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백제의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문동석(Moon Dong-Seok)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이 논문은 2000년 이후부터 2009년까지 출토된 백제 문자 자료를 수합 정리 소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문자자료란 최근에 와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개념 규정이 필요하지만, 필자는 토기ㆍ벽돌ㆍ기와에 새겨진 문자, 금속유물에 보이는 문자, 나무에 쓴 문자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2000년대 이후 토기, 벽돌, 기와에 새겨진 문자 자료는 부여의 왕흥사지, 정읍의 고부 구읍성, 금산 백령산성, 나주 복암리 제철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금속유물에 보이는 문자 자료로는 2006년 고흥 안동 길두리 고분에서 출토된 동경 명문, 2007년 고창 오호리 신지매 5호 석실분에서 출토된 銅印과 2007년도에 부여 왕흥사지에서 청동제사리함에 새겨진 명문, 그리고 2009년 익산 미륵사 서탑에서 사리봉안기 명문과 金丁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출토 백제 문자 자료 중 가장 많이 출토되고 연구가 활발한 것은 나무에 쓴 문자, 즉 목간으로 2009년 현재 4개 지역 혹 유적에서 81점이 출토 되었다. 목간은 그 당시 도읍지였던 부여에서 53점이, 2008년도에는 지방인 나주 복암리 제철유적에서 31점이 출토되었다. 2000년대 이후 백제의 문자 자료는 이전 시대 보다 종류도 다양하고 그 양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9년 1월 19일 공개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사리봉안기에는 백제 왕후가 재물을 희사하여 伽藍을 창건하고 己亥年(639)에 사리를 봉안하여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륵사의 창건목적과 施主, 석탑의 건립연대 등을 정확히 밝힘으로써 문헌사 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문자자료인 동시에 백제시대 書體 연구에도 큰 획을 그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는 유물이다. 목간 자료는 부여에서뿐만 아니라 나주 등에서도 출토되고 있어 백제의 지방사회를 새롭게 밝힐 수 있는 단서가 되고 있다. This study clarifies Baekje's Corpus of Characters was found between 2000 and 2009. Corpus of characters, even though the term should be redefined as very often used recently, This study refers the corpus of Characters to ones carved on earthenwares, bricks, tiles, metal relics, woods, and stones founded in home and abroad. These classification can be classified more in detail according to the other situation. This study proposes task in order to study characters as below. It is very important things for Characters to decipher an old manuscript. The first, According to subjective point of view, the result lead to unexpectedly. it will be very useful to decipher the wood materials with infrared camera, which is recently used very often. The second, the old materials, that is founded in past, also,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result will be changed if the infrared camera applied to them.

      • KCI등재

        신라 城址 출토 문자 자료의 현황과 분류

        박성현(朴省炫) 한국목간학회 2008 목간과 문자 Vol.2 No.-

        신라 城은 신라가 축조한 성, 또는 점령하여 활용하는 성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며, 신라 城址는 그 遺址를 말한다. 신라 성지는 한반도 중·남부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통일 신라의 영역을 생각했을 때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여기에서는 다른 어떤 종류의 유적에서보다 풍부한 신라 토기, 기와, 철기, 기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그 중에는 문자가 있는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신라 성지에서 출토된 문자 자료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분류 작업을 시도하여 각 부류가 어떤 성격을 갖고 있는지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성지 출토 문자 자료를 우선 지역별 성지별로 정리하였다. 여기에서 지역 구분은 통일 신라의 행정 구역에 따랐는데, 통일 신라는 王都를 제외한 전국을 9州로 나누고 있었다. 문자 자료의 출토 양상은 지역적으로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王都의 월성에서는 목간을 비롯하여 다양한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으며, 漢州 지역의 자료가 많은 것은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백제 땅이었던 熊·全·武州 지역에서는 주로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는데 시기도 늦은 편이고 명문의 형식도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자료를 다시 ① 축성비 및 맹문 성석, ② 기타 사적비, ③ 목간 및 인장, ④ 명문 와전, ⑤ 기타 명문 유물로 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게 출토되면서도 기존에 많이 논의되지 않았던 명문 와전에 비중을 두고 살펴보았다. 통일 신라 이후 기와의 편년에서 가정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타날판의 변화라고 할 수 있는데, 통일 직후까지는 단판으로 제작하다가 점차 장판을 사용하게 된다. 월성에서는 단판 제작 기와가 발견되었지만 지방 산성에서 출토된 기와의 대부분은 장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시기가 늦다고 할 수 있다. 기와 명문은 대체로 기와의 제작 및 사용처와 관계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장판 제작 기와의 명문은 사용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신라 성지에서 많이 출토되는 郡縣名이나 “官”이라는 문자가 있는 기와는 그것의 사용처가 군현의 관용 건물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 성지 출토 문자 자료는 대체로 사적비, 목간, 명문 기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시기적으로는 사적비가 중고기, 목간이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명문 기와가 7세기에서 9세기까지 나타난다. 즉 신라 성지에서 문자 자료는 사적비에서 문서 행정을 보여주는 목간으로, 이어서 기와 생산과 관련된 분야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新羅의 新發見 文字資料와 硏究動向

        李泳鎬(Lee Young-ho)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최근 20년간 신라의 새로운 문자자료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들 문자자료는 종류가 다양하고 그 수도 결코 적지 않았다. 여기서는 자료의 상태와 재질을 바탕으로 석문, 목간, 기와명문, 금문, 묵서, 토기명문 등으로 나누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문자자료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석문이었다. 특히 울진봉평신라비비(524), 영일냉수리신라비(503), 포항중성리신라비(501?) 등은 발견 당시 각각 신라 최고의 비석으로 알려져 중시되었다. 이들은 글자 수가 많고 중요한 내용이 많아 신라사의 이해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였다. 신라 왕권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석문의 일부, 목간, 기와명문, 금문, 묵서, 토기명문 등의 문자자료는 글자 수가 적은 단편적인 자료들이었다. 따라서 체계적이며 일관된 정보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이 같은 편린들이 신라사의 주요 문제 해결에 시사적인 경우는 적지 않았다. 이처럼 문자자료는 문헌자료만으로는 알 수 없는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이 같은 점에 비추어 볼 때 새로운 문자자료의 출현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경주되어야 한다. 한편, 문자자료는 새로 발견하는 것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이미 공개되었으면서도 아직 연구되지 않은 문자자료 역시 신자료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자료라도 새로운 정리나 판독으로 신자료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문자자료 연구에서 글자 한 자 한 자의 중요성을 상기한다면, 이미 알려진 것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재음미하려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For the past twenty years, a variety of epigraphic materials have been newly discovered in no small quantities. This study pursues to classify them into inscriptions on stone monuments, wooden documents, inscriptions on roofing tiles, inscriptions on metal wares, characters written in India ink, and inscriptions on earthenware, based on their appearances and materials, and make clear recent tendency of study of them. The main observat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mong epigraphic materials, inscriptions on stone steles are most important. In particular, the Silla monuments found at Bongpyeong-ri, Ulchin county, at Naengsuri, Yeongil county, and Jungseong-ri, Pohang, were each considered the oldest Silla steles and were counted for much. These were erected in 524, 503, and 501 (?), respectively. All of them contain many characters and are rich in important contents so as to bring profound changes to understanding of Silla history. Above all, they make possible new understanding on kingly authority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On the contrary, some inscriptions on stone monuments, wooden documents, inscriptions on roofing tiles, inscriptions on metal goods, characters written in India ink, and inscriptions on earthenware consist of just a few characters and therefore are regarded as fragmented and insufficient historical materials. They do not provide systematic and consistent information. But these fragmented materials are also suggestive to solution of major problems in Silla history. In short, these epigraphic materials are very useful, in a way that they make possible understanding of many new historical facts which documentary materials can not provide. Viewed in this light, we should continuously show interest in the excavation of new epigraphic materials. What matters is not confined to discovery of new materials, since those which were already excavated but not yet examined are also considered new materials and need new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Taken into consideration importance of each character in the study of epigraphic materials, continuous interest in and close examination of the already found materials are also essential.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구결 자료의 현황과 활용 방안

        김미미 구결학회 2019 구결연구 Vol.42 No.-

        . 본고에서는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된 차자구결 자료의 목록과 간략한 서지 정보를 소개하고, 해당 자료를 활용한 박물관의 연구 및 전시 현황과 앞으로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2018년 기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자료 중 자료 등록 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한 차자구결 자료는 총 23건 49종이다. 이 가운데 석독구결 자료로는 『유가사지론』 권20과 권66의 2건 2점이 있으며, 음독구결 자료로는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선종영가집』을 비롯한 16세기 이후의 자료가 21건 47점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4년 10월 개관 이래로 다양한 한글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 전시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한글 창제 이전의 문자 자료에 대한 활용은 미진한 상태다. 구결 자료를 활용하여 구결을 사용하던 시대의 문자 문화와 오늘날 한글을 기반으로 한 문자 생활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문자 생활사 관점의 구결 연구, 구결 전시가 고민되어야 할 시점이다.

      • KCI등재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 -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

        방국화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and Baekje on the Japanese literary culture based on the excavated text materials. 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Silla and Baekje were discussed.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Baekje, and Goguryeo has the same parts, but each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cannot be regarded as the same, but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text materials of Silla and Baekje with those of Japan, the differences in text culture in each region of Japan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usage situation of “ ” in the Saikaido(西海道) area with “甕”, it was concluded that “ ” came to be used in various parts of Japa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aekje people. Also, the use of “甕” (瓮)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Silla. Also, there are cases where the shape of the letters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 such as “伊” in the Wooden Documents of Wakasano-guni(若狹國), but this is also presumed to be related to Silla. 본고는 목간을 비롯한 출토문자자료를 기초자료로 신라의 문자문화, 백제의 문자문화가 일본 문자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신라와 백제의 한자문화의 특성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 것이다. 신라, 백제, 그리고 고구려의 문자문화는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제각기 자기 나라의 특성도 갖고 있다. 즉 한반도 고대 삼국의 한자 용법은 같다고만 볼 수 없고 각 나라에 특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본고에서는 신라, 백제의 문자자료를 일본의 문자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일본의 각 지역에 나타나는 문자문화의 차이를 문자문화의 전파측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西海道 지역의 “ ”의 사용 상황을 同訓異表記로 되는 “甕”과 비교함으로써 “ ”은 백제계 도래인의 영향으로 일본 각지에서 사용하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甕”(瓮) 사용은 신라의 영향으로 보았다. 그리고 若狹國의 하찰목간의 “伊”와 같이 글자 형태가 지역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문자문화의 전파측, 즉 신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거란대자(契丹大字) 자료(資料)와 연구현황(硏究現況)

        이성규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0 No.64

        The study of the Khitan Large Scripts is important for the study of the Khitan Small Scripts, Khitan language, Khitan history, and Khitan culture. However, there are not many data on the Khitan Large Scripts, and access to the data is limited,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study. There are about 20 materials such as the Epitaph and Mural letter, and about 60 other materials. However, data of the Khitan Large Scripts are still being discovered steadily, so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When the Khitan Large Scripts was first enacted, it is known that about 3,000 characters were enacted. Since many variant letters are included, the actual number may decrease. In addition, the Khitan Large Scripts is recognized as a syllable pinyin character with ideology, and in recent studies, letters with phonemic characteristics also appear. Since the estimate of the sound price of the Khitan Large Scripts is currently 240 characters, it is analyzed about 10% compared to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more characters through comparisons with the Epitaph, the history of Khitan, and comparisons with the Jurchen characters. In order to deepen the study of the Khitan Large Scripts, it is necessary to index the Khitan Large Scripts vocabulary. The analysis of the grammatical form of the Khitan Large Scripts is at the beginning. Although research on the grammatical form of the Khitan Small Script is still insufficient, some of the grammatical forms of the Khitan Small Script have been revealed. Compared to the Khitan Small Script, the Khitan Large Scripts has less research manpower and research data.The study of the Khitan characters originated from the Khitan Small Script, but by default, the Khitan Large Scripts are not easy to interpret because they are close to syllable characters rather than phoneme. It is also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without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I believe that the day when the data related to the Khitan Large Scripts will be supplemented and the research on the Khitan Small Script is deepened, the day when the interpretation of the Khitan Large Scripts will take place will not be long. 거란대자 연구는 거란소자 연구나 거란어, 거란 역사, 거란 문화 연구에 중요하다. 그러나 거란대자 자료가 많지도 않은 데다가 자료에 대한 접근도 제한되어 있어 연구에 애로사항이 많다. 현재까지 알려진 거란대자 자료는 묘지명, 묵서 등의 자료가 20여개 있으며 기타 자료로 60여개의 자료가 있다. 그러나 거란대자 자료는 지금도 꾸준히 발견되고 있어 이 숫자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거란대자는 처음 제정될 때 3,000여자 정도가 제정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체자도 다수가 포함되어 있어 실제 숫자는 줄어들 수도 있다. 현재 거란대자 이체자에 대한 분석은 초보적인 단계인데 거란소자, 여진문자, 한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체자를 더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거란대자는 표의성을 가진 음절병음문자로 파악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음소성을 가진 글자들도 나타난다. 거란대자의 음가 추정은 현재 240여자가 이루어졌으니 문자 수에 비하면 10% 정도 분석된 것이다. 향후 한자 묘지명과의 비교, 거란 역사와 대조 작업, 여진 문자와의 비교 등을 통하여 더 많은 문자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거란대자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 밝혀진 거란대자 어휘를 색인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거란대자의 문법 형태 분석은 시작단계이다. 거란소자에 대한 문법 형태 연구도 아직은 부족하지만 그나마 거란소자의 문법 형태가 일부 밝혀져 있어 이를 토대로 지속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거란대자 문법 형태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거란대자는 거란소자에 비하면 연구인력이나 연구자료가 적은 편이다. 그것은 거란문자 연구가 거란소자부터 비롯된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거란대자는 음소문자가 아닌 음절문자에 가까워 해독이 쉽지 않은 편이다. 또 한문(漢文) 지식이 없으면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 문자의 특징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러나 앞으로 거란대자의 관련자료가 보완되고 거란소자 연구가 심화되면 거란대자 해독이 이루어질 날도 멀지 않았을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

        문자자료(文字資料)로 본 신라왕경(新羅王京)

        이영호 ( Lee Young-ho )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2 No.-

        이 글은 문헌자료가 아닌 문자자료를 통해 신라 왕경의 모습을 그려본 것이다. 신라 금석문, 목간, 고문서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고려 초의 자료도 부분적으로 이용하였다. 문자자료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같은 체계적인 자료가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한계는 있지만, 신라 당대 자료의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았다. 먼저 신라 수도의 호칭은 20종 정도의 용례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京’자를 사용한 것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都’ ‘城’ ‘邑’ 등의 글자를 사용하여 수도임을 나타내었다. 지명의 앞뒤에 ‘京’자나 ‘都’자를 붙이거나, ‘某城’ 또는 ‘某邑’이라 한 것이다. 따라서 京, 都, 城, 邑 4자가 수도를 나타내는 글자로서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王都와 王城, 金京과 金城처럼 ‘王’자나 ‘金’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들 명칭이 사용된 시기별 분포를 살핀 결과, 신라만의 독특한 표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문헌자료에 흔히 보이는 ‘京城’이나 ‘王京’ 이란 용어가 신라 당시의 자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왕경의 행정구역에는 6部와 里, 坊이 있었다. 또한 산, 계곡, 숲과 같은 자연환경과 함께, 산성, 우물, 정자, 田莊, 금입택, 와요지 등의 인공적인 시설도 존재하였다. 궁궐의 호칭으로 20여 종이 사용되었으나, 某宮으로 쓴 경우와 某闕로 쓴 경우가 많았다. ‘宮’ 또는 ‘闕’이 일반적인 표기였던 것이다. 주요 전각으로 蘭殿과 祕殿, 思正堂 등이 있었고, 궁문으로는 北宜門, 隅宮 北門과 西門, 東門, 開義門, 策事門, 思易門 등이 있었다. 北宜門은 思正堂의 문이었다. 사정당에는 남북 또는 동서남북의 4방에 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큰 전각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신라의 핵심 4部인 집사부, 병부, 예부, 창부가 모두 나타났으며, 내성 및 동궁관 산하의 일부 내정관부도 확인하였다. 또한 砲石’ 명문기와를 통해서는 남산 주변 절경지에 포석정과 같은 亭子가 여럿 존재함을 밝혔다. 사찰의 검토에서는 문헌에 없는 다수의 사찰명이 확인되었다. 특히 진흥왕대의 實際寺와 신덕왕대의 實際寺가 다르다는 사실, 鵠寺였던 崇福寺가 고려 초에 다시 鵠寺로 불렸다는 사실, 그리고 황복사 비편에서 봉덕사, 봉성사의 처음 이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감은사나 영묘사, 흥륜사의 처음 명칭도 밝힐 수 있었다. 나아가 芬皇寺의 명칭을 ‘芬王’으로 표기한 것, 皇福寺의 명칭을 ‘王福’으로 표기한 것, 그리고 皇龍寺를 ‘[皇/王]籠寺’로 표기한 것 등의 사례에서, ‘皇’자나 ‘龍’자의 사용에 어떤 제약이 있은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This study depicts the picture of Silla’s “monarch capital” not in terms of text materials but of letter materials. It makes use of epigraphs, wooden tablets, and duplicated materials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the Silla period as the main research sources as well as some materials of the succeeding Goryeo period. Although unlike such historical texts as Samguk sagi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letter materials have significant limitations to be used, they assume importance as Silla’s contemporary source materials. This study gives some 20 examples as the name of the Silla capital. The name used the character “gyeong(京)” most and then characters “do(都)” “seong(城,)” and “eup(邑).” It was usual that the character “gyeong” was used as a suffix and the character “do” was added as a prefix. Otherwise, “mo-seong” and “mo-eup” were used. Also, like the names “Wangdo(王都),” “Wangseong(王城),” “Geumgyeong(金京),” and “Geumseong(金城),” characters “wang(王)” and “geum(金)” were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iodic distribution, there is no evidence that only Silla used its own specific expressions. Furthermore., it is remarkable that the terms “Gyeongseong(京城)” and “Wangseong(王京)” that are frequently described in text materials do not appear in Silla’s contemporary source materials. The administrative precinct of the monarch capital contained six bu, ri, and bang. It also included such natural environment as mountains, valleys, forests, as well as such artificial facilities as mountain fortresses, wells, pavilions, farms, palatial mansions, and reservoirs. This study confirms more than 20 instances of the name of the palace in the monarch capital. Among them, “mo-gung(某宮)” and “mo-gyeol(某闕)” appear most frequently, which means that they were generally used to indicate monarch’s residence. Within the palace were lots of many-storied buildings and gates. Especially, the Sajeong-dang was a large building that had gates to the east and west or north, south, east, and west. The Jipsa-bu, Byeong-bu, Ye-bu, and Chang-bu, Silla's essential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all located within or without the palace in the monarch capital. This study also identifies the existence of several pavilions, specifically the Poseokjeong (resort), in the scenic places close to Namsan (mountain). This study confirms the names of a lot of Buddhist temples that text materials delete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the Silje-sa (temple)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reign of King Sindeok and that the Sungbok-sa was renamed the Gok-sa in the early Goryeo period. It also confirms first names of the Bongdeok-sa and Bongseong-sa from the broken monument of the Hwangbok-sa. Finally,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Bunhwang-sa was described as Bunwang-sa, Hwangbok-sa as Wangbok-sa, and Hwangryong-sa as Hwangrong-sa or Wangrong-sa, this study conjures that the Silla kingdom might impose restrictions on the use of characters “hwang(皇)” and “ryong(龍).”

      • KCI등재

        文字資料로 본 三國時代 言語文字의 展開

        李鎔賢(Lee Yong-hyeon) 구결학회 2007 구결연구 Vol.19 No.-

        金石文과 木簡, 瓦塼, 土器를 비롯한 文字資料를 토대로 三國時代 言語文字의 內部化를 고찰할 수 있다. 漢字의 受容과 活用은 기본적으로 國家라는 구조적 틀에서 이루어졌다. 中國과의 交涉을 통해 國家的 필요성에 의해 수용된 한자는 국가 통치의 확대 및 律令정치의 文書주의에 입각한 行政 확대와 더불어, 中央에서 地方으로 사용의 확대를 보이게 되었다. 이같은 한자의 수용 혹 문자의 활용은, 純漢文과 俗漢文이 兩 軸으로 同時的으로 진행되었다. 한자의 수용과 전개는 高句麗가 百濟나 新羅보다 앞섰다. 6-7세기에 백제의 언어문자가 순한문적 속성이 강했던 것으로 보이며, 신라의 그것은 보다 속한문적 요소의 비중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문자자료에서 그 같은 貝體相을 그려낼 수 있다. Considering by the character material including the inscription engraved on stone and iron materials, roof tiles and earthenwares, We can study making language character of three kingdom internal. Basically in foundation of nation's structure. Use for receiving and the Chinese character was done. At the center, the Chinese character having been accommodated by a national necessity through the negotiation with China came to show the provinces the expansion of use with an administrative expansion that suited the document attention of the expansion reaching law politics of national rule. The accommodation of such a Chinese character has progressed to both pure Chinese writing and variant Chinese writing at the same time. Accommodation and progressing the Chinese character of Goguryo have advanced previously than Baegje and Silla Kingdoms. In the 6-7th century, the language character of Baegje is seen with the pure Chinese writing training strong, and as for that of Silla, the specific gravity of the variant Chinese writings is heavy. The same concrete aspect can begin to be drawn by the character material.

      • KCI등재

        평양 정백동·정오동 출토 낙랑 문자자료

        오택현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9

        정백동과 정오동은 평양시 락랑구역 내에 위치한 지역으로 많은 낙랑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곳의 많은 무덤에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그중 정백동 364호분이라 불리는 무덤은 낙랑군 25개 현의 호구를 조사한 목간과 논어가 기록된 죽간이 발견되어 낙랑군이 중국 군현으로 운영되고 있었음을 증명해주었다. 정백동과 정오동이 위치한 지역은 낙랑군에 있어 중요한 지역이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백동과 정오동에서 출토된 문자자료를 도장과 칠기, 기타 문자자료로 구분해 정리했다. 도장은 관인과 사인으로 구분되며, 피장자의 위치(지위) 및 이름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칠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칠기들이 발견되었다. 그중에서 일정한 형식으로 명문이 기록된 기년명 칠기가 주목된다. 향후 기년명 칠기 명문 파악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는 도장 및 칠기가 아닌 기타 문자자료를 정리했다. 정백동과 정오동 자료는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았고, 유물 사진 자료가 많지 않다. 그래서 정백동과 정오동 출토 명문자료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최대한 사진 자료를 찾아 정리했기에 향후 정백동과 정오동 문자자료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문자 자료로 본 금관총 출토 대도 명문의 ‘이사지왕’ : 고분 출토 신라 문자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4 고고학지 Vol.20 No.-

        금관총 출토 대도(大刀) 명문 ‘이사지왕(尒斯智王) 十(X)’은 보고서와 실물을 비교 분석해볼 때 매장 주체부의 상단 즉 주인공의 머리 위쪽에 있던 것이다. 이는 금관총의 상장의례 과정에서 매납된 것으로 추정된다. 5세기 대 무렵 신라 고분 출토 문자 자료는 대부분 신라가 아니라 고구려에서의 유입품으로 추정되지만, 금관총 명문 대도는 ‘이사지왕’의 서체와 서법이 6세기 초 신라 비석의 그것들과 매우 유사하여 신라 제작품으로 보인다. ‘주인공 + 十(X)’의 서식은 고구려 광개토왕의 청동 호우에서 찾을 수 있다. 명문 호우는 고구려 광개토왕의 상장례에 사용되었다가, 신라에 이입되어 신라 고위 지배자의 무덤에 부장된 것이다. 주술성을 가진 十(X)는 금관총 외에 천마총, 황남대총과 같은 경주 주요 고분의 출토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의례 관련 고구려류의 서식이 5세기 중후반에서 6세기 초에 걸쳐 신라 고위 지배층의 상장례에 활용되었음을 말해준다. 당초 왕경 상류사회에서 활용되었던 十(X)는 점차 계급을 넘어 또 지방에서까지 더 넓은 범주에서 활용되게 되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사지왕과 十(X)는 서로 위아래의 방향을 달리하는 도치서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주술성 짙은 표현방식이었다. 이사지왕은 금관총의 주인공으로 생각되며, 이사지왕, 그 혹 그녀는 매금왕이나 갈문왕이 아닌 훼 혹은 사훼부의 고위자, 혹은 다른 비주류 부의 장 가운데 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The sword from Geumgwanchong Tomb containing the inscription ‘Yisajiwang 十(X)’ appears to have been located in the upper section of the main burial chamber, near the deceased’s head. It is believed that the sword was placed within the tomb as a part of the funerary rituals. Artifacts containing inscriptions which date to the fifth century and come from tombs are mostly objects which were imported from Goguryeo. However, the sword from Geumgwanchong Tomb appears to have been manufactured in Silla,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yle and inscription method of the ‘Yisajiwang’ inscription are similar to that observed for the Silla stele of the early sixth century. The inscription format which consists of ‘the name of the owner+十(X)’ is identical to that found on the Goguryeo bronze howoo(壺杅) container of King Gwanggaeto. The howoo container was used during the funerary rituals for King Gwanggaeto before it found its way into Silla and came to be used as a grave good in the tomb of a member of Silla’s highest elite. Inscriptions which contain the mark ‘十(X)’ have also been found to appear on artifacts which come from the main tombs of the Gyeongju region. This indicates that ritual modes of writing influenced by Goguryeo were being adopted in the funerary ceremonies of the highest elite of Silla during the mid-fifth century to the early sixth century. It appears that the use of the ‘十(X)’ mark which occurred amongst the highest elite of the capital city gradually spread to the communities of the local regions. The characters of ‘Yisajiwang’ and ‘十(X)’ where respectively written in opposite directions,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 traditional mode of writing heavily imbued with magical meaning. As such, the individual buried in Geumgwanchong Tomb is believed to have been called ‘Yisajiwang’, and it is thought that this ‘Yisajiwang’ was a high status member of Satag-bu (沙喙部) or the head of one of the other less mainstream members of the six bu (the six aristocratic lineages of Gyeong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