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默齋 金墪의 南冥學 繼承 樣相

        구경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Sangsan Kim Family'(商山金氏)ve lived Sancheong(山淸) for 630 years. And They led ideas, academics, and literature. Nammyong(南冥) Cho Sik(曺植)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status. Kim Haeng(金行) is the son-in-law and disciple of Nammyong. Not only that, Daehajae(大瑕齋) Kim Kyung-geun(金景謹, 1559-1597), Jonyangjae(存養齋) Kim Eung-gyu(金應奎, 1581-1648), Dunjae(遁齋) Kim Bok-mun(金復文, 1590-1629), Yucheong(幼淸) Kim Hwak(金確, 1615-1690), Goejeong(槐亭) Kim Sang-geup(金尙, 1621-1686), Sosan(小山) Kim Seok(金碩, 1627- 1680), and Mukjae(黙齋) Kim Don(金墪, 1702-1770) are all disciples of Nammyong. In the 17th century, Nammyung Studies was suppressed by regime change, and they were even more persecuted by the riots that took place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ituation, the disciples of the Nammyong School revised 『Nam-Myongjip(南冥集)』 and organized list of students for the sake of mental solidarity. At this time, Kim Don received family tradition. And He was inherited Nammyong's School vein. His performance can be seen from the participation in correcting Sisal(廝殺) way of training was maintained through Irilsin(日日新) and Gubangsim(求放心) An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nd writing the epilogue of the book. Kim D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ncluding Sangudang(尙友堂) Kim I-pyo(金履杓, 1812-1881), Dangye(端磎) Kim In-seop(金麟燮, 1827-1903), and Mulcheon(勿川) Kim Jin-ho(金鎭祜, 1845-1908). 산청지역 법물리의 상산김씨는 630년을 한 지역에서 세거해오면서 이 지역의 사상·학문·문학을 주도하는 위상을 갖추며 오늘날까지 이어가고 있다. 특히 상산김씨 가문의 위상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인물로는 南冥 曺植을 빼 놓을 수 없다. 남명의 문인으로는 남명의 사위였던 金行을 비롯하여 大瑕齋 金景謹(1559-1597), 存養齋 金應奎(1581-1648), 遁齋 金復文(1590-1629), 幼淸 金確(1615-1690), 槐亭 金尙 (1621-1686), 小山 金碩(1627-1680), 默齋 金墪(1702-1770) 등이 있다. 남명학파는 17세기 癸亥政變을 겪고 18세기 戊申亂을 치르는 동안 100여 년이 넘도록 정치적 탄압을 받아 滅失되는 위기에 처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명학파의 문인들은 남명학파의 결집을 다지기 위해 『남명집』을 개정하고 門人錄을 정리하였고, 남명의 문묘종사에 대한 청원을 이어나가 남명학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金墪은 가학을 통해 남명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 김돈의 남명학 계승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日日新과 求放心을 통해 남명의 廝殺的 수양 자세를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명의 문집 부록의 문인록인 『山海師友淵源錄』을 교정하고 그 발문을 지어, 남명을 程朱學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그의 학통을 정립하고 潰散된 남명학파의 명맥을 밝혀 남명학파를 결집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김돈의 이와 같은 행적은 후손 尙友堂 金履杓(1812-1881)·端磎 金麟燮(1827- 1903)·勿川 金鎭祜(1845-1908) 등 19세기~20세기의 법물리 상산김씨를 주도하는 인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Frederick William Baller가 編纂한 漢語敎材 『日日新』

        金薰鎬 ( Kim Hoon-ho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4

        淸代官話羅馬字母官話課本(Mandarin Book)有: 馬禮遜的『五車韻府』, 富善的『官話萃珍』, 威妥瑪的『語言自邇集』, 翟理斯的『漢語無師自明』, 鮑康寧的『英華合璧』和『日日新』。 鮑康寧是內地會(the Inland Mission)英國人來華的基督敎傳敎士, 他于1873年抵中國。『日日新』(A Idiom a Lesson)是1920年由英國傳敎士Frederick William Baller(中國名: 鮑康寧)編纂的官話課本(Mandarin Book)。該課本所記的語音了解20世紀初期北京, 南京官話的實際情況。『日日新』在汉语研究史上具有重要的地位。 『日日新』所記載的北京官话口語和今天的北京话的音系已无异, 与其他同时期出版的北京官话著作如『尋津錄』, 『語言自邇集』, 『約翰福音書』, 『华英袖珍字典』及『官話萃珍』『漢語無師自明』, 『英華合璧』的音系相同。在『日日新』的语言特点说明, 『日日新』记載了的20世纪初期北京官话的演变向現代普通話的演变靠拢。 Mandarin Book of the Qing Dynasty contains: 『Dictionary in the Chinese Language』, 『A Character Study in Mandarin Colloquial』,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Chinese Without a Teacher』, 『A Mandarin Primer』. Frederick William Baller, a Christian missionary who came to China in 1873, arrived in China. 『A Idiom a Lesson』 is a Mandarin Book compiled by the English missionary Frederick William Baller in 1920. This textbook has made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actual situation of official dialect in Peking and Nank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A Idiom a Less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 research. 『A Idiom a Lesson』 is no different from 『A Character Study in Mandarin Colloquial』, 『A progressive course designed to assist the Student of Colloquial Chinese』, 『Chinese Without a Teacher』 of Mandarin period.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A Idiom a Lesson』 indicate that the evolution of Peking dialect recorded by 『A Idiom a Lesson』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closer to the evolution of modern Mandarin.

      • 안중근 관계자료와 <滿洲日日新聞>

        신운용 남북문화예술학회 2008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2

        본고는 우선 안중근 관계 사료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안중근의거를 가 장 많이 보도한 『만주일일신문』을 중심으로 그 보도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대략적인 안중근 관계자료를 소개하였다. 특히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일본의 사료와 러시아의 사료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안중근의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사료는 당시에 발행된 각국의 신문들이다. 국내 신문으로는 『대한매일신보』․『황성신문』을 들 수 있다. 전자는 안중근의거를 긍 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후자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물론 두 신 문의 노선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안중근의거를 집중적으로 다룬 해외의 한인신문은 대표적으로 노령의 『대동공보』, 미주의 『신한민보』․『신한국보』를 들 수 있다. 이 신문들은 안중근의거를 높이 평가하면서 일제의 한국침략을 각국에 알리는 역할을 충실히 하였다.안중근 연구에서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신문사료는 『만주일일신문』이다. 이는 가 장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안중근의거를 보도하였다. 이 신문을 통해, 천주교 측의 인식, 사진관계, 공판 준비와 개정전후의 상황, 공판진행상황과 공판내용, 변호사 관계, 면회상황관계, 옥중생활, 受刑 상황(안중근의 최후)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신문의 대체적인 안중근의거 보도는 부정적이었던 것 같다. 그러한 가운데 서도 『民吁日報』, 『上海週報』, 『自由新報』의 안중근평가는 이채롭기까지 하다. 특히, 『民吁日報』는 안중근의거를 서구에서의 혁명투쟁의 연장선에서 인류의 人 道철학을 일변시킨 위대한 사건이라고 하여 중국의 어느 사건보다도 높이 평가하 였다. 러시아 신문도 대체적으로 안중근의거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Речь (말)』․『Восточная заря(동방의 여명)』․『Новая жизнь(신생활)』 등의 신문 은 안중근의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사를 게재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청일전쟁 전후 일본 규슈(九州) 구마모토(熊本) 지역 국권주의 정당의 조선 ‘진출’ 논리의 전개 -자명회(紫溟會)-구마모토 국권당(熊本國權黨)의 여론 조성 활동을 중심으로-

        문일웅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3

        Shimeikai(紫溟會), which was Japan’s Kumamoto Kokkento(熊本國權黨), was organized mainly by traditional influential people within the area after the Seinan Senso(西南戰爭, Satsuma Rebellion) to claim to support the reconstruction of Kumamoto(熊本). They took precaution agains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trends of thoughts in Japan and, at the same time, promoted a new political order around the emperor by overthrowing the Meiji oligarchy government. It was the concept of “expansion of national sovereignty” that they mobilized as the logic to keep the traditional order in the area and face the Meiji oligarchy government. Their logic behind Japan’s “advancement” into Joseon(朝鮮) was argued against this backdrop. For them, “advancement” into Joseon was a measure to maintain their vested rights in the area while following the traditional theory of contempt for Joseon.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Kumamoto Kokkento, which was a political party under Shimeikai, engaged actively in the activity of “advancing” into Joseon by jumping on the bandwagon of Japan’s political superiority to Joseon. They used “advancement” into Joseon to maintain their vested rights in the area. For this, they tried to move local people of Kumamoto to Joseon for economic gains and corrode the Japanese influence over Joseon. These efforts of Kumamoto Kokkento were systemized by the foundation of “Josenkai(朝鮮會)” comprised of the local community leaders of Kumamoto. They believed that the local people of Kumamoto should take the lead in Japan’s advancement into Joseon. It was possible to approach Kumamoto Kokkento’s theory of “advancing” into Jose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their newspapers including Kyushu nichinichishinbun Newspaper(九州日日新聞) and Hanseongshinbo(漢城新報). They considered the “assimilation” of Joseon people a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ir influence to settle down in Joseon completely. It was their belief that Joseon people should be Japanized so that both Japan and Joseon could gain from it. There was, of course, their intention to fulfill the goal of Japanese people’s stable “advancement” into Joseon behind their perception rather than their care for Joseon people. In addition, Kumamoto Kokkento tried to exercise their influence on Japanese officials by taking the lead in the integration of social opinions among Japanese people living in Joseon whose communities were established around open ports around Joseon. These positions of Kumamoto Kokkento played huge roles in the formation of a Japanese community in Joseon and the basis of their opinions that had enormous impacts on Japan’s colonial policies. 본 논문은 일본의 규슈 지역 국권주의 집단인 자명회(紫溟會) 계열 정치 세력이 청일전쟁 전후시기 전개했던 조선 ‘진출’ 논리를 다루고 있다. 자명회 계열 정치 세력은 청일전쟁 이후 재조일본인 사회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재조일본인 사회의 여론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청일전쟁 전후 이들의 조선 ‘진출’ 논리는 초창기 재조일본인 사회의 조선 인식 단면을 확인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자명회의 결성과 이들이 견지했던 사상, 특히 조선과 관련한 입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명회는 1877년 일본의 세이난 전쟁 이후 구마모토의 재건을 표방하여 지역내 전통적 유력자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지역내 전통질서를 유지하는 한편 서구적 개혁을 추구했던 번벌정부에 맞서고자 ‘국권 확장’의 논리를 내세웠으며, 이들의 조선 ‘진출’ 논리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서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었다. 이어 본 논문에서는 일본인의 도항이 급격하게 증가했던 청일전쟁 전후 시기 자명회 계열 정치 세력인 구마모토 국권당(熊本國權黨)의 조선 ‘진출’의 논리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구마모토 국권당이 일본에서 발간한 신문인 규슈일일신문(九州日日新聞) 과 조선 서울에서 발행한 신문인 한성신보(漢城新報) 의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자명회 계열 정치 세력이 재조일본인 사회를 형성하면서 자신들의 전통적 사조를 기반으로 하여 일본 정부 및 조선 사회와는 다른 재조일본인만의 여론을 형성하고자 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청일전쟁 개전 시기의 『동경일일신문(東京日日新聞)』

        최석완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일본학 Vol.38 No.-

        本論文は、日本政府による開戦外交が展開されていた一八九四年六月初から、七月末までの日本言論の性格と役割を検討したものである。特に、日本政府の機関紙的存在として知られている 『東京日日新聞』の社説の論調を中心として、その性格の変化や政府の政策との相互関連の構造などを究明したものである。その結果は、大体つぎのよう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る。第二章では、社説による朝鮮現状維持論の性格を分析した。その過程のなかで、日清戦争を回避しようとする姿勢や、朝鮮の中立国化をはかり、またそれによって朝鮮の独立体制を守ろうとする社説の態度などが浮かび上がった。このような姿勢と、開戦への道を歩んでいた日本政府の強硬論との間には、格差が存在したといえる。第三章では、朝鮮内政改革論が登場して定着していく過程を検討した。社説は、朝鮮内政改革案に対する清国の拒絶をきっかけに、日本政府の対清強硬論に急速に近づいていった。また、早期開戦を主張する国内の世論を牽制することによって、日本政府が開戦外交を主導的に展開していくことができるように、側面で支援する役割を果たした。第四章では、朝鮮に派遣された日本軍の性格を、単なる派遣軍から長期駐屯を前提にした治安維持軍として位置づけることによって、治安の維持を朝鮮政策の目的として定着していく過程を確認した。また、日本政府の構想を越える大規模の日清戦争を想定することによって、政府の開戦政策に一定の圧力として作用した部分もあ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た。最後に第五章では、日本が単独で朝鮮を保護する主体になることの正当化をはかるため、その間、展開してきた天津条約に対する歪曲を基盤とし、清国の宗主権を否定したことを指摘した。あわせて列強からの支持を引き出すため、日清戦争が不可避であることを対外的に訴えることに出たことを究明した。社説は、朝鮮政策の目的や天津条約の意味に対する持続的な歪曲を通じ、朝鮮の内政改革を妨害する清国を文明の敵と看做す論理を作り出した。また、日本が内政改革を担当することは、文明国としてだけではなく、東アジアの伝統的な国際秩序から見ても正当であるとの観点を構築した。その過程で、朝鮮に対する保護権だけでなく、近代的宗主権の獲得をも追求した。社説の観点から見れば、日清戦争は、このような日本の権益を鞏固にするため、通り抜けなければならない過程であったといえよう。

      • KCI등재

        日据時期大連報刊業狀皇述論 -以≪遼東新報≫、≪灣洲日日新聞≫和≪泰東日報≫爲重点

        곽철장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2

        本文系統論述了日本殖民統治時期,大連地區報刊業發展、變化的基本狀況。本文將日本殖民統治大連時期對報刊業的統制與"管理"分爲兩個時期進行論述,卽 "輿論自由"時期(1905-1931年)和對大連新聞進行統制與"滿洲弘報協會"時期(1931-1945年)。在"輿論自由"時期,由於日本殖民當局采取所謂"中日親善"政策,對大連地區報刊的發展采取某種程度的寬松政策,故這一時期大連地區的報刊業有較大的發展。但應指出的是,這種發展是以不觸動日本殖民當局的根本利益爲前提的;如若觸動到日本殖民當局的根本利益,則日本殖民當局是會毫不客氣地堅決予以取締或封殺的。在第二個時期,在日本殖民當局的統制與壓迫下,殘存的一些大連報刊業已完全淪爲日本殖民主義者爲發動侵略戰爭而進行歪曲宣傳和報道的輿論工具,而那些不願服從"管理"和統制的報刊則都被毫不客氣的予以封殺、兼亞或取締了。

      • KCI등재

        日据时期大连报刊业状况述论 —以≪辽东新报≫、≪满洲日日新闻≫和≪泰东日报≫为重点

        곽철장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2

        本文系统论述了日本殖民统治时期,大连地区报刊业发展、变化的基本状况。本文将日本殖民统治大连时期对报刊业的统制与“管理”分为两个时期进行论述,即“舆论自由”时期(1905-1931年)和对大连新闻进行统制与“满洲弘报协会”时期(1931-1945年)。在“舆论自由”时期,由于日本殖民当局采取所谓“中日亲善”政策,对大连地区报刊的发展采取某种程度的宽松政策,故这一时期大连地区的报刊业有较大的发展。但应指出的是,这种发展是以不触动日本殖民当局的根本利益为前提的;如若触动到日本殖民当局的根本利益,则日本殖民当局是会毫不客气地坚决予以取缔或封杀的。在第二个时期,在日本殖民当局的统制与压迫下,残存的一些大连报刊业已完全沦为日本殖民主义者为发动侵略战争而进行歪曲宣传和报道的舆论工具,而那些不愿服从“管理”和统制的报刊则都被毫不客气的予以封杀、兼并或取缔了。

      • KCI등재

        식민지 시기 박팔양 시에 나타난 ‘생명의식’과 미학적 전위의 형상화

        최호영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이 글의 목적은 식민지 시기 박팔양의 시에 나타나는 ‘생명’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일제 말기 암흑기의 상황 속에서 어떠한 미학적 전위의 가능성으로 표출되고 있었는가를해명하는데 있다. 1920년대 초기 시인들과 긴밀한 교유관계를 맺었던 박팔양은 그들의 문학적 출발점과 마찬가지로 ‘폐허의식’을 통해 ‘생명의식’의 맹아를 키워갔다. 이는 그의 시에서‘폐허’로 표상되는 조선의 현실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세계를 지향하려는 방랑을 그리거나 ‘목숨’으로 표상되는 ‘생명’의 약동을 느끼고 이를 적극적으로 향유하려는 자세를 내보이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거슬러 올라가보면 이러한 ‘생명’에 관한 인식은 세계의 중심원리를 ‘생명’ 에 두려는 일본의 ‘다이쇼 생명주의’에서 적잖이 촉발되었다. 실제로 박팔양은 자연과 문명을대비시키는 관점을 지속적으로 견지하는 가운데, 개별적 생명체가 모성적 공간을 바탕으로 우주적 차원의 생명 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일제 말기 암흑기의 상황에서 그는 조선 민족의 고유한 문화가 형성되어온 내력을 탐색함으로써 자신의 역사적 위치를자각하는 한편, ‘지금-여기’에 도래할 혁명적 시간을 불러옴으로써 ‘생명의식’을 지탱해간다. 이런 점은 그의 시에서 현재의 시간을 ‘겨울’로 설정하고서 ‘선구자’에 의해 ‘생명’의 탄생과약동이 이루어지는 ‘봄’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나있다. 따라서 식민지 시기 박팔양의 시를‘생명의식’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일은 그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을 밝히는 시도이자일제 말기 한국시에서 식민주의의 논리에 온전히 함몰되지 않을 가능성을 발견하는 시도라는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Life’ in Park Pal-Yang’s poetry and try to elucidate how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avant-garde was present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dark period. Park Pal-Yang, who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early poets in the 1920s, acquired life consciousness through the ‘Ruins Consciousness’ coinciding with their literary starting point. Tracing back the history, the perception of such ‘Life’ was triggered by Japanese ‘Daisho Life-ism’ considering the central principle of the world as ‘Life’. In fact, Park Pal-Yang had contrasting viewpoints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and tried to embody the world by harmonizing with the cosmic order of life based on the common source of natural life.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al dark period, he realized his historical position by exploring the history of the indigenous generation of Joseon and supported ‘Life Consciousness’ by calling a revolutionary time to come ‘Here and Now’. This point was expressed in his poetry in that he established ‘Winter’ as present time and represented the method of realizing ‘Spring’ with the creation of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approach to Park Pal-Yang’s poetry in the perspective of ‘Life Consciousness’ is the attempt to discover the inherent problem recognition in his poetry an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not collapsing from the logic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구마모토 국권당(熊本國權黨)의 『한성신보(漢城新報)』창간과 그 의도

        문일웅 역사문제연구소 2020 역사문제연구 Vol.24 No.2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Kumamoto Kokkento and their views of Korea, trying to figure out their intention reflected on Hanseongsinbo newspaper. It was Kumamoto Kokkento that took the lead in the publication of Hanseongsinbo newspaper. Kumamoto Kokkento was a political party formed by the School Party(學校黨) force, which was the political power of Higo Province(肥後藩) in Kyushu,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days, by bringing in the High Royal Party(尊王黨), another local political force. They kept the moral theory based on Zhu Xi studies each and had a world view based on the traditional national study of Japan(國學). They formed Kumamoto Kokkento to react to the westernization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the Meiji Restoration. Kumamoto Kokkento was in an ultimate pursuit of keeping Japan in its independent state amidst of Western threats. They took the position that Japan should be the center of “Asia”, while setting “Asia” as the object of Western threats. Here, the status of Joseon(朝鮮) became a topic. Japan had a tradition of “contempt for Japan” since the early modern days, and Kumamoto Kokkento tried to “advance” into Korea as an extension of the theory. Kumamoto Kokkento perceived Joseon as a place to obtain economic gains from and an object to be assimilated to Japan some day. 본 논문은 구마모토 국권당의 결성 과정과 조선관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이 『한성신보』를 창간한 목적을 규명하고자 했다. 구마모토 국권당은 전근대 시기 일본 규슈 지역 히고번(肥後藩)의 학교당(學校黨)이 존왕당(尊王黨)을 끌어들여 조직한 정당이었다. 이들은 각각 주자학적 도덕론과 국학적 세계관을 지니고 있었다. 일본의 세이난전쟁(西南戰爭) 이후 학교당은 존왕당을 끌어들여 자명회(紫溟會)라는 단체를 결성하는데, 이 자명회가 바로 구마모토 국권당의 전신이었다. 구마모토 국권당은 동시기 일본의 여느 정치 세력과 마찬가지로 서구의 위협 속에서 어떻게 일본의 독립을 유지시킬 것인지를 모색했다. 이들은 서구의 위협 대상으로서 ‘아시아’를 설정하되, 일본이 ‘아시아’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입장을 표상하는 것이 바로 이들의 인식 속 조선의 위상이었다. 구마모토 국권당은 전근대 시기 일본에 만연했던 ‘조선멸시론’을 답습하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에 대해 경제적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자 언젠가는 일본에 동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인식했다. 『한성신보』의 창간 역시 구마모토 국권당의 조선 ‘진출’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비록 『한성신보』는 주한일본공사관 측의 재정적 원조에 크게 의존했지만 그럼에도 이를 일본의 ‘관변’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한성신보』의 창간과 그 운영은 어디까지나 구마모토 국권당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초기 『한성신보』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병용했다. 『한성신보』 지면의 한국어와 일본어 병용은, 일본인에게는 조선에서의 원활한 사업을 추진을 위한 한국어의 교습을, 이 신문을 구독하는 조선인에게는 일본에 동화를 위한 일본어 습득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신문 지면에는 미담 기사를 비롯하여 각종 서사형 기사가 게재되었다. 이는 일본 유학의 전통 하에 조선의 정신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구마모토 국권당의 의도 하에 기획된 것이었다. 이를 통해 구마모토 국권당은 조선의 반일감정을 불식시키고, 조선인으로 하여금 서서히 일본에 동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만주인식

        양연자 한일군사문화학회 2012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4 No.-

        戰後67年を過ぎても終りのない『加害』と『被害』の記憶をめぐる網引きが繰り返されている. 戰爭はしっかり記憶されるべきものと して記憶されているのである. 日本はどうか、戰爭は, 早く忘れ去られるべきものとして扱われてはいないか. ここ數年忘れさせようという意徒的な努力がなされているように思われる. あるいは思い出すとしても, 加害の側面は忘覺し, 日本の侵略地であった東アジアに向かい、『お前の國のため』という側面のみが記念されようとしている/ 歷史を人の主體的選澤の結果であるとみなければならない. そうすることによって歷史の失敗も誤りも反省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る. 滿州はアジアの帝國として前進を屬けていた日本が、1905年の日露戰爭の勝利によりロシアから旅順 大連の租借權、南滿州における鐵道敷設觀および鐵道附屬地行政權を獲得したのを足がかりに、その權益の維持擴大を望んできた地域である。1931年9月18日關東軍は石原莞爾、板垣征四郞らの策謀により『滿州事變』を引き起こし, 『滿州』を武力で占領した. 川端康成は、自らが戰時をどう過ごしたかを『敗敗のころ』に略述してはいるが, 戰爭そのものは川端康成にどう內在かされたのであるかにかんしては先行硏究者らによって硏究されてきました。ここでは川端康成の2回にわたった滿州行を彼の殘した資料と川端秀子と交わした書簡とを中心として考察してみました。その結果川端康成は滿州を江上波夫の『騎馬民族說』の日本民族の原鄕として受け入れ, そのようなイメ一ジとして意識していたのがわかりました. 彼は『滿州國の本』で滿州への愛情と尊敬とを現している. 『滿州國各民族創作選集』編纂の仕事もそれとつながっていると見える. 川端康成は社會や戰爭のことを直接には言及していないが、世の動きに無關心でいられず, 行き場を見失った絶望的な心情であったといわれるが, すべてを『時勢』や『大勢』に委ね、責任を放棄する彼の態度は克服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問題であると思いま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