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고전문학 연구 동향 : 『어문론집』 수록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김용기(Kim, Yong-ki)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은 『어문론집』에 수록된 고전문학 관련 논문들을 통해 21세기 고전문학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21세기는 20세기의 마지막 시기 연구 성과와 방향을 이으면서 각 분야별로 완전히 꽃을 피운 시기라 할 수 있다. 여성주의 시각이 고전문학 전반에 정착하게 되었고, 국문 대장편소설연구 또한 양적, 질적으로 저변을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비문학 연구가 활성화 되었으며, 문화콘텐츠 분야가 하나의 독립된 학문적 분과로 공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고전문학 연구의 방향에 견주어 볼 때, 『어문론집』에서는 여성문학 내지는 여성주의시각을 다룬 논문들이 부족하다는 점이 발견된다. 또 국문 대장편 소설과 한문 장편소설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진한 편이다. 고전시가 역시 시조와 한시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 고대가요나 향가, 고려가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가사문학도 생소한 가사 작품에 대한 새로운 소개가 있는 정도이고, 학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고 깊이 있는 해석이 가해진 글은 발견되지 않는다. 비교적 학계의 흐름에 보조를 맞추어 가고 있는 분야는 설화(구비문학)와 민속학, 문화콘텐츠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학계를 선도할 만한 이론이나 내용적 깊이까지 충분하게 담보하고 있지는 않다는 느낌이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어문론집』은 중앙 학회의 흐름에 맞는 연구주제, 또는 유행하는 주제에 민첩하게 반응하고 활동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문론집』의 장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문화콘텐츠 분야나 민속학, 설화 분야는 더욱 다양화하고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학회 차원에서 장기 플랜, 또는 아젠다를 설정할 필요도 있다. 이와 더하여 비교문학을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고, 또 최근 학계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지역학’에 대한 관심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21st century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trend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that are included in 〈Umoonrongip〉. The studies of 21st century have flourished connecting to the results of 20th century studies. The works dealing with female viewpoints have roots on classical literature generally and the stud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have become active and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has planed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with dir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t was found to lack of researches about female literature or female viewpoints. The stud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Chinese full-length novels are not satisfactory as well. Classical poetry leans too much towards on Sijo and Chinese poem. The researches of ancient Gayo, Hwangka, Goryeo Gayo are extremely rare. The researches of Gasa introduced only unfamiliar works but few works were interpreted variously and deeply by the flow of academia. The areas of keeping step with the flow of academia are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folklore and culture contents. However, they are not enough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ory or cover the deep content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Umoonrongip〉 to react quickly to the popular research theme or the flow in accord with the central learned society. It needs to diversify and intensify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folklore and culture contents that are the strength of 〈Umoonrongip〉. Additionally, it needs to establish the long-term plan and agenda by the academic society and to activate comparative literature. Also, we should increase the interest of ‘regional studies’, the recent academic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