sijo belong to vocal music. However,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note that in a recent orchestration context, the string instrument-oriented Pungryu (julpugnryu) is separate from the wind instrument oriented-Pungryu (daepugnryu). When used as the title of a song, Yeongsanhoesang is often referred to as julpugnryu. It is the same orchestration with samhyunyukgak for the accompaniment of Korean dance, but when being played as instrumental music on the purpose of appreciation, it is called daepugnryu.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Daepungryu., as a title of music, originated from Daepungryu hanbatang succeeded by Ji, Young-hee and it is used in instrumental music and some dance accompaniment music. Thirdly, through ancient scores and collections of poems related to Pungryu music,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seonbi enjoyed playing Yeongsanhoesang and gagok on the goemungo. Fourthly, the cultural values of Pungryu music should be recognized by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at Yeongsanhoesang and gagok, inherited and preserv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re work of great artistic value. Teaching Pungryu music can be completed with the accurate presentation of concepts, the inclusion of appropriate repertories,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inclusion of class activities for the recognition of cultural values of the music. Thus,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Pungryu music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design lesson plans with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백숙아 ( Suk Ah Bae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조선성리학의 꽃을 피우는데 당연 화두로 꼽히며 이 땅에 도학을 뿌리내리게 한 金宏弼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고 金麟厚와 柳希春등 당대 유명한 학자들을 지도했던 崔山斗와 湖南三傑, 그리고 유일한 스승인 호남도학의 조종인 김굉필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조선 성리학은 주자학을 근원으로 사물인식에 있어 산수자연을 음영하여 심성수양의 기틀로 삼는 문학이다. 우주섭리와 인간심성을 연결 짓는 성리학적 세계관과 그 미의식을 체계화하여 ``성리미학``이라 규정한다. 조선 사림파의 조종으로서 음영성정에 뜻을 둔 성리미학의 올곧은 학문을 전파한 한훤당 김굉필의 학문은 조광조와 최산두 같은 제자들에게 계승되어 도의 구현에 앞장서게 했다. 16세기 호남의 풍류문학을 논함에 있어 원림중심이나 계회형식 등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든 누가 뭐래도 역사적 사실과 종교·철학적 영향관계를 피해 갈 수 없다는 것은 여러 학자들의 논증에 의해 이미 주지한 바이다. 이 논문 역시 16세기의 호남문학의 역사적 사실과 그 시기 사림들이 지향했던 도학적 사상을 토대로 백운풍류를 논하려 한다. 한편 백운풍류라는 새로운 명명을 조명하게 된 계기는, 조선전기 호남(전남·북과 광주를 아우르는 말)의 풍류문학을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담양권의 계산풍류와 전북권의 태산풍류, 그리고 전남 동부권의 백운풍류로 분류함이 사림문학의 발전과정을 보다 더 면밀하게 재조명할 수 있는 좋은 분류라 생각해서이다. 먼저 조선성리학의 조종인 김굉필이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며 제자를 길러낸 신재 최산두가 살았던 백운산을 기점으로 하여 백운풍류를 논하게 됨은 사림들이 학문을 뿌리내리게 한 주변의 명산이 한 시대의 문학명명에 쓰임은 바람직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강호시가를 풍류문학 속에 포함시킬 때, 강호시가에서 말하는 자연과 인공이 결합하여 경치 좋은 공간에 경영되어 하나의 세계를 이룬 것이 바로 문학적 가치가 아닐까 생각했다. 특히, 호남의 마지막 정맥인 백운산 자락에서 태어나 학문의 道를 닦은 최산두를 화두로 그와 관련된 인물들의 시적·정신적·학문적 교유관계 등을 통해 백운풍류라는 새로운 문학명명에 대한 의미를 부여한다. This thesis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understanding Choi San-doo and the three Honam masters who studied under Kim Goeng-pil (1454- 1504), who is counted as one of major contributors to the blooming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and rooted Taoism in this land, and taught famous scholars in those days including Kim In-hoo (1510- 1560) and Ryu Hee-choon (1513-1577), and their only teacher and the originator of Honam Taoism Kim Goeng-pil.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is literature that recites landscape and nature and disciplines mind through perceiving things based on Chu Hsi Studies. It systematizes the Neo-Confucian world view and its aesthetic consciousness associating cosmic providences with human nature, and names it ``Neo-Confucian aesthetics.`` The scholarship of Hanhwondang Kim Goeng-pil, who is the originator of the Sarim faction in Chosun and spread the upright learning of Neo-Confucian aesthetics pursuing the recital of human nature, was handed down to his disciples such as Cho Gwang-jo and Choi San-doo and led the implementation of ``Tao.`` As many scholars have already demonstrated, in discussing Pungryu literature in Honam during the 16th century, it is impossible to neglect historical facts and the relations of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fluence regardless of whether its focus is forest garden, social gathering, or anything else. This study also aimed to discuss Baekun Pungryu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of Honam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and Taoist ideas pursued by Sarim scholars in those days. With regard to the reasons for the new name Baekun Pungryu, on the other hand, Pungryu literature of Honam (a term comprehending Jollanam-do, Jollabuk-do and Gwangju) in the early Chosu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Gyesan Pungryu in the Damyang area, Taesan Pungryu in the Jollabuk-do area, and the Baekun Pungryu in the east Jollanam-do area, and this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desirable for reillumin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Sarim literature more closely. We discussed first Baekun Pungryu, which was closest to Kim Goeng- pil, the originator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and where Sinjae Choi San-doo educated his disciples. The inclusion of the name of a nearby noted mountain in literary naming is considered a meaningful literary value in that when gangho (river and lake) poetry is included in Pungryu literature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artificiality in gangho poetry is managed in scenic spaces and forms a world.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he new literary name Baekun Pungryu is enhanced by Choi San-doo who was born in the outskirt of Mt. Baekun, the last vein of Honam, and refined his scholarship there as well as by the poetic, spiritual and academic association of people related to him.
일본 고전문학의 풍류와 미야비에 대한 연구 - 만엽집과 이세 이야기, 다케토리 이야기를 중심으로 -
이상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학을 풍미했던 풍류(風流)가 고대 일본 문학에 언제부터 존재했고, 이 풍류 는 어떻게 변천해서,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문학의 미의식을 대변하는 「미야비」로 발전하였는가? 그리고, 이 미야비는 <이세 이야기>의 「이치하야키미야비」와는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을 구명하려고 한다. <만요슈(万 葉集)>의 「풍류(風流)」와 「유(遊)」는 일본의 상대(上代) 문학과 헤이안 시대 문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미의식의 하나다. 중국에서 도덕적 풍격을 의미하는 풍류가 호색을 의미하는 풍류로 변화하는 것은 육조기(六朝期)의 노장사상 (老莊思想)의 유행, 특히 육조 후기에 신선도(神仙道)가 큰 세력을 가진 것과 관련된다. 선계(仙界)의 생활을 모방하는 것으로, 금(琴), 시(詩), 술(酒), 기(妓)를 중요한 요소로 하는 당시(唐詩)의 풍류가 생겨나게 되었다. 오후미조(近江朝)에는 여가가 생겨서, 한시문(漢詩文)이 흥륭(興隆)하고, 이것은 의례제도(儀禮制度) 정비의 일환이고, 그 성공을 현창(顯彰)하는 것이다. 오후미 풍류(近江風流)는 천자(天子)와 현신문사(賢臣문사文士) 의 풍류로, 중국의 풍류 중에서 개인적인 도덕적 품격을 의미하는 풍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풍류」와 「미야비(みやび)」는 본래 다른 말이다. 「풍류」를 「미야비」로 읽는 것은 「풍류」가 서울 풍(都風)으로 인식된 것에 의한다. 「미야비」가 지토조(持統朝)에 모습을 나타낸 것은 지토조에 후지와라쿄(藤原京)가 건설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후지와라쿄는 도성제(都城制)를 채용한 최초의 본격적인 서울인 미야코(都)다. 서울 풍(都風)인 것을 주장하는 「미야비(みやび)」는 본격적인 서울(都) 없이는 출현할 수는 없는 것이다. 02/0126-0127 가군(歌群)의 「미야비」는 서울이 예의질서의 공간으로 간주된 것은 무관하지 않다. 후지와라쿄 에서부터 천황(天皇)의 덕(德)을 유출(流出)시키고 있는 한, 후지와라쿄에서는 예의가 지켜진다. 후지와라쿄 의 예의질서는 천황의 덕성(德性)이 발현되는 증명이다. 그리고, 상기의 가군에서는 후지와라쿄의 예의질서를 지키는 풍류를 「미야비」로 하고 있는 것이다. 후지와라구(藤原宮)의 풍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오호토모 스쿠네타누시(大伴宿祢田主)의 「풍류」이고, 그의 풍류는 도덕적인 것이다. 이시카와 이라츠메(石川女郎)의 풍 류는 호색적인 것으로 헤이죠쿄(平城京)의 「미야비」의 가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관매(觀梅)의 대아연(大雅宴)은 덴표(天平)의 「풍류사(미야비오)」들에 의해서 정진정명(正眞正銘)한 「미야비」 라고 하는 말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결국, 만요 시대의 미야비는 이렇게 해서 중국으로부터 도래한 풍류사상과 새롭게 완성된 서울 문화를 중심으 로 해서, 일본적인 문화이념으로까지 발전하여 헤이안(平安) 시대의 문학이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세 이야기(伊勢物語)>의 「이치 하야키 미야비」는 미야비의 세계를 생애 처음으로 경험하는 젊은이가 과감 하면서도 세련되게 한 성급한 행동」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표현이 아닌가 한다.
이용식 한국음악사학회 2023 한국음악사학보 Vol.70 No.-
The p'ungnyu (“wind flowing”) music is an ensemble music enjoyed by the aristocrats and the middle class. The p'ungnyu music was the most important music with the court music in the traditional society. However, it has been extinc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aristocrats and the middle class. The instrumental masters and the amateur musicians have developed p'ungnyu music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e music was flourished by the masters and the amateur musicians who learned the music from the masters and led the p'ungnyu spaces. Chŏn Kye-mun, a shaman-musician from Chŏngŭp City and the official musician of Chŏnju City, was the establisher of p'ungnyu music in modern times. He was a competent musician of all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led the p'ungnyu music, and trained many musicians. Although he was from outcaste family he was admired by the aristocrats with his extraordinary musical competence. It this sense, the p'ungnyu space was a place of equality without any distinction of the aristrocrat and the outcaste. Chŏn’s music was transmitted to his son, Chŏn Sŏk-dong, and his student, Kim Yong-gŭn. Kim was admired by the musicians and had trained many masters. The p'ungnyu music was developed by the next generation masters of the Kŏmun'go (6-stringed zither) and wind instruments. The zither masters include Im Sŏk-yun, Shin K'wae-dong, Kim Yun-dŏk, Wŏn Kwang-ho, and Kim Byŏng-du. The wind masters were the shaman-musicians including Chŏn Yong-sŏn, Yu Dong-ch'o, P'yŏn Chae-jun, and Shin Dal-yong. There are many p'ungnyu spaces in Koch’ang, Chŏngŭp, Puan, Chŏnju and other cities. The p'ungnyu music was not flourished in a specific region. The masters and musicians wandered many cities and developed the music. In this way, the p'ungnyu music has both commonality and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풍류음악은 조선시대 양반과 중인층이 풍류방에서 즐기던 소편성 음악이다. 풍류음악은 궁중음악과 더불어 우리 전통음악을 이끌었다. 그러나 근현대에 접어들면서 풍류음악을 향유했던 양반과 중인층의 몰락과 더불어 풍류음악은 급격한 소멸의 위기에 처한다.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은 기악 명인들과 지역의 애호가들이 상호교류하면서 전개되었다. 기악 명인들은 풍류방에서 풍류음악의 발전을 이끌었고, 애호가들은 풍류방을 운영하면서 명인들로부터 배운 풍류음악을 활짝 꽃피웠다.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 정립에 가장 큰 역할을 한 인물은 정읍의 무계 출신이자 전주 재인청 악사였던 전계문이다. 모든 악기에 두루 능했던 전계문은 호남 각 지역의 풍류방을 다니면서 풍류음악을 연주했고, 제자들을 양성했다. 전계문은 비록 재인이라는 천민 출신이었지만, 풍류방에서는 양반들과 함께 어우러지면서 풍류음악을 즐겼다. 풍류방은 음악으로 양반과 천민의 구분이 없었던 평등의 공간이었다. 전계문의 음악은 아들인 전석동과 제자인 정읍 출신 김용근에게 이어졌다. 김용근은 당대 전북 일대에서 추앙받던 율객이었고, 많은 풍류 명인을 양성하여 현대 호남 풍류음악을 중흥시켰다. 전계문과 김용근에 의해 정립된 근현대 호남 풍류음악은 다음 세대 거문고풍류와 관악풍류 명인들에 의해 발전했다. 김용근의 다음 세대 거문고풍류 명인으로 임석윤, 신쾌동, 김윤덕, 원광호, 김병두 등이 있다. 관악기를 연주하는 전문음악가인 ‘잽이’들로 전용선, 유동초, 편재준, 신달용 등이 있다. 호남의 각 지역에 풍류방을 중심으로 하는 풍류문화가 성행했다. 고창 흥덕의 성내삼구회, 흥덕아양율계, 성내육이계, 정읍의 초산음률계, 부안의 부풍율계, 전주의 전주율계 등은 20세기 중반 가장 활발하던 풍류방이었다. 호남의 풍류음악은 단일한 공간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여러 명인들과 지역의 풍류객들이 여러 지역을 다니면서 서로간의 상호교류에 의해 호남 풍류음악을 형성했다. 특히 명인들은 지역 풍류음악의 형성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렇기에 호남 풍류음악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갖기도 하면서 각 지역의 독특성을 갖기도 하는 것이다.
‘풍류도(風流道)’, ‘화랑(花郞)’에 대한 의미론적·비교언어학적 연구 -‘風流道’와 ‘佛道’, ‘花郞’과 ‘和尙’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한유수 불교학연구회 2024 불교학연구 Vol.78 No.-
이 글에서는 구조주의 의미론의 의미 성분 분석 방법과 비교언어학의 음과 의미 대응관계 비교라는 방법을 응용·결합하여 ‘風流道’와 ‘花郞’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風流’와 ‘花郞’은 ‘風月’, ‘花娘’처럼 유사한 음을 가진 다른 한자로 동일 대상을 표기한 점, 한자의 뜻풀이로는 해석이 되지 않는 점에서 음차표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한자의 해석이 아닌 의미 성분을 찾아 뜻을 재구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風流道’의 의미 성분으로 [불교 국가의 종교], [불교도가 창설], [도(道)], [불도(佛道)], [불교 수행] 등이 추출되어 전체 의미는 ‘佛道’로 재구된다. ‘花郞’의 의미 성분은 ‘風流道’의 의미 성분인 [불도]를 포함해 [風流의 지도자], [미륵의 화신], [교육 책임자] 등이며 이를 통해 전체 의미는 ‘和尙’으로 재구된다. 비교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風流’, ‘風月’은 ‘風+ㄹ’의 표기이며 이 음은 중국어의 ‘얼화(儿化)’, 반절식 표기(‘風月’)에 의해 ‘불’ 또는 ‘부얼’, ‘붤’로 재구 가능하고, 이 음은 ‘佛’의 음과 같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風流道’, ‘風月道’는 ‘佛道’의 신라(혹은 고려)어 표기로 보인다. 중국 방언과 『동국정운』서문 등을 근거로 ‘尙’과 ‘郞’의 음 사이에 대응 관계를 찾을 수 있으므로 ‘花郞’은 ‘和尙’에 대응하는 신라(혹은 고려)음이라 판단된다. 또한 ‘和([v-])’, ‘花’가 고어에서 순음으로 사용되었고, 현대 중국 방언에서도 ‘ㅂ’에 대응하는 [f-], [v-], [ɸ-] 등으로 나타나는 비율이 각각 32%(和), 43%(花)에 달하여 ‘和尙’, ‘花郞’은 티베트어 ‘브람(blama)’, 산스크리트어의 ‘브라마(Brāhma)’등과 대응 관계를 보인다. ‘花郞’을 뜻하는 ‘郞’도 티베트어와 몽골어 ‘브람’의 구어 형태인 ‘람(lɑm)’과 ‘僧’의 중국 방언 /ɬɐŋ/과 대응한다. 결론적으로 미륵의 화신으로 떠받든 ‘花郞’을 중심으로 신라식 불교로 체계화된 것이 ‘風流道’라 판단된다. 진흥왕은 자신을 전륜왕에 비유해 ‘花郞’과 ‘風流道’를 통제하였고, 정치·종교를 아우르는 강력한 왕권을 소유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ings of “風流道” and “花郞” by analyz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semantics and exploring sound-meaning correspondences within the framework of comparative linguistics. The pairs “風流”/“風月” and “花郞”/“花娘” represent the same objects with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the same or similar sounds, and they are difficult to interpret based on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For this reason, they appear to be phonetic borrowings. Therefore, we chose to reconstruct their meanings by identify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rather than by interpreting the Chinese characters. The semantic components of “風流道” were extracted as [Buddhist countries], [founded by Buddhists], [Tao (道)], and [Buddhist Tao]; thus, the meaning of “風流道” was reconstructed as “Buddhism (佛道).” The semantic components of “花郞,” including the semantic components of “風流道” (e.g., [Buddhist Tao]), were extracted as “leader of the 風流道,” “incarnation of Maitreya,” and “head of education,” and the term means “Buddhist monk(和尙).” Turn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風流” and “風月” are written as “風+ㄹ(l),” and this sound can be reconstructed as /pul/, /puʌl/ or /pwʌl/ based on the Chinese “儿化”, semi-syllabic(反切) transcription (“風月”), which corresponds to the sound of “佛.” Therefore, “風流道” and “風月道” are judged to reflect the Silla (or Goryeo) sound of “佛道.” Based on Chinese dialects and the preface of the Dongguk Jeongun ( 東國正韻 ), “尙” and “郞” correspond to each other, so “花郞” is judged to be the Silla (or Goryeo) sound corresponding to “和尙.” Furthermore, since “和” and “花” were recorded as representing a labial sound ([v]) Old Chinese, and the percentage of labial sounds such as [f], [v], and [ɸ] corresponding to “ㅂ” in modern Chinese dialects is 32% and 43%, respectively, “花郞” is thought to correspond to Tibetan “blama” and Sanskrit “Brāhma.” “花郞” also corresponds to the Chinese dialectal /ɬɐŋ/ for “僧” (“lama”), the colloquial form of Tibetan and Mongolian “blama (blam-a).” Based on this research, Silla Buddhism, which was systematized around 花郞, who was respected as an incarnation of Maitreya, is “風流道.” It is judged that King Jinheung sought to strengthen his royal authority by establishing himself as a chakravartin who controlled both 花郞 and 風流道.
박흥주(Park, Heung Ju)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본고는 여가와 여흥문화를 풍류란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향후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여흥문화가 어떻게 ‘격’을 갖게 되고, 현대 한국인들의 ‘멋’진 삶에 여가생활과 여흥문화가 기여할 수 있겠는가?를 모색하기 위해서였다. 본고는 현대의 여가문화가 가져야 할 ‘격’으로서 ‘멋’을 제시하였다. 현대의 여가문화가 지향하는 ‘행복한 현대인들의 삶’과 ‘멋있는 삶’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멋진 삶’을 찾아가는 데 있어 적절한 문화로서 풍류를 제기하였다. ‘풍류가 바로 멋이다’는 정의에 공감대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풍류는 그 자체로 여가문화로서의 성격을 이미 갖고 있다. 풍류의 면면과 그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풍류를 생활로서 향유하는 ‘풍류객’에 주목하였다. 풍류객 즉, 화랑, 한량, 위항인, 기생, 주모 등의 풍류를 이해하면서 현대여가문화와의 접점 찾기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풍류객들이 일상적으로 놀았던 풍류는 현대여가의 정체성을 제공해주는 3가지의 조건, 즉 ‘자유, 행복, 사회와의 조화’라는 3가지 요소를 이미 포함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그 질적인 측면에서는 여가가 감당할 수 없는 영역까지 포괄하고 있음도 드러났다. 즉, 그것은 풍류가 ‘우주적 존재로서의 나를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자(우주인으로서)’로 위치지우는 우주관과 세계관을 기저로 하기 때문에 야기되는 결과였다. 이런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자연에 인공미를 결합시켜 양자 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차원에서의 삶을 ‘멋진 삶’으로 여겼다. 이에 도달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내 자신 속에 있는 신명을 밝혀내 자연으로서의 생명성을 체감하게 하며, 이를 통해 우주와 삼라만상과 소통하도록 하였다. 이를 구현해나가는 효과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방안이 바로 가무를 중심으로 한 놀이와 예술이었다. 인공미의 발현인 것이다. 가무(예술)와 놀이가 풍류의 주요한 속성일 수밖에 없는 연유이기도 하다. 이런 풍류의 가치 지향은 “‘자유로우면서도 행복한 삶’을 사회와의 조화를 깨지 않는 한계 내에서 구가하려는” 여가의 삶과 차이를 보여준다. 멋진 삶은, 사회적 존재에 함몰되지 않고 우주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생명’ 차원에서 인식하고 위치 지우기 때문에, 생명이 본성대로 자유?자연스럽게 흘러가는데 장애가 되는 개인적?사회적?정치적인 요인들을 용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생명에 대한 저해요인을 해소시키려는 행동도 불사하였다. 사회보다도 더 근원적인 생명 차원에서의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결과인 셈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창의성으로 발현되어지며, 이것이 가능한 놀이내용과 활용방식을 계발해 놓았다. 종합하면, 풍류로서의 여가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명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적극 해소하려 행동할 필요가 있으며, ‘창의성’도 발현될 필요가 있었다. 대중여가시대를 완성해야 하는 책무와 함께 ‘개인적인 여가 창조시대’를 열어가야 할 시점에서 ‘여가의 질적 고양을 위한’ 즉, 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풍류성을 적극 수용한 여가의 창출’ 이라는 개념과 방안모색이 요구됐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개미와 배짱이의 장점을 함께 아울러 성공한 사람”으로서의 또랑광대가 갖는 풍류성의 적극 수용과 “자기에게 주어진 여건을 최대한 즐기는 것”으로부터 출발할 것을 제기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sider about leisure and culture of entertainment in the view of Pungryu. By following the way which Koreans have been making ‘Geouk’(formation) in their leisure and entertainment, we are going to find how leisure and entertainment realize ‘Meot’ in contemporary Koreans lives. ‘Meot’ is important formation of Koreans’ leisure in this time. Because happiness which is keypoint of modern life is very related to ‘Meot’. Pungryu is suitable culture in finding ‘Meot’ in lives these days. Also pungryu already has characters about culture of leisure. To recognize Pungryu’s value, we pay attention to Pungryugeak, such as Hwarang, Hanryang, Wey-hang-in, Geesang, Jumo, who enjoy Pungryu in part of thier lives. This attempt is finding commonplace of Pungryu and modern leisure. As a result, Pungryu which is everydaylife of Pungryugeak already has three contents of modern leisure-freedom, happiness, harmony with society. In the aspect of quality, Pungryu deals with blank places which modern leisure couldn’t cover. It is because of Pungryu’s concept about universe. Human being is the link of the ground and the sky in this view. Meot is, moreover, consonance of natural amd artificial beauty. To approach this stage, you enlighten shinmyung in yourself to feel vigor about nature so that communicate with universe and Samramansang(all of the things). Art and playing with singing and dancing is useful and specific method to realize shinmyung. It is also rising of artificial beauty. This is the reason that singing, dancing, playing is important features of Pungryu. This pungryu’s value is similar with leisure which makes freedom and happiness in harmony with society. Lives with Meot did not lean on social burden. It considers oneself just in natural way. It cannot allow political, social or personal aspects to interrupt human being’s nature. So it cannot help diminishing whatever is harmful to vitality of life. This is the result of activities to make valance with basic nature. If you archive this, creativity is naturally born. Afterall the way how can play and adapt meot is naturally developed. All the take together, we have to remove all the obstacles about realizing nature of lives and developing creativity. This is the time to making popular leisure culture and personal creative method. It is needed to make leisure that is full of Pungryu. One of the specific methods is just enjoying conditions in one’s lives.
정읍줄풍류(井邑줄風流) 본령산(本靈山)의 대금(大笒) 음조직 고찰
문주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1 No.-
Jeongeup Julpungnyu has widely influenced the chamber music in Yeongnam (Gyeongsang-do) and Honam regions (Jeolla-do) without confining the range to its indigenous music. Its musicality is significant considering its musical features, performers, and influences over the pungnyu activities in different regions. Sangyeongsan, the first piece also known as Bonnyeongsan, is the starting point played from the main piece to the last four pieces of the suite, which is a significant piece that influenced other derivatives of Yeongsanhoisang.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Jeongeup Julpungnyu and the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partly including the daegeum melodies by Shin Dal-lyong who is known to have initiated Jeon Gye-mun into the pungnyu daegeum melodies, in order to study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The analyses include the tonal system implied in the daegeum melodies of Bonnyeongsan, that is, the structure tone, the tonal center, the scale, the beginning and terminating ton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eatures of the tonal structures of daegeum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s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re 6 musical symbols for ornaments for the 12 keys presented in Bonnyeongsan of Jeongeup Julpungnyu and the 10 keys in Sangyeongsan of Julpungnyu by National Gugak Center. Only one symbol, nire (∧) is used in Bonnyeongsan. The main key of Bonnyeongsan is do (the Hwang key) while that of Sangyeongsan is mi (the Jung key). Secondly, the basic 7 keys of Bonnyeongsan and Sangyeongsan are sol, la, do re, mi, sol', la'. Although both pieces extend the 7 keys to an octave higher ones two times, the consequences are different. Sangyeongsan resultingly uses only 10 keys excluding the octave higher sol' and la' whereas Bonnyeongsan uses 12 keys. Bonnyeongsan is similar to Sangyeongsan in the tonal system but reveals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basic keys in appearance, the tonal extension, and the usage of ornaments. 정읍줄풍류는 지역의 줄풍류에 국한되지 않고 영・호남지역의 풍류에 영향을 끼친 줄풍류이다.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활동한 인물 그리고 지역의 풍류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고려하면,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중요성은 높다. 정읍줄풍류의 첫 번째 곡 상령산(上靈山) 즉, 본령산(本靈山)는 본풍류에서 뒷풍류까지 연주된 악곡의 출발점이며, 영산회상 관련 파생곡들에 영향을 준 중요한 악곡이다. 본 연구는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대금 음조직을 연구하기 위하여 정읍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계문의 풍류대금 가락을 전수한 것으로 알려진 신달룡의 대금 가락도 일부 포함하였다. 본령산 대금선율에 함의된 음조직(Tonal System) 즉, 출현음ㆍ골격음(Structure Tone)ㆍ주음(Tonal Center)ㆍ음계(音階)ㆍ음의 시종(始終)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에 출현하는 대금 음조직의 특징은 첫째, 정읍 본령산 12음과 국악원 상령산 10음에 해당하는 출현음에 사용하는 장식음에 관한 악상기호는 총 6종이다. 본령산에서는 니레(∧)만 사용되었다. 둘째, 정읍 본령산 핵음은 黃, 국악원 상령산은 仲이다. 셋째, 본령산과 상령산의 기본 7음은 㑣ㆍ㒇ㆍ黃ㆍ太ㆍ仲ㆍ林ㆍ無 이다. 본령산과 상령산의 음은 7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위의 음으로 확장되는 현상이 각각 2회 나타나지만, 확장의 결과는 상이하다. 확장의 결과 본령산은 12음을 사용하지만 상령산은 10음에 그치고 있다. 상령산에서 淋ㆍ潕음은 사용하지 않았다. 정읍줄풍류 중 본령산의 음조직은 국립국악원 상령산과 유사하지만 기본음의 출현빈도와 음의 확장 그리고 주요 시김새의 사용방법 등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최치원의 풍류 사상 연구사 비교 연구 - 김범부, 유동식, 최영성의 연구를 중심으로
최경애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이 논문은 한국적 사상의 시원으로서 풍류를 제시하고, 풍류 사상의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21세기에 들어 한국은 ‘한류’를 시작으로 문화적 영향력을 세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찬란한 문명을 만들어가고 있는 우리 민족이 가진 ‘지혜로운 생각’. 즉 철학의 출발점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뿌리를 찾는 방법은 시작점부터 출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기는 하나 시작점에 해당하는 내용이 충분치 않을 때는 도착점에서 거슬러 올라가는 방법도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풍류에 관한 근현대의 연구자료를 토대로 각각의 풍류 해석을 정리하여 비교함으로써 풍류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고자 시도하였다. 일제 강점기에서 근대화 시기 활동한 범부 김정설의 풍류 해석과 7,80년대 풍류 신학을 정립한 유동식의 풍류 신학 그리고 현재 연구되고 있는 최영성의 풍류 해석을 정리하여 각 학자에게 풍류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시대적 고민이 서로 달랐고, 학문의 영역도 다른 때문에 각 해석에는 풍류가 가진 가치가 다르게 평가되기도 한다. 범부의 풍류는 ‘조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유동식은 ‘융합’을 최영성은 ‘주체성’을 짚어내고 있다. 각 학자가 강조하는 바는 다를지 몰라도 모두가 한국적 사상의 시원으로서 풍류를 가리키고 있으며 문화 형성의 기반 역시 풍류에서부터 출발해야 함에 동의하고 있다. 특히 최영성의 연구는 옛 사상가의 생각을 현대적인 시각에서 풀어낸 점 그리고 세계화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보편성과 더불어 주체성을 생각해보게 하는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 This thesis started with an attempt to present Pung-ryu as the beginning of Korean thought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Pung-ryu thought. In the 21st century, Korea is expanding its cultural influence globally, starting with 'Korean Wave'. The 'wisdom idea' of our people, who have a long history and are creating a brilliant civilization. In other words,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starting point of philosophy. Although the best way to find the root is to start from the starting point, there is also a way to go backward from the arrival point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is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an attempt was made to start a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the wind current by organizing and comparing each interpretation of the wind current ba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research data on the wind current. The interpretation of Pung-ryu by Bumbu Kim Jeong-seol, who was active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Yoo Dong-sik's Pung-ryu theology, which established Pung-ryu theology in the 780s, and Choi Young-sung's current interpretation of Pung-ryu were summarized to compare how Pung-ryu was interpreted by each scholar. The values of Pungryu are sometimes evaluated differently in each interpretation because the concerns of the times were different and the fields of study were different. Bumbu's Pung-ryu emphasizes 'harmony', Yoo Dong-sik points out 'convergence', and Choi Young-sung points out 'subjectivity'. Although each scholar's emphasis may be different, everyone agrees that the foundation for cultural formation should also start with Pung-ryu as the beginning of Korean thought. In particular, I think Choi Young-sung's research is a meaningful study that unravels the thoughts of old thinkers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makes us think about subjectivity as well as universality in the globalized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