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宜庵 安德文의 學問精神과 處世方式

        崔錫起(Choi, Seokk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49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academic spirit and conduct of life approach of Ahn Deok-mun(1747-1811) that lived in Uiryeong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main points were as follows: Ahn gave up the highest-level state exam at the age of 41 and wrote An Apology, which depicts his new awakening to his duties and his orientation toward the studies of saints. After giving up the state exam, he directly recognized that the scholars of Yeongnam were trapped in narrow-minded thinking by following only the theories of their schools and sought after the Yeongnam studies of consilience to worship the studies of Lee Eon-jeok, Lee Hwang, and Jo Shik together. He called the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scholars, Samsan Seowon and stated that the studies of the three scholars were in the right line of Confucius and Zhu Xi. Ahn had three major academic orientations: first, he studied to engrave Simjam by Beomjun and Sukheungyamaejam by Jinbaek in his mind, concentrated on the cultivation of his mentality by hanging the pictures of Taegeukdo, Seonggido, and Simhakdo, and was devoted to the study of Jiknaeuibang by pasting two letters Gyeong and Ui by the window. His study was in line with Nammyeong studies. Secondly, his Myeongmyeongdeokjam and Yeongdaeseo tell that he found the root of his studies in the establishment of a moral subject. This spiritual orientation of his was in line with Nammyeong s Sinmyeongsado· Finally, his Guyongjam indicates that he made a list of things he would practice in daily life and tried to practice them. This academic spirit of his was rooted in Nammyeong studies. Ahn spent the latter part of his life by pursuing these orientations. The core of his practice was to find Ui in daily life, which can be checked in his Uiamseo, which introduces a way of life to find the right thing at every moment in daily life. Examples of his conduct of life approach include taking the lead in the establishment of Heunghakda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village, and the repair of Gosanjae, the village school of his family to raise the studies of the village, searching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Sachang by protecting the forests to save the livelihood of the village people and control commerce, and making the village people take pride in their culture by excavating actively the meanings of scenic spots in the village. Ahn s academic spirit and conduct of life approach holds the following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ideology: first, he proposed the study of consilience to worship Hoijae, Toigye and Nammyeong studies together to the Yeongnam School that followed only their own theor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This academic spirit of his had enormous impacts on the local scholars of Gyeongsangwoodo later and helped them develop a new perception of worshiping Nammyeong and Toigye studies together. Secondly, his academic spirit was based on the mental training and practice of Nammyeong studies, which confirms that every aspect of Nammyeong studies was transmitted to Gyeongsangwoodo. Thirdly, he found the right things for him to practice his academic spirit in daily life and tried to realize them in the real world he faced. His approach to conduct of life represents a private man s reactions to the reality distant from the political power and helps to find the meanings of local intellectuals social roles in the era of nobility. 이 글은 조선후기 의령에 살던 安德文(1747-1811)의 학문정신과 처세방식을 탐구한 것으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안덕문은 과거를 포기하면서 謝科文을 지었는데, 士人의 본분을 새롭게 각성하며 성현의 학문을 지향하고자 하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그는 과거를 포기한 뒤 영남의 학문이 자기 학파의 설만을 추종하는 편협한 사고에 빠져 있는 것을 직시하고서, 李彦迪·李滉·曺植의 학문을 함께 추숭하는 통섭의 영남학을 추구하였다. 그리하여 이 세 선생을 모신 옥산서원·도산서원·덕산서원을 三山書院이라 칭하고, 이들의 학문을 모두 공자와 주자의 正脈으로 보았다. 안덕문의 학문지향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그는 范浚의 心箴과 陳柏의 夙興夜寐箴을 가슴속에 새기는 공부를 하였으며, 太極圖·誠幾圖·心學圖를 걸어두고 심성수양하는 공부에 치중하였으며, 창가에 敬·義 두 자를 써 붙여놓고 直內義方의 공부에 주력하였다. 이는 남명학과 맞닿아 있다. 둘째, 그의 明明德箴과 靈臺序를 보면 명명덕을 통한 도덕적 주체 확립을 학문의 근본으로 삼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신지향은 남명의 신명사도와 맞닿아 있다. 셋째, 그의 九容箴을 보면 일상에서 실천해야 할 조목을 정해 이를 실천하려 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학문정신도 남명학에 연원을 두고 있다. 안덕문은 이런 지향을 하며 생의 후반기를 보냈는데, 그 실천의 핵심이 日常에서 宜를 찾는 것이었다. 이는 宜庵序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일상에서 마땅함을 찾는 삶의 방식이다. 이러한 그의 처세방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교육기관인 興學堂 창건을 주도하고 문중서당인 高山齋를 중수하여 고을의 학문을 일으키고자 한 점, 민생을 살리기 위해 산림을 보호하고 상업을 억제하며 社倉의 개선방안을 강구한 점, 고을의 名勝에 대한 의미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문화적 자긍심을 갖게 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안덕문의 학문정신과 처세방식은 다음과 같은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첫째, 안덕문은 자기학파의 설만을 추종하는 조선후기 영남학계에 회재학·퇴계학·남명학을 함께 추존하는 통섭의 학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학문정신은 후대 경상우도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쳐 남명학과 퇴계학을 함께 추숭하는 인식을 갖게 하였다. 둘째, 안덕문의 학문정신이 남명학의 심성수양과 실천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남명학이 경상우도에 면면이 전승된 것을 확인하게 해준다. 셋째, 안덕문은 자신의 학문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기 위해 자신의 마땅함 宜을 찾았고, 그것을 자신이 처한 현실세계에 구현하려 노력했다. 이러한 처세방식이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진 향촌 지식인의 사회적 역할이라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hn Deok-mun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in Uiryeong, Gyeongsangwoodo in the 18th century and his combining the science of Yeongnam Jwado and Woodo by worshiping three masters, that is, Hoijae, Toigye, and Nammyeong. Ahn placed importance of body and mind cultivation and maintained his academic tendency of practicing it in daily life, which was based on Nammyeong’s practice-centric academic style. Instead of learning under certain master, Ahn tried to emulate three masters representing Yeongnam and combine their science and virtuous acts. In an attempt to practice what he sought after, he commissioned a painter to paint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masters, respectively. He would turn the painting titled Samsanseowondo into a folding screen, set it up at Jungdang, and admir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ll the time. He also tried to experienc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first-hand by visiting their respective Seowons. He would carry Samsanseowondo and Samsandomyeong on his way to Oksan and Dosan Seowon and stop by renowned scholars during his journey to show them Samsanseowondo and ask for their comments. The scholars of Toigye School in Gyeongsang Jwado mostly agreed on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thanks to his efforts. In the process, he put Deokcheo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n Gyeongsang Woodo where study was in stagnation, on the equal status as Dosan and Oksan Seowon, which were the headquarters of Yeongnam School. He also made people reconsider Nammyeong as a moralist on the same level as Hoijae and Toigye. Those efforts made by him led to the commendation of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s well as Samsan Seowon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that the three masters should be admired and respected together who turned Yeongnam into Churojihyang. The old academic style of observing the editorials only written by the disciples that studied under certain masters was replaced with a new study of integration to inherit the sciences of the three masters as one. The scholars of Gyeongsang Woodo especially sought after the study of integration, engaged in active academic exchanges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less of partisan and academic parties, and built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study. It is the significance of Ahn admiring and respecting the three masters together as well as Samsan Seowon.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ㆍ退溪ㆍ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ㆍ陶山書院ㆍ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ㆍ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ㆍ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ㆍ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ㆍ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 Seok Ki Choi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이 글은 19세기 전반 경상우도 지역에서 활동한 河範運이 三山九曲詩를 창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하범운은 河의 6대손으로 19세기 전반 진주에서 활동한 남인계 학자이다. 그는 남명학과 퇴계학을 겸취하여 극도로 침체된 지역의 학풍과 기강을 부지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성향은 讀書明理와 閑邪謹獨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의리를 종자로 삼고 그 의리를 일상에서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점은 「自省箴」과 「山中懷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상우도 지역은 경상좌도 지역에 비해 구곡문화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지형적으로 화강암 지대가 적어 구곡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 라, 이 지역 학자들이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 인근은 지형적으로 구곡을 설정한 만한데도 덕산구 곡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19세기 전반 하범운이 처음으로 덕산구곡 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덕산구곡시를 창작하였다. 하범운은 1823년 안동으로 李野淳을 방문하였을 때, 이야순이 陶山九曲 詩와 玉山九曲詩를 보여주며 차운을 청하여, 집으로 돌아와 차운시를 지어 보내면서 덕산구곡시를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晦齋·退溪·南冥을 제향하는 서원이 있는 곳을 ‘三山’으로 칭하고, 이 삼산에 구곡이 있는 것은 도학의 원 류가 영남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여 ‘三山九曲詩’라고 명명하였다. 이 는 安德文이 세 선생을 추숭하여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것과 같 은 맥락에 있다. 이 점이 그가 삼산구곡시를 지어 덕산구곡을 도산구곡·옥산 구곡과 나란히 드러내려 한 창작 배경이다. 하범운이 지은 삼산구곡시의 덕산구곡시는 앞시대 鄭이 덕천서원 뒤 산골짜기에 경영한 武夷九曲에 나아가 제목을 德山九曲으로 개정하고 曲名을 일부 바꾸어 노래한 것이다. 그런데 하범운의 덕산구곡시와 정식의 무이 구곡시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식은 주자의 「무이도가」의 정신을 그대로 본받으려 한 반면, 하범운은 남명의 精 神과 氣節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하범운의 덕산구곡시는 남 명의 학문과 정신을 회고하고 추앙하며 자기 시대의 쇠미해진 도를 탄식하 는 내용이다. 하범운이 삼산구곡시의 하나로 덕산구곡시를 추가한 것은, 安德文이 三山 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의 덕산을 옥산·도산과 하나로 합해 도학의 연원과 학문의 본질이 같다는 점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여기에 그가 지은 삼산구곡시의 의미가 있다. 하범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덕천서원이 있는 덕산에는 남명의 유적을 중심으로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조선 후기 이 지역 인사들의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퇴계 후 손들이 도산구곡을 적극적으로 설정한 것처럼 남명 후손들은 덕산구곡을 설 정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였던 것이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한 가장 큰 원 인이라 하겠다. Focusing on the fact that Ha Beom-woon, who was active in the Gyeongsangwoo Province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reated Samsangugoksi,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Deoksangugok, the creative background of Samsangugoksi, and Deoksangugoksi.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Ha Beom-woon was a sixth generation descendent of Ha Jin and Namin line scholar active in Jinju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ombining Nammyeonghak with Toigyehak, he worked hard to support and maintain the academic tradition and discipline of the extremely stagnated region. His academic inclinations can be summarized into Dokseomyeongri and Hansageundok. He sought after life of finding a seed in faithfulness and practicing faithfulness in daily life, which is confirmed in Jaseongjam and Sanjunghoigo. Gyeongsangwoo Province had less developed Gugok culture than Gyeongsangjwa Province because its geographical features prevented Gugok from being formed and because its scholar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As a result, Deoksangugok was not set even near Deokcheon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t was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t Ha Beom-woon named it Deoksangugok for the first time. When he visited Lee Ya-sun in Andong in 1823, Lee showed him Dosangugoksi and Oksangugoksi and asked him to write a poem by borrowing rhymes from them. After returning home, he created a rhyme-borrowing poem and sent it to him along with Deoksangugoksi. He thus called the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Hoijae, Toigye and Nammyeong "Samsan" and designated a title of "Samsangugoksi" to indicate that Gugok in Samsan showed that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lied in Yeongnam. It was in the same line of Ahn Deok-mun admiring the three scholars and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which was the creative background behind Ham writing Samsangugoksi and displaying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In the Deoksangugok of Samsangugoksi by him, Ha partially changed the name and title of Muigugok administered in the mountainous valley behind Deokcheon Auditorium by Jeong Shik before his time. Comparison between Deoksangugoksi by Ha and Muigugoksi by Jeong reveals obvious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m. While Jeong tried to inherit the "Muidoga" spirit of Zhu Xi as it was, Ha focused on exhibiting the spirit and integrity of Nammyeong. That is, the content of his Deoksangugoksi was all about recalling and worshiping the science and spirit of Nammyeong and lamenting over the decayed morality of his times. He added Deoksangugoksi as one of Samsangugoksi to inherit Ahn`s spirit of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and show that Deoksan of Nammyeong had the same academic nature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combining it with Oksan and Dosan into one, which holds the significance of his Samsangugoksi. In spite of such efforts made by Ha, however, Deoksangugok was not set around the relics of Nammyeong in Deoksan where Deokcheon Auditorium was located because the local figure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biggest reason for failing to set Deoksangugok was that the descendents of Nammyeong were not active with setting it unlike those of Toigye that were active with setting Dosangugok.

      • KCI등재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Focusing on the fact that Ha Beom-woon, who was active in the Gyeongsangwoo Province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reated Samsangugoksi,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Deoksan- gugok, the creative background of Samsangugoksi, and Deoksangugoksi.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Ha Beom-woon was a sixth generation descendent of Ha Jin and Namin line scholar active in Jinju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ombining Nammyeonghak with Toigyehak, he worked hard to support and maintain the academic tradition and discipline of the extremely stagnated region. His academic inclinations can be summarized into Dokseomyeongri and Hansageundok. He sought after life of finding a seed in faithfulness and practicing faithfulness in daily life, which is confirmed in Jaseongjam and Sanjunghoigo. Gyeongsangwoo Province had less developed Gugok culture than Gyeongsangjwa Province because its geographical features prevented Gugok from being formed and because its scholar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As a result, Deoksangugok was not set even near Deokcheon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t was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t Ha Beom-woon named it Deoksangugok for the first time. When he visited Lee Ya-sun in Andong in 1823, Lee showed him Dosangugoksi and Oksangugoksi and asked him to write a poem by borrowing rhymes from them. After returning home, he created a rhyme-borrowing poem and sent it to him along with Deoksangugoksi. He thus called the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Hoijae, Toigye and Nammyeong "Samsan" and designated a title of "Samsangugoksi" to indicate that Gugok in Samsan showed that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lied in Yeongnam. It was in the same line of Ahn Deok-mun admiring the three scholars and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which was the creative background behind Ham writing Samsangugoksi and displaying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In the Deoksangugok of Samsangugoksi by him, Ha partially changed the name and title of Muigugok administered in the mountainous valley behind Deokcheon Auditorium by Jeong Shik before his time. Comparison between Deoksangugoksi by Ha and Muigugoksi by Jeong reveals obvious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m. While Jeong tried to inherit the "Muidoga" spirit of Zhu Xi as it was, Ha focused on exhibiting the spirit and integrity of Nammyeong. That is, the content of his Deoksangugoksi was all about recalling and worshiping the science and spirit of Nammyeong and lamenting over the decayed morality of his times. He added Deoksangugoksi as one of Samsangugoksi to inherit Ahn's spirit of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and show that Deoksan of Nammyeong had the same academic nature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combining it with Oksan and Dosan into one, which holds the significance of his Samsangugoksi. In spite of such efforts made by Ha, however, Deoksangugok was not set around the relics of Nammyeong in Deoksan where Deokcheon Auditorium was located because the local figure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biggest reason for failing to set Deoksangugok was that the descendents of Nammyeong were not active with setting it unlike those of Toigye that were active with setting Dosangugok. 이 글은 19세기 전반 경상우도 지역에서 활동한 河範運이 三山九曲詩를 창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하범운은 河溍의 6대손으로 19세기 전반 진주에서 활동한 남인계 학자이다. 그는 남명학과 퇴계학을 겸취하여 극도로 침체된 지역의 학풍과 기강을 부지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성향은 讀書明理와 閑邪謹獨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의리를 종자로 삼고 그 의리를 일상에서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점은 「自省箴」과 「山中懷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상우도 지역은 경상좌도 지역에 비해 구곡문화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지형적으로 화강암 지대가 적어 구곡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 지역 학자들이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 인근은 지형적으로 구곡을 설정한 만한데도 덕산구곡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19세기 전반 하범운이 처음으로 덕산구곡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덕산구곡시를 창작하였다. 하범운은 1823년 안동으로 李野淳을 방문하였을 때, 이야순이 陶山九曲詩와 玉山九曲詩를 보여주며 차운을 청하여, 집으로 돌아와 차운시를 지어 보내면서 덕산구곡시를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晦齋·退溪·南冥을 제향하는 서원이 있는 곳을 ‘三山’으로 칭하고, 이 삼산에 구곡이 있는 것은 도학의 원류가 영남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여 ‘三山九曲詩’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安德文이 세 선생을 추숭하여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것과 같은 맥락에 있다. 이 점이 그가 삼산구곡시를 지어 덕산구곡을 도산구곡·옥산구곡과 나란히 드러내려 한 창작 배경이다. 하범운이 지은 삼산구곡시의 덕산구곡시는 앞 시대 鄭栻이 덕천서원 뒤 산골짜기에 경영한 武夷九曲에 나아가 제목을 德山九曲으로 개정하고 曲名을 일부 바꾸어 노래한 것이다. 그런데 하범운의 덕산구곡시와 정식의 무이구곡시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식은 주자의 「무이도가」의 정신을 그대로 본받으려 한 반면, 하범운은 남명의 精神과 氣節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하범운의 덕산구곡시는 남명의 학문과 정신을 회고하고 추앙하며 자기 시대의 쇠미해진 도를 탄식하는 내용이다. 하범운이 삼산구곡시의 하나로 덕산구곡시를 추가한 것은, 安德文이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의 덕산을 옥산·도산과 하나로 합해 도학의 연원과 학문의 본질이 같다는 점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여기에 그가 지은 삼산구곡시의 의미가 있다. 하범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덕천서원이 있는 덕산에는 남명의 유적을 중심으로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조선 후기 이 지역 인사들의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퇴계 후손들이 도산구곡을 적극적으로 설정한 것처럼 남명 후손들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였던 것이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