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암(密庵) 이재(李栽) 문파의 사상적 성향

        이령호 ( Lee Young-ho ),김효동 ( Kim Hyo-dong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1

        조선의 성리학은 퇴계의 학설과 이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특히 율곡학파의 퇴계학 비판은 조선 성리학의 함의를 매우 풍부하게 만들었다. 한편 이현일은 퇴계의 성리설을 옹호하면서 퇴계학의 위상을 확립하려고 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시도는 아들인 이재와 그의 후학들에 의하여 계승되었다. 밀암 이재 문파의 사상적 성향은 거시적으로 보아, 퇴계의 `理氣互發說`에 대한 강화와 변론, 그리고 복귀로 정리될 수 있다. 이현일과 이재가 퇴계학의 정수인 理發을 강조하였다면, 이재의 문도인 이상정과 이광정은 `理發`과 `理氣不相離`의 논지를 모두 강화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현일과 이재의 목적이 율곡학파의 비판에 대한 공박의 목적이 컸다하면, 후대인 이상정과 이광정의 경우 이론적 치밀성을 담보하여 퇴계설에 잠재된 논란의 여지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했던 의도가 있었다고 보인다. 이러한 이재 후학의 이기설은 김낙행에 의해 다시 퇴계설의 본의로 복귀한 면모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재 문파의 사상의 내면에는 퇴계의 이기설이 면면히 흐르면서 때로는 퇴계설을 강화하는 쪽으로, 때로는 변론하는 면모를 보여주면서 끝내는 원류로 복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할 것이다. Neo-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began with Toegye`s theories and critics about them. Particularly, Yulgok school`s critics about Toegye`s theories enriched discussions of neo-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meantime, Yi, Hyun-il tried to establish the status of the Toege school while supporting Toegye`s theory of Xing-li(性理說). His efforts were succeeded by his son, Yi Hae and his disciples. Broadly, the theoretical trend of Milam Yi, Jae school can be said as the trend of strengthening and defending of Toegye`s theory of the simultaneous reaction of li and qi(理氣互發說) and returning to the Toegye`s theory. While Yi, Hyun-il and Yi, Jae emphasized the birth of li (理發), Yi, Jae`s disciples, Yi, Sang-jeong and Yi, Kwang-jeong supported the status of strengthening both the theory of the birth of li (理發) and the theory of li and ki not being separated (理氣不相離). The purposes of Yi, Hyun-il and Yi, Jae were to defend the critics of Yulgok school. In the meantime, Yi, Sang-jeong and Yi, Kwang-jeong armed with theoretical accuracies seemed to purposely prevent controversial arguments hidden in the Toegye`s theory in advance. These Yi Jae`s disciples` theory of li and ki showed the return to the original theory of Toege by Kim, Nak-haeng.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theory of Yi Jae school strengthened the Toegye`s theory, sometimes defended the Toegye`s theor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Toegye`s theory while it continuously maintained the Toegye`s theory of li and ki.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