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본조통감』의 상대(上代) 기년(紀年)과 외국 사서의 수용 - 『일본서기』 기년론과 관련하여

        박대재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4

        Comparisons between the records in the Nihon shoki (日本書紀) and foreign history books such as Dongguk tonggam (東國通鑑) or Songshu (宋書) in Honcho tsugan (本朝通鑑) published in 1670 have naturally revealed the problems in the Nihon shoki ’s calendar era. When Dongguk tonggam was introduced in Japa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was used as a material to compare and check the calendar era of the Nihon shoki . Honcho tsugan is the first evidence to show the influence of Dongguk tonggam to the Japanese academic circle in the process of reconsidering the Nihon shoki’s calendar during the early Edo period. The method of Honcho tsugan that estimated the date by comparing the Nihon shoki and Dongguk tonggam became a groundwork for Arai Hakuseki (新井白石)’s skeptical theories about the Nihon shoki’ s calendar era. Considering that these theories evolved into Naka Michiyo (那珂通世)’s proposal to adjust the calendar (by adding two sexagenary cycles) later,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in historiography cannot be neglected. 1670년 편찬된 『본조통감』에서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이나 『송서』 등 외국사서의 기록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일본서기』 기년상의 문제점이 자연스럽게노정되게 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동국통감』이 일본에 전해지면서 『일본서기』 의 기년과 비교·검토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되었다. 에도시대 초기 『일본서기』 의 기년을 재인식하는 과정에서 『동국통감』이 일본 학계에 미친 영향을 제일 먼저 보여준 것이 바로 『본조통감』이다. 『일본서기』와 『동국통감』을 비교한 『본조통감』의 기년 비정 방식은 18세기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등의 『일본서기』 기년회의론의 발판이 되었고, 19세기 말 나카 미치요[那珂通世]의 기년수정론으로 발전하였다는 데 사학사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투고논문 : 『동국통감제강』에 나타난 홍여하의 역사인식

        박인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4 No.-

        洪汝河(1620-1674)는 기자조선으로부터 통일신라 말까지의 우리나라 역사를 강목의 정신을 바탕으로 편년 순에 따라 편찬한 『東國通鑑提綱』을 편찬하였다. 홍여하는 『동국통감제강』에서 역사의 정통과 비정통에 대해 춘추필법을 엄격히 적용하려고 하였다. 중국 역대 제왕의 사망 기사, 흥망, 일식기사 등을 적어 韓·中 양국의 역사를 같이 적는 체재를 갖추려고 하였으며, 이는 춘추의 기술 정신을 이으려는 것이었다. 유교적 관점에서 踰年稱元의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정리하고, 誕妄한 것은 아예 서술에서 제외하였다. 홍여하는 당시 『東國通鑑』을 축약하는 수준의 역사 편찬에서 한걸음 나아가 유교적 정통관, 춘추필법의 서법을 적용하고 이의 일관된 관점에서 상고사를 정리하였다. 홍여하는 조선초기 『동국사략』과 『동국통감』을 통해 공인된 단군-기자-위만-사군-이부-삼한-삼국의 상고사 체계를 기자-마한-신라 정통론 중심의 상고사 체계로 바꾸었다. 홍여하는 기자와 위만 및 진번을 요동지역에까지 확장하여 이해하였기 때문에 사료에 나타나는 지명의 혼효를 지명이동설로 설명하였으며, 이어지는 고구려에 대해서도 이전시대의 비정에 비해 요동으로 확대하여 이해하였다. 신라와 가야에 대한 지리비정도 고구려가 요동으로까지 확대되어 인식되면서 활동 공간이 확대되어 나타났다. 『동국통감』과 비교하여 『동국통감제강』에서 생략된 사론들을 보면 일관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추가된 사론들을 보면 기자와 주 무왕의 관계를 군신이 아니라 빈주 관계로 격상시키고 기자를 독립적인 교화를 베푼 인물로 설명하여 조선에서의 중화 문화의 탄생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조선과 중국의 역사 전개의 동질성을 통해 현재 조선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표착, 난생 등 유교적 관점에서 황탄하다고 여겨지는 사항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한편 東川王 位宮과 □丘儉의 침략, 故國壤王 伊連과 故國原王 釗의 관계 등 기사에서는 사실에 대한 오류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사론의 추가에는 홍여하가 체득하였던 춘추·정통·도덕·윤리적 논리가 바탕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그리스도신문』의 역사관련 기사 현황

        강미정 ( Kang Mi-jeong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論叢 Vol.52 No.-

        이 글은 1901년 8월부터 1902년 4월까지 『그리스도신문』에 실렸던 37건의 역사 관련 기사들을 중심으로 『그리스도신문』이 종교적 맥락 이외에도 개화기에 주요관심사가 되었던 민족의 역사인식 환기에 기여했음을 살펴보려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그리스도신문』에 수록된 역사관련 기사를 소개하고, 3장에서는 『그리스도신문』에 실린 역사관련 기사 중의 <동국역□> 부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에 따라 『그리스도신문』에 실려 있는 37건의 역사관련 기사들은 조선조의 『동국통감』을 저본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그리스도신문』에 게재되어 있는 <동국역□>는 1899년에 현채가 저술하고 학부에서 역사교과서로 발행했던 『보통교과동국역사』에 실렸던 내용과 같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리스도신문』에서 밝히고 있는 인용 출처는 1899년에 발행되었던 『보통교과동국역사』가 아니라 1485년(성종 16년)에 서거정이 완성하여 올린 역사서인 『동국통감』이다. 그렇기에 『보통교과동국역사』의 내용이 『동국통감』을 저본으로 했음은 분명해보인다. 하지만 『보통교과동국역사』에서는 『동국통감』을 언급하지 않았으므로, 『그리스도신문』을 매개로 『보통교과 동국역사』와 『동국통감』의 긴밀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리스도신문』의 역사관련 기사는 조선조의 역사서와 근대계몽기의 역사교과서와의 연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plore - based on 37 historical articles in 『The Christian News』- whether it was reading materials for the selection and the Christian way reading according to the Christian context or closer to the inspiration of history recognition which had become a major concern for Modernization Period.Through this, I suggested to get a goo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historical articles in 『The Christian News』 Accordingly, in Chapter 2, I examined the general status of historical articles in 『The Christian News』, and in Chapter 3, I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rticles focusing on < Dongguk History > which account for a large number of historical articles in 『The Christian News』 Thus, I've been able to confirm that 『The Christian News』 was quoted by translating 『Dongguktonggam』 which is the first chronological history that was completed in the Sungjong Dynasty. I also confirmed the article contents in 『The Christian News』 were same with the contents of 『 Regular subject Dongguk History』 written by Hyun Chae in 1889 and published by the department as a history textbook. Through these two facts, I was able to tell that 『Regular subject Dongguk History』 was written on the basis of 『Dongguktonggam』. Considering this point, 『The Christian News』, which contained 37 historical articles from 1901 to 1902,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shows the link between Joseon Dynasty history books and modern Enlightenment history textbooks. And it may have served as an important stepping stone for teaching history to more readers by writing the contents of the 『Regular subject Dongguk History』- was published in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1889 - in pure Korean.

      • KCI등재

        조선 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자치통감강목』 書法의 영향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9

        고려말 성리학의 수용과 더불어 유통된 『통감강목』은 조선 초기부터 왕의 경연에서 『대학연의』와 함께 교재로 선정될 만큼 주목되었다. 조선 초기 전대사 정리 작업으로 태조대에는 『고려국사』가 태종대에는 신라를 정통으로 하는 강목체 『동국사략』이 권근에 의해 편찬되었다. 정도전 정총이 편찬한 『고려국사』는 태종 때 재편찬에 착수하였다가 완성하지 못하였다. 세종 때 이를 수정 보완하는 과정에서 直書 改書 문제가 대두되어 논란이 있었는데, 이 때 세종은 『춘추』와 『좌전』 그리고 『통감강목』의 서술 구조를 근거로 그때 사실 그대로 후대에 전하여야 한다는 직서주의로 방침을 정하였다. 또한 천문관측 기사 등 災異기사를 전부 기록할 것인가 대해서는 『한서』ㆍ『후한서』의 재이기록을 『통감강목』에 전부 기록하지 않은 사실을 근거로 기존에 기록한 사실만을 그대로 두기로 하는 등 『고려사』 편찬에 『통감강목』이 주요한 기준이 되었다. 『고려국사』에는 우왕 창왕을 辛禑ㆍ辛昌으로 서술하였는데 세종대에 와서 춘추관에서 漢나라 惠帝, 南朝의 宋主 蒼梧王의 서술례 즉 『漢書』, 『南史』, 『資治通鑑』, 『通鑑綱目』의 서술을 토대로 廢王禑, 廢王昌이라 하고, 기사 서술에는 史草대로 王, 上이라 써야 한다고 주장하여 세종의 허락을 받았다. 세종 31년에는 편년체에 앞서 기전체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결국 기전체 『고려사』를 먼저 편찬한 뒤 지금 편찬과정에 있는 편년체 『고려사』는 그 뒤에 교정하여 출간하기로 결론이 났다. 이때 우왕 창왕의 칭호 문제가 재검토되어 『漢書』의 王莽전과 같이 辛禑ㆍ辛昌 열전으로 편성함으로써 폐가입진의 정당성을 역사서에 반영하였다. 편년체 『고려사절요』에는 강목 서법에 따라 辛禑를 分註 紀年함으로써 그가 正統이 아님을 밝혔으며, 그 외 범례의 항목을 보면 강목 서법의 항목과 비슷한 祭祀, 行幸, 朝會, 災祥, 罷免, 人事 등의 항목이 있으므로 기사 선정에 그 영향이 있었다. 그리고 『고려사절요』의 대본이 된 사서는 권제 등이 찬한 이른바 『고려사전문』을 세종 31년까지 수정 보완한 고려사임을 논하였다.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의 箋과 序文 및 凡例 등은 『고려사』 편찬과 그 이후의 역사 편찬 및 사학사 지식을 종합한 글로서 대부분 『자치통감』과 『통감강목』의 영향이 짙으며 『동국통감』 범례의 절반가량은 강목 서법의 영향을 받았다. 紀年체계는 모두 강목 범례의 歲年조를 따랐다. 권근의 신라 정통론은 부정되고 삼국 無統론에 입각하여 三國紀로 편성하고 통일신라부터 新羅紀로 편성하였다. 그리고 기전체 정사, 장편 통감, 강목과 더불어 『소미통감절요』와 『속통감절요』도 언급되었으므로 이의 영향도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 초기 이와 같은 역사서 편찬에 강목 서법의 영향은 세종이 집현전을 설치하고 3년간에 걸쳐 『자치통감』과 『통감강목』의 주석서 즉 훈의본을 출간함으로 인해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influences of the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in historical compilation by government of early choson. In the period from reign of Taejo through that of Songjong, many official history of the preceding dynasty was produced under the aegis of the government. After a prolonged effort that began in Taejo's time(1392), the much revised final version of the History of Goryeo(Goryeosa) was completed in 1451. At almost the same time, in 1452, Goryeosa jeoryo(the essentials of Goryeosa) was compiled in strict chronological format in contrast to the annals-treatises-biographies structure of the Goryeosa. Dongkuk saryak(the essentials of Dongkuksa) was compiled in gangmok style format by Gweon Geun at the command of King Taejong in 1403. The Dongkuk saryak was written from the viewpoint of legitimate dynasty of Silla in the Three Kingdom period. In 1476 Samguksa jeoryo was compiled in strict chronological format from the viewpoint of non-legitimate dynasty in the Three Kingdom period. In 1485 there also appeared Korea's first overall history Dongkuk tonggam. The Bumre(凡例, the information of historiographical method) of Goryeosa jeoryo, Samguksa jeoryo, Dongkuk tonggam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Especially Chronologies of Dongkuk saryak, Goryeosa, Goryeosa jeoryo, Samguksa jeoryo, Dongkuk tonggam was influenced from the Gangmok Style of Chronologies[歲年]. In Goryeosa jeoryo Wuwang(禑王) were defined a illegitimate King by the Kings era was written in a small font(分註 紀年) Sinwoo(辛禑). During the course in the argument of compiling Goryeosa, a controversial issue was the terms like 'chong' of Goryeo sillok was replaced with 'wang' in the compilation versions according to Confucian Right Name Theory. Sejong newly established that Goryeosa ought to be written in the crude fact of Goryeo sillok, on the contrary, the former Goryeosa was downgraded the terms of relating to the king and his action. it was based on studying the historiographical method of Chunchu, Chunchu Jwa ssi jeon and Zizhi tongjian gangmu. Whether all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natural disasters of Goryeo sillok might be written or not in Goryeosa, Sejong decided to allow the historigraphy of Goryeosa which was partially omitted the records of Goryeo sillok. it was also based on a study by comparing between Hanseo, Huhanseo and Zizhi tongjian gangmu, The influence of the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in historical compilation of early choson originated in the annotation and publication of Zizhi Tongjian and Zizhi Tongjian Gangmu by Sejong and outstanding scholars of the Hall of Worthies(Jiphyeonjeon) which was established for studying the ancient statutes and institutions of China.

      • KCI등재

        『동국통감제강』에 나타난 홍여하의 역사인식

        박인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4 No.-

        洪汝河(1620-1674)는 기자조선으로부터 통일신라 말까지의 우리나라 역사를 강목의 정신을 바탕으로 편년 순에 따라 편찬한 『東國通鑑提綱』을 편찬하였다. 홍여하는 『동국통감제강』에서 역사의 정통과 비정통에 대해 춘추필법을 엄격히 적용하려고 하였다. 중국 역대 제왕의 사망 기사, 흥망, 일식기사 등을 적어 韓․中 양국의 역사를 같이 적는 체재를 갖추려고 하였으며, 이는 춘추의 기술 정신을 이으려는 것이었다. 유교적 관점에서 踰年稱元의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정리하고, 誕妄한 것은 아예 서술에서 제외하였다. 홍여하는 당시『東國通鑑』을 축약하는 수준의 역사 편찬에서 한걸음 나아가 유교적 정통관, 춘추필법의 서법을 적용하고 이의 일관된 관점에서 상고사를 정리하였다. 홍여하는 조선초기 『동국사략』과 『동국통감』을 통해 공인된 단군-기자-위만-사군-이부-삼한-삼국의 상고사 체계를 기자-마한-신라 정통론 중심의 상고사 체계로 바꾸었다. 홍여하는 기자와 위만 및 진번을 요동지역에까지 확장하여 이해하였기 때문에 사료에 나타나는 지명의 혼효를 지명이동설로 설명하였으며, 이어지는 고구려에 대해서도 이전시대의 비정에 비해 요동으로 확대하여 이해하였다. 신라와 가야에 대한 지리비정도 고구려가 요동으로까지 확대되어 인식되면서 활동 공간이 확대되어 나타났다. 『동국통감』과 비교하여 『동국통감제강』에서 생략된 사론들을 보면 일관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추가된 사론들을 보면 기자와 주 무왕의 관계를 군신이 아니라 빈주 관계로 격상시키고 기자를 독립적인 교화를 베푼 인물로 설명하여 조선에서의 중화 문화의 탄생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조선과 중국의 역사 전개의 동질성을 통해 현재 조선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표착, 난생 등 유교적 관점에서 황탄하다고 여겨지는 사항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한편 東川王 位宮과 毌丘儉의 침략, 故國壤王 伊連과 故國原王 釗의 관계 등 기사에서는 사실에 대한 오류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사론의 추가에는 홍여하가 체득하였던 춘추·정통·도덕·윤리적 논리가 바탕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서거정의 행적과 역사서 편찬 -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을 중심으로 -

        신병주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The role Seo Geo-jeong played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was really important. He continued to serve in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and as a ‘Munhyung(文衡)’, he took all responsibility for writing important documents of nation. His writings were vast, including legal codes, history, geography, and literature. The historical books "Samguksajeolyo(三國史節要)" and "Dongguk Tonggam(東國通鑑)" which were completed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were a collaboration of the leaders of the Confucian scholars such as Seo Geo-jeong, Shin Sook-ju, and Noh Sa-sin, but it is clear that Seo Geo-jeong is the most important author of the preface and full text of the two books. His knowledge of literature, law, and geography, which were shown in the writings of "Dongmunseon(東文選)",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and "Dongguk yeoji seungnam(東國輿地勝覽)", became a great force in historical descriptions.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put Seo Geo-jeong in charge of the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because they had deep trust and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s a historian and writer, Seo Geo-jeong played a major role in the maintenance of Joseon's early culture and system. And he is positively evaluated as we can see in the "Joseon wangjo sillok(朝鮮王朝實錄)". In particular, it is highly regarded that Seo Geo-jeong was fluent in various theories and was an authority in writing. Although Seo Geo-jeong's aspect as a writer and as a compilator of "Dongmunseon(東文選)" has been well known so far, his status as a historian has not been much evaluated. However, considering that it played a major role in the compilation of "Samguksajeolyo(三國史節要)" and "Dongguk Tonggam(東國通鑑)" which were promoted as a national compilation projec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tatus of Seo Geo-jeong. 서거정이 조선 건국 초기에 담당했던 역할은 실로 중요했다. 그는 꾸준히 고위 관직을역임하였으며, 국가의 典冊과 詞命 등이 모두 文衡을 맡았던 그의 손에서 나왔다. 그가 남긴 저술은 법전·역사·지리·문학 등 방대한 양이었다. 세조에서 시작하여 성종 대에 완성된역사서인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은 서거정, 신숙주, 노사신 등의 훈구파 대신들의 합작품이었지만, 서거정이 두 책의 서문과 전문을 쓴 것에서 보이듯 가장 핵심적인 저술자임은 분명하다. 동문선의 저술이나 경국대전, 동국여지승람 등의 편찬에서 보이는 그의 문학적 지식과 법률, 지리에 대한 소양은 역사 서술에서도 커다란 힘이 되었다. 세조와성종이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된 역사서 편찬 작업에서 서거정에게 책임을 맡긴 것에는 그에 대한 깊은 신뢰와 능력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역사가로서, 문장가로서, 조선전기 문물과 제도의 정비에 큰 역할을 한 서거정의 삶에대해 실록의 卒記에서도 많은 부분을 할애하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서거정이 다양한 학설에 능통하고 문장이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음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제까지 동문선의 편찬자로서, 서거정의 문장가로서의 면모는 많이 알려져 있었지만, 역사가로서의 위상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조선전기국가적 편찬 사업으로 추진된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의 편찬에 가장 큰 역할을 한 점을 고려하면 역사가 서거정의 위상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 - 明統系ㆍ嚴簒逆ㆍ褒忠節 筆例와 기존 강목체 史書와의 비교 -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이 글은 안정복이 『동사강목』의 저술목적 가운데 밝힌 明統系ㆍ嚴簒逆ㆍ褒忠節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기존의 강목체 역사서 『동국통감』ㆍ『여사제강』ㆍ 『동사회강』과 비교ㆍ분석하여 밝혔다. 비교의 대상은 본 주제와 관련이 있는 서문ㆍ범례 그리고 인물평가와 관련이 있는 필법의 사례에 한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서술하는 주요 내용은 기존 사서에서 계승한 것과 다른 점 그리고 중점을 두고 서술한 내용 등을 밝히면서, 강목 서법에는 위계질서의 의미체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동국통감』은 『고려사』ㆍ『고려사절요』ㆍ『삼국사절요』보다 인물 포폄에 있어서 강목체 필법에 의거하여 改書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읽기 쉬운 朱子의 강목체 史書의 不在와 『동국통감』의 강목법이 미진함으로 인해 유계의 『여사제강』이 편찬되었으며, 이를 삼국시대까지 확장하여 서술한 것이 임상덕의 『동사회강』이다. 『동사회강』은 중국과 東史의 역사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여 일정한 수준에 이른 정통체계와 서열체계를 체계화하여 범례에 밝혔다. 이러한 『동사회강』의 동사 체계에 자극을 받고, 성호 이익 및 동료들과 필례를 검토하여, 『동국통감』에서 外紀로 처리한 상고사를 국사체계에 끌어들이고 『동사회강』의 서술에서 제외된 고려말까지의 역사를 강목체로 완성한 것이 『동사강목』이다. 그러므로 강목체 史書간에는 계기적 발전과정이 있었다. 안정복의 明統系 즉 正統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기자-마한 정통 체계, 위만조선과 고려 태조 왕건의 僭國例(통일이전 18년간), 禑王ㆍ昌王을 前廢王ㆍ後廢王으로 大書 紀年하여 정통체계로 서술한 점 그리고 駕洛國을 小國例로 紀年체계에 포함한 것이다. 嚴簒逆의 필례로는 신하가 임금을 죽였을 때나 부모나 지아비를 죽였을 때 쓰는 ‘弑’, 권력을 맘대로 휘두른 權臣이나 盜賊의 죽음은 ‘성명+死’, 反逆한 사람을 公的으로 죽였을 경우는 伏誅, 私的으로 죽였을 경우는 誅 등이 있는데, 안정복은 그 이전 史書에 비해 사실에 입각하여 엄격하게 서술하였다. 그리고 嬖幸이나 국가에 해를 끼진 인물은 ‘관직(또는 작호)+성명+死’로 써서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 못된 짓을 했다고 貶하였는데, 이에는 임금을 비판하는 의미도 있다. 죄가 없는데 죽였을 경우는 殺로 썼다. 褒忠節의 필례로는 ‘死之’와 ‘起兵’이 있는데, 국가를 위해 목숨을 걸고 의리를 지키다 죽은 사람은 死之라고 쓰며, 忠義를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起兵이라 써서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그 의리를 기렸다. 그 외에 안정복은 재상이나 현인의 卒記에는 1.관직+爵號+성명+卒, 2.관직(또는 작호)+성명+卒, 3.성명+卒으로 등급을 나누어 칭찬하거나 다소 비판하는 뜻을 보였다. 정통 왕조의 왕과 왕비의 죽음은 薨이며, 왕위를 잃었을 경우는 卒로 썼다. 그 외 국가의 왕은 卒로 쓴다. 정통 왕조의 왕위에 오르는 경우는 卽位, 無統의 왕위에 오르는 경우는 立으로 쓰는 등 명분론에 따라 서열을 정하여 書法을 정한 것이다. 강목체에서 인물 평가와 관련이 있는 필법은 그 인물의 지위 및 선악의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is thesis examines An Jeongbok’s writing style of “Dongsa Gangmok(東史綱目)”. An Jeongbok’s main purpose of writing history is ‘Obviously brightening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明統系)’, ‘Suppressing traitors(嚴簒逆)’ and ‘Commending highly Loyalty(褒忠節)’. For understanding his writing patterns, I undertake the study the key differences of gangmok style writing method in “Dongsa Gangmok” between the other history of gangmok style such as “Dongkuk Tonggam(東國通鑑)” “Yeosa Jegang(麗史提綱)” and “Dongsa Hoegang(東史會綱)”. Writing patterns of An Jeongbok’s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written Gangmok Style are as follows: ①praised cases – the first rank is ‘an official position+peerage+a name+jol[卒]', the second rank is ‘an official position[or peerage]+a name+jol[卒]', the third rank is ‘a name+jol[卒]', ②blamed case - a historical people who was an influential vassal was written ‘a name+death[死]’, this writing style is related to Suppressing traitors(嚴簒逆) case. A detrimental people to a dynasty was written ‘an official position[or peerage]+a name+death[死]', it is also blaming his king, ③a case of officially killing Traitors was written ‘Bokju[伏誅]’, privately killing traitors case ‘Ju[誅]’, ④a case of killing a people who had not a crime was written ‘kill[殺]' Specially Commending highly Loyalty(褒忠節) case was written ‘Saji[死之]’ which means a people died for one's duty to one's king and ‘Gibyung[起兵]’ which one's duty to one's king raised the military. Obviously brightening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明統系) was related to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The principal distinguishing marks of An Jeongbok’s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are as follows ①the theory of Gija-Mahan legitimate(箕子-馬韓正統論), ②Wiman Choson and Goryo before a fall of Silla dynasty was defined as Chamguk case(僭國例; a nation of traitor), ③Wuwang(禑王)ㆍChangwang(昌王) were defined a legitimate King by the Kings era was written in a large font(大書 紀年) Jeonpewang(前廢王) and Hupewang(後廢王), ④Garakguk(駕洛國) era had written as a little nation case(小國例). The writing styles of “Dongsa Gangmok” had influenced by “Dongkuk Tonggam”, “Yeosa Jegang” and “Dongsa Hoegang” are as follows: ①the facts of “Dongsa Gangmok” was based on a historical facts of “Dongkuk Tonggam”, ② the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of Koryo period was influenced by “Yeosa Jegang”, ③ the Bumre(凡例, the information of historiographical method) was influenced by “Dongsa Hoegang”.

      • KCI등재

        세조 · 성종대 정몽주 인식

        김보정(Kim, Boe-Jeong)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과정을 살펴보려는 일환으로써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사서는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척도이며, 그 시대 편찬자의 사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 세조 · 성종대 편찬된 관찬사서인 『국조보감』과 『동국통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조대 『국조보감』의 편찬자, 즉 신숙주 등 8인의 정몽주 인식은 실록에 비해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배제되어 그들의 정치성향과 무관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성종대 『동국통감』의 편찬자는 서거정 중심의 훈척과 표연말?최부 등 사림으로서, 이들의 정몽주 인식은 사뭇 달랐다. 세조대 공신이자 훈척인 서거정은 『필원잡기』에서 농(弄)을 빌어서 정몽주를 폄하하고 있는데 비해, 김종직의 문인인 표연말 · 최부 등은 신편 『동국통감』에서 정몽주의 절의를 칭송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사서(史書) 진강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세종대 경연과 달리 성종대 경연에서는 새로이 『고려사』를 진강한다. 『고려사』에 수록된 정몽주의 칭송기사를 발췌하여 신편 『동국통감『에 수록한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성종대 사림은 정몽주를 ‘절의지사’ 라고 칭한다. 그러므로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은 세종대 『삼강행실도』의 ‘충신’에서 중종대 문묘종사의 ‘성현’으로 숭배되는 과정에 있으며, 성종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은 ‘절의지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Kukjobogam and Dongguktonggam. Through the eight compilers of Kukjobogam such as Sin Suk-Ju, it had proved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Dynasty were excluded in Kukjobogam unlike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Because Kukjobogam was written by focused in achievements and good words of the Kings, the articles for Jeong Mong-Ju were also partially omitted. This was found out being related to political opinions of eight persons such as Sin Suk-Ju. As the results abou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Dongguktonggam, there were distinc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recognition of Sarim such as Pyo Yeon-Mal and Choi Bu. Seo Keo-Jeong who the King’s relatives in Sejo Dynasty have banteringly denigrated Jeong Mong-Ju through Pilwonjabki. It was a look that reflects from th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the initial Seongjong Dynasty and the political affairs by Chancellors. However the government styles were chang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systems by Chancellors,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were gradually changed by appointed Sarim from the management the affairs of state in Seongjong 7th Dynasty. During the lecture, only Jeong Mong-Ju and Gil Je were mentioned as ‘Jeoleuijisa’, and the recognition about ‘Jeoleuijisa’ was changed as severely remonstrated persons in usual not urgent crisis. I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change, the lecture of history books was played an important role. Unlike Sejong Dynasty, Goryeosa was lectured twice, and Hanseo was lectured before and after the compilement of Dongguktonggam. As a result,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been compiled by attaching 204 pieces of Shinsaron. Dongguktonggam was included the contents to honor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in Goryeosa by Choi Bu and Pyo Yeon-Mal. Although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coexisted the recognition of Hunchuk and Salim,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have been represented as the ‘Jeoleuijisa’ recognition of Salim. Therefore,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Seongjong Dynasty was in the process of being worshiped as ‘Saint’ for Jeong Mong-Ju in discussions of Confucian shrine in Jungjong Dynasty from the recognition as ‘Loyalty’ for Jeong Mong-Ju in Samkanghaengsildo of Sejong Dynasty, an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of Salim in Seongjong Dynasty could be defined as ‘Jeoleuijisa’.

      • KCI등재

        『三韓紀畧』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의 번역 및 해설

        이미지(Lee, Mi-Ji)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이 글은 일본 유학자 이토 토가이가 찬술한 『삼한기략』 중 고려 왕조 관련 내용을 국역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보았다.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총 7편의 소절 중 「군장략」·「기호략」·「토지략」·「문적략(문적휘)」에서만 고려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왕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소략하다고 하겠지만 고려 군주와 그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충실하게 소개된 편이다. 여러 기록을 비교 고찰해볼 때 『삼한기략』에 수록된 고려 왕조의 정치 분야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는 『동국통감』 「고려기」라 생각된다. 고려가 사용한 연호나 지방 제도에 대한 자료 수집은 매우 부실하지만 고려 문인들의 문적을 정리하여 제시한 「문적휘」는 일독해 볼 만 하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roduce records on the Goryeo from a book compiled by Ito Togay (伊藤東涯, 1670~1736), the famous scholar of Edo period in Japan to the Korean readers. The book is titled as Sankankiryaku (三韓紀畧, Brief History of Korea) and covers the history of he Korean peninsula. One might find the number of account on the Goryeo Dynasty is not many comparing with other dynasties such as the Silla or Joseon. Only four chapters out of seven, Gunjangryak (君長畧, Brief Account on the Kings), Gihoryak (紀號畧, Brief Account on the Era Names], Tojiryak (土地畧, Brief Account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Each Dynasty), Munjukryak (文籍畧, Brief List of Anthologies of the Goryeo Scholar-Writers) carry the records on the Goryeo Dynasty. The Gunjangryak chapter provides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Goryeo kings. It is highly assumed that Ito mainly consulted the accounts on the Goryeo of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Joseon History) that w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circulated among the scholarly society in Japan. 이 글은 일본 유학자 이토 토가이가 찬술한 『삼한기략』 중 고려 왕조 관련 내용을 국역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보았다.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총 7편의 소절 중 「군장략」·「기호략」·「토지략」·「문적략(문적휘)」에서만 고려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왕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소략하다고 하겠지만 고려 군주와 그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충실하게 소개된 편이다. 여러 기록을 비교 고찰해볼 때 『삼한기략』에 수록된 고려 왕조의 정치 분야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는 『동국통감』 「고려기」라 생각된다. 고려가 사용한 연호나 지방 제도에 대한 자료 수집은 매우 부실하지만 고려 문인들의 문적을 정리하여 제시한 「문적휘」는 일독해 볼 만 하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roduce records on the Goryeo from a book compiled by Ito Togay (伊藤東涯, 1670~1736), the famous scholar of Edo period in Japan to the Korean readers. The book is titled as Sankankiryaku (三韓紀畧, Brief History of Korea) and covers the history of he Korean peninsula. One might find the number of account on the Goryeo Dynasty is not many comparing with other dynasties such as the Silla or Joseon. Only four chapters out of seven, Gunjangryak (君長畧, Brief Account on the Kings), Gihoryak (紀號畧, Brief Account on the Era Names], Tojiryak (土地畧, Brief Account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Each Dynasty), Munjukryak (文籍畧, Brief List of Anthologies of the Goryeo Scholar-Writers) carry the records on the Goryeo Dynasty. The Gunjangryak chapter provides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Goryeo kings. It is highly assumed that Ito mainly consulted the accounts on the Goryeo of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Joseon History) that w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circulated among the scholarly society in Japan.

      • KCI등재

        고려∼조선 전기 발해사 자료에 인용된 중국 사서

        임상선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1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발간한 두 권의 『발해사 자료총서』 한국사료 편(2021)은 신라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동안 편찬된 발해사 자료의 원문과 역주 성과를 수록하고 있어, 국내 발해사 연구의 시대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글은 『발해사 자료총서』 한국사료 편에 수록된 조선 전기까지의 발해사 자료의 사료명이 있는 중국 측 인용 사서를 분석하였다. 발해사에 대한 초기 기록인 고려 시기 자료는 필요에 따라 서명이 없더라도 출전을 추정하여 내용을 검토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가탐(賈躭)의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 이외에 출전을 밝히지 않은 기록은 대체로 『신당서(新唐書)』와 『구당서(舊唐書)』 발해전(渤海傳)과 『책부원구(冊府元龜)』의 기록을 참조하였고, 최치원(崔致遠)의 글은 다른 계통의 자료를 참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의 발해 기사는 그 후의 발해사 자료에서도 재인용되었다.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기이편(紀異篇)에 말갈발해(靺鞨渤海)조를 설정함으로써 발해의 역사를 우리 역사의 일부로 적극 반영하였다. 말갈발해조에 인용된 다양한 자료 가운데 중국 문헌은 『통전(通典)』, 『군국지(郡國志)』, 『후위서(後魏書)』, 『지장도(指掌圖)』가 있다. 이승휴(李承休, 1224∼1300)의 『제왕운기(帝王韻紀)』는 발해를 우리 역사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 발해 건국과 발해 유민의 고려 내투에 대하여 기술하고, 『오대사(五代史)』에서 ‘발해본속말갈(渤海本粟靺鞨)’이라는 내용을 인용하였다. 발해의 건국이 태백산(太白山) 부근에서 있었다고 하는 것은 발해 건국 과정에서 이 부근에서 1차로 정착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제현(李齊賢, 1288〜1367)이 1342년에 편찬한 『역옹패설(櫟翁稗說)』에는 ‘발해와 고려가 혼인(婚姻)한 사이’라는 『자치통감(資治通鑑)』의 기록을 인용하였다. 고려에 이어 건국한 조선은 창업의 정당성을 역사상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고려 시기에 대한 역사 정리 작업에 나섰다.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발해에 대한 기본 인식인 『신당서』 발해전과 『요사(遼史)』의 내용과 통한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주요한 발해 인식인 ‘고구려인대조영(高勾麗人大祚榮)’은 『구당서』 발해전의 ‘渤海靺鞨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 그리고 『신당서』 발해전의 ‘渤海本粟末靺鞨’과도 부합되는 말이다. 결국 대조영은 속말말갈이며, 속말말갈은 고구려별종으로 고구려인이라는 의미가 된다.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는 1476년 간행된 편년체의 역사서로서 조선시대의 삼국시대 역사 인식의 기본 틀이 되었다. 『삼국사절요』도 『신당서』 발해전의 내용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삼국사절요』의 ‘渤海本粟末靺鞨, 卽高勾麗別種’은 ‘발해는 속말말갈이니, 곧 고구려별종’이라는 의미이니, 이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高勾麗人大祚榮’이라 한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속말말갈이 고구려별종으로 고구려인이라는 인식은 조선 전기의 공통된 발해사 인식이고, 그 이후의 발해사 자료에서도 받아들여졌다. 나아가 조선 후기 발해사의 한국사 편입의 단초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동국통감(東國通鑑)』의 발해사 관련 서술은 전체적으로 『삼국사절요』의 내용과 유사한 점이 많다. 『동국통감』은 『삼국사절요』와 마찬가지로 속말말갈을 ... The literature cited by the Chinese side with the name of the historical data of the period up to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included in the Balhae History Data Series, was analyzed. Samguksagi(『三國史記』) mostly referred to Shindangseo(『新唐書』), Gudangseo(『舊唐書』), Balhaejeon(渤海傳) and Chaebuwongu(『冊府元龜』) for the records that did not disclose the source other than Gatam(賈躭)’s Gogeumgungukji(『古今郡國志』). The article on Balhae in Samguksagi was re-quoted in later records of Balhae history. Samgukyusa(『三國遺事』) reflected the history of Balhae as part of Korean history by setting up the Malgal Balhae(靺鞨渤海) article in the Gii section(紀異篇). Among the various materials cited in Malgalbalhaejo, Chinese literature includes Tongjeon(『通典』), Gungukji (『郡國志』), HuWuiseo(『後魏書』), Jijangdo(『指掌圖』). Jewangungi(『帝王韻紀』) also deals with Balhae as part of Korean history. It describes the founding of Balhae and the refugees of Balhae, and quotes the contents of ‘Malgal from Balhae’s origin’ in Ohdaesa(『五代史』). The fact that Balhae was founded near Mt.Taebaek(太白山) indicates that Balhae was first settled in this area during the founding process. Yeokongpaeseol(『櫟翁稗說』) quoted the record of Zizhi-Tongjian(『資治通鑑』), ‘the time between Balhae and Goryeo(高麗) were married’. Joseon(朝鮮), which was founded following Goryeo, set out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Goryeo period in order to confirm the legitimacy of its founding in history. It is in line with the contents of Sindangseo Balhaejeon and Yosa(『遼史』), the basic perception of Balhae in Goryeosa(『高麗史』) and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Koguryo Indaejoyeong(高勾麗人大祚榮)’, a major perception of Balhae in Goryeosa and Goryeosajeolyo, is ‘渤海靺鞨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 in Gudangseo before Balhae, and ‘渤海本粟末靺鞨’ in Shindangseo before Balhae. A word that is too congruent. In the end, Dae Jo-yeong(大祚榮) means Koguryo people(高句麗人). Samguksajeolyo(『三國史節要』) is a chronicle of history published in 1476, and it quotes a lot of contents from Shindangseo Balhaejeon. ‘渤海本粟末靺鞨, 卽高勾麗別種’ in Samguksajeolyo means ‘Balhae is the one who speaks secretly, that is, Koguryo byeoljong’, which is in line with Goryeosa and Goryeosajeolyo, ‘高勾麗人大祚榮’. The perception that Sokmalmalgal(粟末靺鞨) is a Koguryo byeoljong(高句麗別種) and a Koguryo people(高句麗人) is a common perception of Balhae his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alhae history materials after that also followed. Furthermore, Balh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me a clue to the perception that it was Korean history.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Balhae in Dongguktonggam(『東國通鑑』)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contents of Samguksajeolyo as a whole. Dongguktonggam considers Sokmalmalgal as a Koguryo byeoljong, that is, Koguryo people, just like Samguksajeolyo. The fact that Dongguktonggam describes the history of Balhae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Silla is not small in terms of the systemic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It is clear that Dongguktonggam regards Silla as authentic among Silla and Balhae, but it does not exclude the history of Balhae from our history. Dongguktonggam cited Songsha(『宋史』) for the first time in Joseon in relation to Daenanha(大鸞河), a refugee from Balha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ounding of Balhae, Haedong Seongguk(海東盛國), geography, destruction, and Goryeo in Dongguktongga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Balhae in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