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9세기의 조선조 『도덕경』 주석 고찰

        김학목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6 No.-

        성리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은 개국초기부터 불교와 함께 도교도 부정했다. 그런데 성리학이 절정에 오르는 16세기에 『도덕경』 주석이 대학자 율곡 이이(1536~1584)에서 비롯되니 그것이 『순언』이다. 이이는 관료들이 절정에 오른 성리학을 바탕으로 서로 政爭을 벌이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덕경』에서 마음 비움과 절제에 관련된 구절들을 발췌하여 『순언』을 편집?주석했다. 이어지는 서계 박세당(1629~1703)의 『신주도덕경』은 임진왜란(1592-1598)과 병자호란(1636~1637)이라는 큰 국난을 당하고도 민생과 국익을 돌보지 않고 명분론에 빠진 조정을 질타하기 위해 원시유학의 문질빈빈을 기준으로 박을 강조하는 『도덕경』을 주석했다. 성리학의 단점을 보완 또는 비판하기 위해 시작된 『도덕경』 주석은 박세당 이후에 세 가지 다른 형태로 나타나지만 여전히 성리학을 부정하니, 이것이 본고에서 다룰 주된 내용이다. 보만재 서명응(1716~1787)의 『도덕지귀』는 가치론 위주의 의리학을 벗어나 상수학?선천학 등의 관점에서 주석되었다는 점에서 주자성리학과 결별을 고한다. 강화학파 초원 이충익(1744~1816)의 『초원담노』는 노자의 무위를 기준으로 주석되었다는 점에서 성리학은 물론 원시유학까지 벗어난다. 연천 홍석주(1774~1842)의 『정노』는 주자성리학에서 성리학을 제거하여 주자학을 원시유학으로 복귀시킨다는 점에서 성리학을 이탈한다. 以性理學爲國是的朝鮮朝, 一開國就不肯認了佛敎與道敎. 可是進入16世紀, 性理學到了顚峯時, 栗谷 李珥(1536~1584)却註釋『道德經 』, 而稱爲『醇言 』. 李珥緩和當時官僚們以性理學爲根據展開的政爭爲目的, 從『道德經 』拔萃有關‘虛心’與‘節制’的章句, 編輯?註釋來著作了『醇言 』. 接着, 西溪 朴世堂(1629~1703), 叱責蒙受壬辰倭亂(1592-1598)與丙子胡亂(1636~1637)的恥辱還不顧民生與國益, 陷入名分論的朝廷爲目的, 以原始儒學追求的文質彬彬的精神爲基, 註釋强調‘樸’的『道德經 』. 爲了批判或補充性理學的缺點開始的朝鮮朝對 『道德經 』的註釋, 從朴世堂以後顯示三種不同形態, 還是都不肯認 『道德經 』. 保晩齋 徐命膺(1716~1787)在『道德指歸 』, 脫離價値論爲主的義理學, 從象數學?先天學觀點註釋了『道德經 』, 告別了朱子性理學. 江華學派 椒園 李忠翊(1744~1816)在『椒園談老 』, 以老子無爲思想爲據註釋『道德經 』, 脫離了性理學及原始儒學. 淵泉 洪奭周(1774~1842)著『訂老 』, 在朱子性理學, 除去性理學, 把性理學復歸於原始儒學, 而最終脫離了性理學.

      • KCI등재

        한국 성리학에 있어 주체적 사유의 역사 : 퇴·율성리학의 形成期까지

        金起賢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2 No.-

        고려시대에 性理學이 한국에 수용된 이래 어느 시대에나 한국의 주요 성리학자들은 자신의 合理的 思惟와 판단에 따라 학술을 논하고 당시의 사회문제에 부응하는 학문 자세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20세기의 일부 학인들은 이 사실을 직시하지 못하고서 편견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혀 한국성리학을 주자학의 답습 또는 모방으로 말해왔다. 특히 한국성리학을 대표하는 退溪性理學과 栗谷性理學에 대해 그렇게 말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현재 어느 누구도 일부 학인들의 이러한 편견이나 선입견이 이제는 종식되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현재까지의 학계 상황으로 말하면, 퇴·율성리학 시대 이후인 17세기부터의 한국성리학에 관해서는 성리학자들이 각자의 소신에 의해 학문활동을 하였다는 점이 인정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성리학이 한국에 전래된 이래 16세기에 퇴·율성리학이 출현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 성리학자들의 학문연구가 自主的이었는지의 여부가 관심을 끌게 된다. 이 논문은 고려시대에 성리학이 수용된 이래 퇴·율성리학이 성립될 때까지의 한국성리학 역시 성리학자들의 主體的인 思惟에 의거하여 나온 것임을 논증한 것이다. 필자는 19세기까지의 한국성리학자들은 언제나 자주적이었음을 확신하며, 단지 20세기의 성리학 연구자들이 너무도 주체적이지 못함을 우려하는 관점에서 이 논문을 쓰고 있다. Since confucians of Korea dynasty adopted Chu Hsi's Li-Philosophy(性理學), studies on Li-Philosophy and attention to soci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based on their own original thinking all the way. Nevertheless, some of contemporary scholars who were unaware of the historical truth would say that Korean Li-Philosophy, particularly Yi T'oegye and Yi Yulgok' Li-Philosophy, had nothing beyond paraphrasing and dilating upon Chu Hsi's LI-Philosophy. Up to now, no one can affirm that this sort of preconception or bias was put away. It is a common view that Korean Li-Philosopher's own thinking began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Then it is an important question for us that whether or not Korean Li-Phiolsopher's study and thinking before the seventeenth century was self-reliant. The author deals with this question. The author asserts that Korean Li-Philosophy from reception of Chu Hsi's Li-Philosophy in Korea dynasty till the advent of Yi T'oegye and Yi Yulgok' LI-Philosophy in Chosun dynasty also was in conformity with each of the philosophers' own non-submissive thinking. This paper is written on a conviction that Korean Li-Philosopher untill nineteenth century were ever self-reliant, and that scholars of twentieth century were much removed from their own original thinking.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1)

        유권종,박충식,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유교, 특히 조선 성리학의 도덕교육에 의한 인격변화의 과정과 그 결과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조선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心의 구조와 그 작동의 모형을 작성해보고자 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그것을 통해서 조선 성리학의 큰 줄기를 형성한 퇴계의 심학과 율곡의 심학을 연구대상으로 포용하고, 그 둘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피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일종의 성리학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해보고자 할 때 필요한 이론적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실제 내용이다. 그 작업을 위하여 먼저 통합심성모델 작성의 이론적 관점과 기반으로서 일종의 구성주의의 관점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고, 그것에 의하여 성리학의 심성론의 해석과 그에 따른 심성모델의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서구의 심리철학에서 이해되는 mind, 인지과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인간의 마음, 인공지능에서 이해되는 마음을 분석하고 그것과 구성주의에 의하여 재해석된 성리학자들의 마음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중요한 것은 성리학의 역사로 볼 때 똑같이 주자학 계열의 성리학자이면서도 인간의 심성의 관념에 관해서 대립적인 견해를 지녔던 퇴계와 율곡의 관점을 하나로 묶어서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하는 작업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퇴계와 율곡이 근본적으로 禮실천에 의하여 인간의 심성의 순수함과 정직함을 기르고 회복하려는 점에서 동일한 입장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 등에 관한 理氣論적 해석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통합해 볼 수 있는 이론적 체제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현대에 논의되는 서구철학적 관점의 윤리학과는 다소 다른 방향과 관점에서 진행되는 이 논의는 인지과학과 비트겐슈타인류의 언어철학 등의 관점과 상호 통하는 면이 있으며, 현대 서구철학의 윤리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인간의 도덕적 앎과 행위와의 괴리를 넘어설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전망된다. 그 점을 인지과학자인 프란시스코 바레라, 언어철학자인 허버트 핑가레트 등의 이론을 근거로 추론하였다. 결론적으로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 심성모델은 현대 윤리교육에 대해서 인간의 심신관계 및 실천지향의 윤리교육의 기초를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그에 관한 실용성도 풍부하게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make a structure of mind and its working principles, which had been thought and understood by confucians of Chosun Dynasty, for computer simulating processes of peronalyity changes through Chosun Dynasty's moral education. This study includes Simhak(心學) of famous Chosun confucians, Toegye and Yulgok, and compares commons and differences of two scholar's theory. The key of this study prepares a necessary theoretical foundation for making a Neo-confucian integrated mind model from such results. We explained why we adopt radical constructiv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mind model, and proposed an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 mind theor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mind model. Futhermore, we look around a mind of western psychological philosophy, a mind of cognitive science, and a m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 have compared the confucian mind which is re-interpreted as radical constructivism with such minds. An important work is to make an integrated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because two scholars are same Neo-confucian, but assisted own theories about human mind. Although the interpretations of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Insim(人心) and Dosim(道心) are different each other, encouraging and recovering purity and honesty human mind with the practice of rituals is very much alike. Therefore we want to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grating both. This argument is different from ethics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but have something to do with cognitive science and Wittgenstein-like philosophy of language. We expect that this idea show a theoretical possibility beyond the dissociation between ethical thinking and behavior, which modern western ethics can't solve. Such a conclusion is inferred from the concepts of Francisco Valera, the cognitive scientist, and Herbert Figarette, the linguistic philosoper. Now to conclude, the confucian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can provide the explainable mind-body relationship and the foundation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for modern education. We believe that the model has much possibility for practical use.

      • KCI등재

        불교비판에 나타난 성리학의 교육적 의의

        박범석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성리학의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은 불교비판을 통해서일 것이다. 성리학이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결국에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였다는 것은 성리학이 불교와 유사한 사상적 경향에서 출발하였지만, 결국은 그 차이점을 부각시킴으로서 자신의 사상적 정체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리학 사상이 불교비판을 통해 정립되었다는 전제는 성리학 사상의 교육적 의의 또한 불교비판을 통하여 시사 받을 수 있음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즉, 성리학 사상의 강조점들이 불교 비판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성리학 사상이 갖는 교육적 의의나 강조점 역시 불교 비판의 내용 속에서 찾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성리학자들은 허무(虛無), 적멸(寂滅), 환영(幻影)의 원리로서 불교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불교에서의 심(心)에는 절대적 원리인 리(理)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인간에게 비도덕적인 태도를 허용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한다. 이처럼 불교비판은 비판 그 자체의 타당성을 넘어서, 당시 성리학자들의 불교 이해방식은 물론 성리학적 세계관의 이해방식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불교비판의 역사를 논의하면서 불교 비판의 관점에서 성리학의 교육적 시사점을 통합하고자 시도하였다. 성리학자들의 불교비판 사례를 통해 그들의 사상적 배경을 검토하였고, 성리학의 교육적 의의는 교육목적론과 교육방법론의 범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The one way we can envisage the ideas of Neo-Confucianism is through criticizing Buddhism. It mean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Neo-Confucianism can be induced from Anti-Buddhism. Most of the Neo-Confucians understood Buddhism in terms of the principles like ‘nothingness’(虛無), ‘annihilation’(寂滅), and ‘phantom’(幻影). So, they criticized Buddhism allows people to take an immoral attitude by lacking the absolute principle ‘li’(理) of ‘mind’(心). As pointed out, through this kinds of criticisms, we can grasp the way of Neo-Confucian's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that of Neo-Confucian paradigm. I tried to unif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Neo-Confucianism on the view point of the criticisms on Buddhism, after discussing the history on Anti-Buddhism by the method of the chronological enumeration in China and Korea. It consists of educational categories such as "the objection in education" and "the method in education".

      • KCI등재

        성리학(性理學)의 예술적(藝術的) 표현(表現)에 관(關)한 연구(硏究) : 송대(宋代) 산수서(山水書)를 중심(中心)으로

        李在娟 ( Rhie Jaeyeon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0 No.-

        본고에서는 宋代 山水畵 제작의 사상적 근거가 된 性理學의 미학적 고찰을 통해 성리학 사상이 예술적으로 어떻게 표현 · 발전되어 왔는가를 밝힘으로써, 미학적 측면에서 性理學의 영향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 시기에 그려진 산수화의 표현 및 양식 발전 과정이 儒 · 佛 · 道 전통의 조화로부터 발생한 성리학 사상을 반영하여 어떠한 독특한 미감을 형성하게 되었는지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다수의 송대 산수화 작품들은 궁정화가는 물론 성리학적 소양을 갖춘 지식인이자 동시에 화가인 문인들에 의해 그려졌기 때문에, 이들 작품이 표현하는 예술성에 관한 연구는 당시 화가들의 사상과 철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성리학의 출현은 중국 역사상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또한 그 영향도 지대하였다. 성리학자들은 유가의 절대적인 영향 하에 성립된 사상가였고, 그 중 일부는 저명한 화가이기도 하였다. 또한 송대 전후 400여 년간을 통해 중국 산수화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여기에는 ‘양식’의 변혁이라는 중요한 발전도 포함된다. 그리고 이 시기 산수화의 주제 중 하나는 화가의 인격 반영으로, 이는 성리학자들의 ‘인격수양’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시대의 회화 작품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성리학적 이념이 반영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1장의 머리말에 이어 2장에서 성리학의 철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송대 산수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성리학의 기본 개념을 ‘理’와 ‘氣’를 중심으로 개관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우선 송대를 중심으로 한 중국 산수화의 발전 과정을 소개한 후, 이들 작품에 반영된 ‘氣韻生動’ · ‘餘白’ · ‘意境’이라는 세 가지 미학적 특징요소들을 성리학과 연관지어 검토해 봄으로써 성리학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의의를 추구해 보았다. 이로부터 송대 산수화는 성리학적 수양에 기초한 작가의 내면세계를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the Neo-Confucianism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and points out the significance of the Neo-Confucian aesthetic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some general concepts of the Neo-Confucianism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Song Dynasty, firstly. Second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and the artistic transformation of the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introduced by the type classification of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In the third, the style of expression in the landscape paintings producted in this period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are investigated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preceeded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derived from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s surveyed. Finally, the author tries to find out the unique aesthetic sense of the Neo-Confucianism reflected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As many of the paintings of Song Dynasty were drawn by the artists who were the painters and the Confucians, the study on the artistic ideas expressed in their works provide us the background thoughts of the philosophers themselves in those days. So it is pursued to investigate how the artistic idea of Neo-Confucianism is expressed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in this paper . Throughout the Song Dynasty continued about 400 years, the field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s had been developed greatly, including important revolution of ‘Style’ in their expression technique. And, one of the main theme of landscape painting in this period is the reflection of the painter's personality who were also a Neo-Confucianists. So the paintings were drawn to reveal the ideal of Neo-Confucianism. But until now, inspite of these importance, there are few reaserchers attention about this subject. All of these things are the reason why I attempt investigate this theme.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Temperament Vividness, the Margin and the Yijing are the three major factors which characterize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 KCI등재

        한국 문묘제도의 변천

        지두환(Ji Doo hwan)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7 No.-

        Through this thesis I tried to find out the specialty of Korean Mun-Myo (文廟) system and compare with chines system, by mainly focusing ideologic changes of Sung Confucianism;. Mun-Myo means a shine to serve Kong-Ja(Confucius). It s status had changed by amount of reverence to confucianism. The person who was offered Jong-Sa(從祀) or Chul-Hyang(黜享) was up to changes of confucianism. This was the same in China and Korea. Korea accepted Confucianism from Age of Three kingdoms and confirmed the system of Mun-Myo. In addition the people who received service were changed by following chines system. But compared with Chines confucianism changed from Ju-Ja-Sung- Li-Hak(朱子性理學) to Yang-Myoung-Hak(陽明學), Korea developed Cho-Sun Sung-Li-Hak(朝鮮性理學) which is more upgrade level ideology so that made different characters not like Chin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four saints(四配位) ten scholars(十哲) system which is mainly focusing Maeng-Ja(孟子) were developed by Ju-Ja-Sung-Li-Hak.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the time of compete Cho-Sun-Sung-li-hak. As Do-Tong-Lon(道統論) was built, the system to serve six wise men of Song(宋朝六賢) at Mun-Myo was established in King Sook-Jong 40th. Furthermore, chines scholars Jong-sa(從祀) and Chul-Hyang(黜享) were made following this standard. However, China was fascinated in Yang- Myong-Hak so that Qing dynasty(淸) could conquer them and Ko-Jung- Hak(考證學) took the place of main ideology. Therefore China has been enhancing admiration for Ju-Ja. But there was someone who not match with Do-Tong(道統) and Hun-Go(訓詁) ideologists in Han(漢 )and Tang(唐). As Cho-Sun society made the peculiar ideology, the Cho-Sun Sung Confucianism, Mun-Myo system reflected that ideology. If ideology is different so does the culture and a culture could be expressed as a system. This is the reason for that Korean Mun-Myo system is different comparing with China.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문묘제도의 특색을 유학사상의 변천 특히 성리학의 변천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그것과 비교하고, 아울러 그 특색을 찾아보려 하는데 있다. 70년대까지 조선 부정론, 성리학 부정론 때문에 조선시대를 긍정적으로 보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80년대부터 조선 긍정론, 성리학 긍정론이 대두하면서 성리학에 관한 연구도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의 하나로 문묘향사제도를 중심으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문묘라는 것은 공자(孔子)를 모시는 사당으로 그 위상은 당연히 유학의 존숭(尊崇) 여부에 따라 변하여 왔고, 문묘에 종사되는 인물은 유학의 변천에 따라 종사되기도 하고 출향(黜享)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중국이나 우리나라나 마찬가지였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유교를 받아들여 문묘제도를 확립하였으며 종사되는 인물들도 중국의 것을 기준으로 하여 변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유학이 주자성리학에서 양명학으로 변천하였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주자성리학의 수준을 한단계 더 올린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을 이룩해 내면서 이제 중국의 문묘제도와는 다른 특색을 두드러지게 보이게 되었다. 조선전기에는 사배위(四配位) 십철(十哲)의 제도가 주자성리학에 의해 만들어졌고, 조선성리학이 완성된 조선후기에는 학행일치를 중심으로 하는 도통론(道統論)이 확립되면서 숙종 40년에 송조 6현을 문묘에 배향하는 제도가 성립되었다. 또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중국 학자들의 종사와 출향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에 비하여 중국은 양명학에 빠져 여진족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고증학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중국은 주자 존숭이 강화되고는 있지만 도통에 어긋나는 유학자가 종사되고 있고, 한당대의 훈고학자들도 종사되고 있었다. 조선성리학이라는 고유의 사상을 이룩해낸 조선사회에서 문묘제도는 당연히 그 사상을 표현하는 제도를 이룩해 냈던 것이다. 사상이 다르면 필시 문화가 다르게 되고, 문화는 또 제도로써 표현되기에 우리나라의 문묘제도는 중국과 다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6세기 중엽 順天府使 李楨의 성리학 진흥

        변동명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5 南道文化硏究 Vol.0 No.28

        龜巖 李楨(1512~1571)은 16세기 조선 성리학의 성장에 크게 이바지한 인물이었다. 그는 늘 외관 부임을 자청하였다. 그리고 지방에 나가서는 서원을 창건하고 성리학 서적을 간행하는 등 성리학을 진흥하고자 애를 썼다. 순천부사는 그가 재임한 최종 관직이었다. 더불어 당시 그는 50대 전반기로서 그 학문이나 경륜의 면에서 무르익은 경지에 접어든 인생의 원숙기였다. 이정의 생애에서 순천부사 시절이 각별함을 이해할 수가 있거니와, 그리하여 순천부사 시절의 활동을 더듬어 오랜 外官 守令으로서의 치적을 되새기며, 더욱이 성리학 진흥에 열성을 기울인 의미를 순천 지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헤아리는 게 이 글의 목표이다. 순천에 부임한 이정은 玉川書院을 건립하여 士林의 구심으로 삼았으며, 『景賢錄』과 『性理遺編』을 찬집해서 印刊하는 등 모두 6종의 성리학 관련 서적을 출간하였다. 그와 같은 활동에는 魚得江·宋麟壽와 周世鵬, 특히 李滉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아울러 奇大升을 비롯하여 昇平四隱과 같은 향중 士類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李楨은 훈척 위주의 중앙정치에 비판적이었다. 그가 외관을 자청하여 즐겨 지방으로 나간 것은, 그러한 중앙과 거리를 두려는 의도에서였다. 그리하여 수령으로 부임한 고을에서마다 성리학 진흥에 열과 성을 다함으로써, 훈척정치를 점진적으로 극복하여 도학정치가 구현되는 이상사회로 나아가고자 노력하였다. 말하자면 李楨이 서원을 창건하고 서적을 편찬 간행하며 성리학 진흥에 나선 데에는, 훈척이 발호하는 중앙정치를 비판하는 의미가 담겨 있었던 셈이다. 순천에서도 또한 그러하기는 매한가지였다. 나아가 그의 학문과 경륜이 한층 빛을 발하는 만년의 원숙기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한층 각별하였다. 이정이 옥천서원을 건립하고 성리학 서적을 편찬 간행하여 보급하는 사이, 순천지역에서는 차츰 성리학적인 질서가 자리를 잡아갔다. 순천사림의 성장과 같은 게 그러한 징표였다. 김굉필의 감화 속에 태동기를 보낸 순천의 사림은, 이정의 성리학 진흥을 하나의 계기로 삼아 구래의 사족을 극복 흡수하며 성장을 거듭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마침내 지역사회를 이끄는 핵심으로 자리를 잡기에 이르렀다. 성리학적인 질서를 정착시켜 도학정치가 실현될 토대를 구축하고자 애쓰던 순천부사 이정의 노력이, 순천사림의 성장으로 이어져 그러한 결과를 이룩해낸 것이었다. Yi Jeong (1512~1571) was a perso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growing Neo-Confucianism of Yi Dynasty in the sixteenth century. He volunteered for a local governor. He, as a local governor, made every effort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through establishing private academies (seoweon) and publishing books related to Neo-Confucianism.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was a final post of his being in government service. Also he was then in the first half of his fifties, a mature age in his study and ability with experience. This article tried to look back upon the trace of Yi Jeong’s work in his time of being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find (in relation with the Suncheon community)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he paid special attention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Yi Jeong, who arrived in Suncheon County as Magistrate, established Okcheon Academy (Okcheon seoweon) as a center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sarim). He published six kinds of Neo-Confucian books. These efforts were greatly affected by Yi Hwang who was the foremost Korean Confucianist philosopher of his age. In addition,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Neo-Confucian literati like Gi Daeseung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keep awa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uled by the meritorious elite, Yi Jeong volunteered to be a local governor – the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He made every effort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in every place he traveled as Magistrate. He expected that the Joseon society would advance to an ideal society in which the politics under the rule of the meritorious elite would be overcome and moral politics would be realized. While Yi Jeong established Okcheon Academy and published six kinds of Neo-Confucian books, the Neo-Confucian order gradually took its place in Suncheon district. The growth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was a sign. With the stimulation to grow Neo-Confucianism by Yi Jeong,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overcoming and absorbing the traditional yangban literati. Therefore,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took an important position leading the Suncheon community while copi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 KCI등재

        성리학적 본질은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가?

        정용환(Chung Yong-hwa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이 글의 미시적 목표는 성리학적 수양론에서 이념적 본질이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으며, 거시적 목표는 성리학적 본질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성리학이 복잡다단한 현실에서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기질의 자기변증적 과정을 요청하는지를 살펴본 다음, 본질의 실현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성리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통론·경전·예법 등의 개념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기술하였다. 이치·본성·형이상자·태극 등으로 불리는 성리학적 본질은 순수지선(純粹至善)하다는 측면에서 초월적 이념이지만, 다양한 현실에서 당위적으로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천을 요청한다. 성리학적 본질의 구현 방법은 기질·감정·형이하자·음양 등의 현실을 이념적 본질의 영역으로 되돌리는데 있다. 성리학자는 자율적 자기연마를 통해 궁극적 본질을 회복함으로써 요·순·우·탕·문·무·주공·공자·맹자·북송사자 등과 같은 성현과 동일한 인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성리학에서는 본질체득의 사례를 모범적 텍스트로서의 유가경전(사서오경)에 근거하여 제시한다. 성리학적 본질의 현실화란 수양자의 경전읽기와 경전을 현실에 우려내기의 방법을 통하여 현실을 주재하는 것이다. 성리학적 수양론은 본질-경전-현실의 삼위일체를 요점으로 하고 있으며, 기질적 현실에 처한 수양자는 본질과 경전에 일치하는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체찰(體察)함으로써 공자와 같이 덕에 능숙한 삶의 기술자가 되고자 한다. 다만, 성리학적 본질에 이르는 수양론적 체계가 폐쇄적으로 고착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유의해야 한다. 성리학적 본질학에서 제시하는 유가경전의 체득을 통한 성인과의 일치라는 도통론적 동일의식은 현실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갈등과 문제에 대해 미처 논의가 성숙되기 전에 미리 표준화된 체계 속에 봉함으로써, 새로움에 대한 도전정신을 위축시킬 수 있는 우려도 뒤따른다. 따라서 성리학적 본질학이 자기 폐쇄적 부작용의 계기들을 극복하면서 제자백가 등에 대한 열려있는 독서와 사유, 유가경전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 새로운 규범 및 체계에 대한 추구 등을 포괄적으로 개진해나간다면 훨씬 풍부한 미래적 전망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Neo-Confucian essence called as Principle(li, 理), Nature(xing, 性) and the Supreme Ultimate(taiji, 太極) is not only regarded as a transcendent and absolute value but also practical one in the sense that we should realize it through our ordinary life. The way of embodying Neo-Confucian essence is dependent on regulating the deviation of personal dispositions(qizhi, 氣質) by returning to essence. Neo-Confucianists tried to become the same person as sages like Yao, Shun, Yu, Tang, Wen, Wu, Zhougong, Kongzi, and Mengzi who had already realized the absolute essence by self-concurring. Some of Neo-Confucian sacred books was also believed as a absolute guidance for human life. Actually, the ethical trying of Neo-Confucianists to unite their lives to the essence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representation that they should read repetitively and follow their sacred books to revive their meaning in one’s life. The grand system of the identification among essence, the sacred books and one’s living purpose in Neo-Confucian ethics have a tendency to make people to become skillful experts to reproduce the authorized Confucian values. The representational ethical system of Neo-Confucianism can cause a problem to stimulate people to avoid one’s actual challenge for creativity by enthroning Neo-Confucian absolute essen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Neo-Confucian essential ethics to have opened attitude against different schools, self-criticism, and investigation for alternatives if it can be a productive and effective theory today.

      •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

        김원명(Won-myoung KIM),서세영(Se-young SE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본 연구는 다산(茶山, 1762-1836)의『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에 나타난 유학(儒學)의 연속과 불연속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진 유학과 성리학의 천(天)과 명(命) 그리고 성(性) 개념의 비교를 통해 성리학의 특징을 제시하고, 다산의 학문이 이러한 성리학의 특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산이 성리학과 탈성리학의 사이에서 어떻게 유학의 연속과 불연속적 특징이 드러나는지 밝힐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all argue that within Dasan(茶山)'s philosophy there are both Neo-Confucian elements and what might be called the ‘post’ Neo-Confucian elements. First, we begin with an account of Neo-Confucianism, focusing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requirements of Neo-Confucianism shall become clearer as the Neo-Confucianists' understanding of Tian(天) and Xing(性) is compared to the Confucianists'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m. We then illustrate how Dasan accepts the Neo-Confucianist's requirements (while rejecting some of them). Second, we shall show that Dasan rejects some of the Neo-Concianists' requirements. His rejecting is to be found within his explanation of Xing(性) and Ren(仁). Ren(仁), the Confucian moral principle, is equivalent to TianLi(天理) and also to XingLi(性理) according to the Neo-Confucianist. While Xing(性) is accepted as the universal principle by the Neo-Confucianists, Dasan interprets it as one's love towards one's own counterparts. He treats Daoxin(道心) to be the ground for Ren to be actualized. Hence, as we shall argue, while Dasan's philosophy is typically treated as a post Neo-Confucianism, it still falls within Neo-Confucianism. This is so especially when his studies are motivated by the Neo-Confucianists' concerns.

      • 16세기 성리학자 趙晟의 養生論

        안은수 우계문화재단 2019 牛溪學報 Vol.37 No.-

        儒家지향은 인간이 마땅히 가야 할 길을 걷자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본 성 에 따라 가는 길, 곧 이다. 유학의 수양론은 이 도에 따르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당연히 수양론은 유가에게 가장 중요한 이론이다. 성리학자들 은 이러한 선진유학의 개념을 理氣論으로 설명하였다. 본성은 리’와 일치하고 본성을 내재한 인간의 몸은 기를 대표한다. 이 둘은 서로 떨어지지 않는 요소 로서 인간을 구성한다. 내외가 소통할 수 있는 구조로 인간을 설명하였던 것 이다. 은 이러한 구조를 이해하고 그 소통을 주관할 수 있는 역량이다. 그러니까 심의 강화 를 통해 본성의 확보가 가능하고, 본성에 따르는 삶은 가장 이상적인 현실을 결과할 수 있다. 내적 외적 건강을 보장받는 일이 다. 이것이 성리학자들이 수양의 목적으로 삼는 지점이다. 은 주어진 생 명을 잘 보존하고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양생은 신체의 건강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성에 따르는 삶이어야 신체의 건강도 가능해진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생을 위한 첫걸음은 마음의 능 력을 강화하는 일이다. 이렇게 보면 성리학자들이 파악한 양생은 단순히 신체의 단련에 중점이 있 는 것이 아니었다. 심신의 수양을 통한 본성의 확인으로 가는 공부 전체를 아우르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체의 건강은 자연스럽게 동반된다. 결국 조성을 포함한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양생은 의 단련을 겸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성리학자들은 늘 을 위한 을 의 골자로 천명한 다. 그리고 심을 단련하는 공부는 정신 뿐 아니라 신체의 건강과도 밀접 한 연관을 갖는다. 그러므로 수양은 곧장 양생으로 직결된다고 보았다. 여기 서 우리는 수양과 양생을 통일적으로 바라보았던 그들의 관점을 읽을 수 있다. 이런 특징을 ‘내외합일의 양생론’이라 표현해 보았다. 이글에서는 특히 16세기 조선의 성리학자인 조성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이 런 맥락을 살펴보았다. 조성(1492∼1555)은 조광조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힌 성 리학자이다. 조성에 관한 많지 않은 기록의 대부분은 그가 의학, 음악, 천문학 등의 다양한 이론에 정통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는 성리학을 공부한 유학자 이며 그 자취는 『養心堂集』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은 조선시대 사상사에서 거의 다루어진 적이 없는 인물이나 16세기 조선 지식인의 한 특징을 보여주 는 흥미로운 인물이다. 그의 학문적 위상은 이황과 같은 당대의 거유와 교유 하였던 것으로도 짐작할 수 있다. Confucian philosophers aimed for the way which human beings should take. This is the way of human nature ‘In’ , that is to say, Tao ]. Following Tao was the essential of the theory of self-discipline in Confucianism. Self-discipline was naturally the most important to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later period, Neo-Confucian scholars explained the self-discipline theory of the fundamental Confucianism by Lichi theory . Human nature corresponds to Li, and the human body where the nature inheres represents Chi. Li and Chi are two constituents of a human being inseparable from each other. This scheme was to explain the human being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of inside and outside. Shim is the capacity of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such communication. Consequentially, human nature can be acquired through the training of Shim ‘Yang shim’ , and following the nature may result in the ideal life. This is the way which guarantees inside and outside health, and is the very goal of the self-discipline of Neo-Confucian scholars. The purpose of Yang Shang is to preserve and restore given life.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limit Yang Shang to physical health. They believed that physical health cannot be acquired without living according to nature. Accordingly, the first step towards Yang Shang i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him. Thus, Yang Shang of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focus on physical training but covered the entire process of learning which aimed for acquiring nature through mental and physical self-discipline. The physical health is naturally included in this process. As a result, Neo-Confucian scholars including Jo Sung understood Yang Shang as training of both inside and outside. For this reason, they always taught that Yang Shim aimed for Yang Sung was the essential of self-discipline . Yang Shim, the training of Shim, is closely related to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is context, the self-discipline was regard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Yang Shang. We can see the unitary perspective of Neo-Confucian scholars for self-discipline and Yang Shang. Such a perspective may be expressed as the theory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uniting inside and outside. This paper has focused on Jo Sung, who is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to examine the theory of self-discipline. Jo Sung (1492∼1555) was a disciple of Jo Gwang-jo. There are only a few remaining documents that describe Jo Sung. Most of them describe him as well-acquainted with various areas including medicine, music and astronomy. However, he was basically a Confucian scholar in the time of Neo-Confucianism. Yang shim dang gip shows his trace and thought as a Confucian scholar. Although Jo Sung has been little dealt with by the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 of the Joseon Dynasty, he is a very interesting figure displaying a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s in 16th century Joseon. His academic status can be estimated from the fact that he held social intercourse with great scholars such as Yi hw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