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아시아 經濟發展에서 儒敎文化의 역할과 儒敎資本義論의 비판적 재평가

        조준현(Cho, Jun-Hyeon),최성일(Choi, Sung-Il),장지용(Jang, Ji-Yong),정도영(Jung, Do-Young),박세현(Park, Se-Hyu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3

        유교가 동아시아 특히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문제는 한국경제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유교자본주의론’을 둘러싼 기존의 논의들은 전부가 아니면 전무라는 식으로, 동아시아의 경제적 성공을 모두 유교의 기여로 설명하든가, 반대로 유교의 긍정적 영향 자체를 부정해 버리는 편향이 있었다. 이 논문이 유교자본주의론은 다시 논제로 삼게된 것은 중국경제의 부상과 관련된다. 즉 중국경제의 성장요인과 경제구조를 이른바 동아시아 발전모델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하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유교가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에 미친 영향을 비교발전경제사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유교가 동아시아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집단주의와 평등 주의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 가운데 어떤 측면은 그 시대에는 유효하였으나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에 더 이상 유효하지 못한 측면도 있으며, 다른 어떤 측면은 시대를 넘어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을 위해 더욱 강조되어야 하되 시대의 필요에 따라 변화해야 할 것도 있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점들을 재평가해 보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which explain the reasons of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Among them, Confucian-capitalists argue that Confucianism has taken a critical role of East Asian successful economic growth. But some scholars are quite emphatic in den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These two schools are inevitably opposed to each other, and have a strong counter­argument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is argument, they only focused on “Confucianism” itself, and neglected to address its effect on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ovides a practical outlook of the role of Confucianism in East Asian economic achievement, and a critical review of Confucian capitalism. The authors point out that Confucianism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y essential factors of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collectivism, education oriented culture, relatively equal distribution of income, and land reform based on equalitarianism.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esents that those characteristics bring on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different circumstances. Therefore, when Confucian capitalism is evaluated,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play different roles according to the times.

      • KCI우수등재

        儒家의 경제사상과 儒敎資本主義論의 타당성 문제

        李相益(이상익)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6 No.-

        유교의 경제사상은 전근대적인 생산양식을 반영하는 것이며, 자본주의는 근대적 생산양식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유교와 자본주의는 그 가치관에 있어서도 극단적으로 대립된다. 따라서 유교자본주의론이란 별로 타당성이 없는 논리라 하겠다. 따라서 유교는 자본주의와의 결합가능성에 연연해하지 말고,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이념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과거 자본주의 발전에 역동적 요소로 기능했던 이기주의와 탐욕, 무한경쟁의 논리 등은 이제 일정부분 포기되어야 한다. 그 빈자리는 욕망의 절제, 호혜적 감응의 원리 등으로 채워져야 한다. 이기주의와 경쟁의 원리가 일정부분 배제된 상태에서 자본주의가 전과 같이 역동적으로 기능하지는 못할 것이며, 기술의 발전이 전과 같이 촉진되지도 못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효율성의 측면을 다소 희생시킨다 하더라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따뜻하게 복원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복원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소중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사상 흐름에 대한 한국 철학계의 연구 동향 - ‘문화열’과 ‘중국학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이철승(李哲承)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1978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사상계는 ‘실천이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라는 관점 아래, 중국 사회를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실사구시’와 ‘사상해방’을 주장하며, 신‘백화제방’ㆍ‘백가쟁명’의 시대를 열었다. 경직된 사회 구조에서 벗어난 중국의 지식인들은 1980년대에 더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면한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을 펼쳤다. ‘문화열’이란 학계의 이러한 동향을 지칭한 말이다.<BR>  중국의 사상계는 또한 1989년의 이른바 ‘6ㆍ4 천안문 사태’를 경험한 후, 이 사건의 사상적 배경을 ‘문화열’ 때 확산된 서구의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조의 만연으로 여기고, 중국의 정체성 회복과 새롭게 펼쳐지는 국제 질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 ‘신중화사상’을 토대로 하는 ‘중국학열’을 조성시켰다.<BR>  오랫동안 중국의 현대 사상에 대한 연구보다 전통 사상에 대한 연구에 치중했던 한국의 철학계는 1990년대 초부터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유 체계의 확립을 철학의 중요한 역할로 여기는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중국 현대 철학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BR>  그들은 그동안 한국의 철학계가 중국 사상을 연구하면서 비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면에 한계를 노정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현대 중국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합리적인 한중 관계의 정립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BR>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문화열’과 ‘중국학열’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현대 사상의 연구 경향에 대한 한국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여, 균등하면서도 평화로운 한중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사상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