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기반 한국사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 디지털 역사학의 시작

        이상국,Lee, Sangkuk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6

        본 글은 역사학, 그 중에서 한국사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 역사학'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대한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사 연구를 위해서는 기존의 질적분석 방법론뿐만 아니라 양적분석 방법론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학제 간 융합연구가 요청된다. 본 글에서는 '한국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연구의 출현을 고대하면서, 학제 간 융합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연구의 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즉,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는 텍스트 분석방법으로 '한국사 빅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한다면, 양적분석 방법론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행간의 의미읽기의 부재'를 점차 보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준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사료가 충분하지 않은 전근대 한국사의 역사적 인물과 사건들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시각화를 통해서도 평면적 연구에서 찾아내지 못한 역사적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디지털 역사학'의 서막이 오른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and potential of newly designed and tried methodology of big data analysis that apply to Korean history subject matter. In order to advance them,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ies over pre-existing qualitative analysis. To obtain our new challenge, I propose 'digital history' methods along with associated disciplines such as linguistics and computer science, data science and statistics,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As one example, I apply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pproaches to the principle and mechanism of elite reproduction during the Korean medieval age. I propose how to compensate for a lack of historical material by applying a semi-supervised learning method, how to create a database that utilizes text-mining techniques, how to analyze quantitative data with statistical methods, and how to indicate analytical outcomes with intuitive visualization.

      • KCI우수등재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국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역사학계는 디지털시대 한국사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것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변화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와 디지털시대에 한국사 연구가 직면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한국사 연구에서 기존의 질적연구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그것을 '디지털역사학'으로 명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양적 데이터로의 전환과 한국사 데이터에 최적화된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디지털역사학의 핵심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Since around 2000 years, plenty of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gitized in various format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Due to the structural transition from the era with limited access to an era of infinite information acces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challenges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in the big data and the digital era.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aradigm that converges digital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digital history that the AIRG(Ajou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has tried so far as called it ‘digital history'.

      • KCI등재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

        김희만 한국사학사학회 2023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8

        In this article, we reviewed several issues focusing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assignment of using Korean history digital materials. In particular, limited to Korean history materials, we examined the current use and use of digital materials, as well as research for new expans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irst, we discussed what role existing historical research could play in digitizing Korean history materials and wha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was. Next, 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state of utilization of Korean history digital materials, we us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databas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which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s to date. The contents were largely examined through lists by era and type, which expanded the existing Korean history database data as much as possible, and also gave a glimpse of the expansion of non-literary data rather than literary data. Nex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expansion of digital materials on Korean history, we sufficiently reviewed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raised the need to find new solutions. Among them, the field of ‘History electronic maps’ based on computerized historical informati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classic anthology system through computerization of Korean ancient texts, big data work using digital materials with the help of computers, visual materials and media. We observed that there are attempts to supplement the gaps in literature through data. In addition, the writer attempted to address the issue of utilizing image data from old texts centered on 『Samguksagi』 and 『Samgukyusa』, namely, ‘Edition bibliography 板本書誌學’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미래: 언론사 뉴스기사와 사회과학 학술논문의 ‘미래사회’ 관련 키워드 분석

        김문조,이왕원,이혜수,서병조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4

        This study aims to forecast the future of the Korean society via a big data analysis. Based upon two sets of database - a collection of 46,000,000 news on 127 media in Naver Portal operated by Naver Corporation and a collection of 70,000 academic papers of social sciences registered in KCI (Korea Citation Index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between 2005-2017, 40 most frequently occurring keywords were selected. Next, their temporal variations were traced and compared in terms of number and pattern of frequencies. In addition, core issues of the future were identifi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In the case of the media news database, such issues as economy, polity or technology turned out to be the top ranked ones. As to the academic paper database, however, top ranking issues are those of feeling, working or living. Referring to the system and life-world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by Jürgen Habermas, public interest of the future inclines to the matter of ‘system’ while professional interest of the future leans to that of ‘life-world.’ Given the disparity of future interest, a 'mismatch paradigm'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social forecasting, which can substitute the existing paradigms based on the ideas of deficiency or deprivation.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의 미래를 예견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일차적으로 국내 127개주요 언론사의 뉴스기사(매체지) 및 사회과학 우수학술지 논문초록(학술지) DB에서 ‘미래사회’ 관련 텍스트를 선정한 후, 해당 기사의 제목 및 논문 키워드로부터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핵심 주제어의 출현 빈도, 연도별 추세 및 주제어/연관어 연결망구조에 의거해 한국사회의 미래적 관심사를 탐지한 결과, 매체지의 미래 관심사는 ‘경제’, ‘정치’, ‘과학기술’, 학술지의 그것은 ‘심리’, ‘직무’, ‘문화’ 관련 사항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여기에 Jürgen Habermas의 ‘체계와 생활세계(system and life-world)’ 개념틀을 적용하면, 매체지와 학술지의 미래 관심은 각기 ‘체계’ 및 ‘생활세계’ 범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 같은 미래관심사의 분화 양상에 착안해 사회적 도전 과제들을 상이한 여건이나 가치들 간의 불일치의 소산으로 인식하는 ‘부조화론(mismatch theory)’을 미래연구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제시함으로써, 절대적 혹은 상대적 빈곤 문제에 천착해 온 미래사회의 인식 수준을 한단계 높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