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 연구 - 예비 국어 교사의 시 그림책에 관한 감상을 중심으로 -

        유진현 한국문학교육학회 2024 문학교육학 Vol.- No.82

        이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의 시 그림책에 관한 인식과 감상을 바탕으로 시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그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표가 있다. 시 그림책은 시를 글감으로 하여 그림과 함께 상호작용한 결과로 제시되는 작품으로 정의되며,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시 그림책에 대한 장르 인식을 지닌 상태에서 ‘글’로서 시와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 구성을 마련해 나가는 작품으로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시 그림책에 관한 이론적 전제로서 그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예비 국어 교사의 시 그림책에 관한 인식과 감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A 대학의 예비 국어 교사 32명의 시 그림책에 관한 감상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해당 감상 텍스트는 예비 국어 교사가 스스로를 현대시의 독자, 현대시 교육의 학습자 및 교수자로 인식함에 따라 시 그림책이라는 장르 및 작품에 대하여 감상하는 양상을 구분하여 분석되었으며 그로부터 시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poetry picture books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appreciations of poetry picture books b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 poetry picture book is defined as a work that is presented as a result of interacting with a picture with a poem as a text, and in this study, the artist has a genre awareness of the poetry picture book and discusses it as a work that prepares the 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poetry and 'picture' as 'tex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picture books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premise about poetry picture books, and the appreciation texts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ollected. The appreciation text was analyzed by separating the genre of poetry picture books and their appreciation of works as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readers of poetry, learners and instructors of poetry education, and derived and discussed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and utilization of poetry picture books from them.

      • KCI등재

        특집논문 : 고은 시의 번역 현황과 번역시 연구

        오윤정 ( Yoon Jeong 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1

        시는 실제로 번역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시행이나 분연의 문제, 고유어의 특질을 한껏 살린 그 언어사회만의 독특한 시어들, 하나하나의 시어에 내재하는 다양한 의미까지. 이와 같은 시 번역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우리의 시가 외국에 번역 소개되었다는 점은 고무할 만한 일이다. 여기에는 시인뿐 아니라 열정적인 번역가들의 노력이 전제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고은 시를 대상으로 지금까지 해외에서의 번역 현황을 살펴보고 해외의 시선이 무엇을 주목하고 있는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번역시에 나타난 언어적 특징을 간파하고, 번역 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고은 시를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세계 속에 자리매김한 고은의 문학적 성과를 고려하는 동시에 외국에서 수용되는 한국시의 면모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은은 현재까지 10개의 언어로 총 30여 권을 간행했으며, 20여 권이 출판 준비 중에 있다. 이러한 번역시는 대체로 『순간의 꽃』과 같은 단형의 선시와 다양한 한국적 삶을 재현한 『만인보』로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번역텍스트에 있어 주목할 점은 ``무엇이 소거되는가``(번역불가능성)와 더불어 ``무엇이 전달되는가(번역가능성)``의 문제일 것이다. 소거되는 것에 원시의 언어 고유의 쓰임과 함의, 느낌, 행과 연의 배열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면, 전달되는 것에는 주제, 메시지, 총체적인 것으로서의 정서를 들 수 있다. 특히 고은 번역시의 경우 사회적 관습이나 구체적 상황을 드러내는 다수의 사회어는 삭제되면서,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적 언어 내지는 고은 특유의 개인적 언어가 전면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조와 대구를 통한 비약과 반전, 생생한 묘사와 서사를 통한 리얼리티 등의 고은 시의 요소들은 시적 정서와 주제를 전달하며 시의 가독성을 높이는 특징이 된다. 번역은 단순히 한 세계의 문화를 다른 세계에 전파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갖는다. 타인에 대한 관심, 동양에 대한 관심, 선적 세계, 불교적 세계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요구들이 고은의 언어와 만나는 자리에 고은 번역시가 놓여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for examining the translation status of Ko Un`s poems which has been translated overseas up to now and examining which points they are paying attention to in his poetry. Ko Un`s translated poems has been published into 30 books in 10 languages, and an additional 25 are ready to be published. His translated poetry seemed to be mainly abridged to Flowers of a Moment which is a Zen-poetry and Ten Thousand Lives which reproduces Korean`s diverse lives. In translated poetry, some of the important factors are how to be read by foreign readers and how much faithfulness it has in recreating its original. In other words, what we have in concern about the translated text is what has to be eliminated(non-translatability) and what is to be mentioned(translatability). For example, the former can be an unique way using the original language, implication, feeling, and arranging way of lines and stanza, etc.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theme, messages, and general emotions, etc. In Ko Un`s poetry, many parts of social terms which reveals specific situation or social custom are removed, while his unique and personal language is inserted. Jumping and reversal through contrast and couplets, vivid description and epic play a role in conveying a theme and poetic feeling as well as enhancing the readability.

      • KCI등재

        시의 개념과 근대적 분화 과정

        정슬아(Chung, Seul-A)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오늘날 통용되는 근대적 의미로서의 문학, 특히 ‘시’의 개념을 형성해나가는 데 있어 근대적 학제 개편 속에서 이루어진 의식 전환에 주목하여 1895년부터 1925년에 발간된 국어(조선어과) 교과서 및 독본을 대상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현재 우리가 어떠한 형태로서의 시를 상상하고 있다면, 이러한 문학의 일반화에 영향을 준 근간이 무엇인지 추적하는 작업이다. 교육은 학습자를 권력의 장 안으로 편입시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지식을 획득하고 사회적 자격을 부여받도록 한다. 따라서 사회속에 진입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교육은 당시 사회가 어떠한 이데올로기를 성장과정 속에 주입시키고 있으며, ‘권력’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제가 된다. 이때 교과서는 문화 · 정치 · 사회 · 경제 등의 다양한 층위가 반영된 텍스트로서, 이질적인 내용과 형식을 수렴한 혼종적 양상을 띤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 국어 교과서 및 독본을 통해 전통적 관점에서의 시의 개념이 국문 시에 대한 자각으로 인해 그 의미가 전환되는 양상을 추적하는 일은 문종(文種) 개념의 관습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 된다. 이를 위해 당대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가(歌)’에 가까운 형태와 ‘시(詩)’에 가까운 형태로 구분하여 유사성을 보이는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에는 관찬 및 사찬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차이가 포함된다. 즉 ‘제국 일본’이 ‘식민지 조선’에 근대적 교양을 주입시키면서 정치적 성향을 탈각하고 일제의 식민주의에 복무시키고자 하는 교육과, 제도권 이외의 현장에서 애국심을 고취시키며 자주독립을 강조하는 자생적 노력을 구분하여 교과서 내에서 구성되고 있는 계몽 담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詩)’가 강조되는 과정에서 장르적 교착과 배제를 통해 ‘가(歌)’가 분리되는 양상은 혼종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주체를 배태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onversion of awareness in reforming the modern school system to form the concept of especially ‘poetry’ among literatures having modernism as commonly considered today, reviewing Korean language (Joseon language) textbooks and Dokbons published from 1895 to 1925. That is, if we currently imagine a kind of poem, this work is to track the basis affecting the generalization of these literatures. Education makes learners enter into the field of power to obtain basic knowledge and gain social qualification as a member of the society. Thus, the education as a step of entering into the society drums the ideology of the society into the process of growth, and it becomes a mechanism showing how the ‘power’ works. Here, the textbooks reflects various levels of such as culture, politics, society, economy in the text, causing confusion of genres to contain heterogeneous contents and forms. In this context, tracing the appearance of changing poetry concept from a traditional view to a meaning in accordance with self-awareness of Korean poetry through moder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Dokbons is to examine how the genre becomes a custom.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poetry contained in the textbooks of the day into a form of almost ‘song (歌)’ and another form of almost ‘poetry (詩)’ to investigate the poetry having similarities.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contents between private textbooks and public textbooks wer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aspects of enlightenment discourses appeared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distinguishing the education in which the ‘empire of Japan’ drummed the modern refinement to the ‘colonial Joseon’ to remove the political orientations of the learners and force them to serve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spontaneous effort inspiring patriotism and emphasizing independence in the remaining education field outside of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assumed that the ‘song (歌)’ was separated by mixing and excluding the genre in the process of emphasizing the ‘poetry (詩)’ and it was appeared at a turning point in which the genre was confused and a modern subject was born.

      • 한국현대시사 구성과 외국시가 수용의 영향 연구

        김희철 대불대학교 2002 大佛大學校大學院 硏究論文集 Vol.- No.1

        한국의 시가(詩歌)는 삼국시대부터 연맥하여 왔다. 근대에 와서 서구적인 영향을 받아 자유시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우리시가는 새로운 시가의 발생분위기가 익어가는 고통이 자유자각 속에서 형성되고 있다. 그러던 중에 1884년의 갑신정변의 영향 속에서 서구의 문물에 대한 영향을 받아, 빠른 시간내에서 개화사상이 싹터 개화가사와 개화가, 창가와 신체시를 거쳐 완전한 자유시 형태가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렇게 변형해 오는 우리 시가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외국의 시가도 우리나라에 들어왔고, 특히 서양의 시가는 기독교의전파와 함께 찬송가와 찬미가와 찬송시가 서양인에 의하여 번안 또는 창작되어 이 땅에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00년에 접어들면서부터 번역 시문학이 싹텄으며, 1910년대 후기부터는 『태서문예신보』 가 창간되어 외국의 시작품을 번역 소개하여, 우리나라의 자유시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후 1920년대의 말기에는 『해외문학(海外文學)』 이 창간되어 본격적인 번역기 소재가 있었다. 1930년 초기에는 『금성(金星)』 지가 나와서 외국시를 번역 소개하였으며, 1935년 경에는 주지주의의 시문학이 들어와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고찰하는 동안 외국시가의 수용문제는 곧 현대시가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게 사실이다. 첫째, 우리 시가의 변형 속에는 초보적인 외국시가의 수용의식이 싹튼 점. 둘째, 우리시가의 발전 속에서 외국시가-서양시가의 수용과 번역도 발견된 점. 셋째, 1920년대 후기부터 1930년대로 접어들면서 외국시가-서양시가의 수용자들의 태도가 진지해지고, 번역시의 연구에까지 미친 점. 넷째, 1920년 후기에 번역어의 한계성에 대한 학대와 서양시가의 수용태도에 대한 이론과 충실한 번역성격을 규정짓는 점. 다섯째, 1930년대의 주지시세계가 이땅에 뿌리를 내리게 한 외국시가-서양시가의 번역과 용성이 간접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 이상으로 외국시가의 수용문제를 고찰해 보았다.

      • KCI등재

        Как русские стихотворения воспринимаются в Корее

        Ким Гын Сик(김근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2

        시란 언어의 음악성, 정교성, 창의성, 간결성을 최대한으로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언어예술의 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보석을 생산해내는 사람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언어예술의 마법사로 불리는 것이다. 그러나 시는 여느 보석과는 달리 한 개인의 재산이 아니라 시인의 언어를 소유한 민족 전체의 재산이 된다는 점에서 그 어느 보석보다 귀중하다. 그러한 시는 타민족의 언어로 적절히 번역된다면 타민족에게도 재산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계적 시인으로 알려진 셰익스피어, 괴테, 뿌수낀의 작품이 이미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많은 민족들에게 문학적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사실이 입증되고 있다. 한국인들은 그 어떤 외국문학보다 러시아 문학을 선호하고 있다. 한국인이 러시아 문학을 최초로 접한 것은 공식적으로 《소년》지가 창간되던 1908년이다. 1908년은 한국문학이 고대문학에서 유럽식 문학으로 형식을 바꾸어 신문학이 시작되던 해였다. 그러한 변신은 최남선의 《소년》에서 최초로 시도되었으며, 창간호부터 서구의 모델들과 사조들이 소개되었다. 내용중에는 러시아의 뾰뜨르 대제에 관한 글이 실려 있어서, 한국인들의 러시아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동 잡지에서는 뾰뜨르 대제에 이어 똘스또이와 끄릴로프 우화가 소개되었으며, 똘스또이는 그 시대의 가장 훌륭한 작가로 간주되었다. 러시아 시가 최초로 소개된 것은 《태서문예신보》를 통해서였다. 김안서는 서구의 시를 독자에게 소개하면서, 러시아 시인 민스끼의 《세레나데》르 번역했다. 하지만 지난 세기에 러시아 시의 번역은 산문에 비해 활발하지 못했다. 뿌쉬낀의 일부 시가 경구처럼 인용될 정도였으며, 시의 장르에서 벗어나 있는 뚜르게네프의 산문시가 일찍이 소개되어졌으며, 1970년대에서 1990년 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인 러시아 시 번역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번역된 시인 중 일부는 사회주의적 분위기에 편승한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한국에서 러시아 시 번역의 가장 큰 업적은 뿌쉬낀의 거의 모든 시르 망라한 뿌쉬낀 전집의 출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 시 번역에서 시의 인식론적이고 관념론적 기능만이 의미를 띤 채, 운율을 위시한 음악성이 재생되고 있지 않는 점에서 원시의 미학적 기능이 무너지고 시어는 산문어로 변환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러시아어의 운율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시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인 음악성을 고려한다면 한국적 운율을 입혀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노래 가사가 불려지는 것은 멜로디를 통해서 가능하듯이 시가 대중에게 읽혀지고 기억되려면 시적 리듬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김소월의 시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암송되어지고 읽혀질 수 있는 것은 그가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7ㆍ5조의 음률을 즐겨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음률은 여러 가지 형식으로 변주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시인도 적지 않다. 러시아시가 한국에서 노래처럼 암송되고 자주 낭송되어 진정한 시의 기능을 찾기 위해서는 한국의 음절시가 가질 수 있는 운율, 두운, 각운, 대조, 반복 등 시의 여러 기법을 최대한으로 살려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논어(論語)』 인용시(引用詩)의 시교론적(詩敎論的) 이해(理解) ― 공자(孔子)의 학문관(學問觀)과 문질론(文質論)을 중심으로 ―

        진예숙 ( Jin Ye-su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3 No.1

        『論語』의 引用詩는 총 8편이다. 이중 孔子가 직접 引用한 詩가 4편이며, 弟子들이 孔子와의 대화 도중 인용한 것이 2편으로, 모두 孔子의 詩를 통한 제자 교육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나머지 2편의 引用詩는 曾子가 臨終할 때 引用한 시와 隱者의 引用詩이다. 本稿는 『論語』에 引用된 『詩經』의 詩와 逸詩를 考察하고 詩 引用의 상황과 대화 내용을 통해 그 속에 내포된 孔子의 詩敎論的 특징을 이해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探究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술되었다. 그런데 8편의 引用詩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에는, 그 引用의 이유와 성격, 詩敎의 내용이 제각기 달라서 너무 방대할 뿐 아니라 錯簡의 疑惑이 유력하게 제기된 詩篇도 일부 있어서, 孔子의 學問觀과 文質論을 내포하고 있는 3편의 引用詩에 한정하여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먼저 孔子의 學問觀과 詩 引用에서는, 학문의 진보와 인격의 성장이란 측면에서 子路와 子貢의 학문적 성취를 인정해주면서도 자신의 성취에 만족하거나 안주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 즉 지속적인 인간 성장을 중시하는 孔子의 詩敎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다음으로 孔子의 文質論과 詩 引用에서는, 繪事後素에 이어 忠信과 禮의 先後論을 인정하는 등 그 本質的인 면을 강조함으로써 文質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정립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文質彬彬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論語』에서는 詩 引用의 상황과 제자들의 학문적 성취 단계에 따라 孔子의 詩敎가 자연스럽게 전개되고 있다. 學問의 進步에 있어 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실천을 통해 제자들이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도해주는 것이 孔子 詩敎의 특징이자 목적이며, 이 때문에 孔子가 제자들의 교육에 詩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There are total eight citation poems in Analects of Confucius. Of them, four were directly quoted by Confucius; two were quoted from his conversations with his pupils regarding his education for his students with poems; and the remaining two were quoted from Cengzi at his deathbed and a hermit, respectivel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oems and lost poems of Book of Odes quoted in Analects of Confuciu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us` poetic edification theory connoted in them through the situations and conversational content of poetic quotations, and make a concrete inquiry into them. However, it`s too voluminous to examine these total eight citation poems because not only the reason of quotation and character, but also poetic edification are respective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lso some poems were brought to a doubt of mispagination. With these reasons, in order to make my point clear I`d like to limit to only three poems which contain Confucius` viewpoints of study and Wenzhi lun. Confucius` viewpoints of study and poetic quotations have a strong connotation of his poetic edification, which emphasizes ongoing human growth or his lesson that one should not be satisfied or settle down with his or her achievements while recogniz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Zilu and Zigong in the aspects of academic progress and character growth. The study then examined Confucius` Wenzhi lun and poetic quotations and found that he established a basic perspective for Wenzhi by highlighting its fundamental aspects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Xianhou lun of loyal subjects and manners after Huishihousu and further proposed an ideal human character of Wenzhi binbin. The Analects of Confucius naturally develops his poetic edific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poetic quotation and the phase of his disciples` academic achievements. Confuciu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oems in advancement of learning. The aim and feature of his lesson was to lead his disciples to desirable human characters by devoting themselves to studying. Therefore, he enthusiastically conjugated the poems for teaching his disciples.

      • KCI등재후보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박안수(Park, An-s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 글은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교육이란 독자를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서의 소비자[생비자(生費者), (prosumer)]’로 그 위상을 재정립하여 바라보자는 입장이며, 텍스트의 관점에서도 순수 서정시나 모더니즘 계열의 시보다는 민중이나 대중에게 쉽게 향유되는 시들도 교육과 연구의 대상으로 삼자는 입장이다. 또한 이러한 ‘시의 생산, 분배, 소비’의 측면을 중요한 ‘실천으로서의 문화, 문학’ 현상으로 인정하자는 입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문화교육의 관점은 ‘민족지학의 관점’의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관점은 20세기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생긴 산물들인 드라마와 영화, 사진 등의 장르에 관심을 갖는 연구이다. 또한 계급적, 사회적 관점으로는 노동자나 여성, 이민자와 같은 영국 민중들이 향유하는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문화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소비하는 시청자나 독자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연구 방식이다. 이들 모두를 ‘확장된 문화’라는 개념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연구는 1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시낭송 교육의 현실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였고, 2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본 작가‧텍스트‧독자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반응활동의 객관화를 위한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시낭송 교육 방안 설계와 시낭송 교육의 실제를 보였고, 4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시낭송 교육의 의의와 한계, 제언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낭송자와 청중들은 시 텍스트를 활용한 낭송의 개념과 범주를 폭넓게 허용함을 알게 된다. 둘째, 다양한 시낭송 방식의 체험은 반응비평 중심의 시 감상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학습 과정임을 알게 된다. 셋째, 학생들은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며, 적절하게 반응하고 소통할 있는 능력을 경험한다. 위와 같은 시낭송 교육은 부정적 영향과 한계에도 유의해야 한다. 감상의 과정에서 주객전도의 딜레마가 작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빼앗아 버릴 수 있고, 부정확한 선입견을 가지고 많은 보조 자료를 동원하여 배경 음향과 화면으로 채우는 것에 골몰할 수 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nduct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of reader is upgraded to be viewed as 'producer and consumer (prosumer)' instead of just a 'passive consumer'. Such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has a lot to do with 'ethnographic perspective' research. This perspective stemmed from paying attention to genre such as dramas, movies, and photos ― products of the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in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analyzes such cultural texts and pays attention to the consumers, the viewers or readers, who are all accepted in the concept of 'extended culture'. This research raised issues associated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the chapter 1. In Chapter 2, writers and texts are examin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In Chapter 3, planning of poem recitation education and its reality was revea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odel for objectification of reaction activities,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n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poem reciters and audience will be introduced to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oetry recitation. Secondly, they will learn that reactive criticism is the foundation for poetry appreciation and so fuels a variety of poetry recitation experiences. Thusly, through the mentioned learning points, student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communication abilities as well as an appreciation for poetry. Such poem recitation education had to be mindful of negative effects and limitations as well.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it might produce side effects of taking away the freedom and enjoyment of students, contrary to its goal. Second, the education might negatively focus on the background music and images with lots of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naccurate approach.

      • KCI등재

        시,청각 장애인의 TV 시청동기 측정척도 개발연구

        김수기 ( Su Ki Kim ),강경수 ( Kyoung Soo Kang ),김용호 ( Yong H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장애인의 TV 시청동기의 구조를 밝히고, 신뢰도와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측정 문항을 개발하고 통계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2단계의 조사로 진행되었다. 단계적으로 실시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1개의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시·청각 장애인의 TV 시청동기 측정 항목을 개발하였다. "정보", "상상적 교류", "시간 보내기", "자극/흥분", "성적흥미" 등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된 시·청각 장애인의 TV 시청동기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신뢰도와 타당성이 확보 되었다.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는 청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선행연구에서 제외된 3개의 동기 요인을 포함하여 조사·분석한 결과 일반 시청자와 마찬가지로 시·청각 장애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TV 시청동기 요인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시청동기 결과는 관습 지향적 동기와 도구 지향적 동기라는 두 가지 형태의 미디어 동기가 시·청각 장애인의 TV 시청동기 구조에서도 확연하게 드러났으며, 특히 시·청각 장애인의 경우 선행연구와 달리 도구 지향적 동기 요인 "정보"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시·청각 장애인의 TV 이용과 관련된 다른 주요 변인(예: TV 시청 선호 채널 및 장르, 시청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인 방송 제작·편성 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후속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tv viewing motivation and develop the measurement scale for hearing or visually impaired people which is guaranteed in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tructure of the tv viewing motivation is tested via two-step examination. First, developing the measurement items, and then verifying the statistical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in stag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5-factors were extracted; "imaginary current", "stimulation/excitation", "information", "sexual curiosity" and "pass time" for the tv viewing motivation. These factors are guaranteed on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markable result of this study is a variety of tv viewing motivation factors such as general tv viewer. The measurement scale of tv viewing motivation we suggest in this study will be also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other variables of tv utilization such as "tv viewing patterns", "tv viewing satisfaction" and "Broadcast Disabled" in the a future research.

      • KCI등재

        시동인지 『自由詩』 연구

        김문주(Kim, Mun-joo)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7

        1970년대는 동인지 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였다. 『자유시』(1976.4∼1983.10)는 이 시기에 발행된 가장 중요한 시동인지 중의 하나로서 총 6회 간행되었다. 대구·영남에 연고를 둔, 등단한 지 5년 이내의 신진시인들로 구성된 <자유시> 동인은 민족/민중/참여문학이 성세를 이루던 시기에 ‘자유’와 ‘개성’을 시적 가치로 내세웠다. <자유시> 동인은 같은 시기에 결성된 <반시> 동인과 대비적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이 둘의 관계는 1970년대 한국문단의 중요한 두 축이었던 <창작과비평> 對 <문학과지성>의 구도와 흡사한 것이었다. <자유시> 동인이 창간호에서 강조한 것은, 첫째 자유로운 시정신, 둘째 지역을 근거로 한 인간적 유대였으며, 이들은 특정 입장을 적극적으로 주창하기보다 집단주의나 문학의 종속성을 반대하는 소극적-부정주의 태도를 취하였다. 이는 <자유시> 동인의 한 특징이었으며, 동시에 동인으로서의 선명한 성격과 결속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들은 집단이나 타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일상과 경험에 기초한 현실을 중시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소시민적 일상이나 반생태적 환경, 지역-자연은 그들의 시선에 포착된 의미 있는 현실이었으며, 이는 시사적(詩史的)으로 앞선 성취였다. 3년간의 공백 이후 간행된 5,6집은 이전과 달리 동인 이외의 문인들에게 지면을 개방하여 당대 동인지들과 보조를 맞추었고, 정치·사회적 현실에 대한 시적 형상화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화는 폭압의 현실에 대한 반성적 인식의 소산이었으며, 동인-정체성의 재구성 작업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자유시> 동인의 시적 작업은 ‘개인-자유’에서 ‘개인-현실’의 발견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1980년을 전후로 진행된 한국시사의 한 국면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지점이었다. 1970s was the time when literary coterie magazine activities were briskly developed. 『Free poem』(1976.4∼1983.10) was one of the important poetic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at issued in that time, which was published six time. Based on Daegu·Yeongnam area, 〈Free poem〉cenacle which was consisted of rising poets who started literary career within five years brought ‘free’ and ‘individuality’ as poetic values while nationality/the public/engagement literature were making the mainstream. 〈Free poem〉 cenacle had contra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Anti-poem〉 cenacle, and that was similar to the composition between 〈Creation & criticism〉 and 〈Literature & intelligence〉 which were two of important axes of Korean literary world in 1970s. What 〈Free poem〉 cenacle emphasize in first issue were, first free soul of poetry, second humane bond based on region.〈Free poem〉 cenacle took passive-negativism attitude which oppose dependence of collectivism or literature rather than advocating certain position actively. It was characteristic of 〈Free poem〉 cenacle, and it became factor that hinder vivid character and cohesion as free verse cenacle at the same time. They set importance on reality based on daily life and experience of “I”, not the story of group or others. In that sense, petite bourgeois daily life, antiecological environment, or region-environment were meaningful reality that caught by their eyes, and it was historically precedent achievement. 5,6 collections that published after three years of absence opened its columns which was different before to keep step with contemporary cenacle, and poetic imagery about politic·social reality appeared conspicuously. Such a change was product of reflective awareness about the reality of oppression, and part of reconstructing work of cenacle-identity. The poetic work of 〈Free poem〉cenacle which show a condition of Korean poetry progressed around 1980s by going through the developing progress with the discovery of ‘individual-free’ to ‘individual-reality’, was meaningful point.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신진 ( Jin Shi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3

        전통 서정시는 한때 ``과거의 전통 속에 움츠려드는 회상벽`` 정도로 폄하되기도 했지만, 우리 근대시사상의 독특하고도 중요한 시 양식이다. 그것은 서구 편향의 근대시 운동에 맞서 민족적 개성을 자각하고 평이한 생활언어, 단순한 형식, 소극적이거나 도피적인 현실인식 등을 특징으로 1920년대에서부터 1950년대까지 형성되었다. 그 기본 양식은 민요조와 사설조, 그리고 산수화풍의 순수시 등 셋이라 할 수 있다. 이 셋은 ``전통 서정시``의 기반 양식인 동시에 서구적 자유시 형과 혼합하면서 우리 근대시 양식의 계기가 되어왔다. 민요조 서정시 양식은 1920년대 김억에 의해 시작되고, 김소월에 의해 자유시 형으로 완성 되었으며, 김동환, 김영랑, 정지용 등 시인들에 의해 개성적으로 계승되었다. 관념적인 한자어나 외래어를 배격하면서 민중적인 운율에 민중의 정서를 담아내었다. 민요에 비해 전문적이고 긴 내레이션 형식인 사설은 근대 자유시, 산문시 수입기에 자연스레 주류화 하였다. 민간에 전래하던 사설이 최남선 같은 선각자에 의해 시도되었다가, 한용운에 이르러 산문적 자유시 양식으로 정립되었다. 한용운의 여성적인 사설조는 이육사에 이르러 담대한 남성적 풍모로, 백석에 의해서는 향토 풍물지적 시 양식으로, 그 외 시인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변형, 전승되었다. 1930년대의 순수서정시는 현실에 대해 가장 도피적이었다. 고전부흥운동과 연계되는 정지용의 산수화풍 순수시는 서구 이미지즘에 대응하면서 인간적 애상이 짙게 밴 언어적 산수화의 경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청록파 3인에 의해 개별적으로 계승되었고, 신석정, 김상용 등에 의해 농경의 시로, 그리고 50년대 서정주에 의해 정신적 영원의 삶을 지향하는 현실초월의 시로 변용되었다 할 것이다. Though once underrated as ``reminiscent habits shrinking into the past tradition, traditional Korean lyrical poems remain a unique and significant mode in the recent history of poetry. Against the movement inclined toward Western poetry, such as romantic or propaganda poems, Korean lyricism, formed until 1950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ballads and Sasul, aimed to recognize national identities and featured common daily language, simple forms, and passive or escapist awareness of realities. Their basic manners can be summed us as ballad tone, Sasul tone and landscape atmosphere of pure language. Those three manners have been established not only as the basic modes of the so-called ``traditional lyrical poetry`` but, blended with free Western styles, as the central motives in recent Korean poetry as well. Initiated by Kim Eok in the 1920s and completed by Sowol as free verse patterns, ballad-tone manners were succeeded by such poets as Kim Dong Hwan and Kim Yeong Rang. Keeping away from ideological Chinese letters and foreign words, they expressed the emotions of the public in folk rhymes. While ballads consist of folk song styles with relatively simple words, Sasul has naturally developed into a modern style with its specialized lengthy lines since recent free and prose verse was introduced in Korea. First tried by a forerunner poet Choe Nam Seon, Sasul has been established as a free prose mode by Han Yong Un, whose feminine tone found audacious masculine voice in Yi Yuk Sa and transformed into the verse manners with folk landscapes by Baek Seok. Art-for-art-sake poetry in the 1930s took the most escapist stance toward realities. Jeong Ji Yong`s landscape-mood lyrical poems related with Renaissance movement coped with Western Imagism by attaining a state of linguistic Oriental landscape with pure language which eliminated metaphorical meanings. This trend was respectively succeeded by the three poets of Cheong-Nok Group, and transformed into poems of agriculture by Shin Seok Jeong and Kim Sang Yong and into transcendental poetry seeking spiritual, everlasting existence by Seo Jeong Ju in the 195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