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寧國原從功臣錄券』의 書誌的 硏究

        진나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3 No.-

        『영국원종공신녹권(寧國原從功臣錄券)』은 인조가 1646년 심기원의 역모를 고변하고 진압한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영국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영국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영국원종공신녹권은 공신도감자(功臣都監字)의 목활자본으로 인출되었으며, 녹권의 체계는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모두 2,578명(1등 620명, 2등 636명, 3등 1,322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고인의 직함과 성명이 나열되었다. 대체로 등급이 높을수록 품계 또한 높은 편이며, 무반 계열의 직함이 많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신분을 4개의 계급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양반 1,830명, 중인 421명, 양인 241명, 천인 86명 순으로 양반이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寧國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suppressed a rebellion caused by Shim Gi-wo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a collection of books at Yonsei university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wooden type book which was made up Gongsindogam(功臣都監)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Yeong-Guk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the body(本文)․the end(卷末). Yeong-Guk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2,578 persons (1st grade: 620 persons, 2nd grade: 636 persons, 3rd grade: 1,322 persons). Also an analysis of their family name confirmed that 1,830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Jung-in(中人)” were second group (421 persons), “Yang-in(良人)” were 241 persons and “Chun-in(賤人)” were 86 persons.

      • KCI등재후보

        인터넷신문의 미디어 공신력(Credibility)에 관한 연구

        안주아(Ahn Joo Ah),김봉섭(Kim Bong Seob)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3

        공신력은 수용자에 의해 지각된 커뮤니케이터의 속성으로,Hovland와 동료들의 연구 이후 초기의 커뮤니케이터 공신력에서 미디어와 미디어 콘텐츠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이용자가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신력(credibility) 차원에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인터넷신문을 대상으로, 공신력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공신력의 차원들이 인터넷신문 브랜드와 성별, 연령, 인터넷 이용경험 및 인터넷신문 이용동기 등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평가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단계 사전조사를 통하여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측정항목을 포괄적으로 수집하고,2단계 전문가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이틀 측정항목의 적합도를 조사하였으며, 3단계 본조사에서는 최종 선택된 측정항목으로 실제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객관성’과 ‘전문성’이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연구대상 신문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인터넷신문 공신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은 객관성, 전문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저연령 집단이 고연령 집단보다 인터넷신문의 공신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이용경험에 따른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평가에 있어서는 객관성 요인에서 이용기간과 관련하여 단기이용과 장기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용동기에 따른 인터넷신문의 공신력 평가는 전문성 차원에서 관행적 이용과 도구적 이용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인터넷신문을 도구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인터넷 신문에 더 높은 공신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net newspapers have emerged as new forms of mass media. But even with its rapidly growing influence, it isn't still being regarded as a division of media credibility research.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ed. First. it attempts to discover factors of the internet newspapers.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internet newspapers' credibility for internet newspaper brands and internet newspaper user's characteristic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redibility to internet newspapers are consist of 'objectivity' and 'expertise'.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plain the concept of credibility to internet newspapers. Second, evaluations to credibility of internet newspapers according to internet user's sex were not significant. Bu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internet newspaper brands and user's age. And there are partly significant for internet user's experience and motive for internet newspapers.

      • KCI등재

        『定社功臣錄券』의 書誌的 硏究

        진나영,송일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3

        Jeongsa-gongshin-nokgwon (定社功臣錄券) is a document issu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 king appointed the vassals of merit who suppressed the First Rebel of Prince in 1398 as Jeongsa-gongshin (定社功臣) and gave them titles and rewards as described in the Jeongsa-gongshin-nokgwon document.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s and process of the rewards given to the vassals by way of the existing copy of Jeongsa-gongshin-nokgwon. The form and organization of the document were analyzed in detail. The titles given to the vassals were classified into each grad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sought. The content of the document was also analyzed in detail.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Jeongsa-gongshin-nokgwon is a manuscript and it consists of 3 parts: introduction (卷首), main text (本文), and ending (卷末). Names and titles given to 29 vassals of merit are listed of which 12 vassals were first grade and 17 vassals were second grade. The ranks of first-grade vassals of merit were higher than the ranks of second-grade vassals of merit. In the first-grade vassals of merit, there were relatively more relatives of the king. The rewards and privileges given to the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rade. The content of regulation was also different within the same grade, depending on the person. The formation and names of government officers, who worked in the temporary office in charge of rewards to the vassals of merit (Gongshin-dogam, 功臣都監), were verified by the approval signatures and last names found in Jeongsa-gongshin-nokgwon. 『정사공신녹권(定社功臣錄券)』은 태종이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힘쓴 신하들을 정사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문서이다. 이 연구는 현존하는 『정사공신녹권』 복제본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보았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을 분석하여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녹권의 내용을 세세히 분석한 연구결과, 『정사공신녹권』은 필사본으로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모두 29명(1등 12명, 2등 17명)이 기재되었으며, 그들의 직함과 성명이 기술되었다. 1등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에 비해 높았고 비교적 왕의 친인척이 많았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포상 및 특전규정이 등급에 따라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같은 등급 안에서도 사람에 따라 그 규정 내용이 상이(相異)하였다. 공신에 관한 제반사무를 맡아본 공신도감의 관원들의 구성과 녹권 안 그들의 성씨(姓氏)와 수결을 통해 관원들의 상세한 성명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광국원종공신녹권(光國原從功臣錄券)"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송일기,진나영,Song, Il-Gie,Jin, Na-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4

        "광국원종공신녹권(光國原從功臣錄券)"은 선조가 1591년 조선 왕실의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광국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현존하는 재주갑인자(再鑄甲寅字)인 경진자(庚辰字)로 인출된 "광국원종공신녹권" 4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그들의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광국원종공신녹권"은 경진자로 찍은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 본문(本文) 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354개의 직함에 모두 872명(1등 137명, 2등 136명, 3등 599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직함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다. 문관이 무관에 비해 많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을 4개의 신분(身分)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신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양반 748명, 중인 103명, 양인 13명, 천인 8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양반이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光國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corrected the Chosun dynasty's genealogy.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4 books of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Jaeju-Gapin(再鑄甲寅)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Gwang-Kuk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 the body(本文) the end(卷末). Gwang-Kuk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872 persons(1st grade: 137 persons, 2nd grade: 136 persons, 3rd grade: 599 persons) with 354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social status confirmed that 872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748 persons : 85.8%), "Jung-in(中人)" were second group(103 persons : 11.8%), "Yang-in(良人)" were 13 persons(1.5%) and "Chun-in(賤人)" were 8 persons(0.9%).

      • KCI등재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의 서지적(書誌的) 연구(硏究)

        송일기,진나영,Song, Il-Gie,Jin, Na-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은 성종이 1571년 성종이 왕위에 오르는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좌리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성암고서박물관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 조사된 "좌리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성씨 및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좌리원종공신녹권"은 을해자(乙亥字)의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 본문(本文) 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513개의 직함에 모두 1,059명(1등 64명, 2등 272명, 3등 723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직함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성명에 기술된 성씨(姓氏)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성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이(李)씨가 약 21%와 김(金)씨가 약 15%로,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佐理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made Sung-jong into Chosun dynasty's king.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only 1 books of Jua-i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Eul-hae(乙亥)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 the body(本文) the end(卷末). Jwa-lee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1,059 persons(1st grade : 64 persons, 2nd grade : 272 persons, 3rd grade : 723 persons) with 513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family name confirmed that 1,059 persons were "Lee"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21%), "Kim" were second group(15%).

      • KCI등재

        『保社原從功臣改修錄券』의 書誌的 硏究

        진나영,송일기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60 No.-

        the repaired Bo-Sa Wonjong Gongsin-Nokgwon(保社原從功臣改修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made Suk-jong into Chosun dynasty’s king.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the repaired Bo-Sa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the repaired Bo-Sa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Mu-Sin(戊申)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the repaired Bo-Sa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the body․the end. Bo-sa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3,940 persons (1st grade: 2,267 persons, 2nd grade: 681 persons, 3rd grade: 489 persons) with 242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social status confirmed that 2,267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2,267 persons: 57.5%), “Jung-in(中人)” were second group (681 persons: 17.3%), “Yang-in(良人)” were 503 persons(12.8%) and “Chun-in(賤人)” were 489 persons(12.4%). 『保社原從功臣改修錄券』은 숙종이 1682년 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보사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1689년 己巳換局으로 삭훈하였다가 1694년 甲戌換局으로 복훈하면서 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보사원종공신개수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의 직함과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보사원종공신개수녹권』은 금속활자 중 四鑄甲寅字인 戊申字로 인출되었으며, 녹권의 체제는 크게 卷首․本文․卷末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242개의 직함에 모두 3,940명(1등 396명, 2등 736명, 3등 2,808명)이 기재되었으며, 공신의 직함과 성명이 나열되었다. 대체로 등급이 높을수록 品階 또한 높은 편이며, 문관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신분을 4개의 계급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신분으로 구성되었으며, 양반 2,267명, 중인 681명, 양인 503명, 천인 48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양반이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의 발급제도 변경 시기에 대한 재론

        박성호 ( Sung Ho Park ) 한국고문서학회 2014 古文書硏究 Vol.45 No.-

        조선시대 공신교서와 녹권은 이미 여러 경로와 연구자들을 통해 자료의 발굴 및 기초적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그리고 문서의 발급제도에 관해서도 “조선초기에 있어서는 개국·정사·좌명 삼공신의 정공신에 한하여 교서와 녹권을 아울러 주었으며, 원종공신에게는 녹권만 주었다. 그러나 정난공신 이후는 정공신에게는 교서만 주고 녹권은 원종공신에게만 주었다”는 정리가 이미 학계에 제시되었고, 현재까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조선초기 개국·정사·좌명공신 이후 공신교서와 녹권을 발급하는 제도가 변경된 것은 선행 연구와 원본 고문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정훈공신에게 녹권 없이 공신교서만 발급해 주도록 제도가 변경된 정확한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주장 가운데 하나이다. 전존하는 공신교서와 녹권의 원본을 함께 검토해 본 결과 1458년(세조 4) 좌익원종공신녹권의 형태가 기존의 卷子形(두루마리)에서 선장형(線裝形)(책자) 형태로 바뀌었고, 1467년(세조 13) 적개공신교서에는 앞서 발급된 공신교서들에 기재되지 않았던 등급별 공신 명단이 추가로 삽입된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개국·정사·좌명공신 이후인 정난 또는 좌익공신 녹훈시 공신교서와 녹권 발급 제도의 변경과 더불어 문서 양식에도 변화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의 발급 제도 변경에 관한 기존 견해는 상당 부분 타당하지만, 이에 대한 확정적인 판단은 정난공신과 좌익공신에게 발급된 공신교서와 녹권의 신규 발견이나 그에 준하는 증거를 확보한 이후에야 가능할 것이다. 만약 정난공신이나 좌익공신의 정훈공신에게 발급된 교서와 녹권이 함께 발견된다면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 발급제도가 변경된 시점은 수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조선초기 공신 가운데 정사·정난·익대·적개공신의 경우 정훈공신 외에 별도로 원종공신의 녹훈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진다면, 결과적으로 해당 원종공신녹권의 추가 발견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Various channels and researchers have already excavated materials related with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during Joseon dynasty, and there have been a considerable degree of basic researches on them. On the system of issuing documents, the following thesis was suggested to the related scholastic field, which has been accepted as truth: ``In the early Joseon era, both kinds of certificate were awarded only to main meritorious subjects of three kinds of meritorious subject (or gongsin) ― Gaeguk gongsin, Jeongsa gongsin, Jwamyeong gongsin ― and only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awarded to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However, after Jeongnan Gongsin was awarded, main meritorious subjects were given only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were given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The fact that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after Gaeguk, Jeongsa, and Jwamyeong gongsins can b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original old documents. But, it is one of the important arguments of this paper that we still cannot be sure of the exact time when the system of issuing such certificates was changed by which main meritorious subjects were only given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ithout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Examination of original documents of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hich still remain revealed that, in 1458 (the 4th year of King Sejo), the form of official certificate of Jwaik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from scroll type to book type, and that, the royal certificate of Jeokgae meritorious subject issued in 1467 (the 13th year of King Sejo) included the list of meritorious subjects per class who had not been registered in the royal certificates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in previous times. Such evidences led me to presume that when Jeongnans or Jwaik gongsins were awarded later after Gaeguk, Jeongsa, Jwamyeong gongsins had been awarded,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together with the letter forms of them. A considerable part of existing view on the change of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 true. But, a conclusive judgement on it can only be made through the new discovery of those certificates issued to Jeongnan or Jwaik gongsins. If the two kinds of certificate issued to a main meritorious subject are discovered together, the argument on the exact time when the system of issuing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and offici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was changed in early Joseon dynasty can be revised. And, if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Jeongsa, Jeongnan, Ikdae and Jeokgae gongsins among all kinds of meritorious subjects, there was no separate awarding for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except for main meritorious subjects, proves to be true, we cannot expect additional discovery of official certificate of related assistant meritorious subjects.

      • KCI등재

        고려 태조대의 공신 책봉과 삼한공신

        김회윤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91 No.-

        태조는 즉위 두 달 뒤에 자신을 추대한 홍유·배현경·신숭겸·복지겸과 2천여 명을 1~3등으로 나누어 공신에 책봉하였다. 1등 공신 홍유 등 네 사람은 궁예 집권시기에 기병으로 활동하며 왕권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궁예의 폭정으로 인해 자신들의 안위마저 위협당하자 덕망이 높은 태조의 추대를 계획하였다. 그런 다음 수하의 기병 부대와 함께 역성혁명을 일으켜 성공하였다. 이로 인해 2~3등 공신 대다수는 기병 출신이 차지하였다. 태조는 자기 세력이 아닌 기병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즉위 직후부터 자신을 부정하는 세력의 도전에 직면하였다. 이에 태조는 적극적인 충성세력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대대적이고 포괄적인 공신 책봉을 단행하였던 것이었다. 이후 공신들은 주로 마군에 소속되어 왕권을 수호하는 친위대로 활동하였다. 태조는 통일전쟁 중에 공로가 있는 자들을 공신에 책록하였다. 태조 13년 고창전투 승리에 기여한 고창군 호족 김선평, 권행, 장길의 책봉 사례가 대표적이다. 관계와 관직 이상인 공신이라는 명예를 내려 충성심과 소속감을 강화시켜 후백제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한편 태조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삼한공신을 책봉하였다. 대상은 즉위와 통일전쟁 과정에서 공로가 있는 신하들이었는데, 여기에는 태조 원년 공신을 비롯한 기존의 공신들도 포함되었다. 책봉 과정에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고, 이를 바탕으로 삼한공신의 등급과 서열이 정해졌다. 태조는 자신의 즉위를 창업과 개국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통일 이후 창건한 개국사의 이름을 정하면서 통일을 개국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통일을 계기로 책봉된 삼한공신 역시 개국의 의미를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종대 처음 등장하는 개국공신이 삼한공신의 이칭으로 사용된 것이었음을 시사한다. 태조가 조력자들의 공신호를 삼한으로 한 이유는 자신의 목표였고 당대의 시대정신이었던 삼한일통의식을 구현한 업적과 의미를 기념하려는 데 있었다. Goryeo Taejo became king with the help of cavalry. The cavalry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of Gungye's regime. However, when they were threatened by Gungye, they promoted Taejo. When Taejo, who lacked military power, ascended the throne, a rebellion broke out. Therefore, Taejo appointed more than 2,000 people as contributors to secure loyalties. Taejo used meritorious subjects as his personal guard. During the Unification War, Taejo appointed a person with merit as a meritorious person. The case of Kim Seon-pyeong, Kwon Haeng, and Jang Gil, who contributed to the victory in the Battle of Gochang, is representative. After unification, Taejo appointed Samhangongsin. Previously appointed meritorious officials were also included. Comprehensive evaluation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grades and rankings. Taejo understood unification as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refore, Samhan Gongsin has the meaning of founding the country. In conclusion, Samhangongsin and Gaeguggongsin have the same meaning. Taejo chose the name Samhan because he achieved the unification of Samhan, the spirit of the times at the time.

      • KCI등재

        영조대 분무녹훈도감의 운영과 녹권 제작

        이상백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8 No.-

        『분무녹훈도감의궤』는 1728년(영조 4) 3월에 발발한 李麟佐(?~1728)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이들을 공신으로 책봉하는 과정을 수록한 의궤이다. 이 의궤는 영조대 공신의 녹훈과 상전, 공신에게 수여한 교서, 화상, 녹권의 제작과 반사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의궤의 기록을 바탕으로 분무공신녹권인 『二十一功臣會盟錄』과 『奮武原從功臣錄券』의 등장 배경, 제작, 반사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분무녹훈도감의 업무와 운영을, 후반부에서는 분무공신녹권의 제작과 배포 과정을 정리하였다. 분무녹훈도감은 1728년 5월 事目 마련부터 1730년 5월 의궤도감의 의궤 편찬까지 2년 동안 업무를 수행하였다. 분무녹훈도감에서는 공신 선정과 상전, 회맹제와 회맹연 개설, 공신에게 수여하는 교서, 녹권, 화상 제작과 배포 업무를, 의궤도감에서는 『원종공신녹권』의 배포와 재배포, 기공각 봉안 기록물의 제작과 봉안, 의궤의 편찬과 반사 업무를 담당하였다. 분무공신녹권은 『회맹록』 492건, 『원종공신녹권』 8,779건의 수량으로 제작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고 오류도 빈번히 발생하였다. 공신 선정에 오류가 계속되었고, 녹권에 어보를 안보하는데 상당 기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녹권이 절차대로 배포되지도 않았고, 배포된 녹권에도 오류가 확인되어 회수, 수정, 배포가 반복되었다. 이와 같이 『분무녹훈도감의궤』에서는 국가의 대사인 공신녹권의 제작과 배포의 업무 과정과 시행착오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의 보훈제도 연구

        유준기 한국보훈학회 2003 한국보훈논총 Vol.1 No.2

        성리학적 통치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는 조선왕조는 건국초기에 開國功臣을 위시하여 국가와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을 功臣으로 책봉하였다. 이에는 배향공신(配享功臣)과 훈봉공신(勳封功臣 또는 勳號功臣)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正功臣)과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나누어진다. 조선은 중국과 같은 분봉제를 채택하지는 않았으나, 그 영향하에서 封爵制를 시행하였다. 이에 왕족을 대상으로 하는 왕실봉작제와 공신을 대상으로 하는 공신봉군제를 시행하였다. 이들은 유교사회 최고의 존경과 명예를 독점하게 되었으며 현실적인 많은 특권들이 수반되었다. 조선왕조를 통하여 모두 28차례에 걸친 공신책봉이 있었다. 정공신은 3등으로 나뉘어 5~6인에서 100명에 이르렀고 그 등급에 따라서 각종 특전과 토지 · 노비 등이 차등 있게 賞賜되었다. 원종공신은 그 공이 정공신에는 미치지 못하나 다소의 공이 있는 자들을 대개 3등급으로 나누어 錄勳하였으며, 그 수효는 900여명에서 많게는 9,000여명에 달하기도 하였다. 이들 공신들에게는 경제적, 사회적인 여러 가지 특권이 부여되고 핵심적인 정치권력까지도 장악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양반관료의 최상부에 군림하면서 막대한 특전을 향유할 수 있었다. 요컨대 조선의 보훈제도에 나타나는 중요사항을 정리해 보면 먼저, 조선의 보훈 업무는 조선왕조 창업과 함께 시행되어 왔다는 점이다. 태조는 자신의 지지세력들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다. 안정적 정치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 국가는 공신을 선별하고 운영하기 위한 보훈업무 담당기구를 설치하였는데, 보훈부서의 성격과 기능은 당신의 정치상황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즉, 건국초기의 공신도감, 충훈사는 왕조체제가 안정되고 기틀이 잡히면서 충훈부로 승격시켜 국가와 군왕에 대한 자발적인 충성을 유도해 나갔다. 다음으로, 보훈부서의 강화와 약화는 국가의 주권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발발이후 의병들의 논공행상을 위하여 군공청을 설치하고 기존의 충훈부를 강화시켜 정부와 국민들이 단합하여 일본군을 물리칠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일본의 강요에 의해서 체결된 갑오경장에서는 군국기무처의 제안에 따라 충훈부를 기공국으로 격하시킨 것이다. 을사조약 이후 대한제국 때 격상되었던 표훈원의 기능이 약화되었던 것도 그 좋은 예이다. 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