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영교,권갑늠 효성여자대학교 법정연구소 1994 법정연구 Vol.2 No.-
공ㆍ사 기능분담론은 사회복지서비스 규모의 확대, 사회복지활동에의 주민참여 요구, 사회복지욕구의 변화, 사회복지정책의 접근방법의 변화, 복직국가의 재정 및 정통성의 위기 등의 구체적인 배경과 더불어 제기되었다. 이에 관한 논의들은 이론적, 역사적, 경험적 측면 등 여러 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나, 국가 및 사회에 따라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상황이 각기 다르며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따라서 공ㆍ사 기능분담은 이와 같은 다양성과 가변성을 수용할 수 있는 분석개념의 발견이 문제해결의 출발점이다. 즉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당성과 그 한계를 설명할 수 있는 필요하고도 충분한 개념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이라는 측면은 어디서부터 나타나는가, 즉 어떤 수요, 어떤 목표에 대응하기 위한 공급이며 수단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회복지욕구를 공ㆍ사 기능분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하고 욕구의 성격과 충족여부에 따라 분석틀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복지욕구의 충족에 있어서 공ㆍ사가 어떻게 관계를 가지는 가에 대해서는 2가지의 접근이 이루어 진다. 하나는 욕구충족을 누가 담당하는가 하는 서비스의 제공, 실시와 관련된 전달상의 역할이며, 다른 하나는 욕구충족에 필요한 자원은 누가 조달하는가 하는 자원조달상의 책임으로, 본고는 후자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The Current Political Scene in Canada
Blake, Donald 효성여자대학교 법정연구소 1994 법정연구 Vol.2 No.-
I am honoured have been invited by Professor Kim to visit Korea and to speak at your university. We in Canada have been very impressed by the strong economic growth in Korea and by the steps you have taken to establish a democratic political system. This is my first visit to Korea so I have many things to see and learn about. Because I am from a very young country, I welcome the opportunity to see one which is hundred's of years old.
김종명 효성여자대학교 법정연구소 1994 법정연구 Vol.2 No.-
Korea was significant situation after World War Ⅱ in the North East Asia. American and Soviet forces were stationed on either side of the 38th parallel, administering Korea with a public claiming to be aimed at its eventual reunification and independence. The policies both sides would adapt were critical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Furthermore, Koreans themselves, after 35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demanded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society without outside interferenc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society without outside interference. Canada had no direct interests in Asia at the end of World War Ⅱ, becoming involved in Korea through the UN in 1947. Initially, there was some disagreement among Canadian decision makers regarding Canada's role and the nature of the Korean "Problem". But, as a member of UNTCOK(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Canada gradually interested on Korean matters. Moreover, when the Korean War occurred in 1950, Canada Participated armed forces with US and the other countries. As a matter of fact Canada actually military Countribute to the Korean War directiy and indirectly. The purpor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Canada through the Canadian role at UN and their contribution in the Korean War. Also, it is consist of an important contents the evaluation of Canadian efforts during the Korean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