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음조화(母音調和)의 붕괴와 모음체계(母音體系) 재정립(再定立)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硏究)

        한영균 ( Han Young-g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3

        이 글의 목적은 母音調和의 붕괴 과정을 音韻史的으로 해석함과 동시에, 母音體系의 재정립 과정의 動因을 밝히는 데에 있다. 모음조화의 붕괴 과정에 대한 기존의 通說과 文獻에 반영된 모음조화 붕괴의 실상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특히 모음조화의 붕괴는 ①制約의 擴大, ②規則의 隨意化, ③異形態의 單一化라는 誘因이 작용하여 本格化되는데, 格助詞 및 語尾의 내부 음절 구조, 母音 사이의 대립관계가 모음조화 붕괴의 擴散에 영향을 미친다. 單母音體系의 재정립은 이른바 中性 母音 /i/ 및 半母音 /j/의 조음상의 견인력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단순히 ‘、’의 非音韻化에 이어 일어난 前舌母音系列의 성립이라는 목록의 변화를 통해서 설명되기보다는 斜線的 대립체계에서 垂直的 대립체계로의 변화라는 對立軸의 변화로 설명되어야 한다. 이는 모음조화의 붕괴와 모음체계 재정립을 가져온 音韻史的 誘因이 동일한 것임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edness between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and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in Korean. The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seems to have three reasons, at least ; ① Expansion of contraints on the environments of rule application ②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he rule, which means that the vowel harmonic rule was an obligaroy one originally but becomes an optional one ③ Morphological levelling, which means that the allomorphs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which showes alterna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vowel harmonic rule tends not to show alternation. It is also argued that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especially the phonemization of the front vowels such as /ㅐ/ /ㅔ/ /ㅚ/ should be interpreted as results of backward assimilation of front high vowel /i/ and jod. If we accept this observations,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and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have the same phon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

        활용형의 모음조화 양상과 변이 - 메신저 말뭉치를 중심으로 -

        하영우 ( Ha Young-woo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본고는 구어적 문어에서 나타나는 활용형의 모음조화 위배 양상과 특성을 계량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모음조화 규칙의 약화를 이끄는 기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신저 말뭉치를 대상으로 양성모음 활용형의 모음조화 양상과 위배형의 주요 발생 조건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활용형의 모음조화 위배형은 어간의 종성 조건이나 ‘ㅡ’ 탈락, 불규칙적 교체 등의 음운론적 조건보다는 어휘적 조건이 매우 강하게 작용했다. 또한 활용형의 모음조화는 선어말어미보다는 어말어미에 집중되어 나타나며, 어말어미 중에서도 종결어미에 한정되는 특성이 있었다. 특정 어휘가 특정 위치에서 실현될 때 활용형의 모음조화 위배가 주로 나타나는 것은 모음조화 규칙과 별개로 {-어X}형 종결어미가 발화 말 위치에서 모음의 음운 감쇄를 겪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활용형의 모음조화 위배는 음운 규칙의 약화가 아닌 발화 말 위치에서 나타나는 종결어미의 음운 감쇄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echanism that leads to the weakening of the rules of vowel harmony of conjugated form using a quantitative method. For this purpose,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vowel harmony violations appearing in the conjugated form, and the main conditions for rule violations were examined based on messenger corpora. The violation of vowel harmony in conjugated form had little to do with phonological conditions. Violation of vowel harmony occurs frequently in a limited number of words, mainly when the stem is combined with a terminating ending. Also, the violation of vowel harmony of conjugated form was concentrated on the ending rather than the prefinal ending, and among the endings, it was limited to the final ending. It was determined that vowel harmony violations occurred when a limited number of words was combined with a terminating ending because the terminating ending {-아X} was phonologically redueced to {-어X} regardless of phonological rules.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간의 상관관계

        하영우,안성민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monophthongs pronunciation errors and vowel harmony inMongolian Korean learners. To this end, a survey wasconducted of 70 Mongolian learners on the perception ofKorean vowels. As a result, in the survey, the majority oflearners classified Korean /ㅏ, ㅓ, ㅗ/ as male vowels, /ㅔ(ㅐ),ㅜ/ as female vowels, and /ㅡ/ as neutral. However, dependingon the learners’ level, /ㅣ/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aneutral or female vowel. Afterward, based on these findings, ina separate analysis 5 female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verified as having a very high pronunciation error rate inmale-female vowel combination and in female-male vowelcombination that do not harmonized vowels. In addition,pronunciation errors that contained vowel harmony conditionswere more prominent in male_female vowel combination than infemale-male vowel combination. Moreover, the error rate of /ㅣ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owel harmony classificationtype. For instance, when /ㅣ/ vowels were classified as aneutral vowel, the first and second vowel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Still, when classified as a female vowel,pronunciation errors increased when linked to male vowels. Theresearch findings clearly show Mongolian learners mayexperience pronunciation error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of vowel harmony of monophthongs. 이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현상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몽골인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ㅏ, ㅓ, ㅗ/를 남성 모음으로, /ㅔ(ㅐ)/, /ㅜ/를 여성 모음으로, /ㅡ/를 중립 모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우세하였다. /ㅣ/는숙달도에 따라 중립 또는 여성 모음으로 분류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후 여성 몽골인한국어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모음조화 조건에 따른 단모음 오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출 실험에서 몽골인 학습자는 모음조화 위배 조건인 남성_여성 연쇄와여성_남성 연쇄에서 발음 오류율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음조화 조건에 따른 발음 오류는 남성_여성 모음 연쇄 조건이 여성_남성 모음 연쇄 조건에 비해 작용력이 강했다. 두 유형으로 분류되었던 /ㅣ/는 모음조화 유형 분류 방식에 따라 오류율이 상이했다. 중립 모음으로 분류한 경우 선후행하는 모음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성 모음으로 분류한 경우 남성 모음과 연쇄할 때 발음 오류가 증가했다. 이를 통해 몽골인학습자는 단모음의 모음조화 인식에 따라 발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학교 문법에서의 "동화"와 "모음동화"의 처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특히, "활음 첨가", "모음조화"의 기술을 중심으로-

        배영환 ( Young Hwan Bae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2

        이 논문은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 단원에서 기술하고 있는 ‘동화’와 동화의 하위내용인 ‘모음동화’ 중 ‘활음 첨가’와 ‘모음조화’의 처리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학교 문법에서 음운 동화의 일종으로 제시된 ‘동화’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뀐다는 점에서 ‘교체’의 일종이므로 교체와 대등하게 기술될 내용은 아니다. ‘동화’와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은 기준이 다른 음운의 변동의 모습이다. 그런 점에서 음운 변동 양상인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을 기술하고 ‘교체’의 하위분류로 ‘동화’를 설명하는 것이 체계적인 기술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개정 『국어』 교과서 16종 중 이러한 체계를 따른 것은 불과 3종에 지나지 않았다. 그리고 학교 문법의 모음 동화 중 ‘이-순행동화’와 ‘모음조화’는 음운 변동의 양상을 살펴보면 ‘동화’라 보기 어렵다. 특히 ‘이-순행동화’는 <표준 발음>, 『표준국어대사전』, 학교 문법 등의 기술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또, 이는 두 음운 연쇄에 반모음 ‘ㅣ’가 첨가된 것이기 때문에 ‘동화’가 아니라 ‘음운 첨가’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음운 동화에서 다룰 내용이 아니고 음운의 ‘첨가’ 속에서 다루어야 한다. ‘모음조화’의 경우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을 각각 분류할 수 있는 음성학적, 음운론적 자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혹, [양성성]이라는 자질을 만들 수도 있으나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모호하고 무엇보다 그것이 음운의 동화에 어떻게 관여하는 지 알 수 없다. 또 현대국어에서는 음성모음화에 의해 모음조화가 위축되었으므로 더 이상 모음조화는 동화로 볼 수 없다. This is a critical study of "assimilation" as well as "vowel assimilation" which is the subordinate concept of assimilation described in the phoneme change unit of the school grammar. While the contents of school grammar do not necessarily have to match that of scientific grammar, this study dealt with "assimilation" and "vowel assimila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description of school grammar must be logical based on academic grammar and uniform standard in order not to cause confusion for learners. First, the "assimilation" suggested as a phonological assimilation in the school grammar is a type of "alteration" as one phoneme turns into a nother that it shall not be described equally with alteration. "Assimilation", "altera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are the phonological changes of different standards that it would make the description more systematic if the phonological changes such as altera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are described first and then "assimilation" is described as a subordinate concept of "alteration." Also, descriptions in <Standard Pronunciation>, <Korean Dictionary>, and school grammar about ``i-progressive assimilation`` do not match each other. Furthermore, this is rather "phonological insertion" as the semivowel, "i", is added to two phonological strings. This shall not be dealt with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ssimilation but in the area of phonological ``insertion.`` Finally, the vowel harmony that the school grammar treats as a type of vowel assimilation does not have phonetical and phonological features to classify bright vowel and dark vowel. Perhaps, brightness and darkness can be created but their meanings are ambiguous, and above all it is unclear how it is involved with the assimilation of phoneme. Since vowel harmony is contracted by dark vowel in modern Korean, vowel harmony can no longer be considered as assimilation.

      • KCI등재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의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김경표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alternation of ending ‘a/ə’ in stems, from the data of the insular and coastal areas of Jeollanam-do.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case of stem-syllable which is ended in vowel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stem-syllable which is ended in consonants. In the insular and coastal areas, in the case of stem-syllable ended in vowels, a positive vowel, a ‘이’ vowel of one-syllable and more than two-syllables, and a negative vowel of one-syllable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In the negative vowel of more than two-syllables, a type of ‘오으’ and a type of ‘우으’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first vowel of a stem. However, in the stem of ‘바쁘-’, ending ‘a/ə’ shows negative vowelization. ‘르’ irregular verb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one-syllable. When stem-syllables have positive vowel and are ended in consonants, in the type of ‘아’ of one-syllable, ending ‘a/ə’ shows negative vowelization. However, a type of ‘오’ of one-syllable and ‘ㅂ’ irregular verb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and the irregular verbs of more than two-syllable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But in the stem of ‘외롭-’, ending ‘ə’ is realized in Imja, shinan-gun and the southen parts of Jeollanam-do. In the negative vowel of one-syllable, a type of ‘어, 우, 으’ and ‘ㄷ․ㅂ’ irregular verb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But in the stem of ‘춥-’, ending ‘ə’ is realized in Haenam and Wando. In the ‘ㅂ’ irregular verb of more than two-syllables is mainly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And the stem of one-syllable ended in ‘이’ is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의 부사형어미 ‘-아/어’의 실현양상을 밝히기 위해 어간말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와 어간말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로 나누어 살폈다. 전남 도서지역이나 해안지역에서 어간말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양성모음이나 ‘이’모음의 1음절과 2음절 이상의 어간이나 음성모음의 1음절 어간은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음성모음의 2음절 이상의 어간에서는 ‘오으’형이나 ‘우으’형은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나 ‘바쁘-’어간은 부사형어미가 음성모음화되고 있다. ‘르’불규칙 용언의 경우에는 1음절 모음에 따라 부사형어미가 결정된다. 어간말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양성모음일 때는 1음절 ‘아’형은 부사형어미가 음성모음화된 경우가 많으나 1음절 ‘오’형과 ㅂ-불규칙은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2음절 이상 불규칙 용언에서도 모음조화가 지켜지고 있으나 ‘외롭-’어간은 신안 임자와 전남 남쪽지역에서 부사형어미가 ‘-어’로 실현되고 있다. 음성모음의 경우 1음절 어간에서는 ‘어, 우, 으’형이나 ㄷ·ㅂ-불규칙에서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으나 ‘춥-’어간의 경우에는 진도와 완도지역에서 부사형어미가 ‘-어’로 실현되고 있다. 2음절 이상 ㅂ-불규칙 용언에서 모음조화가 대부분 잘 지켜지고 있고 ‘이’모음의 1음절 어간도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모음조화 재고: 말뭉치 기반 계량적 접근

        김선회,남성현 한국현대언어학회 2019 언어연구 Vol.35 No.3

        이미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분석되었던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모음조화 현상을 다시 분석하면서, 본 연구는 SJ-RIKS (Kang and Kim 2009)으로부터 보다 정제된 새로운 말뭉치를 추출하였다. 이 말뭉치는 1,023개의 두 음절 또는 세 음절로 이루어진 완전중첩 음성상징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말뭉치는 음성 상징어들 모두가 <표준국어대사전>에 기재되어 있고 그들 각각의 사용빈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말뭉치와 구별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대체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a] 모음의 중립성은 본 연구의 말뭉치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a]에 관한 Larsen and Heinz(2012)의 제안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이밖에도, 본 연구는 어기 중간에 위치하는 모음의 투명성 여부, 의태어와 의성어의 모음조하 양상의 차이 여부, 모음조화에 끼치는 사용빈도 효과 여부와 같은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모음조화와 관련되니 여러 현상들에 대해 논의한다. Rethinking the issue of vowel harmony in Korean symbolic words, which many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explored, this paper uses a more refined data which is extracted from a large size of corpus, SJ-RIKS (Kang and Kim 2009). The data contains 1,023 totally reduplicated sound symbolic words whose base is composed of two or three syllables. The data is distinct from that of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symbolic words are all listed in Pyo-jun-gug-eo-dai-sa-jeon (Grand Dictionay of Standard Korea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ata contains the use frequency information of symbolic words. By and large,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paper support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it is shown that the partial neutrality of [a] is not found in the data of this paper. Thus, Larsen and Heinz(2012)’s proposal of [a] is not supported by this result.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additional issues of vowel harmony in Korean symbolic words, such as the transparency issue of medial vowels, the difference in vowel harmony between cross-modal symbolic words and onomatopoeic symbolic words, and the issue of use frequency effect on vowel harmony.

      • KCI등재

        한국어 모음추이설에 대한 비판적·종합적 고찰

        고성연(Ko Seongye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이 글은 한국어 모음추이 가설의 지난 50년사를 충실히 돌아보기 위해 쓰인 글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제기된 비판적 논점들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모음추이 가설이 지닌 이론적, 경험적 한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거의 유일한 문헌학적 증거인 몽골어 차용어 자료를 재검토하고 그 이면에 전제된 중세 몽골어에 대한 구개적 조화 이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세 몽골어 모음체계를 혀뿌리 조화 체계로 보아야 한다는 수정주의적 해석(Ko 2013, 2018)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몽골어 모음추이설의 기각, 그리고 그에 따른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기각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수정주의적 해석에 대한 바레레·얀후넨(Barrere & Janhunen 2019)의 반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이 제시한 전통적 해석의 여섯 가지 논거가 몽골어 모음추이설을 끝내 구해내지 못한다는 점을 보였다.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istory, issues,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vowel shift hypothesis(KVS) (Lee 1972). A thorough reevaluation of the plausibility and adequacy of the KVS, combined with various counterexamples and contradictory evidence put forward in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 KVS is simply untenable. One major argument against the hypothesis comes from Ko’s (2013 & 2018) rejection of the Mongolic vowel shift hypothesis (MVS) (Svantesson et al. 2005). Ko’s revisionist view that Middle Mongolian had a tongue root harmony system poses a critical challenge to the proponents of the KVS who took it for granted that Middle Mongolian had a palatal harmony system when comparing the vowel qualities of Middle Korean and Middle Mongolian. This article also critically reviews the most recent arguments presented in favor of the conventional view by Barrere and Janhunen (2019).

      • KCI등재

        훈민정음 모음자의 창제에 대하여 -창제를 설명하고 창제자에 대한 이설을 비판함-

        고광모(Ko Kwang-mo)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훈민정음의 단모음 글자 ㆍ, ㅡ, ㅣ, ㅗ, ㅏ, ㅜ, ㅓ가 처음부터 각각 특정한 모음을 겨냥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각 글자에 모음이 배정됨에 있어서 기준이 된 것은 음절별로 모아 쓴 모양의 짜임새였다. 정광 님은 훈민정음의 모음자를 신미가 만들었다고 주장하는데 그의 주장은 아래와 같은 세부적인 주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글에서 아래의 주장들은 모두 세밀한 검토의 대상이다. ① 훈민정음은 애초에 한자음을 나타내는 발음기호로 만들어졌다. ② 최초의 훈민정음에는 자음자만 있었다. ③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석함으로써 모음자를 따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범자의 영향 덕택이었다. ④ 단모음을 적는 7자는 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에 맞추어 만들어졌다. ⑤ 중세국어에 모음조화가 존재했는지 의심스럽다. ⑥ 중세국어에 모음 ‘ㆍ’가 존재했는지 의심스럽다. 위의 주장들 가운데서 옳은 것은 하나도 없음이 세밀한 검토로써 밝혀진다. 그러니만큼 정광 님의 주장은 사실과 크게 동떨어진 것이다. 한글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모양이 단순하고 체계적이어서 익히기 쉽다는 점인데 그것은 오로지 세종의 뛰어난 창의적 발상의 결과이다. Hunminjeongeum, the Korean alphabet invented in 1443, had seven letters for monophthongs: ㆍ, ㅡ, ㅣ, ㅗ, ㅏ, ㅜ, and ㅓ, which represented /ʌ/, /ɨ/, /i/, /o/, /a/, /u/, and /ə/, respectively.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deciding the letter-vowel correspondence was creating compact syllable block shapes as Hunminjeongeum used a syllable block system. In this system, the word for root, for example, was written as 불휘 (/pulhuj/), not as ㅂㅜㄹㅎㅜㅣ. It is well attested that Hunminjeongeum was invented by King Sejong, but an aberrant claim about the inventor has been raised by Prof. Kwang Chung. He claims that King Sejong only invented the consonant letters while the vowel letters were invented later by a Buddhist monk named Sinmi, who, Prof. Chung believes, was well versed in Sanskrit and ’Phags-pa scripts. His claim comprises the following series of sub-claims: 1. At first, Hunminjeongeum was invented as system of phonetic symbols to represent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2. At first, Hunminjeongeum had only consonant letters. 3. Under the influence of Sanskrit script, it was realized that rhymes could be divided into a nucleus and coda, which led to the invention of vowel letters. 4. The seven letters for monophthongs were modeled on the vowel letters of ’Phags-pa script. 5. It is doubtful that Middle Korean had vowel harmony. 6. It is doubtful that Middle Korean had the vowel /ʌ/ (ㆍ).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none of these claims are reasonable. Claims 3 and 4 are the most important for Prof. Chung, but they are far from the truth. In Korean verbal and nominal inflections, when a vowel-initial suffix is added to a consonant-final stem, the stem-final consonant is disassociated from its coda position and reassociates as an onset of the next syllable. This phenomenon exhibits a nucleus-coda division. Korean speakers cannot be unaware of the fact that rhymes are divided into a nucleus and coda. Thus Claim 3 is groundless. Claim 4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vowel harmony implied in Hunminjeongeum, a commentary on Hunminjeongeum, is similar to that of Middle Mongolian written in ’Phags-pa script. However, both Middle Korean and Middle Mongolian had in common a vowel harmony in which /i/ was neutral and the remaining six monophthongs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which Prof. Chung ignores to maintain his claim. Thus Claim 4 is nonsensical.

      • KCI등재

        함북(咸北) 륙진방언(六鎭方言)의 모음조화(母音調和) 실현(實現) 양상(樣相)에 대하여 - 세대별 차이(差異)를 중심(中心)으로-

        박미혜(朴美慧) ( Piao Mei-hui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본고는 咸北 六鎭方言의 母音調和 實現 樣相에 대해 세대별 差異를 中心으로 이 지역의 세대 간의 언어 變化 樣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간의 音節數에 따라 咸北 六鎭方言 세대별 母音調和 實現은 다른 樣相을 보인다. 첫째, 單音節이고 어간의 개폐(開閉)에 關係없이 어간 음절모음이 ‘ㅏ, ㅗ, ㅐ’인 경우 부사형 어미 ‘-아’를, ‘ㅓ, ㅜ, ㅡ, ㅣ, ㅔ’인 경우 부사형 어미 ‘-어’를 취한다. 그러나 ㅂ-정칙 활용 어간이고 어간말 음절 모음이 음성 모음인 경우 이 지역의 중년층 및 청년층에서는 부사형어미 '-아'로 交替한다. 둘째, 多音節이고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ㅣ, ㅡ, ㅜ’인 경우 선행하는 음절의 모음에 따라 또는 어간의 開閉에 의하여 부사형어미 ‘-아/어X’의 交替가 선택된다. 그러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이고 선행하는 음절 모음이 ‘ㅔ, ㅣ’, 어간 모음이 ‘어-이-우’, ‘으-이-우’와 같은 음절 구조일 경우 세대 간의 實現 樣相의 差異를 보인다. 그리고 ㅂ-정칙활용 어간이고 多音節 어간인 경우 이 지역의 모든 연령층에서는 전부부사형 어미 ‘-아’를 취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language among generations in the Hamkyeongbuk-do yukjin area, focusing on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of vowel harmony in the Hamkyeongbuk-do yukjin dialect. Depending on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stem, the realization of vowel harmony by generations of the Hamkyeongbuk-do yukjin dialect is shows a different pattern. First, in the case of one-syllable word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tem has a coda, if the verbal vowel is ‘a, o, ε’, ending ‘-a’ is followed, and the stems with ‘ə, u, i, i, e’ take ending ‘-ə’. However, the stem is ‘-p’ regular verb and of which final vowel is a dark vowel(ə, u, i, i, e), the middle and young people in this area take the ending ‘-a’. Second, in the case of polysyllabic words, when the final vowel of the stem is ‘i, i, u’, the alternation of ending ‘-a/əX’ is taken according to the preceding vowel or whether the stem is opened of closed. However, if the the final vowel of the stem is ‘u’ and syllable structure of verbal vowel’s types are ‘e-u’, ‘i-u’, ‘ə-i-u’, ‘i-i-u’, the patterns of realization are different among generations. And in the case of the stem is the ‘-p’ regular verb with polysyllabic, all age groups in this area take the ending ‘-a’.

      • KCI등재

        황해도(黃海道) 안악(安岳) 지역어(地域語)의 모음조화(母音調和) 연구(硏究)

        최소연 ( Cui Xiao-ju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이 글의 목적은 黃海道方言에 속하는 安岳 地域語에 대해 形態素 境界에서 母音調和의 實現 樣相을 밝히는 데에 있다. 어간이 單音節인 경우 어간의 開閉와 關係없이 어간 모음이 ‘ㅏ, ㅗ, ㅐ’ 일 때 뒤에 어미 ‘-아’가 結合되고 모음이 ‘ㅓ, ㅔ, ㅣ, ㅜ, ㅡ’일 때뒤에 어미 ‘-어’가 結合된다. 어간이 多音節인 경우, 어간말음절 모음이‘ㅏ, ㅗ, ㅐ’일 때 뒤에 ‘-아’가 結合되고 어간말음절 모음이 ‘ㅓ, ㅔ, ㅣ’일 때 뒤에 어미 ‘-어’가 結合되며 어간말음절 모음이 ‘ㅜ, ㅡ’일 때 뒤에 結合되는 어미가 선행음절의 모음에 의해 결정된다. 不規則 용언 어간인 경우 뒤에 대부분 어미 ‘-아’가 結合되고 있다. 全般的으로 보았을 때 黃海道 安岳 地域語의 母音調和 實現 樣相은 中部方言보다 西北方言에 더 유사하면서도 黃海道方言만의 特徵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alization of the vowel harmony in morpheme boundaries of the Anak dialect, which belongs to Hwanghae-do dialect. In previous studies, Hwanghae-do dialect between the Northwest and the Central dialect has a dialectic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wel harmonization patterns of the Anak dialect in Hwanghae-do, according to the numbers of stem an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syllable vowel of stem, by using the voice materials of the informant from the Anak area located in the northwestern of Hwanghae-do. In Hwanghae-do dialect, it maintains an unstable vowel list of 'i, e, ε, ø, i, □, a, o, u'. Firstly, if the stem is monosyllable, irre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stem, when the vowel of stem is 'a, o, ε',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a'. And when the vowel of stem is '□, e, i, u, i',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 Secondly, when the stem is polysyllable, if the vowel of the last syllable are 'a, o, ε',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a’. And if the vowel of the last syllable is ‘□, e, i, u, i’,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 But if the vowel of the last syllable is ‘u’ or ‘i’, the ending will be determined by the vowel of the leading syllable. Lastly, we discussed the case of the ‘-p’ irregular stem, and found that if the stem is ‘-p’ irregular predicate, in most cases,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a'. Unlike the Northwest dialect and the Central dialect, this is a characteristic of Hwanghae-do dialect. On the whole, it can be said that the vowel harmony of Hwanghae-do Anak dialect is more similar to the Northwest dialect rather the Central dialect, but also has its own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