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 黑龍江省 群力 바위그림과 단군신화

        서영대(Suh, Young-Dae) 고조선단군학회 2016 고조선단군학 Vol.34 No.-

        이 글은 중국학자 李洪甫의 새로운 견해, 즉 중국 흑룡강성 海林市 柴河鎭에 위치한 군력 바위그림에 단군이 그려져 있다는 학설을 검토해 본 것이다. 검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는데, 첫째로는 문제의 군력 바위그림 자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군력 바위그림과 관련되는 기초적인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즉 군력 바위그림의 위치를 설명하고, 발견 경위와 조사 과정을 살펴본 다음, 그림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그림의 의미에 대한 기왕의 견해들을 살펴보고, 필자 나름대로의 해석도 제시해 보았다. 즉 군력 바위그림은 〈오른쪽 위〉에 있는 신령의 부부를 향한 의례의 여러 장면을 표현한 것이고, 의례의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서 인간의 소망이 항상 신령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했다. 또 제작 시기와 제작자 문제를 거론하여 신석기시대로 보는 설부터 당송시대로 보는 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견해들을 시대 순으로 정리해 보았다. 둘째로는 군력 바위그림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견해를 내놓은 李洪甫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李洪甫의 견해를 요약했는데, 그것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즉 먼저 李洪甫의 견해의 바탕을 이루는 논문을 살핌으로서 단군에 대한 그의 인식의 대강을 파악했고, 다음으로 군력 바위그림에 단군이 그려져 있다는 주장의 논거들을 추려 보았다. 그래서 李洪甫의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크게 6 가지로 정리하여 보았다. 즉 ①크고 중요한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논거 제시가 빈약한 점, ②군력 바위그림의 판독에 문제가 있는 점, ③단군이란 명칭을 단목 아래에 정좌하고 있는 군장이란 의미로 해석한 데 무리가 있다는 점, ④군력 바위그림이 있는 목단강 유역을 낙랑군 지역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점, ⑤군력 바위그림에 단군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단군상과 다른 그림과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하지 못하여, 그림의 전체적 의미를 드러내지 못한 점, ⑥군력 바위그림이 단군과 관련이 있다면, 단군신화와 시베리아와의 관련을 부정하는 자신의 설에 오히려 불리한 증거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李洪甫의 새로운 견해는 수긍하기 어렵다고 했고, 현재로서는 군력 바위그림과 단군을 연결시키는 것은 부정적이라고 결론을 맺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w theory of Li-Hong Fu, one of Chinese scholar, which insisted on one painting drawing on Qun-Li rock painting is portrayed Tangun, a founder of ancient Chosen. At first, I explained outlines of Qun-Li rock painting, for examples, the location of Qun-Li rock painting, process of discovery and investigation, contents of paintings, meanings of paintings, making time and painter. Most of my explanations are summary of existing achievements on Qun-Li rock painting, but I added one thing that a aim of this rock painting. As my opinion, man seated upper left are god and goddess like master of nature. And the aim of draw paintings where very difficult to access is for communication with these god and goddess ceaselessly and so accomplish their wishes, as success of hunting and fishing. Second, I summarize theories of Li-Hong Fu’s on identification of ichnography on Qun-Li rock painting. As his theory, drawing on upper left side of rock painting is Tangun, because not only his hat and mantle which he dressed represented he is king, but also his figure seated under the tree is significance of Tangun, which means king who seated under the sanders tree. All the more, he added another evidence, that the basin of Mudanjiang river valley(Qun-Li rock painting is located on this basin) was area of Tangun Chosen. But I think his theory had many problems. ①Ground of his argument is so obscure that it cannot verify his theory. ②Arbitrariness of his decipherment on Qun-Li rock painting. ③Meaning of Tangun is not the king seated under the tree. ④The basin of Mudanjiang river valley was not area of Tangun Chosen. ⑤He did not suggest relationships between paintings and did not interpretate the whole meaning of Qun-Li rock painting. ⑥If the man who portrayed on Qun-Li rock painting were Tangun, it deny his theory that Tangun Chosen was builded by Chinese in result. So I did not agree his theory, and did not accept the possibility that man who portrayed on Qun-Li rock painting is Tangun.

      • KCI등재

        檀君紀元과 『古記』

        박대재(Park, Dae-Jae)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이 글에서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단군 관련 연대 기록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성격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三國遺事』 고조선조에 인용된 「魏書」, 「古記」와 『帝王韻紀』등에는 단군의 즉위원년 및 통치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먼저 「위서」 에서 ‘2천년 전’에 단군이 조선을 개국했다는 것은, 그 기록의 기준 시점이 부여나 고구려의 건국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음을 살펴보았다. 즉 부여나 고구려의 건국신화에서 그 前史로 2,000년 전 단군의 조선 건국이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기』 에 보이는 단군원년이 庚寅年이었다는 기록은, 唐開元15년(727)에 편찬된 一行의 『大衍曆』에 기초한 것임을 밝혀보았다. 단군원년 庚寅年으로부터 통치기간 1,500년을 계산하면, 箕子가 조선에 受封된 己卯年과 간지상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은『고기』가 기자의 시기를 단군의 통치기간 내에 포함시켜 이해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이다. 즉 단군의 퇴위는 기자의 수봉 시점이 아니라 阿斯達山神이 된 시점에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고기』 에서는 단군의 壽가 1,908세라고 하였는데, 구체적인 숫자라는 점에서 계산에 의해서 산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1,908세는 단군이 아사달산신이 된 후, 즉 단군 통치기간 1,500년 이후 『고기』 의 기록 시점까지의 연수를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즉 단군의 통치기간 1,500년과 1,908세를 합한 3,408년은, 단군원년으로부터 고기 기록 시점까지의 연수를 積算한 檀君紀元의 다른 표현인 것이다. 檀君紀元은 『제왕운기』에서도 확인되는데, 新羅의 敬順王이 귀부한 高麗 太祖18년(935)이 단군원년으로부터 3,288년이 되는 해라고 하였다. 다만 『제왕운기』 에서는 劉恕의 通鑑外紀를 따라 단군원년을 戊辰年으로 비정하여, 『大衍曆』 을 따른 『고기』 의 庚寅年과 기준 연대에서 차이가 난다. 이러한 연대 차이를 감안하고 계산하면, 『고기』의 단군기원 3408년은 고려 태조 즉위년인 918년을 기준 시점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단군 관련 『고기』 가 王建이 신왕으로 즉위하고 高麗가 개국한 시점에 정리된 기록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고기』 의 성격과 고려시대의 단군 전승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reevaluate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bout an epoch in relation to Tan’gun(檀君), which has been overlooked for a long time. I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Wei Shu(the Book of Wei; 魏書), Koki(the Old Records; 古記) quoted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and Chewangun’gi(帝王韻紀), there are records of the literal date of the accession and the reign of Tan’gun. First, this paper analyzed Wei Shu’s record that Tan’gun founded Chosun “two thousand years ago”, and concluded the reference point of this record would relate to the foundation Puyŏ or Koguryŏ.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the record about the foundation of Tan’gun’s Chosun passed down with the founding myths of Puyŏ or Koguryŏ as an exordium. This paper then clarified that a record in Koki referring the first year of Tan’gun to the year of Gengyin (metal tiger; 庚寅) was originated from Daiyan calendar (大衍暦), a book which was published in the 15th year of Kaiyuan(開元) of Tang dynasty (A.D. 727). If counting 1500 years of his reign from the first year of Tan’gun, the chronicle does not match the historical record, since the year Chinese regime invested Kicha(箕子) with Chosun was the year of Jimao(Earth Rabbit; 己卯). This discordance was a result of Koki’s misjudgment that included Kicha’s time in the reign of Tan’gun. Namely, the time Tan’gun’s abdicated was not when Kicha was installed, but when Tan’gun became the mountain god of Asatal(阿斯達). Koki also noted that Tan’gun’s age was 1908.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umber of his age is not approximate nor symbolic but literal, it is likely the record of Tan’gun’s age was based on a certain calculation. The age of 1,908 indicates a number of years from the time he became a local mountain god to the point of Koki’s record, counted from after his reign of 1500 years. Thus, the year of 3408, the sum of Tan’gun’s reign of 1500 years and his age of 1908, is arguably integration of years from the first year of Tan‘gun to the reference date of Koki’s record, written as the year of Tan’gun(檀君紀元). The year of Tan’gun could be found in Chewangun’gi as well. The document recorded that the 18<SUP>th</SUP> year of T’aecho(太祖) in Goryeo(高麗) dynasty(935) was the 3288<SUP>th</SUP> year , counting from the first year of Tan’gun. Yet Chewangun’gi estimated the first year of Tan’gun as the year of Wuchen(Earth Dragon;戊辰) in accordance with Liu Shu’s(劉恕) Tongjianwaiji(通鑑外紀), a method which makes the year different from Koki’s epoch based on Daiyan calendar. Considering this difference in the reference year, the year of 3408 is a result of calculation using the coronation year of T’aecho, the year of 918, as a reference date. It implies that Koki’s records about Tan’gun were compiled at the time Goryeo was founded. This fact will be an important evidence to interpret the process how records of Tan’gun passed down in the Goryeo era.

      • 단군의 호적등본

        반재원 한국정신과학학회 2017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9 No.1

        『홍사한은』은 한웅과 단군 등 상고사에 대한 기록이다. 이 책은 최면길이 서기 1691년 신묘년에 초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지금까지 어느 사서에도 거론된 적이 없는 왕검단군의 고향과 어머니와 부인의 이름이 기록되어있어서 한걸음 더 역사시대로바꾸어주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홍사한은』을 근거로하여 한웅과 단군을 신화에서 역사시대로 확실하게 빼내어 오고자한다. 1. 왕검단군의 본적지는 연길이다. 2. 왕검 단군의 생년월일은 서기전 2370년 5월 2일 인시이다. 3. 왕검단군의 첫 도읍지는 하얼빈 완달산맥 아사달이다. 4. 왕검단군의 아버지는 단웅, 어머니는 교웅, 부인은 태원, 아들은 부루, 부소, 부우, 부여이다. 5. 왕검단군 초상화의 어깨와 허리의 풀잎은 마늘잎과 쑥잎이다. 『Hongsa haneun』was the record of the oldest ancient history about Hanwoong and Dangun. This book was recorded by Choi Myeon-Gil in AC 1691. This book was recorded Wang-geom Dangun’s hometown and the name of his mother and wife. So this book led a chance to turn myth into history. 1. Wang-geom Dangun was born in Yeongil. 2.Wang-geom Dangun was born AM 3~5(tiger time) second May BC 2370. 3.First Capital city of Wang-geom Dangun is Asadal in Harbin, a chain of Wandal mountains. 4.Wang-geom Dangun’s father is Danung, his mother is Gyoung, his wife is Taewon, his sons are Buru, Buso, Buu, Buyeo. 5.The things about the shoulder and the waist of his portrait are garlic leaves and mugwort leaves.

      • 단군신앙의 형성과 전개

        김의숙(Eui-Sook Ki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江原民俗學 Vol.21 No.-

        한민족의 원 시조로서의 단군과 고조선은 한민족의 본향이며 좌표이다. 그래서 고난의 고비마다 단군을 구심점으로 하는 대동단결과 통합의 기치 아래 외세에 대항하고 내부의 결속을 다져왔다. 따라서 단군에 대한 숭배와 신앙은 민족의 자주성 확립과 국난극복의 에너지로 작용하고 나아가 민족공동체의식을 진작하는 밑거름이 되어왔다. 단군에 대한 신앙은 대체로 삼분법적(三分法的)인 방향에서 전개된다. 곧 단군은 초월적 신령체, 역사적 원시조체(元始祖體), 축제적 캐릭터 등으로 등장하며, 그에 따른 존경과 신앙심이 한국사상과 민중의식으로 구현되어 자리잡고 있다. 초월적 신령체로서의 단군 숭배는 개개인과 사회에 행복과 무사 안녕을 점지하여 주는 신령으로서의 믿음으로 대종교와 무속(巫俗)단체들의 신앙양상이다. 역사적 원시조체로서의 단군 숭배는 단군을 민족의 원시조로서 숭배하는 사회단체의 믿음과 존경 양상이다. 축제적 캐릭터로서의 단군 숭배는 단군의 위대한 자취와 이념을 제의적 축제로 승화시켜 민족정신을 고취시키고자 한 축제(祝祭)의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여 행사하는 예술적 페스티벌이나 제례가 그것이다. 이상의 세 양상으로 전개하는 단체나 조직은 한국사회 속에 부지기수로 많다. 이렇게 단군의 명호를 표방하고 숭배하며 신앙하는 단체와 축제가 많다는 것이 단군을 향한 관심과 믿음이 한국인의 심성에 깊고 폭넓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이는 증거이다. Tangun and Kojoseon-The country built by Tangun-are the founder and the origin of Korean people. When Koreans were confronted by a national crisis they gathered under the flag of unity and integration that center Tangun to overcome the difficulty. So, worships and faith about Tangun were a foundation of establishing nation’s independence, overcoming national crisis and advancing nation’s community spirit. Faith about Tangun generally appears in three directions. It appears as a transcendental existence, historical founder and festival character. Respect and worship of Tangun is settled in Korean’s thought and public consciousness. Worship of Tangun as a transcendence existence is shown by “Taejoeng” religion and shamanism group’s belief which blesses with a happiness and safety to individual and society. Worship of Tangun asa historical founder appears by respect and worship of Tangun as a historical founder by social groups. Worship of Tangun as a festival character is shown by art festivals and rituals which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s. They sublimate Tangun’s great trace and ideology to ceremonial festivals to inculcate people with ethos. There are numerous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unfold by Tangun’s three characters in Korean society. It proves that belief and concern about Tangun is deeply effected in Korean’s mentality.

      • KCI등재

        단군과 신도: 1930년대 중반 최남선의 단군 신앙 부흥론과 심전개발

        윤영실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6

        This essay, examining Namsun Choi's ‘pro-Japanese’ activities and writings in the mid-1930's, intends to reconstruct his internal causes and logics. He had researched on Josun nation(民族)'s origin, tradition, and history under the political prospects of Josun's independence from Japan until the 1920's and led to the notions like ‘historically constructed nation’ and ‘heterogeneous culture’. However, he regared the sudden changes of situations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1931) and Josun people's mental lethargy as ‘the emergency’ and returned from the path of scholars to the way of political activists, pursuing ‘mental revival’ of Josun by religious worship of Dangun. Choi, intending to revive worship of Dangun which had been an object of suppression by the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took ‘dangerous steps’ toward relating Dangun with Japanese Shindo and cooperating ‘Mind Development Policy’ of the imperial Japan. However, his logic of Josun's native belief = Dangun = the Oriental Shindo theoretically succeeded to his thoughts of ‘Bulham’ culture area in the 1920's. He, basing on the similarity of founding myths in the Northeastern countries, insisted that Dangun wa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the ancient times. Moreover, he persuaded the colonial authorities to allow of worship of Dangun and make harmonious relation between Japan and Josun, not the rule over the latter by the former, depending on Shindo doctrine like ‘worship of gods and ancestors’ and ‘theocracy’. Choi tried to spread worship of Dangun among Josun people by cooperating the Mind Development Policy of the colonial government. However, there was a wide gap between the colonial(Murayama Jijun, Akiba Takashi) and the colonized(Neunghwa Lee,Namsun Choi) over the Josun's native religion as we can see in Lectures on the Mind Development. The Japanese authorities defined native religion of Josun as vulgar worship of ‘ghosts’ and suppressed it as an object of breaking down superstition while Choi and Lee insisted on the similarity between Jonsun's native worship of Dangun and Japanese and East Asian Shindo. In the end, Choi's pursuit for revival of Dangun worship under the shield of Shindo and the religious brotherhood between Japan and Josun failed but he tried again to realize his dream on the larger stage of Manchuria in the late 1930's. 본고는 1930년대 중반 본격화된 최남선의 ‘친일’ 행적과 글쓰기를 촘촘히 규명하여 그 내적 동기와 논리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1920년대까지 조선민족의독립이라는 정치적 전망 아래 조선민족의 기원과 전통, 역사를 파악하는 데 주력했던 최남선은 1930년경 ‘역사적 민족론’과 ‘혼종적 문화론’을 통해 일정한사상적 결실을 거둔다. 그러나 1930년대 만주의 정세변화와 조선인들의 정신적무기력감을 급박한 ‘비상시’로 파악한 최남선은 ‘학자’에서 ‘지사’의 길로 되돌아가, 단군 신앙 부흥을 통한 조선민족의 ‘정신작흥’을 도모한다. 식민지에서 경계와 탄압의 대상이 되었던 ‘단군’을 대중의 신앙으로 부활시키기 위해 최남선은 단군을 일본 ‘신도’와 연결시키고 총독부의 심전개발정책에 적극 협조하는 ‘위태한 행정’을 펼친다. 그러나 최남선의 조선 고유신앙=단군= 고신도론은 학리적인 면에서 1920년대 동북아문화권론의 연장선상에놓여있었다. 최남선은 동북아시아 건국신화의 유사성에 기대 ‘단군’이 고대 조선의 역사적 실체임을 주장했으며, ‘경신숭조(敬神崇祖)’, ‘마츠리코토(神政)’ 등신도의 명분을 빌어 조선인에게 ‘단군’ 신앙을 허할 것과 조선에 대한 ‘통치’가아닌 ‘신 안에서’ 진정한 ‘융화’ 정책을 펼칠 것을 주장했다. 최남선은 총독부의 심전개발론에 호응함으로써 단군 신앙 부흥을 정책에 반영하고자 시도했다. 그러나 『심전개발에 관한 강연집』에 실린 조선의 ‘고유신앙’에 관한 4편의 글은 이를 둘러싼 제국(무라야마 지준, 아키바 다카시)과 식민지 학자들(이능화, 최남선)의 선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준다. 총독부는 조선의‘고유신앙’을 귀신신앙으로 규정하여 미신타파의 대상으로 삼는 한편, 단군이아닌 ‘국혼신’을 제신으로 삼아 식민지인들의 단군 신앙을 효과적으로 억눌렀다. 신도의 틀 안에서 단군 신앙 부흥과 진정한 내선일체를 꿈꿨던 최남선의전략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 꿈은 ‘만주’라는 더 큰 무대를 배경으로 다시 한번 펼쳐진다.

      •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김명옥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3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남·북한에서 단군신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다. 일제식민사학자들은 식민지배이데올로기로서 일선동조론을 창안한다. 한편 시라토리 구라키치는 일본 국체가 다른 나라의 영향 없이 유구한 존재로 형성되었다는 논리를 보증하기 위해 일선동조론을 비판하고 단군부정론을 만든다. 단군부정론은 두 가지다. 단군은 고려시대 불교의 영향을 받아만들어진 신화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주몽전설의 이본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민족사학자들은 단군부정론을 비판하며 역사적 실체로서 단군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북한은 1960년대 초에 고조선의 중심지와 강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단군신화도 연구되었다. 북한은 고조선의 건국신화로 단군신화를 인식했다. 그러나 90년대 사회주의권의 몰락으로 우리식 사회주의를 창안하면서 북한은 고조선의 중심을 평양으로, 고조선 건국시기를 30세기로 끌어올려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 반면 남한의 강단사학계는 일제식민사학자들이 창안한 단군부정론을 그대로계승했다. 단군신화가 주몽설화 이본이라는 설과 묘향산의 산신 연기설화 혹은불교의 영향설을 그대로 추종한다. 한편 ‘단군의 역사성’이란 말로도 단군부정론을 호도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민족의 침략과 일제강점기처럼 나라와 민족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단군을 중심으로 결집하는데, 이것이 단군의 역사성이라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국가의 위기 때마다 호명되어 전승되는 것을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한다. 강단사학계가 주장하는 ‘단군의 역사성’ 은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즉 ‘단군신화 전승사’를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조원진(Cho, Won-Chin)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북한의 단군 인식과 단군민족주의는 시대에 따라 큰 변화를 보여왔다. 해방 후 북한에서는 고조선의 건국시조로서 단군의 역사성을 긍정적으로 파악한 견해와 부정적으로 인식한 견해가 한동안 공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에는 리상호에 의해 단군신화의 역사성에 대한 자세한 검토가 있었다. 그러나 단군의 역사성과 고조선의 건국시조로서 단군의 위치가 확고하게 자리잡은 것은 아니었다. 1970년대 이후 북한은 주체사상이 부각되며 민족주의가 강하게 표방된다. 나아가 ‘조선민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단군에 대한 연구가 강인숙에 의해 본격적으로 다시 시작된다. 『조선전사』(1979, 1991)를 보면 단군은 고조선의 건국 시조로 확실히 자리잡는다. 그러나 아직 단군이 민족 전체의 시조로 부각되지는 못했다. 민족주의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면서 민족에 대한 상징적 구심점이 필요하게 되었고 평양지역을 강조할 필요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1993년 단군릉 발굴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은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부각시키고 전조선(단군조선) 시기에 조선민족이 형성되었다고 주장하게 된다. 그러나 오랫동안 민족의 시조로 인식되어온 단군의 존재는 남북한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통일을 이루어낼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북한의 단군 인식과 단군민족주의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견해 차이를 좁힐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의 공동연구와 관련 유적의 공동 조사 및 발굴 같은 지속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North Korean perception of Dangun and Dangun nationalism has shown a huge change with the times.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it seems that a positive view and a negative view of the historicality of Dangun coexisted for a long time. In 1960s, there was a specific study on Dangun mythology by Lee Sang-ho. However, the historicality of Dangun and the position of Dangun as the founder of Old Joseon were not firmly established. Since 1970, North Korea"s Juche Idea has been highlighted and its nationalism has been professed. Further, the term "Joseon nation" began to be used. A study on Dangun was wholeheartedly resumed by Gang In-suk.『Joseon Jeonsa(조선전사)』 published in 1979 and 1991 shows that Dangun well established himself as the Founder of Old Joseon. However, Dangun did not yet emerge as the founder of the entire Korean nation. Later, as interest in nationalism was getting stronger, the center of the nation was needed, the need to emphasize the Pyeongyang area was presented as well. After all, it can be seen that this situation emerged due to the excavation of Dangun tomb. This made North Korea characterize Dangun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and claimed that Joseon nation was formed in the pre-Joseon era. However, the existence of Dangun who has been perceived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nation for long is still important in that it can be the center of recovering the homogeneity of South and North Koreans and achieving unifi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critically accept such North Korean perception of Dangun and Dangun-nationalism to narrow the differences of views. For this, continuos exchanges such as joint research, and a joint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of relevant remains by the two Koreas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20세기 한국의 단군 연구와 최근의 경향 -다른 종교 전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주실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6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2 No.-

        13세기말 고려 『삼국유사」 에 단군신화가 최초로 기록된 이후 20세기까지도 단군 연구는 허구로서의 신화와 사실로서의 역사라는 이분법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글은 20세기의 단군 연구들 중에서 특별히 종교적 성격을 지닌 연구들을 신화와 역사의 이분법에 따라 일단 살펴보고, 이러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지는 최근의 단군 연구 경향과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20세기 초에는 일제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말살하고자 단군을 허구로 치부한 데 반발하여, 민족종교와 그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 단군의 실재를 인정함은 물콘, 종교 적으로 단군을 숭봉하는 입장에서 단군을 연구하였다. 한편 20세기 중반 이후, 기독 교 토착화를 시도한 신학자들은 단군의 사실성에 관심을 두기보다, 선교적인 관점으 로 기독교의 전통 교리 내에서 단군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데 치중하였다 민족종교 측과 기독교 측의 연구 시각은 신화와 역사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있어 서로의 차이를 좁히기 어려웠고, 비교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문제를 낳았다. 이는 단 군신화가 역사신화라는 점을 간과하여 비롯된 문제이다. 역사신화는 그것을 참된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단군신화는 한민족의 역사 안에서 끊임없이 되풀이 되어온 "살아있는 신화"로서, 허 구와 사실의 이분법을 벗어나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반영하여 20세기말 단군신화를 고대 근동종교의 신화와 비교한 연구들이 나왔고, 21세기에 들 어와서는 단군의 종교 교육적 가치와 종교 윤리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도 나오고 있 다. 이처럼 최근의 다양한 단군 연구는 현재 한국의 다종교 상황에서도 단군신화가 민족공동체의 화합과 발전을 도모하는 살아있는 신화로 기능할 수 있는 인식적인 기 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단군신화의 구조 연구 -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

        조원진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8

        Structure shown in Samgukyusa and Jewangunki's Dangun Mythology are:Hwanung-Dangun Birth-Founding-city changes-the end. Hwanung part of the story and the birth of Dangun is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pecific foundation courses or achievements. This is a common founding myth and other facts. This is because the Tangun myth Over the long history of the castle was lost. Dangun was the faith and worship of this period is mainly target. Here is one of Dangun Old joseon history was recorded as the full reign. The achievements of the founder and the founding of the process is omitted, this was recorded as one of Dangun ruled the entire history of Old joseon. Tangun will take place in the early Joseon's national bird. Yet omitted the mystical stories and birth Hwanung part. Samgugsajeolyo and Dongguk- tonggam is to convey minimal historical facts about the founding of Dangun. Dangun more than thousand years reign saw descendants ruled that the sum of all ages. Dangun to break the rule of perception about 1,000 years because it has been inserted in Kija article later. The Goryeosa, Dongkukyeojiseungram is to convey the Dangun remains as Chamsungdan, Dangun's Tomb. Late joseon literature says there had been the name of Dangun Wanggom. It also features that highlight the cultural achievements of Dangun. In particular, Pyojeumjudongkuksaryack and Dongsa are recorded so as much as the other founding myth Dangun myth structure is balanced. Dangun myth structure in the Goryeo Dynasty literature is part of the birth was emphasized. Dangun myth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ha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achievements and history of Dangun. Especially telling that Dangun's name Wanggom, reveals his achievements and related sites. 본고에서는 다양한 문헌에 나타난 단군신화를 특히 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단군신화는 궁극적으로 단군의 고조선 건국을 말해주는 것이지만 전승마다 강조되고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단군신화를 이루는 탄생, 건국, 치적 등의 각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무엇을 표현하는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건국신화의 구조는 탄생-건국과정-치적-최후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고려후기의 문헌인 『三國遺事』와 『帝王韻紀』의 경우 단군의 아버지 환웅의 치적과 단군의 탄생 부분은 자세하지만 건국 이후에는 고조선의 역사가 마치 한 사람의 단군이 다스린 것처럼 묘사하며 간단히 끝맺고 있다. 이것은 단군신화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역사성보다는 지역 공동체의 신앙과 숭배 대상으로서만 기능함으로 신비로운 요소의 환웅신화와 탄생이야기만 남고 한사람의 단군이 고조선 전체를 다스린 것처럼 기록하여 건국자의 치적과 건국과정은 탈락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인식을 수긍할 수 없었기에 단군의 이름, 치적, 무덤 등이 기록된 다른 전승을 참고하여 단군의 역사성을 복원하려고 했을 것이다. 고려후기․조선전기 문헌에 나타나는 단군은 한 개인이라기보다는 고조선을 통치한 상징적인 존재처럼 기록된다. 그러나 후대 문헌에서는 다른 전승을 이용하여 단군의 이름이 왕검이었고 가족관계와 치적, 관련유적을 밝히며 한명의 건국자로서 역사성이 부각된다. 이와같이 보았을 때 단군신화의 구조는 고려후기에는 신성한 탄생이 강조되었다면 조선시대에는 점차 역사성을 강조하여 단군의 치적을 강조하는 구조를 갖게 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남북한 단군영정의 통일을 위한 제안

        우실하 고조선단군학회 2018 고조선단군학 Vol.38 No.-

        남북한은 단군을 공통의 국조로 모시는 단일민족이다. 그러나 현재는, (1) 남북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단군영정도 서로 다르고, (2) 민간에서 출판된 책에서는 공인 영정과도 다른 다양한 단군의 모습이 사용되고 있다. 남북한의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첫 걸음으로 남북한 학자들의 ‘남북한 단군영정 통일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런 필자의 제안이 받아들여진다면, 남북한의 관련 학자와 단체들이 협의하여 ‘남북 공동 학술회의’를 통해 차근차근 ‘통일된 단군영정’을 준비해갈 수 있을 것이다. 이글에서 필자가 제안한 것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단군영정의 존안(尊顔) 모습은 요서, 요동, 한반도 북부 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여러 두개골의 평균치를 바탕으로 만들어져야한다. 둘째, 두발과 의복(衣服) 문제는 각 분야별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남북한 학자들의 고증과 의견 검토를 거쳐 통일된 모습을 영정에 담아내야 한다. 참고로 홍산문화 시기부터 이미 신분이 높은 사람은 두발을 위로 올려 정갈하게 정리하였고, 마제형통관을 쓰고 있었다는 점을 기억해두어야 한다. 셋째, 새로운 남북한 통일 단군영정에는 귀고리를 달아야한다. 귀고리의 모습은 옥결(玉玦)이나 금결(金玦)의 형태일 것으로 본다. 앞서 논의했다시피, (1) 만주일대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남녀가 모두 귀고리를 했었고, (2) 북방민족들은 지속적으로 남성도 귀고리를 했었으며, (3) 우리나라에서도 선조 5년(1572)까지는 남성이 귀고리를 했었기 때문이다. 넷째, 현재 사용되는 단군 영정 가운데 어깨와 허리부분을 나뭇잎이나 풀떼기로 장식한 것은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요하문명의 새로운 발견은 단군조선이 건설되는 시기에 이미 발달된 문명사회에 들어섰음을 웅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의 모습은 ‘늙은 할아버지 모습’이어서는 안 되며, (1) 평상시의 ‘건장한 장년의 모습’의 모습과, (2) 비파형동검을 들고 청동제 투구와 갑옷 그리고 청동제 단추로 장식된 장화를 신고 있는 ‘비파형동검은 든 장군 모습’이 모두 가능하고 본다. 물론 이것은 아직은 필자의 개인적 제안일 뿐이다. 이후에, 남북한의 관련 전문가들과의 학술회의, 의견교환 등을 통해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며 지혜를 모아야할 것이다. The two Koreas are a single nation that serves Dangun as a common Korean forefather. At present, however, (1) Dangun-portrait is officially used in North and South Kore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2) in the books published in the private sector, various forms of Dangun-portraits are also used. As a first step to prepare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 would like to propose ‘A unification of Dangun-portrait Proje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f this suggestion is accepted, the scholars and organizations of the two Koreas will be able to prepare a unified Dangun-portrait through the 'Inter-Korean Joint Conference'. Here is a summary of what I suggested in this article. First, the figure of Dangun should be based on the average figure of the bones found in the Bronze Age ruins of Liaoning Province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econd,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of each field, the problem of Dangun’s hair and clothes should be reviewed by the scholars of North and South Korea. For referenc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ose who already had a high status from the era of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BC 4500-3000), put their hair up and wear a jade-crown. Third, the newly unified Dangun-portrait should wear earrings. The appearance of the earring is considered to be in the form of jade-ring(玉玦) or gold-ring(金玦). As discussed above, (1) men and women have earrings from the Neolithic period in Manchuria, (2) northern peoples have consistently wear earrings, (3) in Korea, men and women wear earrings until 1572. Fourth, the decoration of the shoulders and the waist part of the presently used Dangun-portrait with leaves and grasses should no longer be used. It is because the new discovery of the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has spoken of the fact that it entered the civilized society which was already developed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Dangun-Joseon Dynasty. Fifth, the figure of Dangun should not be 'a old grandfather'. Two kinds of Dangun figures are possible. Normal figure of Dangun is 'a healthy adult man'. And another one is decorated with mandolin-shaped bronze sword, bronze helmet, and a Boots with bronze button. That is a General's appearance. Of course this is still my personal suggestion. After that, we should gather up wisdom by taking steps along the way through conferences and exchanges of opinions with related specialists of the two Ko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