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伊勢灣台風の集合的記憶 ―全國紙/地方紙における周年報道を手がかりに―

        水出幸輝 ( Mizuide Koki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4 No.-

        1959年9月26日に日本を襲った伊勢灣台風は、愛知·三重を中心に5000人以上の死者·行方不明者を記錄した。日本における戰後最惡の台風災害である。本硏究は、この伊勢灣台風の周年報道について全國紙と地方紙の比較檢討を行い、伊勢灣台風が日本社會でどのような位置を占めてきたか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 檢討の對象は、全國紙である『東京朝日』とその地域版の『名古屋朝日』、および地方紙の『中日新聞』である。『東京朝日』が伊勢灣台風を大きく報じたのは發災1周年のみだった。一方、同じ新聞社でありながら『名古屋朝日』は獨自の紙面構成で伊勢灣台風の周年報道を展開している。また、最も强力だったのは『中日新聞』であり、在名古屋新聞社が9月26日を伊勢灣台風の記念日として意味付けていたことがわかる。 このような全國紙と在名古屋新聞社の差異は、社會の集合的な認識にかかわる問題である。9月26日を伊勢灣台風の記念日として位置付け、周年報道を行う在名古屋新聞社の讀者には、每年伊勢灣台風の集合的な想起が促されるのに對し、全國紙の讀者はそのような機會を得ることができない。このことから、伊勢灣台風の集合的記憶がロ一カルな樺に押しとどめられたことが指摘できる。 The Ise Bay Typhoon, which struck the Japan on Sep 26 of 1959, caused more than 5,000 deaths and missing persons, mainly in Aichi and Mie prefecture. It was the worst typhoon disaster in Japan, after the World War Ⅱ. This study examines the anniversary journalism of the Ise Bay Typhoon, by comparing the national newspaper (Tokyo Asahi Shinbun) and the local newspapers (Nagoya Asahi Shinbun and Chunichi Shinbun), to reveal the awareness of the Typhoon in Japan. This study revealed that, on the one hand, Tokyo Asahi Shinbun has reported on the Ise Bay Typhoon greatly only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is calamity. On the other hand, despite being the same newspaper company, Nagoya Asahi Shinbun has been reporting the Ise Bay Typhoon every year since 1959, by providing an original composition. Further, Chunichi Shinbun which is published by Nagoya based Newspaper Company made a profound impact. These local newspapers recognized September 26th as commemoration day of the Ise Bay Typhoon.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newspaper and local newspapers related to the collective recognition of society. The reader of the local newspapers is able to get the collective recall of the Ise Bay Typhon every year. However, the reader of the national newspaper does not have such opportunities. Thus,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Ise Bay Typhoon remained as a local memory.

      • KCI등재

        沖繩で流離う女たち -目取眞俊「群蝶の木」論

        劉姸 한국일본어문학회 2016 日本語文學 Vol.70 No.-

        오키나와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 점령당해, 일본의 일부분이면서, 일본의 외부로 떨어져있다. 「나비떼의 나무(群蝶の木)」는 전쟁이 오키나와 또는 인류에게 남긴 상처를 폭로하고 있다. 특히 「위안부」라고 칭해진, 사실상 일본군의 성적노예가 된 여자들에게 준 피해를 비판하고 있다. 작가는 피해자로서의 오키나와의 가해자적 측면을 분명히 하고, 전쟁의 기억을 기록하는 것으로 오키나와의 진정한 평화와 자유를 추구하고 있다. After World War II, Okinawa was actually abando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occupied by American Troops although still part of Japan. Trees of Butterflies showcases the eternal subject of the wounds on Okinawa and on the world by the war, especially the so-called Comfort Women who were actually sex slaves of the Japanese army. This essay analyses how the author took note on the memories from the war in order to strive for peace and liberty in Okinawa.

      • KCI등재

        伊勢湾台風の集合的記憶 -全国紙/地方紙における周年報道を手がかりに-

        水出幸輝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4 No.-

        1959年9月26日に日本を襲った伊勢湾台風は、愛知・三重を中心に5000人以上の死者・行方不明者を記録した。日本における戦後最悪の台風災害である。本研究は、この伊勢湾台風の周年報道について全国紙と地方紙の比較検討を行い、伊勢湾台風が日本社会でどのような位置を占めてきたか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検討の対象は、全国紙である『東京朝日』とその地域版の『名古屋朝日』、および地方紙の『中日新聞』である。『東京朝日』が伊勢湾台風を大きく報じたのは発災1周年のみだった。一方、同じ新聞社でありながら『名古屋朝日』は独自の紙面構成で伊勢湾台風の周年報道を展開している。また、最も強力だったのは『中日新聞』であり、在名古屋新聞社が9月26日を伊勢湾台風の記念日として意味付けていたことがわかる。このような全国紙と在名古屋新聞社の差異は、社会の集合的な認識にかかわる問題である。9月26日を伊勢湾台風の記念日として位置付け、周年報道を行う在名古屋新聞社の読者には、毎年伊勢湾台風の集合的な想起が促されるのに対し、全国紙の読者はそのような機会を得ることができない。このことから、伊勢湾台風の集合的記憶がローカルな枠に押しとどめられたことが指摘できる。 The Ise Bay Typhoon, which struck the Japan on Sep 26 of 1959, caused more than 5,000 deaths and missing persons, mainly in Aichi and Mie prefecture. It was the worst typhoon disaster in Japan, after the World War Ⅱ. This study examines the anniversary journalism of the Ise Bay Typhoon, by comparing the national newspaper (Tokyo Asahi Shinbun) and the local newspapers (Nagoya Asahi Shinbun and Chunichi Shinbun), to reveal the awareness of the Typhoon in Japan. This study revealed that, on the one hand, Tokyo Asahi Shinbun has reported on the Ise Bay Typhoon greatly only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is calamity. On the other hand, despite being the same newspaper company, Nagoya Asahi Shinbun has been reporting the Ise Bay Typhoon every year since 1959, by providing an original composition. Further, Chunichi Shinbun which is published by Nagoya based Newspaper Company made a profound impact. These local newspapers recognized September 26th as commemoration day of the Ise Bay Typhoon.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newspaper and local newspapers related to the collective recognition of society. The reader of the local newspapers is able to get the collective recall of the Ise Bay Typhon every year. However, the reader of the national newspaper does not have such opportunities. Thus,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Ise Bay Typhoon remained as a local memory.

      • KCI등재후보

        60년대 일본영화의 전위적 경향과 기억의 재현

        채경훈(Chae Kyung Ho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씨네포럼 Vol.0 No.14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전인류의 비극적 체험, 그리고 점령기의 민주주의와 인간의 자유에 대한 신뢰의 상실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일본과 유럽의 영화를 자연스럽게 허무주의적인 저항으로 이끌었다. 일본영화에 있어서 이러한 저항은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영향을 받아 휴머니즘을 거부하게 되었는데, 나카히라 고의 〈미친 과실〉(1956)과 오시마 나기사의 〈사랑과 희망의 거리〉(1959), 〈청춘 잔혹이야기〉(1960), 〈태양의 묘지〉(1960), 그리고 요시다 기쥬의 〈쓸모 없는 녀석〉(1960), 〈피는 마르고 있다〉(1960) 등의 영화가 그러한 저항의 대표적 산물일 것이다. 그리고 이들 영화들은 60년대 일본의 전위적영화들의 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 일본의 전위적 영화에 있어서 영화감독의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의식은 주류 상업영화의 ‘희생’의 테마에 대하여 실존주의적인 사상을 근간으로 한 이의제기로 표현되었다. 구체적으로 전위적 영화의 스타일적 측면에서는 선험적 한계로서 과거를 강조하는 플래시백 기법을 거부하였다. 개인의 회상을 표현하는 플래시백은 ‘현실의 근원’으로서 과거를 재현하는 장르적 관습이 맞물려 현재를 향한 목적론적 과정의 이야기를 만들고, 과거는 현재의 모든 것에 대한 원인으로 읽혀지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전쟁영화 혹은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들에서 플래시백 기법과 희생의 테마가 자주 등장하는데, ‘희생’은 당시 일본사회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었던 개인의 자주성과 실존주의적 관점과는 분명히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주류영화에서 나타나는 ‘희생’에 대한 장르적 표현과 ‘집단 기억’에 대한 도전, 이것은 공식역사에 쓰여있는 사건들이 일방적인 측면으로 객관화되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영화들은 거시적인 서사 대신에 개인의 미시적인 이야기를 끌어들여 역사적 사건 그 자체가 아닌 사건에 대한 개인의 생각을 내비친다. 알랭 레네의 〈히로시마 내 사랑〉에서 나타나듯이 이러한 영화들도 트라우마와 회상을 개인적이고 단편적인 이미지를 통해 불완전하게 표현한다. 알랭 레네의 두 작품 〈밤과 안개〉, 〈히로시마 내 사랑〉에서 보여지는 홀로코스트의 재현과 관련된 담론은 당시의 사회, 정치적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던 일본의 젊은 감독들에게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20세기의 홀로코스트는 현대사회에 대한 인류의 신뢰를 무너뜨렸고 그렇기 때문에 더 이상 역사적 사건은 단순히 사건 그 자체로서 재현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기억과 트라우마에 관한 문제에서는 세대차, 즉 요시다 기쥬나 오시마 나기사 세대와 그 다음의 젊은 세대들이 과거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또한 차이는 생겨난다. 그 결과 요시다 기쥬는 히로시마의 원폭으로부터 50년이 지난 시점에서 히로시마의 원폭이 3대에 걸쳐 각각의 인물들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그린 〈거울의 여자들〉이라는 작품을 만들었다. 스와 노부히로는 2002년 〈히로시마 내 사랑〉의 리메이크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찍은 작품 〈H Story〉를 만들면서 알랭 레네에게 존경을 표하는데, 이 작품에서 그는 관광산업으로 번창하고 변화하는 히로시마의 현재 모습을 통해 원폭이라는 과거에 접근하다. 요시다 기쥬의 〈그럼 안녕, 여름 햇살〉 또한 기억과 망각에 관한 영화로, 등장인물들이 자신과 자신의 과거를 부정하는 것을 통해 기억의 불완전성을 표현한다.

      • KCI등재

        日本映画にみる沖縄戦の 集合的記憶と歴史認識 ―映画「ひめゆりの塔」(1953)と 「沖縄スパイ戦史」(2018)を中心に―

        박동호 한국일본문화학회 2021 日本文化學報 Vol.- No.89

        Japanese films about the Battle of Okinawa, which was Japan’s only ground war on its own soil during the Asia-Pacific war, record and represent aspects of the harm done to Okinawa during the fighting. These films differ from other war movies by bringing the unilateral damage and sacrifice to the forefront. That is to say, memories of victims and perpetrators coexist in these films about the Battle of Okinawa. These films reflect the changes in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erceptions of the Japanese. In “Himeyuri no To”(1953) and “Boy Soldiers: The Secret War in Okinawa”(2018), in particular, the memory of the mainland's perspective on the war is starkly contrasted with the Okinawan's perspective, providing important evidence that shows Japanese people's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war. In this thesis, I examine how the Japanese have embraced these films and the collective memory that has formed as a consequence, referencing critical essays and reviews on film websites. Moreover I consider the process of and the background behind such collective memory from the context of war liability issues. Through this, I attempt to understand one aspect of Japan’s complex historical cognition of the war. アジア・太平洋戦争において唯一日本国内での地上戦であった沖縄戦を題材とした日本映画は、一方的な被害と犠牲を前景化する戦争映画とは異なり、沖縄への加害の側面も記録・再現している特徴がある。すなわち、沖縄戦を扱った映画には被害だけでなく、加害の記憶も並存しているのである。ここで注目に値するのは、それらの映画から日本人の歴史認識の変遷や特徴が窺い知れることにある。とりわけ、軍隊(本土側)と住民(沖縄側)の戦争の記憶が克明に対比されている「ひめゆりの塔」(1953)と「沖縄スパイ戦史」(2018)は、戦争をめぐる日本人の歴史認識を読み取る上で重要な手がかりになり得ると考えられる。したがって、本稿では沖縄戦を題材とした2本の映画の評論文や映画情報サイトのレビューなどを参照し、実際に日本人がこれらの映画をどのように受容し、その結果として、どのような集合的記憶が生成され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した。更に、そうした集合的記憶が生成される背景やプロセスを戦争責任問題と交えつつ考察した。これを通して、戦争をめぐる日本人の複雑な歴史認識の一端を読み取ることを試み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