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말 혼성어 연구와 심리언어학적 실험 - 어휘판단과제 활용법을 중심으로 -

        송원용 형태론 2022 형태론 Vol.24 No.1

        본고는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을 실증적 방법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시작된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의 방법을 우리말 혼성어에 대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함으로써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활용한 형태론 연구 방법론의 전망을 공유하고자 한다. ‘어휘부-유추 기반 형태론’은 구성주의적 관점의 형태론 연구이며, 기능주의적 형태론의 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우리말 단어를 관찰 가능한 언어 현상으로 이해함으로써 ‘심리적 어휘부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고, 보편적 인지 과정으로서의 단어 형성을 ‘유추’를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을 뿐 아니라, 심리적 어휘부에 저장된 단어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을 ‘어휘 접근과 어휘 정보 인출’이라는 어휘부의 기능에 포함시켜 포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심리언어학적 방법을 활용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어휘판단과제라는 심리학적 실험과 해당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정이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형태론 연구의 다양한 층위에 존재하는 문법 단위의 심리적 실재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본고는 그러한 연구 방법론을 종합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구성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 형태론 연구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돕는 디딤돌을 놓고자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 of morphology research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that started to support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as an empirical method, focusing on research cases on Korean hybrid languages, and thus morphology using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We would like to share the prospects of research methodology. ‘Vocabulary-Inference-based Morphology’ is a study of morphology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can be said to be an aspect of functionalist morphology. By understanding all Korean words as observable linguistic phenomena, we tried to study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psychological lexicon', and not only tried to explain word formation as a universal cognitive process based on 'analogy', but also This is because it attempts to capture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stored words are us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by including them in the function of the lexicon of 'vocabulary access and lexical information retrieval'. Most of the research up to now using psycholinguistic methods has attempted to verify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grammatical units that exist in various layers of morphological research by using a psychological experiment called a lexical judgment task and a statistical test f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is paper intends to lay a stepping stone to help expand the basis of constructivist and functionalist morphology research by introducing such a research methodology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 KCI등재

        반의 관계 형태론

        최형용(Choi Hyung yong)(崔炯龍) 형태론 2016 형태론 Vol.18 No.1

        반의 관계를 포함한 의미 관계는 그동안 어휘의미론에서 주로 다루어 왔다. 그런데 어휘 사이의 반의 관계를 판단하는 데 어휘의 형태론적 구조가 고려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어휘 사이의 반의 관계가 형태론의 관심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의 관계를 형태론적 측면에서 조명하는 것이 목표인 분야를 반의 관계 형태론이라 한다면 이는 먼저 어휘 사이에서는 공통 요소를 가지는 경우를 대상으로 삼는다. 이때 공통 요소는 한 어휘의 선행 요소가 될 수도 있고 후행 요소가 될 수도 있는데 후행 요소가 공통 요소인 경우가 훨씬 더 많다. 파생어가 관심 대상이 될 때는 공통 요소가 접두사일 수도 있고 접미사일 수도 있으며 부정을 나타내는 접두사가 결합하여 반의 파생어를 형성할 때에는 어근이 공통 요소가 되면서 두 어휘 사이에 형식적인 불균형이 초래된다. 파생어와 합성어 사이에서의 반의 관계는 특히 한 단어의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가 각각 공통 요소가 되어 다른 파생어 및 합성어와 반의 관계를 보이게 될 때 이들 사이에서는 유의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단일어 사이의 반의 관계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한편 반의 관계는 한 어휘의 내부에서도 발견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한 어휘의 내부에서 관찰되는 유의 관계와는 달리 어종에서부터 범주에 이르기까지 보다 엄밀한 동일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유의 관계에서는 찾을 수 없는 ‘호불호’, ‘직간접’과 같이 ‘불(不)-’을 이용하거나 동일한 요소인 ‘접(接)-’을 삭제하는 단어 형성방법을 보여 주기도 한다. 품사의 측면에서도 동사의 경우에는 반의 관계어가 적지 않지만 형용사의 경우에서는 이를 찾기 어려운데 이러한 사실을 통해 일견 비슷해 보이는 ‘여닫이’와 ‘높낮이’의 구조를 달리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최근의 신조어를 보면 반의 관계를 이용한 경우도 적지 않은데 이는 반의 관계가 형성 기제로도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o far, semantic relation has been mainly dealt in temrs of lexical semantics. This trend has been applied to antonymy without exception.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are dependent on the morphological structure in judging antonymy between words. This means that antonymy is concerned with morphology. Morphology of antonymy sets forth ‘common constituents’ as a premise, and they can precede or succeed. Therefore, in derivative words, they can function as suffixes or prefixes. Especially, each constituents of a compounded word can make an antonymous word. In that case antonymous words do not show synonymy contrary to simple words. Meanwhile morphology of antonymy is also concerned with internal structure of a word. Through this interest it can present the different possibility of analysis of words which seemingly have the same structure as well as the asymmetry of word formation. Antonymy can be regarded as a mechanism of word formation in that it is often found in neologism.

      • KCI등재

        이형태 교체의 조건에 대하여

        이영제 형태론 2020 형태론 Vol.22 No.2

        It is common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and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 in Korea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ypologically that alternation, which is a condition of a specific grammatical properties, is observed cross-linguistically. Second,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semantic condition at the level of grammatical properties in Korean can be a condition that determines alternation. Semantic conditions according to grammatical properties are distinct from lexical semantic conditions and are grammatical conditions that are also distinct from phonological conditions. The semantic condition of the grammatical properties was also treated as a syntactic condition or a syntactic-semantic condition. However,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 morphosemantic condition instead of a syntactic condition because the alternation discussed is due to the semantic condition of grammatical properties. 한국어 형태소의 이형태 교체 조건은 음운론적 조건과 형태론적 조건으로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중 쟁점은 형태론적 조건과 주로 관련되는데, 이 연구는 첫째, 형태론적 조건 중에서 특정한 형태나 어휘의 출현이라는 조건 이외에 특정한 문법적 기능이 조건이 되는 교체 현상이 범언어적으로 관찰되고 있음을 유형론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한국어에서도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이형태 교체를 결정하는 조건이 될 수 있음을 검토한다. 이때의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순수 어휘적 의미 조건과 구별될 필요가 있으며 음운적 조건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문법적 조건이다. 문법적 기능 차원의 의미적 조건은 통사론적 조건 등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으나 본고에서는 관련되는 이형태 교체 현상들이 형태론적 맥락을 벗어난 것은 아니며 문법적 의미 기능에 의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형태의미론적 조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어 문법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와 같은 흐름이 근래 들어 더욱 분명해졌으나 형태론 분야에서는 제한적인 부분에 그치고 있는 듯하다. 이 연구는 한국어 형태론 연구에서 유형론적 접근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통찰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국어 형태론에서의 ‘생산성’ 문제에 대한 연구

        시정곤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2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in Korean morphology and to distinguish productivity from other notions such as frequency and regularit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of productivity and notions of productivity differ from one researcher to the next. In this paper, I argue against previous definitions and propose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This paper focuses on four questions; 1) What is productivity? 2) Does productivity work synchronically or diachronically? 3) Is frequency related to productivity? 4) Is regularity related to productivity? With regard to the first question, I prefer to assign productivity to morphological processes, and not affixes. With regard to the second question, I propose that productivity makes sense only in the synchrony; lexicalization is the result of diachronic change. As to frequency, I propose that neither token frequency nor hapax legomena frequency are related to productivit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productivity is a continuum determined by the strength to generate new forms, and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notion of regularity.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형태론에서 생산성(productivity)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에 대해 네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1) 생산적인 형태론적 과정이란? 본고는 생산성은 단어형성 과정, 더 넓게는 형태론적 과정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2) 공시태/통시태와 생산성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본고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을 공시태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3) 빈도가 높다고 생산적인가? 토큰 빈도수는 생산성과 무관하고 단발어 빈도도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계열체의 유형 빈도와 생산성은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4) 규칙성은 생산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생산성의 정도가 가장 높을 때를 규칙성이라 했으며 규칙성을 가진 형태론적 과정을 ‘규칙’이라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어학 내에서뿐만 아니라 외적으로도 많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형태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서

        오규환(Oh Kyu hwan,吳珪煥),김민국(Kim Min gook,金玟局),정한데로(Jung Han dero,丁한데로) 형태론 2014 형태론 Vol.16 No.2

        본고에서는 최형용(2013)을 개관하고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과 관련한 쟁점들을 부각하여 이에 대한 필자들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형용(2013)에서 문제 제기의 발단이 된 '굴절'이라는 용어는 단어형이 변화하는 방식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의미ㆍ기능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국어 문법 기술에서 굴절이라는 용어를 이해할 때에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할 필요도 있음을 주장하였다. 둘째, 조사와 어미를 문법적 단어로 설정하는 '분석적 체계'는 그 나름의 장점을 지니지만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성을 설명하거나 한국어와 다른 언어를 유형론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서는 조사와 어미를 접사로 간주하는 '종합적 체계'도 그 나름대로의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한편 최형용(2013)이 '음운론적 단어'로 간주한 '어절'은 딕슨ㆍ아이켄발트(2002)에서 제안한 '음운론적 단어'와 거리가 멀다는 점과,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문법적 단어'의 경우에도 이를 정의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유형론적인 특수성을 강조하는지, 보편성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어휘적 단어의 분류 체계는 달리 세워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한국어의 유형론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어휘적 단어의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넷째, 한국어 형태론의 현저성을 나타내어 주는 통합성 지수를 산출할 때에는 한자 형태소와 영형태소의 분석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그 분석 방법에 따라 통합성 지수가 달리 산출될 수도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다섯째, '단어 기반 모형'만이 한국어 단어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모형이 아니며, '형태소 기반 모형'과 '단어 기반 모형'이 가지는 장단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this article, we review Choi(2013) critically and emphasize our opinions about the relevant issues of linguistic typology of Korean morphology. Our discus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rm 'inflection', which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problems in Choi(2013) not only refers to the manner or technique of varying of word-form, but also can be interpreted as something semantic or functional. Thus, this needs to be considered, if we understand the term 'inflection' in the context of the description of Korean grammar. Second, so-called 'analytic system', in which both 'josa(조사)' and 'emi(어미)' are regarded as grammatical words has its own merits. However, for the sake of revealing the morphological traits of Korean or of contrasting Korean with other languages from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s, what we call 'synthetic system', in which both 'josa(조사)' and 'emi(어미)' are seen as affixes may have more advantages than 'analytic system'. And 'ejel(어절)' which might be equal to 'phonological word' in Choi(2013) is different from 'phonological word' which is suggested in Dixon & Aikhenvald(2002). In case of 'grammatical word', though it seems easy to give a definition of it, it is hard to define it to all intents. Third, We argue that the classification of lexical words could vary with the typological viewpoints. So, a classification of lexical words can be composed differently according to which trait is stressed between linguistic typological universals and particularities. Then we suggest our own classifications of lexical words that can represent linguistic typological universals and particularities of Korean morphology respectively. Fourth, in calculating the 'index of synthesis' which shows the morphological prominence, the analyses of Sino-Korean morphemes and zero morphemes could be a problem, so we show that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index of synthesis' can vary with the way of analyzing given morphemes. Fifth, 'word-based model' is not the sole approach to explain word-formation processes of Korean. Accordingly, considering the (de)merits of 'morpheme-based model' and 'word-based model', we emphasize that a balanced approach in between two models is required.

      • KCI등재

        단어 형성 요소의 형태론적 재분석

        왕몽효 형태론 2023 형태론 Vol.25 No.2

        최근에 단어의 일부나 축약된 요소가 고정된 형태로 단어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국어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그러나 이 ‘고정 요소’가 형태론적 지위를 가지는지, 가진다면 어떠한 형태론적 지위를 갖고 있는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히 밝히고 있는 논의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고정 요소’가 형태론적 지위를 가진다는 가설을 제안하고자 하였고, ‘결합형’이라는 개념어를 도입하여 단어 형성 과정에서 생산적으로 출현하고 새로운 기능을 획득하게 되는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형태론적 재분석 양상에 따라 이를 유형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Recently, it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in the Korean language that a portion of a wor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in a fixed form. However, there is a lack of clear discussions regarding the morphological status of this “fixed element” whether it has a morphological status, what kind of morphological status it possesses if it does, and how it is 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such “fixed elements” can have a morphological status. By focusing on the phenomenon where elements that were previously used as part of a word appear productively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and acquire new function, the study aims to typologize how they are formed and what they become based on morphological re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xed elements that were not morphemes in the process of neologism formation become “combining form”.

      • KCI등재

        어휘부는 쓰레기 동산인가 -최명옥(2008)을 중심으로-

        고영근 형태론 2010 형태론 Vol.12 No.2

        This review article evaluates Choi’s A synchronic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morphology(2008) from a critical viewpoint. Choi proposed that the word-formation component belongs to the diachronic morphology and only the inflectional component is qualified for the synchronic morphology. This assumption, however, cannot be widely generalized because it causes severe problems in exploring the history of a word-formation. Choi also proposed that when particles and endings have two or more allomorphs in nominal and verbal inflections, they all should be listed in the lexicon. If we do so, the lexicon comes to be too big like a dump hill. If we take one allomorph as a basic form and explain other allomorphs by morphophonemic rules, the lexicon can be diminished to the half size. 이 서평논문은 최명옥의 『현대국어의 공시 형태론』(2008)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저자는 단어 형성부는 통시형태론에 속하며 굴절부만이 공시 형태론의 자격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는 단어 형성의 역사를 밝히는 문제와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므로 일반성이 있는 체계라 할 수 없다. 그리고 저자는 명사와 동사가 어형변화를 할 때 조사와 어미의 이형태가 둘 또는 그 이상이 되면 둘 다 어휘부에 넣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면 어휘부가 커져서 쓰레기 동산이 되어 버린다. 이런 경우 이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본형으로 삼아 다른 하나를 형태음운론적 규칙으로 설명하면 어휘부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 KCI등재

        형태론으로 바라본 국어사 교육

        김유범(Yu-pum Kim) 형태론 2024 형태론 Vol.26 No.1

        이 논문은 형태론의 관점에서 국어사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행 학교문법 속 국어사는 매우 제약된 모습을 보이지만 시대적 요구에 따른 학교문법의 변화는 국어사 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더불어 새로운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학교문법 안에서 더 나은 국어사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 내용 중 형태론과 관련된 주제를 네 가지 정도 살펴보았다: 1)음운 목록과 형태소의 기본형, 2)/ㄱ/의 탈락과 복귀, 3)이완합성어와 긴밀합성어, 4)문화가 반영된 전통 생활 어휘. 이 주제들은 국어사 교육에서 형태론의 의미와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것은 물론, 형태론을 통해 국어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Although the current school grammar is very limit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e changes in the school gramma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draw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expect a new role. Among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I think are necessary for better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school grammar, I looked at four topics related to morphology: 1)phonological inventory and the basic forms of morphemes, 2)the loss and return of /k/, 3)loose and strict compounds, and 4)traditional life vocabulary reflecting culture. These topics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orphology in educat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to better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rough morphology.

      • KCI등재

        형용사의 부사적 쓰임에 대하여

        김건희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2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in Korean morphology and to distinguish productivity from other notions such as frequency and regularity.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of productivity and notions of productivity differ from one researcher to the next. In this paper, I argue against previous definitions and propose a new notion of productivity. This paper focuses on four questions; 1) What is productivity? 2) Does productivity work synchronically or diachronically? 3) Is frequency related to productivity? 4) Is regularity related to productivity? With regard to the first question, I prefer to assign productivity to morphological processes, and not affixes. With regard to the second question, I propose that productivity makes sense only in the synchrony; lexicalization is the result of diachronic change. As to frequency, I propose that neither token frequency nor hapax legomena frequency are related to productivit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productivity is a continuum determined by the strength to generate new forms, and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notion of regularity.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형태론에서 생산성(productivity)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에 대해 네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1) 생산적인 형태론적 과정이란? 본고는 생산성은 단어형성 과정, 더 넓게는 형태론적 과정에 적용되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2) 공시태/통시태와 생산성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본고에서는 생산성의 개념을 공시태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3) 빈도가 높다고 생산적인가? 토큰 빈도수는 생산성과 무관하고 단발어 빈도도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계열체의 유형 빈도와 생산성은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 4) 규칙성은 생산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생산성의 정도가 가장 높을 때를 규칙성이라 했으며 규칙성을 가진 형태론적 과정을 ‘규칙’이라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어학 내에서뿐만 아니라 외적으로도 많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재구성

        송원용 형태론 2020 형태론 Vol.22 No.2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A hybrid word was defined as a word having a combined form by cutting out a part of each of the two words, and wa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truncated or compounded words in that two formal manipulations, cut and combined, were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It has been discussed as a very unique compound word that distinguishes it from two syllables in that it has all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to be indicated.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not progressed to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ocusing discussion on classifying hybrid languages ​​into subtypes and describing th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type of hybrid language.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Hybrid words are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truncated words or compound words in that two formal manipulations, cut and combined,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and are distinguished from two syllables in that they have all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of indication of the two words before synthesis. It has been discussed as a very unique compound word.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not progressed to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ocusing discussion on classifying hybrid languages ​​into subtypes and describing th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type of hybrid word. This paper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alogy. To this end, by performing a precise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to be studied that have been treated as hybrid languages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methodology that attempts to describe hybridization based on rules are ident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essential mechanism for forming the word hybrid. By clarifying the attributes and reconstructing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inference-centered morphology based on the discussion, the hybridization of Korean is not a rule-dominated mechanism performed based on the formal manipulation of combination and reduction. It was revealed that it is an analogy-based mechanism performed based on replacement as the formal manipulation. 혼성어의 형성은 현재 진행 중인 단어 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혼성어는 삭감과 결합이라는 두 가지 형식적 조작이 형성 과정에 관여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절단어 또는 합성어와 구별되고, 합성 이전의 두 단어가 갖는 지시 대상의 속성을 모두 갖는다는 점에서 두음절어와도 구별되는 매우 독특한 복합어로 논의되어 온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는 혼성어를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혼성어가 보여주는 세부적 속성을 기술하는 데 논의를 집중하면서,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본질적 속성에 대한 탐구에 대한 본격적 논의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본고는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을 유추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혼성어로 다루어진 연구 대상 자료에 대한 정밀한 분류 작업 및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규칙을 바탕으로 혼성을 기술하려는 방법론이 가진 한계와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혼성이라는 단어 형성 기제의 본질적 속성을 명확히 드러내고,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추론의 관점에서 재구성된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의미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의 혼성이 결합과 삭감이라는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규칙 지배적 기제가 아니라 대치라는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유추 기반의 기제임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