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덕천서원 원생의 구성과 변화양상 : -덕천원생록을 중심으로-

        박소희(Park, So-hee)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현재 경남 산청군에 세워진 덕천서원은 1576년(선조 9) 남명 조식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덕천서원은 1601년(선조 34) 중건된 합천 용암서원과 1609년(광해군 1) 건립된 김해 신산서원과 함께 남명학파의 결집처로서 그 역할을 했다. 그리고 광해군 북인 집권기 그 위상은 더욱 커져갔다. 그러나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북인이 몰락하자 북인의 입장을 견지하던 우도 유림들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만 했다. 덕천서원 측에서도 정인홍의 흔적을 철저히 지워나갔고 1651년(효종 2) 일어난 남명집 훼판사건은 서원이 완전히 친 남인화로 돌아서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17세기 덕천서원에서 일어난 일이다. 그리고 덕천서원에는 17세기 서원 원생록이 남아 있다. 원생록에는 총 1,477명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원생 중 가장 비중이 컸던 성씨와 지역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남명집 훼판사건과 관련된 덕천서원 원생 및 서원을 들어오고 빠져나간 원생들의 전반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북인계 서원의 원생이 인조반정 이후 어떻게 활로를 모색해 갔는지 그 실 사례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Deokcheon-seowon(德川書院) was built for the memorial of Namyeong Jo Sik in the current area of Sancheong-gun, Gyeongnam in 1576(the 9th year of King Seonjo). Deokcheon-seowon(德川書院), together with Yongamseowon in Habcheon extended in 1601(the 34th year of King Seonjo) and Sinsan-seowon built in Gimhaem in 1609(the first year of King Gwanghae-gun), had played a role as the gathering point of th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Its position had become higher during the ruling years of the Northerners School(北人) in King Gwanghaegun s era. However, the Northerners School had lost their power due to the Injo Banjeong(仁祖反正) in 1623(the first year of King Injo) and the Confucian scholars in Udo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he Northerners School(北人) had to seek new ways. For the Deokcheon-seowon(德川書院), the group erased completely the traces of Chong In-hong and the he Nammyong jip(南冥集 damage incident in 1651(the 2nd year of King Hyojong) was the point that the seowon turned to the Southerner School. The series of the process happened in Deokcheon-seowon(德川書院) in the 17th Century. And there is the Wonsaengnok(院生錄 ; members register) from the 17th Century in Deokcheon-seowon(德川書院). The Wonsaengnok(院生錄) has the total 1,477 names and it is available to know the biggest groups of family names among the members and their regional distributions. In addition, it was available to figure out then entire members of Deokcheon-seowon(德川書院) who had been related to the Nammyong jip(南冥集 damage incident and those who had entered in and left out the seow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has checked the actual case of the members of a seowon(Confucian Academy) belonging to the Northerners School(北人) after the Injo Banjeong(仁祖反正),

      • 특집 : 던천서원(德川書院): 경의학(敬義學)을 지향한 조선의 학술문화공간

        김학수 ( Hak Su Kim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이 글은 강우 남명학파의 상징적 공간인 덕천서원(德川書院)이 지니는 문화사적 의미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덕천서원은 조식(曺植)이라는 걸출한 유학자를 제향한 서원이라는 점에서 강우 의 수원(首院)으로서 굳건한 위상을 유지해 왔다. 이제 덕천서원에 대한 이해는 이런 피상적인 단계를 넘어 좀 더 실질적인 국면으로 다가설 필요가 있다고 본다. 덕천 서원이 남명문인 최영경(崔永慶)에 의해 치밀하면서도 격조 높은 안목으로 디자인되었다는 점은 매우 놀랄만한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덕천 서원이 인조반정 이후 하홍도(河弘度)라는 석학을 통해 17세기 조 선을 대표하는 학술문화공간으로 도약한 사실 또한 주목할만한 대목이었다. 퇴계학파에 속한 이만부(李萬數)가 강좌 유림으로서는 최초로 덕천서원 원장직을 수락한 것은 서원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졌고, 그것은 단회성에 그치지 않고 정조 연간 근기남인의 영수 채제공(蔡濟恭)을 원장으로 초빙하는 계기가 되었으니, 덕천 서원에 내재된 학술문화사는 이처럼 다채로우면서도 흥미롭다. 이 글은 기존의 서원 연구가 갖는 정치사회사적 분석의 틀을 지 양하고 서원에 함축된 학술문화적 의미를 풀어내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그런 의미를 용출시킨 진원(員源)으로 조식의 경의학 (經義學)을 설정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ignificance of Deokcheon Seowon, a symbolic space representing the school of Namm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Deokcheon Seowon was a reading school that upheld its respects for the renowned scholar Jo Sik and as such, has maintained its firm status as one of the best Seowons in Gyeongsang Woo Province.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Deokcheon Seowon needs to go beyond such superficial understanding to reveal its essential aspects. It is remarkable how Deokcheon Seowon was designed based on the aesthetics of the scholar Choi Yeong-gyeong of the Nammyeong School. Moreover, since Injo Banjeong(1623), Deokcheon Seowon rose as one of the leading academic and cultural venues in 17th century Joseon thanks to the scholar Ha Hong-do. The fact that Lee Man-bu,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accepted the position as the head of Deokcheon Seowon, the first to do so as a Yurim(Confucian scholarship) of Gyeongsang Jwa Province,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Seowons. Thi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nvite Chae Je-gong, the head of the Nam-in in Near-capital Area during the rule of King Jeongjo as the head of the Seowon. As such,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y of Deokcheon Seowon is colorful and interesting. This paper avoids to apply the socio-political analytical framework to the study of the meaning of Seowon, an approach that had been taken by preceding studies, and instead focused on the implied academic and cultural significance in its history. At the core of bringing this significance to the fore is the study of Gyeong and Ui by Jo Sik.

      • KCI등재

        龍巖書院(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덕천서원)ㆍ新山書院(신산서원)과 비교하여-

        ( Jin Seong Gu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付,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옹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付],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KCI등재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ㆍ新山書院과 비교하여-

        구진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怤],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怤,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顒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德川書院을 이끈 江右의 家門들 - 창건주체와 운영자를 중심으로 -

        이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is a Seowon which holds a memorial service for Nammyong Jo Sik(1501-1572). Deoksan Confucian Academy was firstly established as the literator Yeongmuseong Ha-eungdo has provided his battlefield as Seowon site. The Seowon was established by the respect towards teachers of several literators who were influenced by Nammyong and the social atmosphere acknowledging this with the active helps of Gyeongsang-do governor and Jinju minister. However, in order to ensure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academic mind pursued by the sacrificial person, and furthermore, faithfully carry out the role of edification socially when it is operated properly by Wonjang and Wonim who gain absolute confidence within the school. Therefore, the question of who led the operation of this Seow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estion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the Seowon. The establishment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participated by large number of Nammyong literators as it was established in Mannyun Ganghakji of Nammyong. Therefore, those who were in charge of operation of Seowon in the early years could be 'pan-Nammyong school'. However, the situation has rapidly changed as Northern faction force led by Nammyong school was politically defeated due to In-jo coup. After In-jo coup, the families which led Nammyong school in Dan-seong region were An-dong Gwon clan, Seong-ju Lee clan, Hap-cheon Lee clan, Jin-ju Ryu clan and Sang-san Kim clan. In Jin-ju region, there were Sajikgong Branch and Siranggong Branch of the Jinyang Ha clan residing in An-gye‧Myeong-seok and Su-kok ‧Dan-mok, Tae-an Park clan in Na-dong, and Ha-man Cho clan in So-nam. Of course, even though there were several families besides these families, when considering the number of elected by Wonim,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these families has led the operation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These are mostly the descendents of the figure who got involved in foundation or early reconstruction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or descendents of figures who were listed on early Wonsaengnok. After about 30 years of InJo coup starting from Nammyong jip damage incident, Nammyong school was divided into Western faction and Southern faction, and Southern faction has led the operation of Seowon. Therefore, the family all belongs to Southern faction. Accordingly,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origin of Sawu was after Southern faction system and the Seowon operation was led by the people of Gal-am‧Mil-am‧Dae-san‧Jeong-jae‧Han-ju and Seong-ho‧Sun-am‧Bun-am‧Sungj-ae. 덕천서원은 南冥 曺植(1501-1572)을 향사하는 서원이다. 그 문인寧無成 河應圖가 자신의 田莊을 서원 터로 제공하여서 처음 德山書院 으로 창건을 보게 되었다. 이 서원의 창설은 남명의 감화를 받은 여러 문인들의 스승을 존모하는 마음과 이를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경상도관찰사와 진주 목사가 적극적으로 도와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서원은 설립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강학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파 내에서 절대적인 신임을얻고 있는 원장과 원임이 있어서 제대로 운영하여야만, 제향된 인물이추구했던 학문 정신을 체득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교화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가 이 서원의 운영을주도하였던가 하는 문제는 서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매우 중요한 문제의 하나다. 덕천서원은 남명의 만년 강학지에 설립된 것이어서 남명 문인들이대거 참여하여 설립이 이루어졌고, 따라서 초기에 서원 운영을 담당했던 이들은 ‘범남명학파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상황은 남명학파가 주도하던 북인 세력이 인조반정으로 인하여 정치적으로 패퇴함으로써 급변할 수밖에 없었다.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가문으로 단성 지역에는 안동권씨, 성주이씨, 합천이씨, 진주류씨, 상산김씨 등이 있었고, 진주 지역으로는 안계‧명석 및 수곡‧단목에 거주하는 진양하씨 사직공파와 시랑공파, 나동의 태안박씨, 소남의 함안조씨 등이 있었다. 물론 이들 가문이외에도 여러 십여 가문이 있지만 원임에 선임된 숫자의 측면에서보면 이들 가문이 덕천서원의 운영을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이들은 거의 대부분 덕천서원의 창건 및 초기 중건에 관여하였던인물의 후손들이거나, 초기 원생록에 이름이 올라 있던 인물들의 후손들이다. 남명학파는 인조반정 이후 30여 년이 지난 즈음 남명집 훼판 사건을기점으로 해서 서인화와 남인화가 이루어지는데 서원의 운영은 남인이주도하였다. 따라서 이들 가문은 모두 남인 가문에 속한다. 그러므로사우의 연원 또한 남인 계통을 따라서, 갈암‧밀암‧대산‧정재‧한주 등과성호‧순암‧번암‧성재 등을 종유한 인물들이 서원 운영을 주도하였다고이를 만하다.

      • KCI등재

        일제시기의 덕천서원

        오이환(Oh Yi-Hwa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1871년에 덕천서원이 훼철된 이후, 그 터는 반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잡초 속에 방치되어져 있었다. 그러다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이후 국유지로 편입되고, 또한 그 부지의 중앙을 종단하는 도로의 예정선이 결정되어 유허조차 더 이상 보존할 수가 없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하여 1916년에 河載華 등 유림은 그 터에다 덕천서원 강당이었던 경의당의 옛 이름을 사용한 건물을 중건할 것을 결의하고, 이듬해에 낙성식을 거행하였다. 경의당 중건의 중심인물인 하재화는 傍祖인 河沆을 포함한 5현을 뒤이어 건립될 사우에 배향할 것을 제의했다. 그러나 본손 측의 입장은 曺植 도학의 정통성은 吳健과 鄭逑가 계승하였으므로, 제건된 서원에는 훼철 이전의 崔永慶을 대신하여 이 두 사람을 배향해야 하며, 만약 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조식만을 獨享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었다. 본손 측이 독향을 고집하는 이유는 최영경의 배향이 鄭仁弘의 의사를 반영한 것이었기 때문에 정구의 뜻을 받들어 조식의 도학을 尊衛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최영경의 배향이 덕천서원 훼철의 간접적 원인이 되었다는 조씨 문중의 피해의식이 깔려 있었다. 1926년 초에 조씨 문중은 許穆이 지은 조식 신도비, 즉 德山碑를 절단하여 파묻는 사태를 일으켜 또 한 차례 큰 물의를 야기하였다. 덕천서원 부지 및 건물의 소유권 문제와 더불어 덕산비의 원상회복을 둘러싼 남인 계열 유림과 조씨 문중 사이의 분쟁은 결국 만4년에 걸친 법정투쟁으로 전개되었다. 분규가 말미에 이르러 조씨 측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된 데에는 당시 大東斯文會 회장이었던 魚允迪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다. 1812에 용암서원묘정비로서 건립되었던 송시열이 찬한 조식 신도비문은 그 후 1903년 趙性家의 발론으로 진주 인근에 거주하는 서인계 유림이 본손 측과 상의하려, 1909년 무렵 덕산의 조식 묘도에 신도비로서 세워지게 되었다. 덕산비 사건의 직접적 계기는 의령의 二宜享에서 1905년 가을에 중간된 허목의 문집 『記言』에서 원래 別集에 들어있었던 「答學者」가 당시 편집에 참여했던 유림의 지적에 의해 일단 삭제되었다가 후일 그 문중 인사인 許巑에 의해 슬그머니 다시 포함하여 간행 시판된 데 있었다. 조씨 문중의 지도자 曺庸相이 생전에 주력했던 사업 중에는 선대의 계보를 바로잡는 문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창녕조씨의 私譜 간행은 1596년의 丙申譜가 처음이며, 그 후 1693년의 癸西譜가 두 번째인데, 문제는 이 계유보에서부터 종전의 南平曺氏가 昌寧曺氏侍中公派로 칭하며 대동보에 참여하게 된 점에 있다. 그러면 결국 조식은 동성동본의 부인을 맞이한 셈이 되는 것이다. 조용상은 譜所에 여러 차례 서신을 보내어 김해의 남평조씨를 대동보에 포함시키지 않을 것을 규약 속에 명시토록 요구하였으나 그 실현을 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주도 하에 曺彦香의 두 아들 植과 桓의 자손은 1915년에 별도로 『昌寧曺氏文貞忠順衛公派譜』(乙卯派譜)를 간행하여, 대동보로부터 독립한 파보를 성립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진주 일대는 한국 공자교운동의 중심이 된 곳이다. 오늘날 국내의 공자교운동은 李炳憲이 1922~23년에 걸쳐 세운 培山書堂이 그 중심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그보다 앞서 1917년 道統祠에 대해 중국 曲阜에 있는 孔敎總會의 總理인 孔祥霖 명의로 孔敎支會의 허가가 주어진 것이 최초였다. 도통사의 발단은 1909년에 진주의 順興安氏 재실인 硯山齋에서 고려 말에 성리학을 처음 도입한 安珦의 『晦軒實記』를 重刊한 데서 비롯한다. 그 후 1917년 봄에 安孝鎭 등을 곡부의 關理로 파견하여 도통사 유림대표의 서신을 전달하였고, 그들은 궐리에 머물던 동안 도통사에 조선 공교지회를 설립하는 데 대한 허가를 받았던 것이다. 그런데 1918년 무렵 도산서원 원장이 통문을 보내어, 도통사 측이 공자를 봉안하면서 주자와 안자만을 배향한 것이 부당함을 지적하였고, 이어서 세 가지 조목으로 따졌다. 이는 영남에서 전통적 권위를 유지해 온 도산서원을 제쳐두고서 공교지회의 권위를 빌어 갑자기 대두한 도통사 측에 대해 견제하는 뜻을 담은 것이다. 이 통문은 1920년 4월 이병헌이 배산서당 설립 건으로 궐리를 방문했을 때 이황 종손인 李忠鎬의 서신과 함께 전달되었고, 궐리 측의 답신 형태로 도산통문에 대한 전폭적인 공감을 표명하는 회답을 받아 돌아왔다. 그리하면 결국 도통사의 공교지회로서의 지위는 종말을 고하게 되었고, 그 지위는 이충호를 대표자로 하여 1919년 정월부터 건설 작업이 시작된 배산서당으로 교체되었다. 도산서원이 도통사를 비판한 통문에는 이병헌이 처음부터 깊이 관여해 있었다. 배산서당은 1923년 9월 궐리에서 모사해 온 聖像 및 道東祠의 위패 봉안식이 끝나자마자 서당 안에서 이병헌 Since Dukcheon-Seowon was abolished in 1871, the site was left uncared for near half century overgrown with weeds. After the land census by the colonial government, it was incorporated to the government assets, and it could not be preserved even as a site because a road was planned to be set up across the center of it. With this as a momentum, the Confucians, leaded by Ha Jae-Hwa, decided in 1916 to reconstruct Gyeonguidang which had been the half of former Dukcheon-Seowon, and the completion was celebrated in next year. Ha suggested to hold memorial service for five disciples, including his ancestor Ha Hang, according to their master Cho Shik in the shrine which would be constructed soon after. But Cho's descendants asserted either to serve Oh Geun and Cheong Gu instead of Choi Yong-Gyeong the former co-worshiper or Cho Shik only. They said that although Choi had been selected to be served by the will of Cheong In-Hong, Cho's real legitimacy was succeeded by the two above. But in the background of their assertion, there lied a paranoia that Choi's service had been the indirect causes of Dukcheon-Seowon's abolishment. In early 1926, the Cho's descendants gave rise to the enormous public criticism once more by cutting and burying up Duksanbi, the monument at the entrance of Cho Shik's tomb written by Heo Mok. The dispute for the ownership of Dukcheon-Seowon and restoration of Duksanbi between the Namin group Confucians and Cho's descendants was finally developed into the trial that lasted for 4 years. Eo Yoon-jeok's help was decisive for the case finally turn to be affirmative for the Cho. The direct momentum for the Dukansbi case was that "An answer for the Scholars" which was originally included in the Gieon, a collection of Heo Mok's works, was eliminated for a while by the criticism of the editors of new edition but afterwards secretly included again and sold out. Among the tasks that Cho Yong-Sang, the leader of the Cho, devoted himself through his life was the problem to correct the genealogy of his ancestors. The publication of the genealogy table of the Cho was in 1596, and that of second edition in 1693. The problem was that the Cho of Nampyeong began to be included in the genealogical table of the Cho of Changnyeong from the second edition. For the result of it, Cho Shik could be misunderstood as married to a woman of the same clan. Cho Yong_Sang asked several times to the editors of the genealogical table to eliminate the Nampyeongs from the table, but it couldn't be realized. Since then by this initiative, the descendants of Cho Eon-Hyong, Cho Shik's father, finally materialized in 1915 a sect table which was independent from the whole genealogical table. Jinju and it's vicinity was the place that became the center of the religious movement of Korean Confucianism. Although it is nowadays considered that the religious movement of Confucianism was started in Baesan-Seodang, Founded by Lee Byeong-Hon, there was the earlier movement that in 1917 the status of the Korean branch of religious Confucianism was conferred to Dotongsa from the secretary Kong Xiang-Lin in Qufu China. But in 1918, The head of Dosan-Seowon sent the circular that criticized Dotongsa in several aspects. It was to check Dotongsa which appeared suddenly with the authority of the branch to leave out Dosan-Seowon which had hold the traditional authority in Yeongnam district. The circular was delivered to Jueli by Lee Byeong-Hon when he visited there in April 1920 with the letter of Lee Choong-Ho the eldest grandson of the main family of Lee Hwang. And he returned with the reply of Jueli that expressed full sympathy to the Lee Choong-Ho's assertion. Thus the status of Dotongsa as the branch of the religious Confucianism brought to an end and it was substituted to Baesan-Seodang which had begun to be construct from the January of 1919 with Lee Choong-Ho as it's key person. Lee Byeong-Hon had involved in, from the beginning, the circular o

      • KCI등재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hn Deok-mun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in Uiryeong, Gyeongsangwoodo in the 18th century and his combining the science of Yeongnam Jwado and Woodo by worshiping three masters, that is, Hoijae, Toigye, and Nammyeong. Ahn placed importance of body and mind cultivation and maintained his academic tendency of practicing it in daily life, which was based on Nammyeong’s practice-centric academic style. Instead of learning under certain master, Ahn tried to emulate three masters representing Yeongnam and combine their science and virtuous acts. In an attempt to practice what he sought after, he commissioned a painter to paint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masters, respectively. He would turn the painting titled Samsanseowondo into a folding screen, set it up at Jungdang, and admir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ll the time. He also tried to experienc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first-hand by visiting their respective Seowons. He would carry Samsanseowondo and Samsandomyeong on his way to Oksan and Dosan Seowon and stop by renowned scholars during his journey to show them Samsanseowondo and ask for their comments. The scholars of Toigye School in Gyeongsang Jwado mostly agreed on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thanks to his efforts. In the process, he put Deokcheo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n Gyeongsang Woodo where study was in stagnation, on the equal status as Dosan and Oksan Seowon, which were the headquarters of Yeongnam School. He also made people reconsider Nammyeong as a moralist on the same level as Hoijae and Toigye. Those efforts made by him led to the commendation of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s well as Samsan Seowon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that the three masters should be admired and respected together who turned Yeongnam into Churojihyang. The old academic style of observing the editorials only written by the disciples that studied under certain masters was replaced with a new study of integration to inherit the sciences of the three masters as one. The scholars of Gyeongsang Woodo especially sought after the study of integration, engaged in active academic exchanges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less of partisan and academic parties, and built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study. It is the significance of Ahn admiring and respecting the three masters together as well as Samsan Seowon.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ㆍ退溪ㆍ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ㆍ陶山書院ㆍ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ㆍ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ㆍ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ㆍ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ㆍ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경남 산청의 서원판본에 대한 연구

        윤상기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ations, either published or assumed to be published by seowons located in Sancheong, Gyeongsangnam-do by the year 1910. Out of the five seowons, two published five books and might have published seven more books. The books confirmed to be published by seowon are as follows: Nammyeong-seonsaeng haggi-yupyeon, Nammyeong-seonsaeng jib(1622), Nammyeong-seonsaeng jib(1671), Nammyeong-seonsaeng munjib(1702), and Nammyeong-seonsaeng munjib(epilogue in 1764) by Deogcheon Seowon. And Suu-dang silgi, Nammyeong-seonsaeng munjib(1799-1897), and Nammyeong- seonsaeng munjib(1824-1897) by Deogcheon Seowon and Deoggye-seonsaeng munjib(1663-early 18c), Saho-seonsaeng munjib, Deoggye-seonsaeng munjib (forword in 1829), and Suo-dang silgi by Seogye Seowon are assumed to have been published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 information of these book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y were published either certainly or possibly by seowons. An analysis of these twelve books show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First, nine books ar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works of the class of Collection of Works, two were categorized into biography of the class of History, and one were categorized into confucianism of the class of Fellow philosophers and scholars. Second, they were all printed with wooden printing blocks. Third, twelve books were published evenly during three centuries from 17th century to 19th century. Forth, they are all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worshipers of related seowon. 이 글은 경남 산청군에 所在했거나 소재한 적이 있었던 서원들에서 1910년까지 刊印했거나 간인했을 가능성이 있는 판본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해당되는 서원은 모두 5개이다. 이들 중 2개 서원에서 5종의 판본을 간인했고, 7종의 판본을 간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간인사실이 확실한 것은 德川書院에서 간인한 「南冥先生學記類編」, 「南冥先生集」(1622), 「南冥先生集」(1671頃), 「南冥先生文集」(1702) 및 「南冥先生文集」(1764跋)이고, 간인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은 덕천서원의 「守愚堂實記」, 「南冥先生文集」(1799-1897) 및 「南冥先生文集」(1824-1897)과 西溪書院의 「德溪先生文集」(1663-18c초), 「思湖先生文集」, 「德溪先生文集」(1829序) 및 「守吾堂先生實紀」이다. 이들 판본들에 대해서는 서지사항을 정밀기술하고 서원판본임을 밝히거나 간인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리고 전체 12종의 판본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들을 밝혀냈다. 첫째, 集部의 別集類가 9종이고 史部의 傳記類가 2종, 子部의 儒家類가 1종으로 集部의 別集類가 대다수이다. 둘째, 모두 목판본이다. 셋째,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3개 세기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간인되었다. 넷째, 10종의 판본의 저자 혹은 피전자가 관련 서원의 배향자 본인들이고 2종의 판본의 저자 혹은 피전자만 배향자의 친족들로서, 모두 관련 서원의 배향자들과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다.

      • KCI등재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2 No.-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won Sang-il’s Seowon activity based on 『Cheongdaeilgi』. Although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Seowon, it is not enough to investigate the detailed aspects of Seowon in local societies or the Seowon activities of local Sarim in the local societies. 『Cheongdaeilgi』 is equipped with conditions for a case study as it has crucial contents to figure out the detailed Seowon activities of Gwon Sang-il, one of the scholars representing Yeongnam(嶺南) in the former 18th century, in Sangju(尙州). Gwon Sang-il is a bureaucrat and scholar representing the 18th-century Sangju and even Yeongnam Namin(嶺南南人) well. Although he passed the Gwageo(科擧) exam at the age of 32 and entered the government, he read books in the countryside instead of being in public office to make ways for younger men. In Sangju where Hyangron(鄕論) was divided into Nam・No(南人・老論), he conducted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Geunam Seowon(近嵒書院) and Donam Seowon(道南書院), the Namin-line Seowon(南人系 書院). Gwon Sang-il’s Seowon activities were gradually extended to not only Sangju but Seowon in Andong, the center of the Namin line, too. We can assume the status of Gwon Sang-il in Yeongnam with the fact that he was inducted into the head of the two Seowon, Dosan(陶山書院) and Deokcheon(德川書院), representing the left and right provinces of Gyeongsang. In his entire life, Gwon Sang-il did aggressiv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the two Seowon, Geunam and Donam Seowon, and Seowon education he conducted was not for Gwageo but about Ganghak(講學). This implies that he followed Toegye(退溪)’s Seowon-ron(書院論) that studying in Seowon should be ‘Wigijihak(爲己之學)’. Gwon Sang-il’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recorded as Ganghak activities which Lee Sang-jeong(李象靖) led in Andong(安東) Yeogang Seeowon(廬江書院) and also Ganghak activities representing the 18th-century Yeongnam Seowon. 본 논문은 『청대일기』를 중심으로 권상일의 서원활동을 검토하였다. 서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향촌사회에 있어서 서원의 구체적인 실상 및 재지사림들의 향촌사회 내 서원활동 등에 대한 해명은 미흡한 실정이다. 『청대일기』는 18세기 전반 영남을 대표하는 학자인 권상일의 상주지역 내에서의 서원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사례연구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권상일은 18세기 상주지역 나아가 영남남인을 대표하는 관료이자 학자였다. 그는 32세에 과거에 합격하여 출사하였지만, 관직 생활보다는 향촌에서 독서하면서 후진을 양성하는데 힘을 쏟았다. 그는 南・老로 향론이 분열된 상주지역에서 남인계 서원인 近巖書院과 道南書院을 중심으로 활발한 교육활동을 하였다. 권상일의 서원활동은 점차 상주지역을 넘어 남인계의 중심인 안동권의 서원으로 확대되어 나갔다. 권상일의 영남 내 위상은 그가 경상좌・우도를 대표하는 도산・덕천 두 서원의 원장으로 추대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권상일은 평생 동안 근암・도남서원 두 서원을 중심으로 활발한 교육활동을 하였는데, 그가 행한 서원교육은 과거공부가 아닌 강학이 중심이었다. 이는 서원에서의 공부는 ‘위기지학’이여야 한다는 퇴계 서원론을 계승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권상일의 교육활동은 이상정이 주도한 안동 廬江書院에서의 강학활동과 더불어 18세기 영남 서원의 대표적인 강학활동으로 기록되었다.

      • KCI등재

        덕천서원의 공간과 명칭에 담긴 의미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이 글은 덕천서원의 공간과 명칭에 담긴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한것이다. 서원의 공간구성과 공간명칭에는 그 서원에 제향 되고 있는선현의 학문과 사상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덕천서원의 경우 남명사상이 공간과 명칭에 깊이 투영되어 있다. 덕천서원의 공간구성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 동재·서재의 앞에 方塘을 만들고, 그 연못에 연꽃과 소나무 한 그루씩 심어놓은 것이다. 방당을 만든 것은 주자의 「觀書有感」에서 취한 것으로, 天人合一을지향하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 또 方塘에 소나무를 심은 것은 소나무와같이 변치 않는 남명의 志節을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방당에 연꽃을심은 것은 진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언제나 淸香을 잃지 않는연꽃에서 적극적으로 현실정치에 참여하면서도 지조를 잃지 않은 柳下 惠의 모습을 발견한 남명의 현실주의 세계관을 드러낸 것이다. 이를통해 볼 때, 방당은 종합적으로 남명의 出處大節과 隱逸이 아닌 處士로서의 정신지향을 공간에 구현해 놓은 것이다. 공간명칭을 살펴보면, 堂名을 敬義堂이라 하고, 동재·서재의 명칭을사액이 되고 난 뒤 進德齋·修業齋로 바꾸었는데, 이 속에도 각별한 의미가 담겨 있다. 남명선생편년에 ‘남명의 학문은 주역 坤卦 六二爻와乾卦 九三爻에서 터득한 것이 있었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곤괘의 ‘敬 以直內 義以方外’와 건괘의 ‘君子 進德修業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 誠 所以居業也’를 가리킨다. 이를 보면 남명은 敬·義와 忠信·修辭를 공부의 두 축으로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덕천서원 경의당과 진덕재·수업재에는 심성수양의 실천을 강조한 남명학의 핵심을 모두 갖추어 놓았다. 문루의 명칭이 幽貞門에서 왜 時靜門으로 바뀌었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전하는 설이 없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남명사상이 투영되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鷄伏堂·雷龍亭 등의 명칭을통해 알 수 있듯이, 남명은 평상시 淵黙 같은 主靜工夫를 위주로 하였으니, 時靜의 의미는 그때그때 수시로 主靜의 涵養을 추구하고자 한 남명의 학문정신을 덕천서원 전체를 포괄하는 문의 이름에 드러낸 것으로보인다. 또한 幽貞의 의미가 현실을 외면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현실을 등지지 않은 남명의 정신을 투영하여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presents a profound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Deokcheon Seowon in its space and title. The space organization and title of a Seowon directly reflects the study and ideology of an ancient sage for whom a sacrificial rite is held there. Deokcheon Seowon has Nammyong's ideology deeply projected onto its space and title.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parts of Deokcheon Seowon's space organization is the square-shaped pond before Dongjae and Seojae with a lotus flower and pine tree planted there. The idea of making a square-shaped pond derived from Zhu Xi's Thoughts from Reading, seeking after the unity of the Heaven and man. The pine tree planted by the pond represents Nammyong's unchanged integrity like a pine tree. A lotus flower was planted in the pond to show the realistic world view of Nammyong that discovered an aspect of Liu Hsia, who took active part in real politics and yet maintained his fidelity, in a lotus flower that was rooted in mud and yet maintained its noble fragrance.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quare-shaped pond embodies in the space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Nammyong in its entirety as Cheosa rather than Chulcheodaejeol and Eunil. As for the space title of Deokcheon Seowon, they called the Dang Gyeonguidang and changed the names of Dongjae and Seojae into Jindeokjae and Sueopjae, respectively, after the Seowon became a Sa-aek. There are also particular meanings in those names. The Chronological Recordings of Master Nammyong tells that "Nammyong's study stemmed from Gongoae Yukihyo and Geongoae Gusamhyo in The Book of Changes," which refers to "Gyeongijiknae Uiibangoi" of Gongoae and "Gunja Jindeoksueop Chungsin Soijindeokya Susaipgiseong Soigeoeopya" of Geongoae. It is thus found that Nammyong put an emphasis on Gyeong·Ui and Chungsin·Susa as two major axes of study. In Deokcheon Seowon, Gyeonguidan and Jindeokjae·Sueopjae contain the core of Nammyong studies that emphasized the practice of body and mind training. There is no clear theory to explain why the name of its gate house was changed from Yujeongmun to Sijeongmun and what meanings the name change had, but it is clear that Nammyong's ideology was projected onto it. As the names of Gyebokdang and Noiryongjeong indicate, Nammyong focused on Jujeong study such as Yeonmuk usually. The meanings of Sijeong suggest that he tried to pursue the cultivation of Jujeong whenever he had the time. The spirit of his study is reflected in the name of the gate house to encompass entire Deokcheon Seowon. In addition, given that the meanings of Yujeong gave an impression that he turned his back away from the world, the name change must have happened to project his spirit of keeping his eyes on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