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학교 문법에서의 "동화"와 "모음동화"의 처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특히, "활음 첨가", "모음조화"의 기술을 중심으로-
배영환 ( Young Hwan Bae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2
이 논문은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 단원에서 기술하고 있는 ‘동화’와 동화의 하위내용인 ‘모음동화’ 중 ‘활음 첨가’와 ‘모음조화’의 처리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학교 문법에서 음운 동화의 일종으로 제시된 ‘동화’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뀐다는 점에서 ‘교체’의 일종이므로 교체와 대등하게 기술될 내용은 아니다. ‘동화’와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은 기준이 다른 음운의 변동의 모습이다. 그런 점에서 음운 변동 양상인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을 기술하고 ‘교체’의 하위분류로 ‘동화’를 설명하는 것이 체계적인 기술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개정 『국어』 교과서 16종 중 이러한 체계를 따른 것은 불과 3종에 지나지 않았다. 그리고 학교 문법의 모음 동화 중 ‘이-순행동화’와 ‘모음조화’는 음운 변동의 양상을 살펴보면 ‘동화’라 보기 어렵다. 특히 ‘이-순행동화’는 <표준 발음>, 『표준국어대사전』, 학교 문법 등의 기술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또, 이는 두 음운 연쇄에 반모음 ‘ㅣ’가 첨가된 것이기 때문에 ‘동화’가 아니라 ‘음운 첨가’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음운 동화에서 다룰 내용이 아니고 음운의 ‘첨가’ 속에서 다루어야 한다. ‘모음조화’의 경우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을 각각 분류할 수 있는 음성학적, 음운론적 자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혹, [양성성]이라는 자질을 만들 수도 있으나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모호하고 무엇보다 그것이 음운의 동화에 어떻게 관여하는 지 알 수 없다. 또 현대국어에서는 음성모음화에 의해 모음조화가 위축되었으므로 더 이상 모음조화는 동화로 볼 수 없다. This is a critical study of "assimilation" as well as "vowel assimilation" which is the subordinate concept of assimilation described in the phoneme change unit of the school grammar. While the contents of school grammar do not necessarily have to match that of scientific grammar, this study dealt with "assimilation" and "vowel assimila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description of school grammar must be logical based on academic grammar and uniform standard in order not to cause confusion for learners. First, the "assimilation" suggested as a phonological assimilation in the school grammar is a type of "alteration" as one phoneme turns into a nother that it shall not be described equally with alteration. "Assimilation", "altera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are the phonological changes of different standards that it would make the description more systematic if the phonological changes such as altera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are described first and then "assimilation" is described as a subordinate concept of "alteration." Also, descriptions in <Standard Pronunciation>, <Korean Dictionary>, and school grammar about ``i-progressive assimilation`` do not match each other. Furthermore, this is rather "phonological insertion" as the semivowel, "i", is added to two phonological strings. This shall not be dealt with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ssimilation but in the area of phonological ``insertion.`` Finally, the vowel harmony that the school grammar treats as a type of vowel assimilation does not have phonetical and phonological features to classify bright vowel and dark vowel. Perhaps, brightness and darkness can be created but their meanings are ambiguous, and above all it is unclear how it is involved with the assimilation of phoneme. Since vowel harmony is contracted by dark vowel in modern Korean, vowel harmony can no longer be considered as assimilation.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간의 상관관계
하영우,안성민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monophthongs pronunciation errors and vowel harmony inMongolian Korean learners. To this end, a survey wasconducted of 70 Mongolian learners on the perception ofKorean vowels. As a result, in the survey, the majority oflearners classified Korean /ㅏ, ㅓ, ㅗ/ as male vowels, /ㅔ(ㅐ),ㅜ/ as female vowels, and /ㅡ/ as neutral. However, dependingon the learners’ level, /ㅣ/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aneutral or female vowel. Afterward, based on these findings, ina separate analysis 5 female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verified as having a very high pronunciation error rate inmale-female vowel combination and in female-male vowelcombination that do not harmonized vowels. In addition,pronunciation errors that contained vowel harmony conditionswere more prominent in male_female vowel combination than infemale-male vowel combination. Moreover, the error rate of /ㅣ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owel harmony classificationtype. For instance, when /ㅣ/ vowels were classified as aneutral vowel, the first and second vowel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Still, when classified as a female vowel,pronunciation errors increased when linked to male vowels. Theresearch findings clearly show Mongolian learners mayexperience pronunciation error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of vowel harmony of monophthongs. 이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 오류와 모음조화 현상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몽골인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ㅏ, ㅓ, ㅗ/를 남성 모음으로, /ㅔ(ㅐ)/, /ㅜ/를 여성 모음으로, /ㅡ/를 중립 모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우세하였다. /ㅣ/는숙달도에 따라 중립 또는 여성 모음으로 분류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후 여성 몽골인한국어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모음조화 조건에 따른 단모음 오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출 실험에서 몽골인 학습자는 모음조화 위배 조건인 남성_여성 연쇄와여성_남성 연쇄에서 발음 오류율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음조화 조건에 따른 발음 오류는 남성_여성 모음 연쇄 조건이 여성_남성 모음 연쇄 조건에 비해 작용력이 강했다. 두 유형으로 분류되었던 /ㅣ/는 모음조화 유형 분류 방식에 따라 오류율이 상이했다. 중립 모음으로 분류한 경우 선후행하는 모음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성 모음으로 분류한 경우 남성 모음과 연쇄할 때 발음 오류가 증가했다. 이를 통해 몽골인학습자는 단모음의 모음조화 인식에 따라 발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의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김경표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alternation of ending ‘a/ə’ in stems, from the data of the insular and coastal areas of Jeollanam-do.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case of stem-syllable which is ended in vowel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stem-syllable which is ended in consonants. In the insular and coastal areas, in the case of stem-syllable ended in vowels, a positive vowel, a ‘이’ vowel of one-syllable and more than two-syllables, and a negative vowel of one-syllable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In the negative vowel of more than two-syllables, a type of ‘오으’ and a type of ‘우으’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first vowel of a stem. However, in the stem of ‘바쁘-’, ending ‘a/ə’ shows negative vowelization. ‘르’ irregular verb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one-syllable. When stem-syllables have positive vowel and are ended in consonants, in the type of ‘아’ of one-syllable, ending ‘a/ə’ shows negative vowelization. However, a type of ‘오’ of one-syllable and ‘ㅂ’ irregular verb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and the irregular verbs of more than two-syllable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But in the stem of ‘외롭-’, ending ‘ə’ is realized in Imja, shinan-gun and the southen parts of Jeollanam-do. In the negative vowel of one-syllable, a type of ‘어, 우, 으’ and ‘ㄷ․ㅂ’ irregular verbs are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But in the stem of ‘춥-’, ending ‘ə’ is realized in Haenam and Wando. In the ‘ㅂ’ irregular verb of more than two-syllables is mainly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And the stem of one-syllable ended in ‘이’ is alternat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vowel of a stem. 전남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의 부사형어미 ‘-아/어’의 실현양상을 밝히기 위해 어간말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와 어간말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로 나누어 살폈다. 전남 도서지역이나 해안지역에서 어간말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양성모음이나 ‘이’모음의 1음절과 2음절 이상의 어간이나 음성모음의 1음절 어간은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음성모음의 2음절 이상의 어간에서는 ‘오으’형이나 ‘우으’형은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나 ‘바쁘-’어간은 부사형어미가 음성모음화되고 있다. ‘르’불규칙 용언의 경우에는 1음절 모음에 따라 부사형어미가 결정된다. 어간말음절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양성모음일 때는 1음절 ‘아’형은 부사형어미가 음성모음화된 경우가 많으나 1음절 ‘오’형과 ㅂ-불규칙은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2음절 이상 불규칙 용언에서도 모음조화가 지켜지고 있으나 ‘외롭-’어간은 신안 임자와 전남 남쪽지역에서 부사형어미가 ‘-어’로 실현되고 있다. 음성모음의 경우 1음절 어간에서는 ‘어, 우, 으’형이나 ㄷ·ㅂ-불규칙에서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으나 ‘춥-’어간의 경우에는 진도와 완도지역에서 부사형어미가 ‘-어’로 실현되고 있다. 2음절 이상 ㅂ-불규칙 용언에서 모음조화가 대부분 잘 지켜지고 있고 ‘이’모음의 1음절 어간도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다.
고성연(Ko Seongye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이 글은 한국어 모음추이 가설의 지난 50년사를 충실히 돌아보기 위해 쓰인 글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제기된 비판적 논점들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모음추이 가설이 지닌 이론적, 경험적 한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거의 유일한 문헌학적 증거인 몽골어 차용어 자료를 재검토하고 그 이면에 전제된 중세 몽골어에 대한 구개적 조화 이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세 몽골어 모음체계를 혀뿌리 조화 체계로 보아야 한다는 수정주의적 해석(Ko 2013, 2018)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몽골어 모음추이설의 기각, 그리고 그에 따른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기각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수정주의적 해석에 대한 바레레·얀후넨(Barrere & Janhunen 2019)의 반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이 제시한 전통적 해석의 여섯 가지 논거가 몽골어 모음추이설을 끝내 구해내지 못한다는 점을 보였다.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istory, issues,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vowel shift hypothesis(KVS) (Lee 1972). A thorough reevaluation of the plausibility and adequacy of the KVS, combined with various counterexamples and contradictory evidence put forward in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 KVS is simply untenable. One major argument against the hypothesis comes from Ko’s (2013 & 2018) rejection of the Mongolic vowel shift hypothesis (MVS) (Svantesson et al. 2005). Ko’s revisionist view that Middle Mongolian had a tongue root harmony system poses a critical challenge to the proponents of the KVS who took it for granted that Middle Mongolian had a palatal harmony system when comparing the vowel qualities of Middle Korean and Middle Mongolian. This article also critically reviews the most recent arguments presented in favor of the conventional view by Barrere and Janhunen (2019).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모음조화 재고: 말뭉치 기반 계량적 접근
김선회,남성현 한국현대언어학회 2019 언어연구 Vol.35 No.3
이미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분석되었던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모음조화 현상을 다시 분석하면서, 본 연구는 SJ-RIKS (Kang and Kim 2009)으로부터 보다 정제된 새로운 말뭉치를 추출하였다. 이 말뭉치는 1,023개의 두 음절 또는 세 음절로 이루어진 완전중첩 음성상징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말뭉치는 음성 상징어들 모두가 <표준국어대사전>에 기재되어 있고 그들 각각의 사용빈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말뭉치와 구별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대체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a] 모음의 중립성은 본 연구의 말뭉치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a]에 관한 Larsen and Heinz(2012)의 제안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이밖에도, 본 연구는 어기 중간에 위치하는 모음의 투명성 여부, 의태어와 의성어의 모음조하 양상의 차이 여부, 모음조화에 끼치는 사용빈도 효과 여부와 같은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모음조화와 관련되니 여러 현상들에 대해 논의한다. Rethinking the issue of vowel harmony in Korean symbolic words, which many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explored, this paper uses a more refined data which is extracted from a large size of corpus, SJ-RIKS (Kang and Kim 2009). The data contains 1,023 totally reduplicated sound symbolic words whose base is composed of two or three syllables. The data is distinct from that of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symbolic words are all listed in Pyo-jun-gug-eo-dai-sa-jeon (Grand Dictionay of Standard Korea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data contains the use frequency information of symbolic words. By and large,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paper support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it is shown that the partial neutrality of [a] is not found in the data of this paper. Thus, Larsen and Heinz(2012)’s proposal of [a] is not supported by this result.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additional issues of vowel harmony in Korean symbolic words, such as the transparency issue of medial vowels, the difference in vowel harmony between cross-modal symbolic words and onomatopoeic symbolic words, and the issue of use frequency effect on vowel harmony.
훈민정음 모음자의 창제에 대하여 -창제를 설명하고 창제자에 대한 이설을 비판함-
고광모(Ko Kwang-mo)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훈민정음의 단모음 글자 ㆍ, ㅡ, ㅣ, ㅗ, ㅏ, ㅜ, ㅓ가 처음부터 각각 특정한 모음을 겨냥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각 글자에 모음이 배정됨에 있어서 기준이 된 것은 음절별로 모아 쓴 모양의 짜임새였다. 정광 님은 훈민정음의 모음자를 신미가 만들었다고 주장하는데 그의 주장은 아래와 같은 세부적인 주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글에서 아래의 주장들은 모두 세밀한 검토의 대상이다. ① 훈민정음은 애초에 한자음을 나타내는 발음기호로 만들어졌다. ② 최초의 훈민정음에는 자음자만 있었다. ③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석함으로써 모음자를 따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범자의 영향 덕택이었다. ④ 단모음을 적는 7자는 파스파 문자의 모음자에 맞추어 만들어졌다. ⑤ 중세국어에 모음조화가 존재했는지 의심스럽다. ⑥ 중세국어에 모음 ‘ㆍ’가 존재했는지 의심스럽다. 위의 주장들 가운데서 옳은 것은 하나도 없음이 세밀한 검토로써 밝혀진다. 그러니만큼 정광 님의 주장은 사실과 크게 동떨어진 것이다. 한글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모양이 단순하고 체계적이어서 익히기 쉽다는 점인데 그것은 오로지 세종의 뛰어난 창의적 발상의 결과이다. Hunminjeongeum, the Korean alphabet invented in 1443, had seven letters for monophthongs: ㆍ, ㅡ, ㅣ, ㅗ, ㅏ, ㅜ, and ㅓ, which represented /ʌ/, /ɨ/, /i/, /o/, /a/, /u/, and /ə/, respectively.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deciding the letter-vowel correspondence was creating compact syllable block shapes as Hunminjeongeum used a syllable block system. In this system, the word for root, for example, was written as 불휘 (/pulhuj/), not as ㅂㅜㄹㅎㅜㅣ. It is well attested that Hunminjeongeum was invented by King Sejong, but an aberrant claim about the inventor has been raised by Prof. Kwang Chung. He claims that King Sejong only invented the consonant letters while the vowel letters were invented later by a Buddhist monk named Sinmi, who, Prof. Chung believes, was well versed in Sanskrit and ’Phags-pa scripts. His claim comprises the following series of sub-claims: 1. At first, Hunminjeongeum was invented as system of phonetic symbols to represent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2. At first, Hunminjeongeum had only consonant letters. 3. Under the influence of Sanskrit script, it was realized that rhymes could be divided into a nucleus and coda, which led to the invention of vowel letters. 4. The seven letters for monophthongs were modeled on the vowel letters of ’Phags-pa script. 5. It is doubtful that Middle Korean had vowel harmony. 6. It is doubtful that Middle Korean had the vowel /ʌ/ (ㆍ).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none of these claims are reasonable. Claims 3 and 4 are the most important for Prof. Chung, but they are far from the truth. In Korean verbal and nominal inflections, when a vowel-initial suffix is added to a consonant-final stem, the stem-final consonant is disassociated from its coda position and reassociates as an onset of the next syllable. This phenomenon exhibits a nucleus-coda division. Korean speakers cannot be unaware of the fact that rhymes are divided into a nucleus and coda. Thus Claim 3 is groundless. Claim 4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vowel harmony implied in Hunminjeongeum, a commentary on Hunminjeongeum, is similar to that of Middle Mongolian written in ’Phags-pa script. However, both Middle Korean and Middle Mongolian had in common a vowel harmony in which /i/ was neutral and the remaining six monophthongs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which Prof. Chung ignores to maintain his claim. Thus Claim 4 is nonsensical.
권미소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이 글은 제주방언 용언 어간과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부사형어미 ‘-아/어X’의 교체양상을 검토하여 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 것이다. 즉, 현재 제주방언에서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기술하고, 이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주방언의 단음절 어간과, 다음절 어간이면서 개음절인 경우 부사형어미 ‘-앙/엉’의 교체는 모음조화 현상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양성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음들은 ‘-아X’를 취하고, 음성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음들은 부사형어미 ‘-어X’를취한다는 일종의 공식이 적용되는 것이다. 다만 ‘ㅂ’으로 끝나는 단음절 어간 중 음성모음임에도 ‘-아X’를 취하는 예외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단음절이면서 개음절 어간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인 경우에는 부사형어미 ‘-엉’이 결합하나 다음절이면서 개음절 어간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인 경우에는 부사형어미 ‘-앙’을 취하고 있다는 점과, 그 가운데 일부 어간이 이전 시기의 활용형을그대로 유지하여 부사형어미 ‘-앙’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을 이 방언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어X’형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자리에 ‘–아X’형이 나타나는 것을‘공시적 언어 체계 속에 남아 있는 이전 시기 언어의 흔적’으로 보았다. 즉, 이전 시기의 언어 요소가 변화를 겪지 않은 예외임을 말하는 것이다. 어간의 재구조화 등이 나타나더라도 이전 시기의 활용형들이 화석화되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결국 어떠한 음운 변화가 적용될 때는 기저형에서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활용형 각각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폐음절 어간의 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 또한 어간말 음절 모음의 음운론적 성격과 관련되는바 특히 모음조화의 모음 부류를 변화시키는 모음변화가 관계하더라도 ‘-앙/엉’의 교체는 이전 버릇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이는 음운체계가 변화해도모음조화와 관련된 ‘-앙/엉’ 교체는 여전히 일부 과거의 질서에 묶여 있음을 보여주는것이라고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attern of replacement of the adverbialending ‘-아/어X’ that appears in combination with the predicate stemin the Jeju dialect and attempts to interpret it. In addition, the purposewas to describe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how the replacement ofthe adverbial ending ‘-아/어X’ occurs in the current Jeju dialect. In the case of monosyllabic stems and polysyllabic stems in the Jejudialect, as well as stem-final vowels that are open syllables, thereplacement of the adverbial ending ‘-아/어X’ seems to maintain thephenomenon of vowel harmony. In other words, a kind of formula isapplied in which vowels that can be classified as positive vowels take‘-아X’, and vowels that can be classified as negative vowels take theadverbial ending ‘-어X’.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ome exceptionsalso exist. If it is monosyllabic and the stem-final syllable vowel of theopen-syllable stem is ‘ㅜ’, the adverbial ending ‘-엉’ is combined;however, when it is polysyllabic and the vowel of the stem-finalsyllable of the open-syllable stem is ‘ㅜ’, the characteristic of thisdialect is that it takes the adverbial ending ‘-앙’. In this article, the appearance of type ‘-아’ in the place where type‘-어’ is expected to appear was seen as ‘a trace of language from aprevious period remaining in the synchronic language system.’ In other words, this is an exception in which language elements from theprevious period did not undergo change. It was judged that theseirregularities appear because conjugations were fossilized in the previousperiod and were not in harmony with the synchronic phonologicaldescription system. Meanwhile, the replacement of the adverbial ending ‘-아/어’ in theclosed syllable stem of the Jeju dialect is related to the phonologicalnature of the final syllable vowel of the stem and in particular, evenif a vowel change that changes the vowel class of vowel harmony isinvolved, the replacement of ‘-앙/엉’ is also considered to maintain theprevious habit.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even if the phonologicalsystem changes, the ‘-앙/엉’ replacement related to vowel harmony isstill tied to some of the past order.
김수영(Kim, Sooyoung)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2 No.-
이 글은 경기 방언 모음조화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방언 내에서의 분포를 바탕으로 그러한 양상이 형성된 과정을 논의하였다. 경기 방언의 모음조화는 폐음절 ‘아’, ‘오’ 말음 어간, 2음절 개음절 ‘우’, ‘으’ 말음 어간, ‘ㅂ’ 불규칙 어간의 실현 양상에 있어서 경기 북부와 경기 남부가 구분되는 양상을 보인다. 즉 경기 북부에서는 이들 어간이 주로 ‘아’계 어미와 결합하고, 경기 남부에서는 어간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주로 ‘어’계 어미와 결합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분포의 형성 과정에는 충남 방언에서 시작된 ‘어’계 어미의 확산과, 중부 방언의 특징인 비어두 위치 ‘오>우’ 고모음화가 영향을 미쳤다. 즉 이 두 가지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경기 남부와 그렇지 않은 경기 북부로 구분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alization of the vowel harmony of the Gyeonggi dialect and discussed the process of forming such aspects based on the distribution in the dialect. The vowel harmony of the Gyeonggi dialect shows the aspect that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and southern part of Gyeonggi are distinguished in the relization of the stem-final ‘아’, ‘오’, ‘우’, ‘으’ and the ‘ㅂ’ irregular conjugated stems. Thus, In the northen part of Gyeonggi, this stems are mostly combined with the ending ‘-아’, but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this stems are mostly combined with the ending ‘-어’. The formation of this distribution was influenced by the spread of the ending ‘-어’ that started in the Chungnam dialect and the vowel raising of the ‘오>우’. Thus, the Gyeonggi dialect is divided into the southern part which is affected these two changes and the northern part which is not affected by.
김동은 한국방언학회 2024 방언학 Vol.0 No.39
본 연구는 ≪한국방언자료집≫과 ≪지역어 조사 보고서≫, ≪지역별· 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동남 방언과 서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 변화를 방언 분포를 통해 살피고, 이와 관련한 음운 현상을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남 방언에서는 ‘ㅡ’와 ‘ㅓ’의 변별이 1930년대생 화자에게서부터 가능해지기 시작하였고, 서남 방언에서 ‘ㅔ’와 ‘ㅐ’의변별은 1970년대생 화자들부터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서남방언 단모음 ‘ㅟ’, ‘ㅚ’가 이중모음으로 실현되는 것은 이보다 조금 더 늦게일어났다는 사실 역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들을 통해 두 방언권의 모음 체계는 결과적으로 7모음(/i, E, ɨ, ə, a, u, o/) 체계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음 체계의 변화와 함께 고모음화 및 모음조화에도 일정한변화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s of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dialects based on data from ≪한국방언자료집≫, ≪지역어 조사 보고서≫, and ≪지역별·세대별 언어 다양성 조사≫. The purpose is to investigate vowel system change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dialects and to explain the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t was fou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ㅡ’ and ‘ㅓ’ in southeastern dialects began to be possible from speakers born in the 1930s,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ㅔ’ and ‘ㅐ’ in southwestern dialects became impossible from speakers born in the 1970s. It was also not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diphthongs ‘ㅟ’ and ‘ㅚ’ as monophthongs in southwestern dialects occurred slightly later. Through these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vowel systems of the two dialect areas ultimately converge to a 7-vowel system(/i, E, ɨ, ə, a, u, o/).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certain changes in vowel harmony and high-vowelization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vowel system.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민요 녹음 자료와 19세기말 국어의 모음 및 모음조화
유필재 진단학회 2014 진단학보 Vol.- No.122
이 논문에서는 미국 의회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민요 녹음 자료의 언어가 19세기말의 서울, 경기방언인 것으로 추정하고 녹음 자료에서 관찰되는 몇몇 모음과 모음조화를 검토하였다. 자료의 양이 적기 때문에 현상을 분석할 때는 같은 시기에 간행된 문헌 자료를 참조하고 서울, 경기방언에서의 변화의 방향도 고려하였다. 19세말 어두에서는 단순모음 /ㅔ/와 /ㅐ/가 분명히 대립되나 비어두에서는 그렇지 않다. 속격 조사는 현재와 같이 당시에도 이미 中和된 /ㅔ/(혹은 /ㅐ/)로 발음되었다. 이중모음 ‘ㅢ’는 비어두 위치에서는 主音이 /으/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어간 모음이 ‘오’일 때는 ‘아’계 어미를 취하지만 어간 모음이 ‘아’일 때는 ‘어’계 어미 역시 나타나는데 이는 현재의 서울방언과 같은 양상이다. We are here concerned with recordings of Korean songs in the US Library of Congress. The late 19th century Seoul and Kyeonggi Korean is reflected in these recordings. Some phonological facts are found from the recordings. Vowel /e/ and /ɛ/ are distinguished in initial syllables but not in non-initial syllables. Genitive particle is pronounced in [E], which is the result of neutralization of /e/ and /ɛ/. Diphthong /ɨj/(or /ɨi/) is found in non-initial syllables. Not only ‘-a’ but also ‘-eo’ occur after inflecting stems with an /a/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