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思維現代化問題-從邏輯的觀點看

        구건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中國思維現代化問題是中西文化相遇下的結果, 但現代化是否就是西方化, 甚至歐洲化?在現代多元思潮的背景下, 以歐洲化做為現代化指標又產生了什麼反省?在接受邏輯為現代化指標前提下, 對於西方邏輯的學習也從傳統邏輯進入了現代符號邏輯, 但西方邏輯的全盤殖入等於是現代化的完成的想法, 使得中國文化自身在現代化中扮演了消極, 甚至負面的角色。 文化相遇的多種範式說明了文化理解的具體規範, 是受到了文化相遇兩端預設關係的影響, 這也間接地決定了現代化一詞具有的意義。 但無論是那一種範式或意義, 西方文化對於中國文化思維的現代化都扮演了一個不可或缺的角色。 即使西方文化從原先現代化的典範轉變成了各不同文化朝向現代化的參考點。 並且隨著這個轉變, 現代化也從僅指朝向歐洲現代文化的趨同意義, 變成了與各個邁向現代化的不同文化相緊密相關的多元現代性意義。 在以典範轉變和多元現代性的分析脈絡下, “中國邏輯思維”研究就是中國思維現代化的具體展現。

      • KCI등재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정태석(Jeong, Taeseok)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100

        비판사회학회가 ≪경제와사회≫를 창간한 지 25년의 세월이 흘러 이제 100호를 맞이하였다. 그동안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비판사회이론도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 글은 ‘사회구성체 논쟁’ 이후 전개되어온 비판사회이론의 다양한 흐름의 맥락들을 살펴보고, 그 중요한 이론적 쟁점들을 조명하고 있다. 그동안 비판사회이론의 관심 영역은 토대에서 상부구조로, 계급중심성에서 다원적 적대로 전환되어왔고, 중심적인 이론적 논리는 동일성, 필연성, 중심성에서 차이, 우연성, 탈중심성으로 변화되어왔다. 그리고 현대성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면서 탈현대성의 논리에 대한 연구가 확산되었다. 앞으로 비판사회이론은 공공사회학의 관점에서 ‘경계의 사유’를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2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ounding of academic Journal, Economy and Society of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in Korea, and now it takes the No. 100. Meanwhile, the critical social theorie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changes in Korea. This article is trying to review the context of the various streams of critical social theor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debate on the social formations” and to overlook the important theoretical issues. Meanwhile, the academic fields of interest in critical social theories have been moved from the basis and class centrality into the superstructure and plural antagonism, and the central theoretical logic has been converted from identity, necessity, centrality to difference, contingency, de-centrality. And according to the reflections on modernity, studies on the logic of post-modernity have been spread. In the future critical social theorie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the ‘Thought on Borderline’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sociology

      • KCI등재

        현대 서예 패러다임의 변화

        손동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서예의 미적 패러다임은 근본적으로 사회적 변화에 기초한다. 현대의 서예는 현상적 측면에서 볼 때 창작의 영역에서 전통과 다른 풍모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인간만의 영역이었던 서예 예술의 탄생 과정이 AI 서예 로봇이 등장하면서 혼란을 맞고 있다. 현재로선 AI의 서예 창작을 예술로 인정하기 힘든 분위기지만 급변하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미래의 서예에 대한 추세를 예측하기 힘든 실정이다. 21세기의 서예는 현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과학은 물론 사회학적 요소가 매우 강조되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 서예와 다른 형식의 미학적 메커니즘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 서예의 가장 큰 특징은 다원적 시각화 경향이다. 이 이면에는 서예 미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새로운 창작의 형식과 관련된 문제들이 존재한다. 현대 서예의 창작적 성향은 과거보다 더욱 실험적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서예의 심미적 가치 기준이나 그 미학적 특색을 가름하기는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현대 서예의 변화 과정을 좀 더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서예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제시하였다. 현대 서예의 발전과 변화는 결코 서예 예술 내부의 자율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새로운 미적 패러다임의 발생은 필연적으로 사람이 중심이 되는 예술사회학의 각도에서 탐구해야 한다. 진정한 의미의 현대성이란 시간의 개념이 아니라 현대의 서예가 고대와 다른 새로운 미학적 규범의 전환을 의미한다. 다만 오늘날 서예의 현대화 과정에서 대두되는 시각적 경향은 이미 많은 대중들에게 환영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서예계의 공통된 신념으로 정착되었다고 단언할 수 없다. Asian calligraphy is a form of art, and the tendency of its aesthetic paradigms is firmly rooted in social changes. Asian calligraphy of today shows different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orm in a phenomenal aspect in the domains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Especially the creation process of Asian calligraphy, which was solely reserved for flesh and bone human beings, is now disturbed by the debut of Asian calligraphy robots. It is still difficult to call calligraphical creations by AI an art.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ies makes it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of Asian calligraphical art. Asian calligraphy of today emphasizes social-science elements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 in the process of seeking modernization. This means a shift of the paradigms into something different in terms of the forms of expressions, concepts of cognition, and aesthetical mechanisms compared to traditional Asian calligraphy. The most profound characteristic of modern Asian calligraphy is the tendency to diversify visualization. One can find the origin of this trend in the changing ideas of the aesthetics of Asian calligraphy and new forms of expression. Modern Asian calligraphy is going more experimental compared to the past regarding taste and imager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ssess the aesthetic value criteria for Asian calligraph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a new concept called the paradigm of calligraphy in the study of Asian calligraphy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nization of Asian calligraphy in depth. The autonomy within the art of Asian calligraphy alone cannot explain the progress and changes in modern Asian calligraphy. The coming of a new aesthetic paradigm eventually demands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sociology, where the focus is on people. True modernity is not about the concept of time but a transition into a different aesthetic paradigm unlike what they had in ancient times. However, even though the public welcomes the vivid imagery that stemmed from the transition into modern Asian calligraphy, it is still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 established itself as a generally shared idea in the field of Asian calligraphy at this moment.

      • KCI등재후보

        沈德潛의 詩學에 담긴 근대성의 의의

        蕭麗華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08 韓國學論集 Vol.43 No.-

        沈德潛의 시학은 유가의 溫柔敦厚의 詩敎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바 당시 格調派의 영수로 추종되었다. 심덕잠은 『禮記‧經解』의 “其為人也,溫柔敦厚,『詩』教也)”라는 견해를 계승하여 온유돈후의 詩道와 政教風俗과 관련되는바 그것이 志氣를 안정시키고 성정을 조화시키며, 인륜을 돈후하게 하며, 풍속을 바꾸며, 교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시의 취지라고 했다. 심덕잠은 고금의 詩道를 전부 온유돈후로 귀납하고 風雅遺意를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의 선별이나 창작의 관건은 시가 온유돈후의 취지를 갖췄는지, 혹은 풍아유의의 전통을 이을 수 있는지의 여부였다. 시가를 편하고 선할 때 반드시 온유돈후에 부합되어야 하고, 또한 온유돈후의 시교는 인륜을 두텁게 하고 교화를 아름답게 하며 풍속을 바꿀 수 있기에, 심덕잠은 시가의 편하고 선하는 작업을 통하여 풍속을 바로잡아 溫厚中正에 귀결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심덕잠의 시론은 청대 시학의 발전에 있어서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하나는 당시의 시풍을 시정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神韻說의 부족함을 보완한 것이다. 심덕잠의 시학은 강희 50년(1715)에서 건륭22년(1757) 사이에 형성되었다. 그의 시학은 비록 ‘學古’를 주장하고 유가시학을 근거로 삼지만, 그 함의에는 근대성의 요소들이 충만하다. 베버의 합리화rationalization에 부합하는 서양식 근대성과 달리 심덕잠의 시학은 찰스 테일러와 비슷한 제3세계국가에서 통할 수 있는 근대성, 곧 다원적 근대성multple mdernities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적 자각 아래서 21세기에 건설될 중국의 근대성은 반드시 중국의 특색을 갖춘 현대 신문명일 것이다. 심덕잠 시학에 대한 고전적 회귀가 바로 이러한 문화자각의 계시를 제공해 주고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보는 유학의 현대적 계승의 의미

        박은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60 No.-

        Understanding Confucianism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research across East Asian societie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iverse academic approaches and an integrated methodology for Confucianism are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East Asia.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interest in East Asia is very high. It is tim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East Asia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growing tension between the U.S. and China.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of multivariate interpretations of Confucianism is considered a meaningful task for East Asian researchers. However, we should refrain from interpreting and using Confucianism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needs and convenience of a certain era. Confucianism is a universal value created by the fusion of East Asian complexities that humans need to pursue their lives. The reason why we think about Confucianism in our modern society is that we can share our sympathy with the infinite areas of human-made philosophy and history beyond generations and into universal values of mankind. In the diversified East Asian world, the Confucian school aims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loss of human presence and role. 동아시아 사회 전반에 걸친 연구에서 유학에 관한 이해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유학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과 통합적 방법론의 모색은 동아시아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연구주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동아시아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은 아주 뜨겁다. 한반도의 정세나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해지는 현황에서 동아시아를 정확히 보는 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학의 다변적 해석에 관한 연구는 동아시아학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여겨진다. 다만 하나의 사상을 특정한 시대의 요구나 편의성에 따라 임의적으로 해석하고 이용하는 일은 삼가야 할 것이다. 유학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아가면서 필요로 한 동아시아적 복잡한 요소들이 융합되어 만들어진 보편적 가치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유학에 대하여 다시금 짚어보는 것은 인간이 사유할 수 있는 철학, 사학 등 무한의 영역들이 세대를 뛰어넘어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실현됨으로써 공감을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다변화된 동아시아 세계에서 인간의 존재와 역할의 상실에 따른 근본적인 해결을 유학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인화의 양면성과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

        김정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4

        This paper situates individualization in a dual context: the individualization of sufferings and the rise of networked individualism. On the one hand, the individualization of suffering under neoliberalism produces the tendency for social fragmenta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opens a new political avenue on which new online social capitals are articulated with strong political leadership. Therefore, individualization is an ambivalent process not only institutionally forcing individuals accountable for their own decision and life but also voluntarily forging collective political action in a networked circumstance. Based on the observation of new political chances, this paper challenges two influential interpretations of individual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economic reductionism interpreting the problem of ‘sampo sedae’ as a mainly economic phenomenon without relevant consideration on identity change of young generations, and the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thesis ignoring the rise of subjective individualism in making one’s decision in recent history of South Korea 이 글은 한국사회는 저출산 문제, 세대갈등 등과 같은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 즉 개인화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개인화 이론을 정리하고, 그것의 정치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론적인 글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벡, 기든스, 바우만에 의해주장되었던 개인화 이론을 웰먼, 카스텔 등에 의존하여 정보화 사회 혹은 네트워크 사회에 맞게 재구성하고, 개인화가 갖는 정치적 함의를 검토한다. 이 글은 기존의 개인화 이론이 개인주의에 관한 구체적인 정의가 없었음을 비판하고, 개인화를 ‘1960년대 발생한 주관적 개인주의, 즉 자기실현과 다양성에 대한 인정의가치가 주류화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개인화 과정은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와 접합되어 ‘고통의 개인화’와 이로 인한 사회의 파편화를 낳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체성 혁명이 낳은 주관적 개인주의와 결합하여 새로운 정치적 대안과새로운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낳는다. 이 글은 이러한 개인화의 양면성을 인정하면서 개인화를 신자유주의와 일치시키기보다는 그것의 정치적 가능성에 주목한다. 네트워크된 개인주의와 주관적 개인주의의 접합으로 나타난 약한 유대는 사회 자본을 확대할 뿐 아니라 정치적 리더십과 같은 강한 유대와 결합하여 신자유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한국의 개인화 과정은 ‘개인주의 없는 개인화’가 아니라 주관적 개인주의가 확대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한국은 신자유주의적 개인화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약한 유대와 강한 유대를 결합한 경험을갖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화의 긍정적 계기를 발전시킬 수 있는 역사적 자원을 갖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