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石溪 李時明의 삶과 문학

        김수현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life of Seokgye LeeSi-myeong, who has not been studied in detail, and to investigate hisliterature and thought. Lee Si-myeong inherited the Toegye school’sacademic tradition from Jang Heung-hyo and established academicachievement through Family studies. His teachings were passed on tohis sons Lee Hwui-il and Lee Hyun-il, his grandson Lee Jae, and laterto Lee Jae’s only grandson, Lee Sang-jung, and in the process heestablishe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oegye’s school inthe 17th century. However, there are very few full-scale studies onhim.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style of Family studies centeredon Lee Si-myeong and its impact on the literati of the Youngnamreg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delve deeper into Lee Si-myeong’sideas, which were the basis of the regional literary scholars’thought. Lee Si-myeong had as his father-in-law and teacher JangHeung-hyo, who received his education from the old masters of theDynasty. He acted as a loving father to his seven sons and threedaughters, including Existence Lee Hwui-il and Galam Lee Hyun-il,educating them and passing on the traditions of the Toegye lineage. This, in turn, led to the descendants Milam Lee Jae and Daesan LeeSang-jung, who continued the lineage of Toegyehak. This study will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egye school system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Family studies, with Lee Si-myeong as the centerpiece. His ideas are embedded in the traces of his great academicachievements as he endured his life as a cheosa(處士) during thedifficult times of the Imjinwaeran(壬辰倭亂) and the Byeongjahoran(丙子胡亂). In addition, his ideological aspects changed according to the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were accepted even by later scholars,and it will be possible to reveal the aspects that influenced theliterature and thoughts of Yeongnam writers of the 19th century.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石溪 李時明의 생애를조명하고, 그의 문학적 지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시명은 張興孝에게 퇴계학파의 학통을 전수받고 가학으로 학문적 성취를 확립하였다. 그의 가르침은 아들 李徽逸, 李玄逸, 손자 李栽로 이어지고, 이후 이재의 외손인 李象靖에게로 이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퇴계학파의 대표적인 학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시명이 중심이 되어 전승한 가학의 학풍을 밝히고, 이것이 영남 문인에게 미친 영향을 구명할 것이다. 이시명은 퇴계의 高弟들로부터 학문을 전수받은 장흥효를 장인이자 스승으로 두었다. 그는 존재이휘일, 갈암 이현일을 비롯한 7남 3녀의 다정다감한 아버지로서의 면모를 보이며 교육하고, 퇴계학맥의 전통을 가학으로 전수했다. 이는 다시 후손 밀암 이재와 대산 이상정으로 이어지며, 퇴계학통의 계보를 이었다. 이시명은 壬·丙의 전란으로 혼란한시기에 출사하지 않고 은거를 택하여 자신과 가문을 보호하였고, 결국 학문과 교육으로 큰 성취를 남길 수 있었다.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