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hn Deok-mun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in Uiryeong, Gyeongsangwoodo in the 18th century and his combining the science of Yeongnam Jwado and Woodo by worshiping three masters, that is, Hoijae, Toigye, and Nammyeong. Ahn placed importance of body and mind cultivation and maintained his academic tendency of practicing it in daily life, which was based on Nammyeong’s practice-centric academic style. Instead of learning under certain master, Ahn tried to emulate three masters representing Yeongnam and combine their science and virtuous acts. In an attempt to practice what he sought after, he commissioned a painter to paint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masters, respectively. He would turn the painting titled Samsanseowondo into a folding screen, set it up at Jungdang, and admir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ll the time. He also tried to experienc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first-hand by visiting their respective Seowons. He would carry Samsanseowondo and Samsandomyeong on his way to Oksan and Dosan Seowon and stop by renowned scholars during his journey to show them Samsanseowondo and ask for their comments. The scholars of Toigye School in Gyeongsang Jwado mostly agreed on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thanks to his efforts. In the process, he put Deokcheo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n Gyeongsang Woodo where study was in stagnation, on the equal status as Dosan and Oksan Seowon, which were the headquarters of Yeongnam School. He also made people reconsider Nammyeong as a moralist on the same level as Hoijae and Toigye. Those efforts made by him led to the commendation of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s well as Samsan Seowon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that the three masters should be admired and respected together who turned Yeongnam into Churojihyang. The old academic style of observing the editorials only written by the disciples that studied under certain masters was replaced with a new study of integration to inherit the sciences of the three masters as one. The scholars of Gyeongsang Woodo especially sought after the study of integration, engaged in active academic exchanges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less of partisan and academic parties, and built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study. It is the significance of Ahn admiring and respecting the three masters together as well as Samsan Seowon.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ㆍ退溪ㆍ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ㆍ陶山書院ㆍ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ㆍ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ㆍ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ㆍ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ㆍ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 Seok Ki Choi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이 글은 19세기 전반 경상우도 지역에서 활동한 河範運이 三山九曲詩를 창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하범운은 河의 6대손으로 19세기 전반 진주에서 활동한 남인계 학자이다. 그는 남명학과 퇴계학을 겸취하여 극도로 침체된 지역의 학풍과 기강을 부지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성향은 讀書明理와 閑邪謹獨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의리를 종자로 삼고 그 의리를 일상에서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점은 「自省箴」과 「山中懷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상우도 지역은 경상좌도 지역에 비해 구곡문화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지형적으로 화강암 지대가 적어 구곡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 라, 이 지역 학자들이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 인근은 지형적으로 구곡을 설정한 만한데도 덕산구 곡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19세기 전반 하범운이 처음으로 덕산구곡 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덕산구곡시를 창작하였다. 하범운은 1823년 안동으로 李野淳을 방문하였을 때, 이야순이 陶山九曲 詩와 玉山九曲詩를 보여주며 차운을 청하여, 집으로 돌아와 차운시를 지어 보내면서 덕산구곡시를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晦齋·退溪·南冥을 제향하는 서원이 있는 곳을 ‘三山’으로 칭하고, 이 삼산에 구곡이 있는 것은 도학의 원 류가 영남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여 ‘三山九曲詩’라고 명명하였다. 이 는 安德文이 세 선생을 추숭하여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것과 같 은 맥락에 있다. 이 점이 그가 삼산구곡시를 지어 덕산구곡을 도산구곡·옥산 구곡과 나란히 드러내려 한 창작 배경이다. 하범운이 지은 삼산구곡시의 덕산구곡시는 앞시대 鄭이 덕천서원 뒤 산골짜기에 경영한 武夷九曲에 나아가 제목을 德山九曲으로 개정하고 曲名을 일부 바꾸어 노래한 것이다. 그런데 하범운의 덕산구곡시와 정식의 무이 구곡시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식은 주자의 「무이도가」의 정신을 그대로 본받으려 한 반면, 하범운은 남명의 精 神과 氣節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하범운의 덕산구곡시는 남 명의 학문과 정신을 회고하고 추앙하며 자기 시대의 쇠미해진 도를 탄식하 는 내용이다. 하범운이 삼산구곡시의 하나로 덕산구곡시를 추가한 것은, 安德文이 三山 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의 덕산을 옥산·도산과 하나로 합해 도학의 연원과 학문의 본질이 같다는 점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여기에 그가 지은 삼산구곡시의 의미가 있다. 하범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덕천서원이 있는 덕산에는 남명의 유적을 중심으로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조선 후기 이 지역 인사들의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퇴계 후 손들이 도산구곡을 적극적으로 설정한 것처럼 남명 후손들은 덕산구곡을 설 정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였던 것이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한 가장 큰 원 인이라 하겠다. Focusing on the fact that Ha Beom-woon, who was active in the Gyeongsangwoo Province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reated Samsangugoksi,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Deoksangugok, the creative background of Samsangugoksi, and Deoksangugoksi.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Ha Beom-woon was a sixth generation descendent of Ha Jin and Namin line scholar active in Jinju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ombining Nammyeonghak with Toigyehak, he worked hard to support and maintain the academic tradition and discipline of the extremely stagnated region. His academic inclinations can be summarized into Dokseomyeongri and Hansageundok. He sought after life of finding a seed in faithfulness and practicing faithfulness in daily life, which is confirmed in Jaseongjam and Sanjunghoigo. Gyeongsangwoo Province had less developed Gugok culture than Gyeongsangjwa Province because its geographical features prevented Gugok from being formed and because its scholar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As a result, Deoksangugok was not set even near Deokcheon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t was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t Ha Beom-woon named it Deoksangugok for the first time. When he visited Lee Ya-sun in Andong in 1823, Lee showed him Dosangugoksi and Oksangugoksi and asked him to write a poem by borrowing rhymes from them. After returning home, he created a rhyme-borrowing poem and sent it to him along with Deoksangugoksi. He thus called the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Hoijae, Toigye and Nammyeong "Samsan" and designated a title of "Samsangugoksi" to indicate that Gugok in Samsan showed that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lied in Yeongnam. It was in the same line of Ahn Deok-mun admiring the three scholars and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which was the creative background behind Ham writing Samsangugoksi and displaying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In the Deoksangugok of Samsangugoksi by him, Ha partially changed the name and title of Muigugok administered in the mountainous valley behind Deokcheon Auditorium by Jeong Shik before his time. Comparison between Deoksangugoksi by Ha and Muigugoksi by Jeong reveals obvious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m. While Jeong tried to inherit the "Muidoga" spirit of Zhu Xi as it was, Ha focused on exhibiting the spirit and integrity of Nammyeong. That is, the content of his Deoksangugoksi was all about recalling and worshiping the science and spirit of Nammyeong and lamenting over the decayed morality of his times. He added Deoksangugoksi as one of Samsangugoksi to inherit Ahn`s spirit of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and show that Deoksan of Nammyeong had the same academic nature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combining it with Oksan and Dosan into one, which holds the significance of his Samsangugoksi. In spite of such efforts made by Ha, however, Deoksangugok was not set around the relics of Nammyeong in Deoksan where Deokcheon Auditorium was located because the local figure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biggest reason for failing to set Deoksangugok was that the descendents of Nammyeong were not active with setting it unlike those of Toigye that were active with setting Dosangugok.

      • KCI등재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Focusing on the fact that Ha Beom-woon, who was active in the Gyeongsangwoo Province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reated Samsangugoksi,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Deoksan- gugok, the creative background of Samsangugoksi, and Deoksangugoksi.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Ha Beom-woon was a sixth generation descendent of Ha Jin and Namin line scholar active in Jinju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ombining Nammyeonghak with Toigyehak, he worked hard to support and maintain the academic tradition and discipline of the extremely stagnated region. His academic inclinations can be summarized into Dokseomyeongri and Hansageundok. He sought after life of finding a seed in faithfulness and practicing faithfulness in daily life, which is confirmed in Jaseongjam and Sanjunghoigo. Gyeongsangwoo Province had less developed Gugok culture than Gyeongsangjwa Province because its geographical features prevented Gugok from being formed and because its scholar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As a result, Deoksangugok was not set even near Deokcheon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t was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t Ha Beom-woon named it Deoksangugok for the first time. When he visited Lee Ya-sun in Andong in 1823, Lee showed him Dosangugoksi and Oksangugoksi and asked him to write a poem by borrowing rhymes from them. After returning home, he created a rhyme-borrowing poem and sent it to him along with Deoksangugoksi. He thus called the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Hoijae, Toigye and Nammyeong "Samsan" and designated a title of "Samsangugoksi" to indicate that Gugok in Samsan showed that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lied in Yeongnam. It was in the same line of Ahn Deok-mun admiring the three scholars and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which was the creative background behind Ham writing Samsangugoksi and displaying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In the Deoksangugok of Samsangugoksi by him, Ha partially changed the name and title of Muigugok administered in the mountainous valley behind Deokcheon Auditorium by Jeong Shik before his time. Comparison between Deoksangugoksi by Ha and Muigugoksi by Jeong reveals obvious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m. While Jeong tried to inherit the "Muidoga" spirit of Zhu Xi as it was, Ha focused on exhibiting the spirit and integrity of Nammyeong. That is, the content of his Deoksangugoksi was all about recalling and worshiping the science and spirit of Nammyeong and lamenting over the decayed morality of his times. He added Deoksangugoksi as one of Samsangugoksi to inherit Ahn's spirit of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and show that Deoksan of Nammyeong had the same academic nature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combining it with Oksan and Dosan into one, which holds the significance of his Samsangugoksi. In spite of such efforts made by Ha, however, Deoksangugok was not set around the relics of Nammyeong in Deoksan where Deokcheon Auditorium was located because the local figure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biggest reason for failing to set Deoksangugok was that the descendents of Nammyeong were not active with setting it unlike those of Toigye that were active with setting Dosangugok. 이 글은 19세기 전반 경상우도 지역에서 활동한 河範運이 三山九曲詩를 창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하범운은 河溍의 6대손으로 19세기 전반 진주에서 활동한 남인계 학자이다. 그는 남명학과 퇴계학을 겸취하여 극도로 침체된 지역의 학풍과 기강을 부지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성향은 讀書明理와 閑邪謹獨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의리를 종자로 삼고 그 의리를 일상에서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점은 「自省箴」과 「山中懷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상우도 지역은 경상좌도 지역에 비해 구곡문화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지형적으로 화강암 지대가 적어 구곡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 지역 학자들이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 인근은 지형적으로 구곡을 설정한 만한데도 덕산구곡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19세기 전반 하범운이 처음으로 덕산구곡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덕산구곡시를 창작하였다. 하범운은 1823년 안동으로 李野淳을 방문하였을 때, 이야순이 陶山九曲詩와 玉山九曲詩를 보여주며 차운을 청하여, 집으로 돌아와 차운시를 지어 보내면서 덕산구곡시를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晦齋·退溪·南冥을 제향하는 서원이 있는 곳을 ‘三山’으로 칭하고, 이 삼산에 구곡이 있는 것은 도학의 원류가 영남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여 ‘三山九曲詩’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安德文이 세 선생을 추숭하여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것과 같은 맥락에 있다. 이 점이 그가 삼산구곡시를 지어 덕산구곡을 도산구곡·옥산구곡과 나란히 드러내려 한 창작 배경이다. 하범운이 지은 삼산구곡시의 덕산구곡시는 앞 시대 鄭栻이 덕천서원 뒤 산골짜기에 경영한 武夷九曲에 나아가 제목을 德山九曲으로 개정하고 曲名을 일부 바꾸어 노래한 것이다. 그런데 하범운의 덕산구곡시와 정식의 무이구곡시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식은 주자의 「무이도가」의 정신을 그대로 본받으려 한 반면, 하범운은 남명의 精神과 氣節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하범운의 덕산구곡시는 남명의 학문과 정신을 회고하고 추앙하며 자기 시대의 쇠미해진 도를 탄식하는 내용이다. 하범운이 삼산구곡시의 하나로 덕산구곡시를 추가한 것은, 安德文이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의 덕산을 옥산·도산과 하나로 합해 도학의 연원과 학문의 본질이 같다는 점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여기에 그가 지은 삼산구곡시의 의미가 있다. 하범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덕천서원이 있는 덕산에는 남명의 유적을 중심으로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조선 후기 이 지역 인사들의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퇴계 후손들이 도산구곡을 적극적으로 설정한 것처럼 남명 후손들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였던 것이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이라 하겠다.

      • KCI등재

        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Raising a question about why Deoksangugok was not set in Deoksandongcheon below the Cheonwang Peak of Mt. Jiri, which was Nammyeong Jo Shik(1501-1572)'s shelter in his later years,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why Deoksangugok should be set, what grounds should be met to set Deoksangugok, what kind of place Deoksangugok wa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t had, and what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its setting had. Those discussions would not be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Deoksangugok setting, which was why the study provid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tradition of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from Confucius and Mencius to Zhu Xi in East Asia and also the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among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efforts made by the scholars of Gyeongsangwudo to inherit Nammyeo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 scholarship of the region was in serious depression, including the efforts to worship Nammyeong along with Hoijae and Toigye by establishing the status of Samsan Seowon and promote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by writing and sending out Samsangugok poem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o do today to preserve and inherit the heritage of Nammyeong studies. Inheriting the spirit of old sages in the region, the significant figures today should make it a top priority to set and manage Deoksangugok and turn Deoksan into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true to its name. It will be critical to secure the field and content to inherit and experience Nammyeong studies. If a new academic tradition is created of worshipping the three sages of Yeongnam sought after by Ahn Deok-mun and Ha Beom-woon based on them, Yeongnam will be reborn as the home of Confucius and Mencius. When the day comes, Yeongnam will attract global attention as the cradle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Qufu and Mt. Mui of China. 이 글은 南冥 曺植(1501-1572)의 만년 은거지인 지리산 천왕봉 아래 德山洞天에 德山九曲이 설정되지 못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덕산구곡의 설정이 왜 필요한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덕산구곡의 실체는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이며 그 역사적·문화적 사실은 무엇인지,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것만을 논의하면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에 孔孟과 朱子로 이어진 동아시아 山水認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인식과 구곡문화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慶尙右道 지역의 학술이 극도로 침체된 조선후기 이 지역의 학자들이 南冥學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 것 중에 三山書院의 位相을 鼎立하여 晦齋·退溪와 함께 南冥을 추숭하고자 한 노력, 三山九曲詩를 지어 보내 陶山九曲·玉山九曲과 함께 德山九曲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남명학을 보전하고 계승하는 길인지를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 선현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 뜻 있는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德山九曲을 設定하고 경영하여 德山을 명실상부한 道學의 聖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남명학을 계승하고 체험할 수 있는 현장과 콘텐츠를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安德文과 河範運이 추구한 영남의 세 先賢을 함께 존모하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나간다면 嶺南을 鄒魯之鄕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영남이 중국의 曲阜나 武夷山 못지않은 儒學의 産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