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과 중국 언론인들의 반한류 인식

        김은준(Eunjune Kim),김수정(Suj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류의 공적인 담론 생산자이자 전달자인 언론인들이 인식하는 각국의 반한류 정서가 어느 수준으로 이해되며 어디에서 기인된 것인지, 그리고 그들이 인식하는 대안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한중일로 대변되는 동북아시아지역은 역사와 정치, 문화갈등에서 비롯된 반한 감정이 반한류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보인다. 일본과 중국에서의 반한 감정은 지정학적 특수성과 역사적 관계가 문화 수용을 이해하는 기본 구조로 기능하며,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표출되고 전파되는 공통점을 보인다. 즉, 반한류 현상이 한류 콘텐츠에 대한 현지 수용자의 직접적인 반감이나 불만에서 비롯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양국 간의 차이도 감지되었다. 일본의 경우 반한류가 주로 ‘반한’ 감정의 다른 표현에 불과한데 반해, 중국의 경우는 반한 감정이 실제로 한류 콘텐츠에 대한 불만을 촉발하거나, 반한류 감정으로 전환되거나, 접합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Japanese and Chinese journalist’s views on anti-Korean wave, who are the public and authoritative discourse producers in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In so doing,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the phenomena of anti-Korean wave take place and are diffused. According to the findings, anti-Korean wave in north-east Asia is affected by anti-Korea sentiments that have been induced from historical and political relations as well as cultural conflicts. In specific, the anti-Korea sentiments found in both Japan and China are geopolitical particularity and historical relations function to frame their cultural receptions of Korean pop culture. In other words, the phenomena of anti-Korean wave in both countries do not stem directly from local audiences’ either discontents or apathy on Korean pop contents. However, while Japanese anti-Korean wave seems to be mere expressions of anti-Korea sentiments, Chinese sentiments of anti-Korean wave are triggered and transferred by, or articulated with their anti-Korea sentiments.

      • KCI등재

        中國 인터넷에서의 韓流 傳播 效果와 그 發展

        박종연(Park Jong Yeon),巴丹(Ba Da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韓流는 文化 現象이자 經濟 現象이며, 또한 傳播 行爲이면서도 經濟 行爲이다. 韓流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外延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그 지향점이 매우 분명하여, 문화와 그 요소가 제품에 녹아들어 있다. 즉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 국가 브랜드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을 실현하여, 정치적인 도움이 얻고자 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효과를 취하려고 하기에, 국가의 강력한 소프트 파워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적 특색의 문화 요소는 드라마나 영화, 노래, 게임 등의 콘텐츠 형식을 통해, 책임감 있고 개방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韓流가 전파되기 시작하면서, 그 배후에는 국가적인 힘이 있었고, 이 주체적인 힘은 韓流의 傳播가 뚜렷한 公共 外交의 속성과 특징을 갖도록 했다. 본 논문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인터넷에서의 韓流 관련리뷰 내용 등을 수집해 ‘韓流’의 傳播 效果에 관해 연구했다. 특히 중국 젊은이들의 韓流 전파에 대한 태도 변화와 그에 따른 문화적 영향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韓流가 중국 인터넷에서 전파되는 과정에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Korean Wave(韓流) is a cultural and economic phenomenon as well as influential behavior. Its direction that culture and its elements are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 is very clear although the external influence of Korean Wave(韓流) itself is not clear. In other words, it is emerging as a strong soft power of the country because it seeks to achie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brand of the country by creating a national image, to obtain political help and to achieve economic effects at the same time. Cultural elements with Korean characteristics have created a responsible and open image of Korea through content formats such as dramas, movies, songs and games. As the Korean Wave(韓流) began to spread, there was a national force behind it, and this independent force made the spread of Korean Wave(韓流) ha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public diplomacy. This thesis studied the propagation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hinese Internet by collecting reviews related to Korean Wave on the Chinese Internet from 2016 to 2018.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attitudes of Chinese young people toward the spread of Korean Wave and its cultural impact and based on this analysis, what problems exist in the process of Korean Wave spreading on the Internet in China have been studied.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확산 및 지체 요인과 지속 가능성

        주정민(Joo, Chung-Mi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확산과 지체를 반복하고 있는 한류 콘텐츠의 지속적 확산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류 콘텐츠의 확산요인과 지체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류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최근 한류 콘텐츠가 확산되었던 요인으로는 콘텐츠의 우수성에 기반한 경쟁력, 수출국의 한류 콘텐츠 수용에 대한 긍정적 여건, 문화사회적인 유사성과 근접성, 그리고 한류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미디어의 확산 등이었다. 그리고 한류 콘텐츠 확산을 지체시키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소극적인 한류 수출 정책, 방송사의 제작 및 콘텐츠 투자여건 악화, 콘텐츠 수출국의 각종 규제와 반 한류 현상 등이 작용하였다. 한류 콘텐츠 확산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수출국과 공동제작 및 현지화, 타깃 층을 고려한 제작 등이 필요하고, 정부의 한류지원 시스템 구축, 한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제작기반 조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관련국가와의 우호적인 관계형성과 교류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한류 콘텐츠가 양산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continuous expansion plans for Korean Wave content, whose expansion and delay had been repeating. For that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expansion and delay factors of Korean Wave content and examined its continuous activation plans based on them.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everal factors to explain the recent spread of Korean Wave content including the competitive edge based on content excellence, positive conditions for the acceptance of Korean Wave content in countries where it was exported, cultural and social similarity and proximity, and spread of media to distribute the Korean Wave content. The delay factors of Korean Wave content include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assive export policies of Korean Wave, deterioration of production and content investment conditions at broadcasting stations, and all kinds of regulations and anti-Korean Wave phenomena in countries where it was exported. The continuous expansion of Korean Wave content demands that South Korea should join forces with other countries in production and localization an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target groups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system to support the Korean Wave and build and advocate a production foundation for the Korean Wave content. In addition, an ecosystem should be built to produce quality Korean Wave content in large volumes by forming favorable relationships with concerned countries and promoting exchanges with them.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류 인식과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제품 선호도, 국가 호감도 관계 연구

        문효진(Hyo Jin M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0

        본 연구는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로 대변되는 한류가 아시아를 비롯해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방한한 외국인 유학생(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 미주 등)을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관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은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 ``한류스타의 감성적 매력`` 요인 등 총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는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 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이 한국 제품 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용자들이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를 만족하면 할수록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진다는 점이 확인 되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가 높아지면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증가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to non-Asia countries beyond A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popular factors of the Korean wave and the Korean wave``s effects are. Especially,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products preference and national image. And the sample is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of all the popular components of the Korean wave turned out to be such factors as the Korean wave contents professionalism, the Korean wave distinction and the Korean wave celebrity emotion appeal. Second, the Korean w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wave contents satisfaction. As well as there were th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Korean products and the country image of Korea. The Korean wav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Korean product preference and the likability of Korea.

      • KCI등재

        일본인의 한류수용에 따른 한국인식의 변화

        한영균(韓英均)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8 No.-

        한류(韓流)현상은 단순한 문화상품 수출의 의미를 넘어, 한국문화를 세계로 전파하여 한국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이미지를 개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평가로부터, 한류는 불행한 역사를 배경으로 외교마찰을 반복하며 상호 부정적인 인식을 유지해 온 일본과의 관계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실제로 2000년대 중반 한류 붐의 당시, 한국인의 일상과 사회, 문화를 표상하는 드라마의 수용은 일본 내 한국의 관심을 높이고, 한국과의 거리감을 단축시키며, 전후 부정적인 경향이 강했던 한국인의 이미지를 재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 많은 관련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한국에 대한 관심의 환기와 인식의 변화가 주로 소비문화에 국한되며 피상적인 단계에 그친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최근 ‘혐한류(嫌韓流)’의 전개와 반한(反韓)분위기의 고조 속에 한류의 기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에서 5월에 걸쳐 일본의 한류수용자를 대상으로, 한류와 한일관계를 주제로 한 그룹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젊은 세대는 문화소비와 정치의 영역을 분리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나, 연령대가 높은 경우는 한류로 인한 한국의 관심이 한국의 역사와 정치, 양국의 과거사 문제 등 폭넓게 확대되어 있었다. 또한, 한류로 인한 양국관계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양국 간 민족주의의 충돌의 현장을 마주하면서, 적어도 정치적 견해에 있어서는 한국에 대한 반감을 견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수년 전과 비교하여, 한류수용자의 연령층의 확장과 한국에 대한 관심분야의 확대는 고무적인 현상으로, 이러한 일본 내 한류로 인한 역사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가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바른 역사관을 정립하여 양국 간의 공유가 가능하다면, 한일 역사 갈등을 완화하고 미래지향적인 양국관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이 중국에서의 한류 및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정평(Li, Zheng Ping),김종근(Kim, Jongkeun)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한류에 대한 한국어 학습의 영향에 관련된 실증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경영학분야에서 주로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었으며, 한국어 학습의 한류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논문의 주요 연구목적은 중국에서 한국어 학습이 한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이 아닌 연구문제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할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의 논리적 근거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을 것이며, 향후 연구의 초석으로서의 역할을 위해 다양한 한류 차원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 현재 선호하는 한류의 콘텐츠 유형들, 한류 충성도, 향후 경험해보고 싶은 한류 콘텐츠 유형들 등으로 한류를 구분하였으며, 경영학적 관점에서 중요시되는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 또한 포함시킴으로써 연구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분산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 등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 현재 선호하는 한류의 콘텐츠 유형, 한류 충성도, 향후경험해보고 싶은 한류 콘텐츠 유형 등의 다양한 한류 차원들에 대한 분석을 실행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 학습이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한류 차원 또는 한국어 차원을 제외하면 대체로 한국어 학습이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은 경우 한국드라마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K-pop에 대해서는 학습수준이 낮은 경우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두 번째, 한국어 학습이 한류 충성도와 향후 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한국어 학습정도를 단일차원으로 설정한 경우 한국어 학습이 한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은경우 한국 드라마에 대한 충성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이 한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으로 한국어 학습정도가 증가할수록 한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품, 의류, 전자제품, 자동차, 음식 등의 5대 품목들 중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은 경우 화장품과 의류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가장 선호하며, 그 다음으로 전자제품과 음식을 비슷한 수준으로 선호하고,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 wave so far. Especially i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there have been investigated mainly about the economic impact of Korean wave, and there has been no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 w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loratory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wave in China, and this study approaches the research question empiricallywithout research hypothesis. Even though this study does not lay out logical basis for the research question, it will be the foundation and provides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to the future research by the analysis of various dimension about Korean wave. In this study, there were divided Korean wave into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the preferred contents types of Korean wave, the loyalty to Korean wave, and the contents types of Koreanwave that you want to experience in the future, and including the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that is important in business administration point of view. It was analyzed by the various statistics technique such as variance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ross analysis how Korean learning affects the various dimensions of Korean wave which are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the preferred contents types of Korean wave, the loyalty to Korean wave, and the contents types of Korean wave that you want to experience in the future. First, in the result of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it shows generally the positiv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but only excludes partially the dimension of Korean wave or the dimension of Korean learning. Also, the group of high level of Korean learning have themost preferred Korean drama, and have evenmore preferred K-pop than the group of lowlevel of Korean learning. Second, in the result of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Korean Wave loyalty and intention to experience in the future, it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 Wave loyalty in case that analyze by the single dimension of Korean learning level. The group of high level of Korean learning have the highest loyalty to Korean drama. Finally, in the result of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preference of Korean products, it shows that the higher level of Korean learning, the more preference of Korean products. Among the 5 products which are cosmetics, clothing, electronics, car, food, the group of high level of Korean learning have the most preferred the cosmetics and clothing quite similarly, and then electronics and food similarly, car is the lowest preferred.

      • 우리나라 한류연구의 경향 분석

        임학순 ( Hak Soon Yim ),채경진 ( K. Jin Chae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1 No.-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한류열풍은 10여년이 흐른 지금 한류가 주요 연구분야로 논의될 만큼 양적으로도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숙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연구가 시작된 2002년부터 가장 최근인 2013년까지 한류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주요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526편의 한류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학문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국가, 연구형태 등 총 네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시기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류연구는 비교적 늦게 생겨난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 동안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학문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국가에 있어서도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근 들어 공동연구 및 학제 간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한류연구가 가진 복합성을 고려할 때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한류연구는 외연적 확대에 비해, 연구주제에 있어 새로운 시각 및 이슈 발굴이 미흡하며, 한류연구 대상국가에 있어서도 중국 및 일본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한류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한류를 기업 경영전략 차원에서 접근, 한류현상의 전문적 연구 기관 및 인력의 부족현상을 한계로서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과제로서 한류 현지의 문화코드와 한류 트렌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 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한류 활용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개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academic studies on the Korean Wave phenomenon since the end of the 1990`s. 526 articles from 2002 to 2013 were identified as being related to the topic of Korean Wave studies. This article categorized these academic studies in terms of the academia area, research topic, related country, and research types. As a result, the Korean Wave studie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 Korean Wave phenomen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he Korean Wave have been expanded.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dentity of the Korean Wave studi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article suggested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Korean Wav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ve consumer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related countries.

      • 한류문화콘텐츠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변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재록 우씨아우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한류의 주요 소비층이며 거대한 잠재소비력을 가진 중국 소비자들의 한류문화 컨텐츠에 대한 소비행동을 분석 파악하여 소비자특성에 따라 한류 문화컨텐츠별 소비행위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한류 문화컨텐츠업체의 미래 발전방향의 설정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중국 소비자의 소비행태를 토대로 한 표적시장을 선정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하고 설문지를 통한 분석 방법으로 중국소비자의 한류 문화컨텐츠의 구매행위에 영향 주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음악컨텐츠의 소비행태에서 가장 좋아하는 음악장르는 댄스뮤직이며 한류음악정보획득 채널은 TV, 한류음악컨텐츠 접촉방식은 인터넷이 가장 많았다. 한류음악 소비금액은 150위안 이하로 나타났다. 한류음악컨텐츠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한류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한류음악컨텐츠 특성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드라마컨텐츠의 소비행태에서는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장르가 러브스토리였으며, 정보획득채널은 TV, 접촉방식은 CD구매가 가장 많았다. 한류드라마 구입 지출금액은 150위안이 이하로 가장 많았다. 한류드라마컨텐츠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한류드라마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한․중 문화 컨텐츠 비교특성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영화컨텐츠의 소비행태에서는 가장 즐겨보는 영화는 러브스토리, 한류영화컨텐츠 정보획득 채널은 TV, 한류 영화컨텐츠를 접하는 방식은 인터넷다운로드가 가장 많았다. 연간 영화소비 금액은 150위안 이하로 나타났다. 한류영화컨텐츠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한류영화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한․중 문화 컨텐츠 비교특성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Korean Wave is the special phenomenon beyond Korean and Chinese culture including some other countries. For developing Korean Wave the marketer of cultural industry must satisfy desire of Korean Wave's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Chinese consumers buying behavior to the Korean Wave's cultural contents. And also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for Chinese marketer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favorable music is dance, the information source is TV and the contact method is internet. The consumption of Korean Wave music in a year is under 150 yia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Contents buying. Attitude to the Korean Wave music and character of Korean Wave music contents were significant. Second, most favorable drama is love story-typed, the information source is TV and the contact method is DVD bought. The consumption of Korean Wave drama in a year is under 150 yia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Drama Contents buying. Attitude to the Korean Wave drama and comparative character of Korean Wave drama contents and Chinese drama contents were significant. Third, most favorable film is dance, the information source is TV and the contact method is internet. The consumption of Korean Wave film in a year is under 150 yia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Film Contents buying. Attitude to the Korean Wave Film and comparative character of Korean Wave Film contents and Chinese Film contents were significant.

      • KCI등재

        Hallyu und der koreanische Film in Deutschland

        Lee Youngnam(이영남) 세계문학비교학회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0 No.-

        한류란 90년대 말부터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을 말한다. 이러한 한류 열기는 일본으로 확산되어 이제는 아시아를 넘어 우즈베키스탄 및 아랍어권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한류적인 의미에서 독일에서 한류의 원조가 되는 스타를 손꼽으라고 하면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일명 “붐차(Bum Cha)”라는 이름으로 “차붐 (Cha Boom)”을 일으키며 많은 축구팬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축구 선수 차범근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80년대 붐차의 시절에도 그리고 90년대 임권택의 예술영화가 한국영화 시리즈로 TV를 통해 방영이 되던 때에도 그리고 무엇보다 2000년대 들어서 박찬욱, 김기덕 영화가 관객들에게 커다란 호응을 얻고 있던 시점에서도 독일 언론에서는 아직 한류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한류를 하나의 미디어 현상 (Medienph?nomen)으로 파악한다면 독일에서는 무엇보다도 영화를 손꼽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그리고 대다수의 아시아 국가에서 폭발적인 공감과 감동을 불러일으킨 한류 드라마와 독일인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는 한국 영화, 박찬욱 김기덕 감독 류의 영화를 비교해 볼 때 미학적인 공통 분모를 찾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김기덕 영화의 경우에는 한국에서 관객층을 찾기 힘든 반면 독일에서는 아시아의 최고 감독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 문화권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한류식의 드라마가 독일에서는 큰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없는 부분이 어디에 근거하는지 찾고자 시도하며, 나아가 한류를 그저 일시적인 미디어 문화현상 혹은 이슈로서 파악할 것인지 그리고 과연 한류가 아시아 문화권에서만 유효한 문화현상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한편 한류가 21세기 한국적인 대중문화로서 하나의 문화현상 (Kulturph?nomen)으로 논의된다면 한류가 가지고 있는 문화이동의 탈방향성 및 탈영토성 나아가 문화 혼융성 (Hyperkulturalit?t)의 관점에서도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한류지각과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기업과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

        이철우,상맹,초연 동북아관광학회 2016 동북아관광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최근 한류로 인해 중국내에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화장품 구매의도에대한 중국소비자들의 한류에 대한 인식과 소비성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한류지각을 한류관심도와 접촉도 및 인지도로 선행변수를 설정하고, 기업과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상품태도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기존 한류와 관련 이론들에 대한 선행연구는 한류와 한류파생상품 및 일반상품으로의 확산일로에 있음을 입증한 연구 자료는 많으나, 최근 한류 열풍으로 기업과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해서 상품태도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한 연구는 굉장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약 3달간 중국 호남성에서 한국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설문 응답자는 436명이었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신뢰도와 타당도 및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선행변수인 한류관심도와 한류접촉도 및 한류인지도가 기업과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과 국가이미지가 상품태도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상품태도와 화장품 구매의도 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한류지각이 기업과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상품태도와 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the consumption propensities regarding Hallyu on the part of the Chinese consumers in relation to the purchases of the cosmetics. As such, Hallyu perception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positive effects can be given to the product attitudes and the intentions to purchase cosmetics with the corporations and the national image in the focus.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arried out with the ordinary people who have the experience of having purchased Korean cosmetic products as the subjects in Hunan, China. And there were 436 respondents of the survey who were used in the analysis. Als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analysis of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the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nd the path load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Hallyu perception had been having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rporations and the national image.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porations and the national images had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 product attitude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cosmetic products. In the end, focused on the corporations and the national image, the research result that confirmed that the Hallyu perception had been playing the role of a carrier regarding the product attitudes and the intentions to purchase the cosmetics was arrived 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