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帝下 『禪苑』誌의 創刊과 그 性格

        오경후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4 No.-

        『선원』지는 일제하 불교계에서 설립된 선학원의 기관지다. 선학원의 설립정신이 한국불교의 정통성 수호와 선의 중흥과 대중화라면 『선원』지의 성격 역시 그와 무관하지 않다. 『선원』지는 1910년대 이후부터 불교계에 풍미했던 불교개혁과 유신에 관한 이론이 당시 간행된 잡지와 신문을 장악하고 있었던 것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선원』지는 1931년 10월 6일 창간되었다. 1921년 설립된 선학원이 침체기를 극복하고 김적음의 중흥을 위한 노력으로 탄생하였다. 『선원』지는 4호를 마지막으로 정간되어 창간의 불교사적 의미를 충족시키지 못한 아쉬움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일시적인 불교개혁론을 표방하지 않고 선의 중흥과 대중화,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선학원의 설립정신을 충실히 이행하였다. 특히 36명에 달하는 집필진은 인도와 중국선의 차이, 우리나라 선의 효시와 禪宗史를 게재하여 한국선이 지닌 역사적 위상과 가치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선원』지가 선학원의 기관지인 만큼 1921년 창설 이후 침체기를 극복하고 재건된 경위라든가, 1934년 재단법인과 1935년 선종 창종의 노력, 그리고 수좌들의 수행여건 향상마련과 지방 선원 증설과 같은 선의 중흥을 위한 선학원 인사들의 활동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선원』지가 지닌 대표적인 성격은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표방하는 일이었다. 이른바 선학원 설립정신을 적극적으로 천명하고 반영하는 일이었다. 예컨대 대처식육으로 대표되는 일본불교와는 다른 한국불교가 지닌 독자성과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진력한 선학원의 이념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또한 선학과 수좌들의 수행에 관심을 기울이고 향상시키고자 했다. 결국 『선원』지는 선학원의 설립과 침체, 재건과 재단법인 설립, 그리고 선종의 창종까지 일련의 선학원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격은 일제하 불교계의 잡지나 신문이 표방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The Buddhist Magazine ≪Zen Garden≫ was an organic journal of Seonkakwon(禪學院), which established in Korean Buddhist Circle under Japanese Imperialism. If the object of setting up Seonkakwon were the defending on the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or its popular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Zen Garden》was likely to associate with Seonkakwon's establishing intention. Since 1910s ≪Zen Garden≫ have presented the striking contrast between the active and overwhelming move of Buddhist reform in Buddhist Circle and the theory of Revitalizing Reform which have securing the command of both journal and newspapers printed in those days. ≪Zen Garden≫ was published out the world on the 6th of October, 1931. Seonkakwon was established in 1921, overcame the season of downward trend, and came into being with Kim Juck Eum(金寂音)'s endeavor to revive Seonkakwon. Because ≪Zen Garden≫ published the last No. 4 and was suspended by Japanese authority, It is inconvenient not to satisfy with the meaning of Buddhist history about its founding. Nevertheless, ≪Zen Garden≫ played an important role of organic magazine so faithful that Korean People could read Seonkakwon's founding intention to revive Zen(禪), popularize the mass, and set up the Korean Buddhism's identity. Especially 36 contributors to ≪Zen Garden≫ inserted the difference between India and China in Zen, the beginning of Korean Zen, and history of Zen Buddhism in Korea. Also they introduced historical place and its value about Korean Zen Buddhism in some ways. Further mo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Seonkakwon in 1921, ≪Zen Garden≫ as organic Magazine of Seonkakwon pressed how Seonkakwon overcome the course of slowdown or how it become the foundation in 1934 and introduced several activities of staffs belonging to Seonkakwon in a close relation to the birth of the Zen sect in 1935 and the improvement in self-discipline conditions of Prime Monks. The salient traits of ≪Zen Garden≫ was to adopt a slogan such a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Namely, It was to make clear Seonkakwon's founding intension. For example, the founding principle of Seonkakwon was reflected on both originality and orthodoxy in Korean Buddhism in contrast with Japanese Buddhism on which a married Buddhist priest system and meat-eating practice existed. Accordingly, ≪Zen Garden≫ encouraged the public in taking an interest of the self-discipline of prime monks Finally, ≪Zen Garden≫ dealt in a chain of events, including several of thema from the founding story or slow down story about Seonkakwon and the story of revival and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to the birth story of the Zen sect. These traits of ≪Zen Garden≫ was entirely different with most of Journal and Newspapers in Buddhist Circles during the reign of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中國 傳統園林 空間 造營 원리의 현대적 探究 - 曲江池 遺蹟公園을 중심으로 -

        위첨첨,김정문,전조양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space construction principle studied by predecessors in modern park landscape, and to find more methods of traditional garden space construction inheritance and innovation through research. Tian Chaoyang's book "Fifteen Lectures on Chinese Classical Gardens and Modern Translation" mentions that Chinese traditional gardens are combining time and space, so he draws a brief pattern diagram containing the principle of the spac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is principle of space construction, the researchers chose Qujiang Pool Heritage Park, which combines modern and traditional, then analyzed its spatial structure and and space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mplex spatial structure of the park is composed of spatial boundary lines and spatial routes. The complex boundary space is composed of bridges, squares, plants, rows of buildings and other elements. The water space in the center of the park i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traces of the historical water system, and its natural zigzag shoreline expands the water space. The central water space is divided into the big pool and the small pool, the Yanbo island and Bird island are created respectively. The building at the park boundary connects the park's interior and exterior. Most of the buildings in the park are located in the convex corner of the route or space.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Qujiang park also applies the space construction principle combining time and space. And then, the garden elements of Qujiang park are recreat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Qin, Han, Sui and Tang dynasties with modern methods, thus creating a park with Chinese regional characteristics. Since the Tang dynasty was the most prosperous period in Qujiang, the park was dominated by Tang culture.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we can see that the space construction principle of Qujiang Pool Heritage Park is the inheritance of the space construction principle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And the landscape element of Qujiang park is the landscape created by combining traditional history and culture, which is the innovative part of modern garden. Through this study, the creation of modern landscap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an provide some hints on the direction of inheritance and inno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원리를 어떻게 현대공원에 접목시키며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전승 및 창신의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전조양 등은 ‘중국 고전원림 및 현대전역십오강(中国古典园林与现代转译十五讲)’에서 중국 전통 원림은시간과 공간이 결합된 원림이며, 간략(簡略)화된 기본 조영원리 모식도(模式圖)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중국현대공원인 곡강지 유적공원에 전통 원림요소와 현대 원림요소를 어떻게 접목시켰는지와 이 요소들이 공원 공간에 표현된 방법을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강지 유적공원의 복합형 공간은 공원 경계부와 복합형 동선으로 조영하였다. 공원경계부에 위치해 있는 원림 요소는 다리, 광장, 식물, 선형(線形)으로 배열된 건축물군집으로 구성하였다. 공원의 중심 수공간은 곡강지 옛 수계유적흔적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구불구불한 자연적인 호안선으로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원 수공간은 대지(大池)와 소지(小池)로 나눴으며 대지 내에 연파도(煙波島)를 설치하고 소지 안에 조도(鳥島)를 조영하였다. 공원 내에 있는 건축물들이 공원 동선의 볼록한(凸角) 부분에 위치하여, 공원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의 시간과 공간설계구성의 공간조영원리를 검증하였으며, 현대공원의 전체 공간 구조에 간략화 된 공간 설계 기법으로 원림의 복잡한 조합에 그 본질적인 공간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곡강지유적공원의 원림요소는 현대기법으로 진(秦) · 한(漢) · 수(隋) · 당(唐)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곡강지 공원을 지역의 특색을 지니는공간으로 재조영 하였으며, 당나라 문화를 주제로 하여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시대별, 공간별 조영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은 제시된 공간조영원리가 적용된 공간이며, 중국 전통원림 공간 구성원리가 적용된 결과물이다. 그리고 곡강지 원림요소가 전통역사문화와 결합해서 창출된 경관은 현대 원림요소의 창신한 부분이다. 즉, 곡강지 유적공원은 중국의 특색있는 현대 원림으로 계승 및 창신 되었다.

      • KCI등재

        학교 캠퍼스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안 연구

        문병찬,김용택,임형선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6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applying a school garden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on the school learn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27s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the 5th and 6th grad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 10units lessons programs what were consisted with the inquiry, debating, and cooperat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applying to classroom and school garden. The key concepts of developing program were 'rocks which were in the school garden'. he results are follows,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on the school teaching/learning program, the school garden has useful value as teaching/learning field.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pplying the school garden makes an offer the awareness to students that the knowledges learned in school were actually relative with their life. Also, the students are affirmatively participate to learning, debate, and cooperate activities because the school garden is very familiar environment to them. Lastly, the students are interesting in learning classes because they think that the school garden environments will reform actually to new shape of their ideas. After this learning were finishing, most of students indicated their intention with satisfaction. Some of them suggested applying the additional program using the school garden. Consequently, the school garden has the very useful value for applying program of th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 KCI등재

        16-17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 정원과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

        황주영 미술사학연구회 2011 美術史學報 Vol.- No.36

        This paper explores the influences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on the garden art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Italy and France. This work of literature, whose interest ranges from architecture, ancient ruins, fauna and flora to gardens, was then highly accepted by the elite humanist classes. And this reflects the zeitgeist of the Renaissance age of rediscovery of classics. Garden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is book reflect the new vision on nature of that time, and they influenced in garden makings since then. Motifs, narrative, and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its reflection in the gardens are studied. In the survey of motifs, ‘silva obscura’ in the beginning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bosco’ of the Renaissance garden is reviewed in terms of relation and meaning. Various usage and symbolic meaning of water, significant influence of ancient ruins and sculpture on the iconography of garden elements in the Renaissance period can be found. It is noteworthy that the Island of Cythera, where Venus resides,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and described as an ideal garden. Garden makers of the Italian Renaissance, who were seeking new inspiration, welcomed abundant motifs described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concerned outward forms rather than iconographic context. Narrative, which covers the pursuit of love of Poliphilo, itself defines the spatial aspects of the gardens. Gardens, which deals ‘the pilgrimage of love’ or ‘tomb of Adonis’ was made in the late 16th century France, for example. Entire structure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shows the juxtaposition of locus horribilis and locus amoenus, and this influence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enaissance garden in general as well as in detail. Furthermore, the description of rigid proportion and its geometric structure of each space reflects the vision of ideal place of the Renaissance period. Gardens mirror the vision and knowledge on nature of a period, and gardens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inspire and build a literal foundation of a new ideal garden. Vision on nature, passion for classical architecture, as well as the creation of a new style based on it are summed up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Various landscapes and ideal garden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made great contributions in the history of gardens. 본 연구는 르네상스 시기에 제작된 문학 작품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가 16세기와 17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정원 조영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는 건축부터 고대 유적, 동식물학, 정원 등 당대의 지식을 총망라하여 교양과 고전문화에 대한 소양을 갖춘 엘리트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이는 고대를 재발견하고 이를 새롭게 한다는 르네상스의 시대정신을 반영한다. 아울러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작품 속에 묘사된 정원과 삽화는 이후 실제의 정원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의 줄거리에 따라 이를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모티브가 실제 정원의 나타난 경우, 소설의 내러티브 자체가 정원 공간의 의미를 규정하는 경우, 공간의 전개와 구상에 반영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 나타난 모티브가 실제 정원 조성에 나타난 경우에서는 우선 소설의 도입부의 ‘어두운 숲’의 모티브와 르네상스 정원의 총림의 관계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어 르네상스 정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 물의 양상과 상징, 고대 유적과 다양한 조각물이 르네상스 정원의 중요한 요소인 각종 조형물과 건축물의 도상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보았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서는 사랑의 여신 비너스의 섬인 키테라가 처음으로 문헌상에 등장했고, 가장 이상적인 정원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여기에 나타난 풍부한 모티브는 새로운 영감을 찾던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에 적합했고, 작품 내의 도상적 의미보다는 형태가 더 중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필로가 사랑하는 님프 폴리아를 찾아다니는 사랑의 여정을 다룬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의 내러티브 자체가 정원 공간을 규정하기도 하여, ‘사랑의 순례’나 ‘아도니스의 무덤’을 주제로 한 정원이 16세기 말 프랑스에서 조성되기도 한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의 전체 구조는 무서움의 장소와 즐거움의 장소가 교차되어 나타나는 구성을 보이는데, 이는 르네상스 정원의 전체와 세부 공간 구성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각 공간의 엄격한 비례와 기하학적 구성 묘사에는 르네상스적 이상공간관이 반영되어 있다. 정원은 자연에 대한 당대의 지식이 총망라된 곳이고, 르네상스 이래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 묘사된 정원은 새로운 정원에 영감을 주었을 뿐 아니라 이상적 정원의 문헌적 전거를 마련하였다. 당대인들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고대 건축에 대한 열정, 그리고 이에 기초한 새로운 양식의 창조는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 집약적으로 나타났고, 여기에 묘사된 다양한 경관과 이상적인 정원을 묘사한 텍스트와 삽화는 새로운 감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했다.

      • KCI등재

        국가해양정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제도 연구 - 국내・외 해양정원 사례분석을 통한 제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박성욱,이주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1 해양정책연구 Vol.36 No.1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making a lot of effort to create a marine garden in Garorim Bay under the strategy of spreading marine tourism using marine ecological resource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pursuing the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Facilities for Conserving and Using Marine Ecosystems under Article 43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as a basis for promoting the Garorim Bay project as a national policy project.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an marine garden is not a legal concept, a legal basis is needed not only for the creation of marine gardens, but also for the continuous, systematic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m. In this paper, the legal interest that should be protected as a target area and marine garden in order to legaliz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marine garden, along with the need for the provision of marine protected areas and marine ecological culture services, was examined for the relevant ministries and management entities. In addition, the revision of the current Marine Ecosystem Act and the Arboretum Garden Act were reviewed as well as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National Marine Gardens was also reviewed. When constructing the National Marine Garde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t as one of the oceans and fisheries strategies to create new demand for marine tourism by reflecting the diverse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ea area, such as the East Sea and the South Sea of Korea, as well as the Garorim Bay area. As one of these strategic measures, making the term ‘marine garden’ in legal terms should be of the utmost priority. At this time, the marine garden should be a place where people can enjoy marine ecological and cultural services by encompassing marine landscapes, marine humanities and marine culture along with the core value of marine protected areas.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자원을 활용하여 해양관광을 확산한다는 전략아래 가로림만 해양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가로림만 사업을 국가정책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근거로 해양생태계법 제43조상의 해양생태 보전‧이용 시설의 설치‧운영 규정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정원이라는 개념이 법적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해양정원의 조성은 물론이고 이들에 대한 지속적 ·체계적 운영·관리를 위해서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해양정원이라는 개념을 법정 개념화하기 위해서 대상권역, 해양정원으로 보호해야할 법익으로서 해양보호구역과 해양생태문화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함께 소관부처 및 관리주체에 대한 검토요소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가해양정원 설치를 위한 법률의 정비방향으로 현행 해양생태계법과 수목원정원법 등의 개정방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국가해양정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국가해양정원 조성시 유의하여야 할 점은 가로림만 해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동해와 남해 등 각 해역별로 다양하고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해양관광 수요를 만들기 위한 해양수산전략의 하나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략방안의 하나로 해양정원이라는 용어를 법정용어로 만드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이때 해양정원은 해양보호구역이라는 핵심적인 가치와 함께 해양경관이나 해양인문, 해양문화 등을 포괄함으로써 국민들이 해양생태문화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廣州市 龍江洞 정원유적의 원지구성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백지성,하진호 한국정원학회 200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0 No.3

        The garden remains located in Yonggang-dong, Gyeogju-city is presumed to have been a part of a royal villa in the Unified Shilla and has a pond garden and waterscape-focused stucture. The pond garden seems to have had a pond island which must have been connected to the garden with a bridge. The small architectural sites were also found in the east and southeast part of the pond garden. In particular,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ream in the southeast site. In the garden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plan of the pond garden were as follows: (1) The pond garden The shore edging of the pond garden keep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hore of the pond island and has and organic relationship with it. It expands in slow curves and takes the overall shape of a square on the plane. The reinforcing stone wall lying along the shore is made of natural and split stones piled almost perpendicularly and thus has the cubic effects.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of the shore edging contributes to the smooth and natural view of the pond garden. (2) The pond island The pond island is composed of the shore with serious winding and the varied shore with protruding parts on the plane level. Its reinforcing stone wall is built of natural and split stones, and its building techniques are also diverse. ①The embankment of a square shape intended for a bridge shows a cubic and practical composition that is just right for the straight-lined part of the shore. ②Rough split stones are spread in the entire shore, which is considered to have depicted the rough scenery of the gravel field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③The stone structure along the shore is not built of piles of lying stone pieces but of standing ones, which seems to be emphasized along with the protruding line of shore edging. ④It’s very unique for ornamental stones to be placed in the stone-filled ground. ⑤The shore has the topsoil composed of sand and gravels exposed, which is regarded as an attempt to bring the very natural waterscape out of the shore. ⑥There are rows of very high sense of formation to produce a natural waterscape with the stone arrangement under water. ⑦There are ornamental stones at the bottom of the pond garden, They are small pieces of stone arranged in groups over a certain area and thus contribute to the naturalness of the waterscape. ⑧The ornamental stones are standing in the stone-spread ground. This technique was adopted to emphasize the superior beauty of them.

      • KCI등재

        김종삼 시의 원전 비평의 과제 - 등단작에 대한 재검토와 발굴작 「책 파는 소녀」를 중심으로 -

        신철규 ( Shin Cheol-gyu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김종삼 시의 원전 비평은 작품 발표 지면의 확인, 제대로 된 생애 및 작품 연보의 작성, 전집에 미수록된 시들의 발굴 등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기존의 작품 연보의 오류를 바로 잡고 최초 발표 지면을 중심으로 출처를 정확히 기재된 작품 연보의 작성이 무엇보다 절실하며, 아직도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김종삼의 작품을 발굴하여 그 의미를 밝혀내는 것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김종삼 시의 총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원전 확보가 중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지금까지 나온 『김종삼 전집』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김종삼의 등단작으로 공인되었던 「원정」의 출전과 의미를 재검토한다. 또한 김종삼의 중후기 시세계를 엿볼 수 있는 「책파는 소녀」라는 작품을 발굴 및 소개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김종삼의 등단작을 「원정」으로 보고 그 발표 지면을 『신세계』 1953년 5월호라고 기술하였는데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이는 김종삼의 사후 발간된 두 권의 『김종삼 전집』에 실린 연보에서 최초의 발표작을 「원정」으로 확정한 데서 비롯된다. 이 논문에서는 「원정」이 실제로 발표된 『신세계』 1956년 3월호에 실린 판본을 공개한다. 「원정」에는 김종삼의 시세계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주제인 순수 세계를 복원하고자 하는 의지와 그 불가능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시의 화자가 가지고 있는 이방인 혹은 경계인으로서의 자의식은 김종삼의 시세계 전반을 지배하는 화두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원정」은 여러 연구에서 발표 지면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등단작으로 공인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극적 세계 인식과 화해 불가능성만으로 김종삼 시세계의 전부를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는 김종삼의 후기시에 지배적으로 나오는 `인정의 세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간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원정」과는 다른 시인의 태도와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초기시로 「책파는 소녀」를 발굴하여 소개한다. 핍박한 현실에서도 진리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의 중요성과 구원의 가능성을 어린 화자의 시선으로 담담하게 기술한 이 시는, 중기시의 미학주의와 후기시의 사실주의에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로 기능한다. The previous researches on Kim, Jong-sam` s poetry has many problems, such as lack of evidences of his life and works, missing some poems in his collective works and so 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correct those errors including a chronological list of his works. Especially, I`d like to point out that previous researches have had a wrong information of his first poem. His first poem the researchers have thought is actually not his first poem. In order to examine throughly his poetry overall, we first of all obtain the original tex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problems of Kim, Jong-sam`s collective works, to review “The Gardener” that was authorized to the first step to start as a poet. And we will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Bookstore girl.” Previous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 Gardener” as his first poem and described that published in New World May 1953. But it has a lot of mistakes. It was caused by following an errors of earlier Kim, Jong-sam`s collective works` chronical record. “The Gardener” was the first step to start as a poet which shows Kim`s world-view as well as his self-consciousness. In this poem, the poet presents an will to restore the pure world and its impossibility. He recognized self as a marginal man. It is a main theme of Kim, Jong-sam`s poetry. In this respect, despite errors of Kim, Jong-sam`s collective works` chronical record “The Gardener” seems to be recognized his first step of a poet.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Kim, Jong-sam`s poetry prescribed only as a tragic world-view and im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t is because this way of reading might ignore the will to recover the world of compassion appeared in his latter work. This thesis introduces “The Bookstore girl” as an early period of his work which shows a different attitude and recognition that “The Gardener” shows. “The Bookstore girl” which is described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and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seek the truth and the meaning of beauty in a young narrator`s point of view plays an important role to be connected with aesthetics in the middle period of his work and realism in the latter period of his work.

      • KCI등재

        편액과 시문으로 본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해석

        이현우 ( Hyun Woo Lee ),김상욱 ( Sang Wook Kim ),임근홍 ( Qin Hong Re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편액과 시문이 과거 누정원림의 고유한 입지 및 조영 특성 추론의 중요한 준거(準據)가 된다는 전제 하에,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을 대상으로 과거 시점의 입지 및 조영 해석을 고구(考究)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요월정원림이 갖는 의미와 문화재적 위상과 가치의 진정성 제고 및 보존의 당위성을 논의할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월정원림은 정원주 김경우(金景遇)를 비롯한 당대 거유들이 교유한 시율풍류의 현장이었다. 『조선환여승람(朝鮮煥輿勝覽)·호남읍지(湖南邑誌)·장성읍지(長城邑誌)』등 고문헌을 통해 사화(士禍)를 피해 머문 은신처로서의 성격과 함께 지역정체성을 형성한 교두보로서의 장소성이 확인되었다. 또한「요월정원운(邀月亭原韻)」을 통해 누정원림 작정(作庭) 의도 및 조영 동기를 확인한 바, 요월정원림은 세속과 탈속 그리고 현실과 이상이 뒤섞여 길항(拮抗)한 공간으로 해석된다. 둘째, 당호 요월(邀月)은 누정에서 조망했을 때의 승경적 요인 및 자연현상과 관련된 명칭으로, 마주한 ‘월봉산에 뜨는 달을 맞이함’을 함의하는 어휘로, 이는 자연의 섭리이자 풍류로서 탈속의 이미지와 맞닿아 있다. 즉 요월정은 세속의 희비를 벗어나 자연의 섭리를 따르려한 조영 의도를 반영한 당호로 해석된다. 셋째, 요월정원림의 입지는『영광속수여지승람(靈光續修輿地勝覽)』을 통해 조영자가 퇴관 후 휴식을 위해 마련한 처소였으며, 월봉산을 마주하여 황룡강(黃龍江)이 굽이쳐 흐르던 승경지였음을 고문헌과 다수의 시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수호인 인터뷰에 따르면 요월정원림에서 야경의 시지각 빈도(頻度)는 수호인 거처인 고직사에서 요월정을 향해황룡강 방향인 동쪽을 숙시각(熟視角)으로 조망했을 때가 가장 높다고 한다. 또한 시지각 강도(强度)가 가장 높고 아름다운 풍경은 요월정 좌측 배후면에서 달이 부상하여 요월정 전면(前面)의 배롱나무동산을 가로질러 요월정과 마주한 월봉산 사이에 남중한 때로 증언한 바 있다. 현재 요월정원림의 좌향은 SE 141.2°로서 거의 남동향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요월정 좌향 설정은 지형조건뿐 아니라 달의 궤적을 유상(遊賞)하기에 최적화된 방향과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기도(企圖)가 담겼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전면의 황룡강 수면 위로 남중한 달빛이 투영됨으로써, 하늘의 달과 황룡강 강물에 투영된 달이 동시에 감지되게끔 고려된 것으로 추론된다. 넷째, 현재 요월정원림은 요월정과 광산김씨문숙공파종회각(光山金氏文肅公派宗會閣) 및 고직사(庫直舍)로 구성된 ‘내원권역’과 진입부를 아우른 배롱나무동산 및 소나무 배후림이 포함된 ‘외원 권역’으로 구분된다. 나아가 ‘용소 및 수생식물원 권역’ 및 최근 조성된 ‘황룡정과 공원 권역’으로 외연(外緣)이 확산되면서 교란되고 변용되었다. 다섯째, 조영 당시 요월정원림은 누정에서 조망한 풍경을 안아 들여 누정을 중심으로 지근거리의 일정한 자연을 점유한 방식인 ‘경계 없는 산수원림’이었으나, 현재 복합경관은 과거 원형경관과는 괴리된 ‘이질화·분절화·파편화된’ 경관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요월정원림이 문화재지정보호구역임을 감안할 때, 편액과 기문에 묘사된 완전한 원형경관으로의 복원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원림권역에서의 경관적 악영향과 시각적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수립이 요망된다. The study attempts to interpret original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Yowol-pavilion Garden under the premise that tablet and poetry are important criteria for inference of unique location and landscape composition of a pavilion garden. The study raises the meaning, status, and value of Yowol Pavilion Garden as a cultural ass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wol-pavilion Garden was a place where famous Confucius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including Kim, Kyung-Woo, the owner of the garden, used to share the taste for the arts and poetries with their colleagues. Along with a main characteristic of Yowol Pavilion Garden as a hideout for the Confucius scholars who stayed away from a political turmoil, the new place characteristic of the garden, a bridgehead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was discovered in the record of 『Joseon-Hwanyeo-Seungram·Honam-Eupji·JangSeong-Eupji』, As described in 「The first creative poetry of Yowol-pavilion」, the intention for the creation of Yowol-pavilion Garden and the motive for its landscape composition is interpreted as a space of rivalry where the world, reality and ideals are mixed up. Second, related to outstanding scenic factors and natural phenomena when taking a view from the pavilion, the name of the house ‘Yowol’, which means ‘Greeting the moon rising on the Mt. Wolbong’ is the provision of nature and taste for the arts,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mage of leaving the worldly. In other words, the name was identified to be the one that reflected the intention for landscape composition to follow the provision of nature separating from joy and sorrow of the mundane world. Third, as for the location, it was confirmed through『YeongGwang-Soksu-Yeoji-Seungram』that Yowol-pavilion Garden was a place where the person who made the pavilion prepared for relaxation after stepping down from a government post, and literature and various poetry show that it was also a place of outstanding scenic where Yellow-dragon River meandered facing Mt. Wolbong. Especially, according to an interview with a keeper, the visual perception frequency of the nightscape of Yowol-pavilion Garden is the highest when viewing by considering the east, the direction of Yellow-dragon River, as Suksigak[normal angle``s view], towards Yowel-pavilion from the keeper``s house. In addition, he said that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with high perception strength is when the moon came up from the left side of Yowol-pavilion, cuts across the Lagerstroemia india heal in front of Yowol-pavilion, and crosses the meridian between Mt. Wolbong peaks facing Yowol-pavilion. Currently,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is SE 141.2°, which is almost facing southeast. It is assumed that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optimized direction for appreciating the trace of the moon and the intention of securing the visibility as well as topographic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the exposure of Yowol-pavilion Garden was determined so that the moon is reflected on the water of Yellow-dragon River and the moon and its reflection form a symmetry. Fourth, currently, Yowol-pavilion Garden is divided into ‘inner garden sphere’ composed of Yowol-pavilion, meeting place of the clan and administration building, and ‘outer garden sphere’ which is inclusive of entrance space, Crape Myrtle Community Garden and Pine Tree Forest in the back. Further, Yowol-pavilion Garden has been deteriorated as the edge was expanded to ‘Small lake[Yong-so] and Gardens of aquatic plants sphere’ and recently-created ‘Yellow-dragon Pavilion and park sphere’. Fifth, at the time it was first made, Yowol-pavilion Garden was borderless gardens consisting of mountains and water taking a method of occupying a specific space of nearby nature centering around pavilion by embracing landscape viewed from the pavilion, but interpreted current complex landscapes are identified to be entirely different from landscapes of the original due to ‘Different Changes’, ’Fragmentation’ and ‘Apart piece’ in many parts. Lastly, considering that Yowol-pavilion Garden belongs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though not the restoration to the landscapes of the original described in tablet and literature record, at least taking a measure from the aspect of land use for minimizing adverse effect on landscape and visual damage is required.

      • KCI등재

        瀟灑園 初期 詩壇의 漢詩 一考

        정광휘(Kwang-hwe J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3 No.-

        私家園林이면서도 湖南詩壇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소쇄원은 한국의 전통적인 원림이다. 소쇄원은 ‘修學의 공간’이고 ‘遊戱의 공간’이며, ‘사색의 공간’이면서도 ‘迎客이나 送客의 공간’이다. 소쇄원은 호남의 격조높은 文士들이 세상물정을 잊어버리고 文雅한 마음의 즐거움을 만끽했던 별서명원(別墅名園)이기도 하다. 소쇄원에서는 수많은 문인들이 문학작품을 지었는데, 이러한 작품들은 조선 중기에서 후기까지의 소쇄원의 문화를 탐지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또한 이러한 작품들은 『瀟灑園事實』에 기록되어, 호남시단의 문화를 연구하는 기본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소쇄원에 대한 문학적 논의는 기존에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소쇄원의 초기 작품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소쇄원 초기 시단의 작품을 통해 초기 시단 문인들이 소쇄원에서 이룬 삶의 모습과 소쇄원은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The So swe won Garden is private garden and Korean classical garden. It have activity of square, as study, game, think, meet a visitor and see a visitor out. At that, classical scholar leaves one's troubled times and writers image of poetry. At the garden, many of writers leaved literary works, through the works, we can know the So swe won Garden's culture in the middle and late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the works recorded in the book of the 『So swe won Sa Seel (소쇄원사실)』. It is the basic reference of Ho nam poetical circles's culture. At before, It have no the So swe won Garden's first poetical circle's research, so writer want to research that the So swe won Garden's first poetical circle's member's mind of the first So swe won Garden and something of your.

      • KCI등재

        중국 고전 사가원림(私家园林)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셰나 ( Xie¸ Na ),조은길 ( Cho¸ Eun Kil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중국 고전 사가원림의 우수한 전통을 계승할 필요성을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중국 남북방 지역을 대표하는 원림의 시각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고전 사가원림 공간 구성의 기본 법칙을 발견하고, 전통적인 원림을 구축하는 지혜를 계승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방 사가원림이 각자의 지역에서 고유의 사회적·문화적 특색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선조들이 과학 기술이 발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원림의 공간구성 질서관(秩序觀)을 가지고 구축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북방 고전 사가원림 공간의 시각적 접근성이 남방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북방의 지리적 조건과 인문적 배경이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남방과 북방 고전 사가원림 모두 국지적 통합도와 전체적 통합도가 상이하고 명료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전체 원림 공간에 대한 인식 수준을 고려하기 했다기보다는 원림 속 예술적 경지의 창조와 표현을 통해 문화적 사고와 사회적 현실의 통일을 실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sed on the necessity of inheriting the excellent traditions of Chinese classical private gardens, this article uses Space Syntax to analyze the visual accessibility of representative gardens covering China. This is to explore the gardening wisdom of the ancients and to discover the basic law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arde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gardens can fully demonstrate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eir respective regional spaces. Second, the results proved that the ancients could still maintain and inherit the space order concept of traditional gardens. Third, the visual accessibility of the private garden space in the north is slightly greater than that in the south. This is affected by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humanities and etiquette thoughts in the north. Fourth, the local spatial information and overall spatial information of the north-south and north-south classical private gardens are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garden space is low and difficult to underst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