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와 한국 고대사 연구경향

        서호준 ( Seo¸ Ho-joon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4 No.-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 화두로 등장한 이래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역사학을 포함한 인문학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대응은 지지부진한 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은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4차 산업혁명과 역사학간의 연결고리를 찾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기법을 어떻게 하면 역사학, 특히 한국 고대사 분야에 접목시킬 수 있을 것인가하는 것이 바로 연구의 목적이라할 수 있다. 사실 역사학은 방대한 사료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오랜 데이터과학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관성을 추구하는 빅데이터와 인과성에 대한 탐문을 목적으로 하는 역사학간에는 그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각은 빅데이터의 위상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한 것으로 역사연구를 수행하는 하나의 도구로서만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역사연구는 한층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빅데이터와 한국 고대사 연구간의 접목을 위해 해방 이후 2010년대까지 약75년에 이르는 한국 고대사의 연구경향을 크게 7개 시기로 구분하여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분석결과를 한국 고대사 연구경향에 관한 기존의 논의결과와 비교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한국 고대사 연구경향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논저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최근으로 올수록 그 정확성이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둘째, 특정 국가사의 활성화 정도를 직관적으로 논의하는 경우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보충적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기본적으로 키워드(노드) 분석을 위한 것이므로 문장단위 분석이나 고차원적인 개념분석에는 약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사실 사료에 대한 면밀하고 신중한 검토가 요망되는 고대사 연구를 계량적으로만 분석한다면 오히려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게 될 위험성마저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빅데이터 기반 연구는 이와 같은 단순 계량적 접근을 넘어 사료나 연구경향 논문들을 대상으로 한 키워드 도출을 통해 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네트워크내 키워드들의 위상과 영향력 그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과정에서 적지 않은 한계를 노출하긴 하였지만, 본 연구가 제시한 분석의 프레임 자체는 양질의 후속연구를 태동시키기 위한 연결고리로서는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as a hot topic at the Davos Forum in 2016, various academic fields have been in a hurry to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so increasing in the humanities field including history, but it is thought that the response to this is still slugg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link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istory, and more specifically, how to incorporate big data techniques into the field of history, especially ancient Korean history In fact, historical science has the longest character of data science in that it uses vast historical sources for research.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it will not be easy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big data seeking correlation and history studies aiming to investigate causality. However, this view overestimated the status of big data, and it was thought that if big data was used only as a tool for conducting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could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This study performed big data-based text network analysis to combine such big data with research on ancient Korean history.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ancient history, which spans about 75 years from independence to the 2010s, is largely divided into 7 periods, and attemped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big data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discussions on the research trend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fact, if the research on ancient history, which requires close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historical sources, is analyzed only quantitatively, it can be seen as a risk of distorting the historical truth. However, the big data-based research went beyond such a simple quantitative approach to construct a virtual network by deriving keywords for historical sources or research trend papers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influence of keywords in the network and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Although some limitations have been exposed during the demonstration process, the frame itself of the analysis present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function fully as a link to initiate quality follow-up studies of good quality. (Korea Credit Guarantee Fund / horays@naver.com)

      • KCI등재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김희만 한국사학사학회 2023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8

        In this article, we reviewed several issues focusing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assignment of using Korean history digital materials. In particular, limited to Korean history materials, we examined the current use and use of digital materials, as well as research for new expans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irst, we discussed what role existing historical research could play in digitizing Korean history materials and wha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was. Next, 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state of utilization of Korean history digital materials, we us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databas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which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s to date. The contents were largely examined through lists by era and type, which expanded the existing Korean history database data as much as possible, and also gave a glimpse of the expansion of non-literary data rather than literary data. Nex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expansion of digital materials on Korean history, we sufficiently reviewed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raised the need to find new solutions. Among them, the field of ‘History electronic maps’ based on computerized historical informati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classic anthology system through computerization of Korean ancient texts, big data work using digital materials with the help of computers, visual materials and media. We observed that there are attempts to supplement the gaps in literature through data. In addition, the writer attempted to address the issue of utilizing image data from old texts centered on 『Samguksagi』 and 『Samgukyusa』, namely, ‘Edition bibliography 板本書誌學’ as an alternative.

      • KCI우수등재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국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역사학계는 디지털시대 한국사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것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변화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와 디지털시대에 한국사 연구가 직면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한국사 연구에서 기존의 질적연구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그것을 '디지털역사학'으로 명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양적 데이터로의 전환과 한국사 데이터에 최적화된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디지털역사학의 핵심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Since around 2000 years, plenty of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gitized in various format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Due to the structural transition from the era with limited access to an era of infinite information acces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challenges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in the big data and the digital era.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aradigm that converges digital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digital history that the AIRG(Ajou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has tried so far as called it ‘digital histor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체육사 연구의 시대별 지적구조 분석

        박성제 ( Park Sung-je ),이제욱 ( Lee Jea-woog ) 한국체육사학회 2017 체육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체육사 연구의 지식구조를 도출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한국체육사학회지의 창간호부터 20년간(1996∼2015) 발표된 논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절차는 논문의 주제키워드를 추출 후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식구조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현대체육사의 지식 구조는 대부분의 주제키워드가 연구영역 구분 없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형태를 띠고 있는 반면, 과거 시대의 지식구조는 연구영역과 주제키워드 활용이 한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식구조를 통해 연결 관계가 없는 키워드 간 주제접근의 시도와 이를 촉진하는 높은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의 주제키워드를 탐색하는 것은 체육사학 주제영역의 확대를 모색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정량적 역사연구에서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의 역사적 통찰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빅데이터 인문학`적 관점에서 볼 때 분석결과의 의미를 더욱 윤택하게 부여할 수 있는 역사가의 능력과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knowledge structure of physical education history an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by using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The range was set up as a paper published for 20years from the first issu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history. The data was extracted from the theses of the thesis and used in the network analysis for deriving knowledge structure through text mining process. As a result of analysis, modern physical education history has a `Small World Network` form in which most keyword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one of the ways to explore the theme of the theme of the physical education history by searching for the theme of high mediation, proximit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historical insight of new perspectives that can be expected from quantitative history research as well as the expansion of domestic history research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role of historian from the perspective of `big data` huma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