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성기』 저자 안함로에 관한 고찰

        노종상(Roh Jong Sang)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1

        이 논문은 우리 상고사를 기록한 「삼성기三聖記」의 저자 안함로安含老에 대한 연구이다. 「삼성기」는 1911년 만주 관전현寬甸縣에서 독립운동가 계연수桂延壽에 의해 간행된 『환단고기』를 통해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다섯 편의 사서로 이루어져 있는 『환단고기』의 첫 권이 「삼성기전」이다. 「삼성기전」은 상, 하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함로는 「삼성기」 상권의 저자이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안함로가 누구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안함로는 「삼성기」저자로서 그 모습을 드러낸 이후 일부의 주장에 의해 의혹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안함로에 대한 의혹을 해명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본고가 연구목적을 위해 주목하는 것은 『삼국유사』 고조선 조에 인용되고 있는 『고기』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기존 사학계에서 우리 상고사를 논의할 때 가장 먼저, 그리고 반드시 언급되는 것이 바로 이 기록이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고기』와 「삼성기」가 우리 상고사를 기록한 사서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고기』가 「삼성기」 저자 안함로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본고는 기존 사학계의 연구 성과는 물론 각종 문헌자료를 통해 다양한 고증을 시도하였다. 논의 결과 『고기』가 『삼한고기』 혹은 『해동고기』의 약칭으로서 동일서책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삼한고기』의 저자가 신라의 고승 안홍安弘(→안함安含)이라는 문헌자료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삼성기」가 『고기』의 내용과 일치한다는 내용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삼성기」의 저자 안함로가 바로 안함(→안홍)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AhnHamlo, the author of SamSeonggi. Samseonggi is a Book about our ancient history. Samseonggi is a Book in Hwandangogi that was published by Yeonsoo Gye, in Gwanjeonhyeon, Manjoo in 1911. The first volume of Hwandangogi was Samseonggijeon. That was composed of Book 1 and 2. AhnHamlo was the author of Book 1.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termine who AhnHamlo was. After he wrote Samseonggi, he became the object of suspicion by claim of others. Therefore, first of all, this study had to explain his ident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payed attention in Gogi that had been quoted in GoJoseon, Samgukyousa. There were some reasons. First, that was the article which must be referenced when we discussed our ancient history. Second, Gogi and Samseonggi had common because they were books about our ancient history. Finally, Goggi was believed to become a clue that could solve the problem about AhnHamlo. This study tried to ascertain historical truths by searching historical studies and literature materials. As a result, Gogi was considered to be equal to Samgangogi or haedonggogi. And the author of Samhangogi was thought to be Anhhong(→Anham), the high priest of Buddhism, in Silla. Lastly, Samseonggi and Gogi had similar content. Therefore,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that AhnHamlo, the author of Samseonggi was Anham(Ahnhong).

      •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 「삼성기」 저자를 중심으로

        노종상(Roh, Jongsang) 세계환단학회 2019 세계환단학회지 Vol.6 No.2

        1911년 운초 계연수에 간행된 『환단고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논의가 축적되었다. 역사서로서 『환단고기』에 대한 논의도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환단고기』 자체에 대한 서지학적 측면의 논의도 진행되었다. 문제는 『환단고기』의 위서논쟁이다. 이 논쟁은 아직도 정리되지 않았다. 『삼성기』는 『환단고기』의 앞부분에 실려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안함로, 원동중이다. 위서론자들은 『삼성기』도 위서라고 주장한다. 위서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위서의 첫번째 조건인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삼성기』는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란 혐의를 받고 있다. 있지도 않은 저자를 조작해서 지어내었다는 것이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문헌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세조 3년(1457) 5월 26일자 기사이다. 이 기사에는 “안함로·원동중 「삼성기」”라는 그의 이름과 저술명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안함로·원동중을 안함·노원·동중 3인이라고 주장한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의 근거로 제시된 다른 문헌사료는 『신증동국여지승람』 해주목 고적조 ‘수양산성’조이다. 여기에 “세상에서 전하기를 ‘옛날에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이 있어, 터를 보아 쌓았다.’ 한다.”는 문장이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3인의 이름은 『세조실록』에 나오는 이름과 한자가 조금 다르고(안함), 글자도 다르다(노원). 그러나 위서론자들은 한글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3인이 동인인물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을 근거로 『삼성기』의 안함로·원동중은 처음부터 없었으며, 조작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3인이 등장하는 기사는 역사적 사실과 무관한 내용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단지 ‘세상에서 전하는 이야기’를 옮겨 적었다고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떠도는 이야기가 안함로·원동중 조작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또한 같은 기사에는 “산성 안에 고죽군 옛터가 있다.”고 했다. 이 고죽군은 이 지역에 대한 별명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배경에는 수양산, 백이·숙제, 고죽국과 관련이 있다. 고죽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영평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죽국이 이 지역에 있었다는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시대의 조선유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대주의적 의식과 관계된 것으로 허상에 다름 아니다.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수양산성’ 기사에서 전체 내용을 무시하고 자기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안함·원로·동중 3인의 이름만을 갖고와서 『세조실록』의 관련기사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하고, 나아가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였다. 한마디로 전혀 역사적, 지리적 사실이 아닌 기사 가운데 이름 몇 개만 갖고 와서 자기에게 유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이 주장하는 『삼성기』 저자 조작설은 『환단고기』 위서론의 근거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를 논박치 않을 수 없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iscussions about Hwandan Gogi published by Gye Yeon-su in 1911. It was discussed by the history, and also it was continued to discuss Hwandan Gogi itself by the site of bibliography. The problem is the argument about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This argument is not ordered yet. Samseong Gi (“The Annals of the Three Sacred Dynasties”) is on the front part of Hwandan Gogi. The writers of this book are Anhamro and Won dong-jung. However, the people who believe that was pseudograph have said the reason of the false writing was ‘making fake writers’. Samseong Gi has been suspected of making fake writers. The first basis of fake writers is the article on May 26th in 1457(King Sejo 3year),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article, Anhamro and Won dong-jung are appeared as authors. But the people who believe that a view of pseudograph said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Anham, Rowon, and Dongjung. The another basis is the article, Suyangsanseong in Dondkug-Yeojiseungram. There is one sentence, ‘Once upon a time, Anham, Rowon, and Dongjung prepared the ground.’ But those are different from Chines characters(Anham) and letters(Rowon). However, for the only reason that those names are similar pronunciation, they have asserted that the three men were right. They asserted that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nothing from the beginning and made counterfeitly. The article that three men were appeared in Dondkug-Yeojiseungram is unrelated to history. In this book, there is a saying ‘it was copied and written about the stories circulating around the world. So, the stories circulating can’t become a basis of those insistence. And in the same article, it says ‘there was the old site of Gojukgun in Sanseong’. But it is not true. Because Gojukgun, Gojukguk, was Yeongpeongbu in China. The people who believe that is pseudograph ignored that whole article. And they just referred to only three men’s name, Anham, Wonro, and Dongjung, only for theirs advantages. It has to be rejected that special pleading not to consider historical, geographical facts. Furthermore, their opinion, making fake writers of Samseon Gi and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has to be reconsidered.

      • 원천석이 『삼성기』저자 원동중이라는 견해에 대한 연구

        노종상(Roh Jongsang)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Ever since the Hwandangogi was first known to the public in 1911, the authors of the Samseonggi (Anhamro and Won Dong-jung), one of the five history books comprising the Hwandangogi, have remained one of the biggest mysteries. This study is on Won Dong-jung, an author of the Samseonggi. Recently an argument has been presented that Won Dong-jung is the same person as Won Cheon-seok, a recluse at the close of the Goryeo dynas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or not Won Cheon-seok is actually Won Dong-jung who wrote the Samseonggi. This study has adopted Lucien Goldmann’s way of “two people pick up a table.” In fac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detailed whereabouts of Won Dong-jung or Won Cheon-seok at the present time because few records of them remain. Despite that, this study makes a new attempt to discuss what the existing studies have not dealt with on Won Cheon-seok. To begin with, this study compared and examined Won Cheon-seok and Yi Am, and Won Cheon-seok and Beom Jang, respectively. Yi Am was a high-ranking official, serving as Sumunhasijung (vice prime minister) at the close of the Goryeo dynasty. He established a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Spirit Teaching, writing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in East Asia from the Spirit Teaching’s standpoint. Won Cheon-seok was related to Yi Am in several ways and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him. Beom Jang was one of the 72 members of the Dumundong group which kept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even after its fall, opposing the foundation of Joseon. Beom Jang wa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basically, but he also held Korean traditional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Spirit Teaching. Won Cheon-seok and Beom Jang were friends and exchanged their ideas as the co-authors of the Hwahaesajeon. Basically a Confucian scholar, Won Cheon-seok also recognized,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thoughts of Buddhism and Taoism. His religious view or view of the world can be summarized as the theory of three teachings-one principle, which signifies that the three teach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ve different contentions but share the same logic. Such a thought of his is the core of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of the Spirit Teaching which has been passed down ever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Won Cheon-seok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Dangun and Dangun Joseon. And he argued that the philosophy of Dangun Joseon was the thought expressed in the Scripture of Heavenly Code, which was also the basis of his perception of history. Yi Am and Beom Jang received esoteric writings on early ancient history of Korea from a recluse scholar called Sojeon while staying at Cheonbosan Mountain. Influenced by these writings, Yi Am wrote the Dangunsegi from the historical standpoint of the Spirit Teaching. Beom Jang wrote the Bukbuyeogi, and it follows right after the Dangunsegi in the Hwandangogi. Won Cheon-seok was influenced by Yi Am’s Dangunsegi and had various esoteric records left by many learned men. Based on those records, he wrote the Yarok, covering Korean history from the early antiquity through the Goryeo Dynasty. The first part of the Yarok is assumed to be the Samseonggi. Actually, there have been some arguments, in the academic circle, that Won Cheon-seok and Won Dong-jung were the same person. Judging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the people with whom Won Cheon-seok exchanged opinions, his poems and records of his oral statements,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Won Cheon-seok would be Won Dong-jung, an author of the Samseonggi. 1911년에 『환단고기』가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환단고기』에 묶인 다섯 권의 사서 가운데『삼성기』 상·하 두 권의 저자(안함로ㆍ원동중)는 최대 미스터리 중의 하나였다. 최근에 원동중이 고려 말 지방지식인이자 은일의 인사 인 원천석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원천석의 역사인식을 밝히는 것이지만, 또한 『삼성기』 하권의 저자 원동중이 과연 원천석인가, 하는 점을 해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이 논문은 뤼시엥 골드만Lucien Goldman의 ‘두 사람이 함께 책상 들기’를 염두에 두고 있다. 먼저 원천석과 이암, 원천석과 범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암은 고려 말 수문하시 중을 지낸 고관이다. 『단군세기』의 저자인(삽입) 그는 ‘동방 한민족의 역사를 신교 사관 神敎史觀으로 저술한, 신교사관의 정립자’다. 원천석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이암과 운명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이암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다음은 원천석과 범장을 비교, 검토하였다. 범장은 조선 건국을 반대한 두문동 72 현 중의 한 명이다. 『북부여기』의 저자인 그는 기본적으로 유학자이지만, 우리 민족 고유의 신교사관을 바탕에 깔고 있는 인물이다. 원천석과 범장은 벗이자 동지관계 이다. 또한 두 사람은 『화해사전』의 공동저자로서 사상적으로 교류하고 있었다. 원천석은 기본적으로 유학자이다. 그는 불교와 도교를 인정하고, 이해하고, 그 사상을 실천하였다. 그의 종교관 내지 세계관은 삼교일리론 三敎一理論으로 요약될 수 있다. 유교와 불교, 도교가 주장하는 것은 각자 다르지만 그 이치는 하나로서 같다는 것이다. 원천석의 삼교사상 三敎思想은 삼국시대 이후 전해져 내려온 우리 민족 고유의 신교사상을 관통해 온 사상이다. 원천석은 단군과 단군조선(고조선)의 실재를 인정했다. 그리고 단군조선의 이념이 『천부경』사상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역사인식에는 천부경사상이 기초하고 있다. 이암과 범장은 천보산에서 소전거사로부터 우리 상고사에 관한 비기 秘記를 전해 받았다. 이에 영향을 받은 이암은 신교사관을 바탕으로 『단군세기』를 저술하였다. 범장은 『북부여기』를 저술하였다. 두 사서는 『환단고기』에 나란히 묶여져 있다. 원천석은 두 사서는 물론 두 사서의 저자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그는 ‘여러 군자들이 남겨놓은 비전 秘傳 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그 비전을 바탕으로 우리 고대사는 물론 고려시대까지를 기록한『야록 野錄』을 저술했다. 학계에서는 이미 원천석과 원동중이 동일인물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원천석의 교유(영향)관계, 그가 남긴 시, 그가 남긴 구술 기록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삼성기』저자 원동중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 ‘홍익인간’은 무엇을 뜻하나?

        최선호(Sunho Choi)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2

        오늘날에는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을 서구적이고 현대적인 사유체계 속에서 해석함에 따라, 홍익인간의 의미가 크게 왜곡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졌던 당시 우리의 고유한 사유체계를 통해 홍익인간의 개념을 해석해보았으며, 이에 따라 홍익인간의 올바른 의미가 ‘도道로써 널리 또 크게 중衆을 깨우쳐서, 사람과 사람 사이 삶의 도리를 실천하며 살아가게 하다, 또는 그렇게 살아가는 세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는 ‘깨우침’과 ‘공존 상생’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홍익인간의 의미와는 크게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홍익인간이 ‘이타적인 사람의 모습’을 강조한, ‘널리 사람 또는 세상을 이롭게 하다’라는 의미가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한문 해석에 대한 접근법’과 ‘기존 역사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을 통해, 홍익인간의 의미를 원래대로 복원하여 제대로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홍익弘益’은 ‘홍도익중弘道益衆’에서, ‘인간人間’은 ‘인재기간人在其間’에서 온 표현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이 삶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원대한 이상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다. In modern days, the Korean traditional concept of 'Hong-Ik-In-Gan' has been grossly misinterpreted and misunderstood, mainly due to the Westernized, modern way of life and thinking. In this article, we use the Korea's own traditional philosophy which dates back to approximately 9,000 years ago to reinterpret and restore the original concept of 'Hong-Ik-In-Gan'. The Korea's own traditional philosophy is unique and different from other Asian philosophies such as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etc. The origin of the Korea's own traditional philosophy can be traced back to two ancient Korean writings, Cheonbugyeong and Samilsingo, which have been passed on to today's Koreans for over 9,000 years. Cheonbugyeong and Samilsingo are very short, consisting of only 81 and 366 ideographic characters (known as Chinese characters today), respectively, but contain limitless implications to our lives and the universe well beyond imagination. The backbone of Korea's traditional philosophy laid down by Cheonbugyeong and Samilsingo has been further explained in detail in five old Korean books such as Samseong-gi I, Samseong-gi II, Dangun-Segi, Bukbuyeo-gi, and Taebaek-Ilsa, and these five old Korean books are put together in one book, known as Hwandan Gogi. According to the Korea's traditional philosophy, the meaning of 'Hong-Ik-In-Gan' is 'Enlighten (and/or brighten and/or civilize) the people by having them understand Do (道) so that they can live in accordance with Do(道), i.e., live together in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prosperity‘. The meaning of Do(道) in the context of Korea's traditional philosophy is also different from other Asian philosophies in that it is very much scientific and practical. In such context, the concept of 'Hong-Ik-In-Gan' implies that no one can exist/live alone and that everyone needs everyone else. 'Hong-Ik-In-Gan' emphasizes 1) people should be enlightened (and/or brightened and/or civilized), and 2) they can only exist and should live together with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ral prosperity. Unfortunately, the meaning of 'Hong-Ik-In-Gan' has been misinterpreted and misunderstood in modern days as one meaning 'Benefit and/or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other people so that all human beings can live together in peace and harmony'. That is, 'Hong-Ik-In-Gan' is misunderstood as a concept that emphasizes being altruistic as opposed to being selfish, which is the outcome of wrongly interpreting the unique Korean philosophical concept in a non-Korean philosophical context. Though most people praise being altruistic is more ethical and better to a society than being selfish, being altruistic is as troublesome as being selfish in that it is an unstable and incomplete concept as well. In this article, we also propose new methodology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ancient Korean writings in a more adequate way. We also show the origin of the expression, 'Hong-Ik-In-Gan'. In sum, we can say that the concept of 'Hong-Ik-In-Gan' truly reveals the deep insight and understanding about our life and the grandiose vision to ou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