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갑석(Kim, Gab-seo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올바른 정책 마련을 위한 토대를 제시하기위해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의견’,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 ‘한국인으로 인정받는데 대한 인식’, ‘단일 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사회적 갈등에 대한 의견’,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책, 경제, 사회, 문화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① 정책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정치, 교육, 국제적 지위, 저출산 문제 해결, 이민정책, 의료문제 개선 등 한국사회의 정책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② 경제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한국의 일자리, 가정경제, 관광산업, 근로환경 개선, 의식주 서비스 등 한국사회의 경제부문에 영향을 미친다. ③ 사회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사회적 거리감, 가치관, 사회의 인식 변화, 언어, 종교, 고려사회 문제해결 등 한국사회의 사회부문에 영향을 미친다. ④ 문화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결혼문화, 전통문화, 선거문화, 타문화에 대한 이해, 문화적 교류, 한류 등 한국사회의 문화부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Recently, the incidence of international marriage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s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so increasing and will continue to do so, Korea society has to prepare actively for a multi-cultural society from an ational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ous factors via which the multi-cultural family influences Korea society, in order to prepare the correct polici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 of these factor son Korea society:' the view of foreign immigrant's,'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perceptions about taking recognition to be a Korean','view of homo geneous nation and a multinational nation','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category in the influenc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Second, the economical category was affected by 'views of foreign immigrants',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Third, the social category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perceptions about taking recognition to be a Korean',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Fourth, the cultural category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오기성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1 No.-
한국 사회에서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발표, 시행되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제도적 개선과 각계각층이 유기적인 협력을 구축하고 노력하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학교교육의 핵심인 교과수업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취약해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과교육 차원에서 민주시민 양성을 주요 목표를 설정하고 있는 사회과 교육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는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역할과 관련하여 감정과 이성의 통합이라는 전제하에 공감 등의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는 뇌과학적 입장에서 현행 사회과 민주시민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우선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 뇌과학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이를 통해 현행 사회과 민주시민교육의 주요 특징들을 분석·평가하고자 한다. 셋째,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 등의 비민주적 행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과 민주시민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감정과 이성의 통합, 비민주적 문제의 해결 능력 신장, 공감능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융합교육, 즉 도덕과, 예체능 교과와의 융합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recently in Korea. Therefore, our government has promoted various policies to combat this. It is especially notable that remarkable that these policies emphasis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cooperation among different sectors of the society. However, these approaches are not much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regular school classes to prevent violence at school. Thus, this paper proposes improvements from the brain science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affective aspects, such as emotion, empathy, and the integra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first examines closely the main contents of brain science that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is study analyz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from the brain science perspective. Third, it proposes improvement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uch as the integra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the cultivation of undemocratic problem-solving abilities, abilities to empathize with their fellow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convergence of education, the moral education, art and physical education.
문찬기(Chanki Moon),이세라(Sera L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1
본 연구는 자기애와 분노의 관계가 사회적 배제 처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조절효과)와 적대적 귀인 편향을 통해 설명되는지(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사회적 배제 조건과 이에 대비되는 사회적 수용 조건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상황에서의 반응과 개인차에 대한 연구’라고 공지하여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Qualtrics)을 참가자를 모집하였다. 이에 따라, 18세에서 25세 사이의 영국인 183명이 참가신청을 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4명을 제외하여 사회적 배제 조건과 사회적 수용 조건에 각각 82명과 87명씩 무선할당하였다(N = 169). 모든 실험 절차는 온라인 상에서 진행되었고, 두 조건의 참가자들은 절차에 따라 먼저 자기애 척도를 작성한 후, 각각 사회적 배제 시나리오와 수용 시나리오를 읽은 후, 적대적 귀인 편향과 분노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에 할당된 참가자들의 경우, 자기애가 강할수록 더 강한 분노를 보고하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 조건과 사회적 수용 조건 모두에서 강한 적대적 귀인 편향이 자기애와 분노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간접효과). 이 간접효과는 사회적 수용 조건보다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수용 조건에서도 적대적 귀인 편향이 자기애와 분노 사이를 매개하는 것이 유의하더라도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매개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향은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N = 169)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anger response considering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exclus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hostile attribution bias. For this, social exclusion scenario and inclusion scenario were used, and a total 183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m the U.K using an online platform(Qualtircis). Fourteen responders were excluded for failing the attention check question and the remaining sample of 169 participants.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with high narcissism reported a greater level of anger when socially excluded, yet not when socially accepted. Furthermore, we observed the indirect (mediation) effect that the greater level of anger was affected by higher narcissism via higher level of hostile attribution bias in both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conditions, but the indirect effect was stronger in the condition of social exclusion than in the condition of social inclusion. Thus, the strong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anger can be found in social exclusion, while the weaker but significant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anger via hostile attribution can be also observed in social inclusion.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임영선,이원장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인 모자가정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 그 요인들에 의한 요인들과의 관계와 그것들이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모자 가정의 사회적 적응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과 방법들을 연구 분석한 것이다. 사회 경제적 취약 계층의 여성 가구주 문제를 제도적 측면, 사회적 측면, 그리고 인적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모자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호 제도를 분석하여 공공정책 수혜 과정의 문제점과, 사회적 측면으로는 모자가정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가구주의 부재로 인한 경제적 부담 및 정서적 요인을, 그리고 인적 측면에서는 Olson 등의 가족체계 이론을 토대로 저소득 여성 가구주의 사회적 적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정의 가족 체계가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 하였다. 본 논문의 사회 경제적 취약 계층의 복지확충을 위한 정책적 제언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여성 가구주의 사회적 적응을 위한 모자복지법과 국민 기초 생활 보호법 등 기존 보호 제도에 대한 내용에 한정하였다. 가족 체계유형을 살펴본 결과 중간 범위가족이 42.1%, 균형가족 31.5%, 극단가족 26.5%로 나타났으며, 균형 가족이 사회적 불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족 체계임이 밝혀졌다. 균형가족은 개인적 충족감과 사회적 만족감은 물론 가족간 의사소통도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에 처한 저소득 모자 가정이 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균형가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중앙 정부나 지방정부에서 행해지는 복지 정책의 시행에 있어 저소득 모자 가정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자가정들마다 환경과 가족체계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중요 요소인 경제적 측면의 지원도 중요 할 것이나 그들은 자녀들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라고 있다. 모자 가정은 지역과 살아온 과정, 모자가정이 된 원인, 가족 체계에 따라 지원의 방법이 다양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동원 가능한 자원과 연계하여 기초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의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신희선 (Shin, Hee-s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남북한문제와 관련한 한국사회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관리하고 통일 미래를 구체화하기 위해 사회통일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한가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즉 남남갈등의 상황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합의된 콘텐츠(contents)가 가능할 수 있는지, 사회통일교육을 담당할 주체는 누구여야 하는지, 가장 효과가 높은 통일교육의 방법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 사회 통일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해 보았다. 한국사회의 평화적인 갈등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민주적인 의사소통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통일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접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우리 사회의 사회통일교육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점을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통일교육은 객관적인 '언론'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과, 둘째 통일부나 통일교육원 등 정부에서 준비한 자료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텍스트(texts)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통일교육은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강사(lecturer) 보다는 통일문제를 사고하게 하고 논의를 자연스럽게 이끄는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통일교육은 폭넓은 '시민교육'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하며 동시에 통일 미래의 구현은 대화와 협상과 같은 의사소통교육을 통해 상생과 공영의 마인드(mind)를 형성하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시민사회의 민주주의 가치를 확산하는 가운데 분단과 통일문제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것에 사회통일교육의 지향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paper forms a preliminary study addressing how best to approach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peacefully manage South Korean society's internal conflicts related to inter-Korean issues and to allow a more united future of Korea to develop. In other words, in the context of internal conflicts within South Korean society, this research paper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including whether concerted contents of this can be made, which party should be responsible for it, and wha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its implementation. This paper also argues that in unification education a facilitator's role is to lead discussion and thinking on the issue, which can be more effective than a lecturer's one-way communicative mode.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at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be approached within an extensive "civic education" program, and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ization of the united future of Korea has to be based on a win-win approach and a perspective focusing on co-prosperity, which can be formed by communication education that addresses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That is, within the goal of expanding civil society's democratic mindset,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lies in providing opportunity to think about division and unification issues within Korea.
도경은(Do Kyung-e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2 No.-
한국 사회는 세계화(Globalization)와 경제발전을 위한 노동력과 국제결혼 등으로 인해 다수의 외국인이 한국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단일민족의 단일문화사회에서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문화와 언어가 다른 사람들로 구성된 다문화가족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들은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의 차이, 언어의 문제를 이겨내며 함께 이사회에 동화하려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다문화가족의 문제점을 통해 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사회에서의 시민교육이 곧 세계시민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임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족의 개념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독일 시민교육과 한국사회의 시민교육 현실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을 통해 세계시민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방법과 정부 대책을 학술지와 논문 등 선행연구와 언론보도 등 인터넷 자료, 관련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검증하고 향후 다문화 자녀에 대한 교육 방침과 지원방향 설정을 위한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다문화가족을 위한 이중언어강사를 통한 집중 언어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전문 인력의 확보를 위해 시간선택교사의 폭을 넓히고 이들을 교육에 적극 활용한다. 셋째, 다문화가족에게 자아존중감(self-esteem)을 심어주는 교육과 사회에 참여할 기회를 준다. 넷째, 한국 사회 구성원에게는 다문화에 대한 열린 마음과 열린 생각으로 차별과 편견을 버리고 다름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는 인종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다문화가족들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써 함께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바로 세계시민으로 한 걸음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our society is moving from a mono-cultural society of a homogeneous na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an influx of foreigners into the country in an effort to secure labor force for economic growth and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s. Therefore, multi-cultural families composed of member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are easily seen/common these days, and they try to adapt themselves to this society in spite of cultural and linguistic problems. We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of citizenship training through the problems encountered by multi-cultural famili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at citizenship training is the best way to the citizen of the world. I have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 have done comparative analysis of German and our society's citizenship training realities. Also, I have referred to preceding research data like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and Internet data of media report to comprehend government plan and instruction method to lead our society to the citizens of the world. And I proposed some rational alternatives of educational policy and support direction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a result, Firstly, intensive language education by bilingual instruct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s necessary. Secondly, we should employ a lot of flextime instructors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and actively utilize them in education. Thirdly, we need education for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give them chances to make social participation. Fourthly, our society members should cast awa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ple cultures with open minds and thoughts and should understand and respect differences. Contribu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arious races and cultures to social development as a member of our society will be an opportunity toward citizens of the world.
최정진(Choi, Jeong-ji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
이 글은 중국 시민사회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중산계층의 성격과 역할 및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국 시민사회는 국가에 의한 사회의 통제 및 관리자라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국기구와 단체회원들 사이에 통신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시민단체들은 비조직화된 경제주체들을 결집시킴으로써 국가는 이들을 쉽게 관리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사회 및 경제 단체들은 이전에 국가기구가 전담하던 일들 가운데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협회는 회원들의 이익을 위하여 서로 상관없어 보이는 정부 기관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중국 시민사회는 형성중에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당과 정부의 정책을 이념적으로 정당화하고 정책으로 지원하는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개혁개방이후 중국사회에서 나타난 중요 현상 가운데 중산계층의 성장이다. 중산계층의 확대뿐만 아니라 중산계층이 분화도 보여주고 있다. 사회계층의 분화 및 유동성의 증가는 사회의 다원화를 촉진시키고 다양성을 증대시킴으로서 시민사회의 발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중국 중산계층이 개혁개방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의 개입이 차츰 약화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중산계층이 능동적이며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사실 중국 시민사회 발전은 이러한 공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상당부분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conceptual discussions about civil society and the rol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Civil society in China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upervision and social control imposed by government. First, civil society provid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communities' members. Second, government can control unorganized economic participants because civic groups bring them together. Third, social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going to carry out some functions which government agencies normally take charge of As a result, government can expect a cost-saving effect. Fourth, for their members, the communities can take a role of government agencies that seem not to be related to them. That is to say that civil society in China is evolving. However it justifies and supports the policies of political parties and government ideology. These two functions are emphasized Following the Reform and Opening Up of China,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was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This growth has brought differentiation as well as expansion of the middle class Liquidity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ata operate as positive factors for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because they promote the pluralization and diversity of society. In today's China, the middle class is steadily increasing, intervention by government is declining, and the space in which this emerging middle class can be both active and effective is still evolv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civil society depends on how well this space is defined and used.
이희용(Lee Hee-yong),윤아영(Yoon Ah-young),김재득(Kim Jae-deun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문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우선 인문예술 융합교육과 관련된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아직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확인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국내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시된 자료를 전체 대학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 및 예술 분야 융합교육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그룹심층인터뷰 조사를 선행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헌연구를 통해 접근할 수 없었던 융합교육의 현장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실제적인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다른 하나는, 그 결과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국내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교육여건과 교육환경의 세부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것으로부터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의 인문예술 분야에서의 융합교육은 많은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학 내에서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적절한 자리매김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n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sent state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only dealt with narrow topics, theoretical reviews, presentation of models, or curriculum designs, this research widely scrutinizes overall educational practices in Korean universities. At the outset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and forward education of creative thinking is reviewed. It is confirmed that theoretically refined outcomes of the meaning and need of convergent education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arts are still insufficient, and that existing empirical research is limited to the mere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and curricula models of convergent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began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specialists in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t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arts, and applied its results to the consultation of the survey on the view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in the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in various types and curriculums. However,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upon for the educational quality in this area, including teachers' professionalism, content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engaged in convergent education.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nvergent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 about its direction and future policies.
최소연(Choi, So-y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4
본 연구는 청소기 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친구와 교사의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청소년기는 사회적 관계를 확장해 나가는 시기로 환경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신과 집단정체감을 구체화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다문화청소년의 경우는 학업중단이나 학교생활 부적응 비율이 비다문화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왕따의 경험이나 학교폭력의 비해 비율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장 최근 데이터인 8차 다문화청소년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친구와 교사의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교사와 친구의 지지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교사지지는 사회적 위축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교사의 지지가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친구지지는 사회적 위축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사회적위축-성취동기 및 학교적응의 구조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Adolescence is a time to expand social relationships and to materialize a sense of self and collective identity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However,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is reported that the rate of school dropout or school maladjustment is higher than that of non-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rate of victims of bullying or school violence is also reported to be high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support of friends and teacher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using the most recent 8th Multicultural Youth Panel data and identified the effect of such social support on school adapt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pport of teachers and friends as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owever, teacher support did not directly affect social withdrawal, and accordingly,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was not significant. However, friend support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withdrawal, and in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 support social withdrawal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friend support was found to affec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schoo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esented.
허준영(Hur, Joon-yo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행해지고 있는 독일의 이주민 통합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종래 독일의 혈통주의에 근거한 차별-배제적인 이주민 정책은 우리의 그것과 상당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통합적인 정책으로 전환 중이라는 점에서 최근 다문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의 정책대응에 타산지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참여자들과의 상호협력을 바탕으로 한 독일의 통합정책 추진양태를 ‘통합 거버넌스’의 틀로 살펴본다. 즉, 수직적으로는 연방과 주 그리고 지방정부와, 그리고 수평적으로는 시민사회 단체들과 이민자 자조집단들의 이민자 통합을 위한 협력구조에 초점을 맞춰 통합 거버넌스의 환경, 구성과 역할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운용사례를 고찰해 본다. 아울러 이러한 독일 통합 거버넌스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의 다문화사회 대응에 주는 교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rman policy on immigrant integration in terms of a present day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seek useful implications for Korea. Germany, a country with a history of strict ius sanguinis regulations, recently changed its policy on immigration and turned towars integration. This could provide an important lesson for Korea where immigrant policy has been quite similar to that of Germany and where the country has rapidly needed to confront the major challeng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explains German integration policy using the theoretical tool of ‘integration governance’ with a focus on the coop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relating to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