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설화 <금구전(金龜傳)>과의 비교를 통해 본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문학치료적 의미

        하은하 ( Ha Eun-h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 설화 <금구전>과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를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해 첫째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서사적 특성을 밝히고, 둘째 <호동왕자와 낙랑공주>가 동일한 서사유형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가늠하여 그 문학치료적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금구전>과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두 설화는 모두 부부 관계에 부자관계가 개입한 결과 부부관계가 파국에 이르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또 두 작품은 구조가 같아서 서로 비추어 주는 바도 많았다. 먼저 호동왕자의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었다. 호동왕자의 문제는 결혼한 이후에도 여전히 아들의 입장으로 살아가려 한 것이다. 그는 아버지의 인정을 받으려다 아내인 낙랑공주를 잃고 결국에는 자신도 자살하고 말았다. 다음으로는 낙랑공주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그녀는 딸의 입장보다는 아내의 입장을 우선시하였던 것이었다. 또 자명고각의 유래는 <금구전>에서 여성을 경계하거나 통제한 결과 신령스러운 쇠뇌를 얻었다는 점에서 시사 받을 점이 많았다. 둘째, <호동왕자와 낙랑공주>가 동일 서사유형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하기 위하여 문제 상황은 유사하지만 대처 방식이 다른 두 편의 설화, <첫날밤에 신부 빼돌려 재산 차지한 사위>와 <십 년 동안 죽만 먹고 부자된 부부>와 비교해 보았다.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는 두 편의 설화보다 자식이 결혼하고 새로운 가정을 꾸리는 독립 과정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서사였다. 자녀의 독립하여 부부가 되고 다른 가정을 꾸리게 되면 부모자식 관계가 위협받게 될 것이라는 인식은 자녀의 독립 과정을 매우 분절적이고 단편적으로 이해한 것에서 비롯되고 있었다. In this paper, < Geumgujeon > of Vietnam folklore and <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 are compared. Purposes are two in this paper. Firstly,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 will be clarified. This purpose is based on the ideas that two folklores have the same narrative structure. Secondly, in a same narrative type, location of <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 will be estimated, and meaning of literary treatment will be search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 Geumgujeon > and <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 have the structure that father-son relations has intervened to husband-wife relations and husband-wife relations leads to catastrophe. Prince Hodong had lived in son's position even after he was married. He had been trying to obtain recognition of his father, but he lost his wife, Princess Nakrang, and he killed himself. Princess Nakrang had thought wife's position after marriage. So she had destroyed weapons of Nakrang-nation. Secondly, to estimate location of <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 in a same narrative type, two other folklores are compared to that. < Bride and groom to pocket wealth of wife's parents > and < husband and wife eating gruel for ten years > differ in coping methods, though problematic situation is similar to <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 In the two folklores, if father-son relations has conflict to husband-wife relations, would be concentrated. husband and wife had fallen under suspicion of undutiful son, but they became rich and all misunderstanding with parents were cleared up.

      • KCI등재

        호동왕자 서사의 근대적 재현 양상 연구

        유인혁 대중서사학회 2011 대중서사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근대 이후 호동왕자의 서사가 어떻게 재현되었는지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동왕자의 이야기는 12세기에 『삼국사기』에 처음 소개되었는데, 현재 TV 드라마, 영화, 소설, 희곡 등 다양한 갈래에 걸쳐 재생산되고 있는 대중적이며 민족적인 서사이다. 흥미로운 점은 『삼국사기』를 제외한 근대 이전의 문헌 속에서 호동왕자의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이다. 호동왕자는 1935년에 이르러 윤백남에 의해 최초로 문학적으로 재현되었으며, 비로소 현재와 같은 대중성을 갖게 되었다. 즉 호동왕자의 이야기는 근대에 들어와 발견(명)된 ‘전통’의 표상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윤백남을 필두로 이태준의 『왕자호동』, 유치진의 『자명고』로 이어지는 글쓰기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호동왕자의 성격들을 주조했다. 윤백남은 정사(情死)의 모티프를 삽입하여 낭만적 연인으로서의 호동의 모습을 만들어냈고, 이태준과 유치진은 낙랑을 한사군 중 하나인 낙랑군으로 설정함으로써 민족(국가)주의적 컨텍스트를 삽입했다. 이 두 양상 모두 『삼국사기』에는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위 작가들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삽입된 성격들은 각 텍스트들이 생산되었던 시기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윤백남의 경우 과거를 노스탤지어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근대적 미의식을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태준의 경우 총동원체제를 (반)내면화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사유체계를 보여주고 있고, 유치진은 해방 공간 속에서 역사적 인물을 통해 민족의 남성성을 상상해내는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이렇게 서로 다른 맥락 속에서 소환되고 전유된 호동의 표상들이 모여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호동왕자’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