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문화외교와 국가브랜드 전략으로서의 쿨재팬

        강성우 ( Sung Woo 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5 No.-

        본고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일본의 대외문화정책의 추이를 통시적(通時的)으로 고찰하고, 21세기 일본 문화외교의 구호인 ‘쿨재팬’ 정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서 일본 문화외교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 한 것이다. 특별히 일본의 문화외교의 흐름을 전체로서 조망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세계화로 국경의 장벽이 낮아지고 국가 간 사회,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이미지 개선과 국가 브랜드 가치 증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일본은 패전국이나 침략국가라는 이미지를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문화국가로 변화시키고, 경제발전과 수출촉진을 위해 경제외교를 진행했으며, 경제적 강대국으로 부상한 이후 일본의 국제적인 역할에 대한 요구에 대한 대안으로 문화외교의 외연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발전과정을 거쳐 21세기에 일본이 내놓은 문화외교의 방안은 “쿨재팬”이다. 일본은 21세기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경제ㆍ문화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며,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면서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방안으로 “쿨재팬”으로 브랜드화 했으며, 제조업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굴뚝 산업뿐 아니라, 의식주와 문화 콘텐츠 (애니메이션, 드라마, 음악 등)를 포함한 “문화와 생활양식(life style)”의 매력을 경제적 부가가치(附加價値)가 있는 문화산업의 형태로 변형시키려는 정책적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자국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을 개선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대외문화정책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일본의 대외문화정책은 동아시아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정책에 의미 있는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ool Japan” as a Japan’s cultural diplomacy and nation-branding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After World War II, Japan was in need of transforming its nation’s image. The foundation of the “peaceful expansion of Japan’s economic power. After the economic recovery in the 1950s, Japan began to rebuild it state as well as its nation image. As Japan grew into an economic superpower in the 1960s to 1980s, Japan exercised its power and influence other countries and attempted to expand its ”economic cooperation“ to promote exports. At the same time, Japan turned the formal KBS(Kokusai Bunka Shinkokai) into the Japan foundation(Kokusai Koriyu kikin) in 1972 in order to redeem its image from militaristic and fascist to peace-loving and democratic state. Moreover, Japan strategically continues to enhance its national brand. In the coming of new era, Japan desired to transform its “industrial structure” by focusing on cultural sector. I will examine how “Cool Japan” slogan came about in the early 2000s and will analyse the promotion of “Cool Japan” project in depth. Moreover, Japan launched “Cool Japan Fund” to invest private companies to promote Japan’s popular culture, such as comic books, movies, fashion, and food. Japan has been successful in promoting its image and national brand. Japan’s Cool Japan strategy is a dire reminder of what it means to be “cultural diplomacy” and “nation-branding,” which is prevalent in the world of diplomacy and politics.

      • KCI등재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글로벌 시대의 문화 표상-

        정수진 ( Soo Jin J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법제화된 무형문화재 제도는 국가로부터 비교적 자율적으로 영위되던 지역의 생활양식들 중 역사적?예술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을 선별하여, 그것이 국가적 정체성과 낭만적 민족의식을 담보하는 문화적 표상으로 기능하도록 작용해 왔다. 그러나 이제 그 문화적 표상은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적 표상으로 거듭나고 있는바, 이러한 양상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가속화되었다. 이른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의 전환은 그 명칭의 변경 이상으로 그것이 기왕에 지녔던 문화적 표상으로서의 위상과 의미 및 기능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 글은 표상의 의미와 기능을 사회학적 차원에서 주목했던 뒤르케임과 오기노 마사오의 논의를 방법 삼아 그 변화의 양상을 고찰했다. 오기노는 지역의 생활양식이 문화재로 거듭나는 양상을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분석했지만,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변화를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포착한다. 그리고 그 전환이 후기자본주의 시대 일기 시작한 문화유산의 산업화 양상과 연동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egislated by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at 1965, has selected the things considered to hav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mong the local lifestyles that were engaged relatively autonomous from the state, and operated them to function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to guarantee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romantic national spirit. But now beyond the national level the cultural representation become a global representation, this aspect has been accelerated in a stiff competition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surrounding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The change so-called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tails the change of the previous social status, meaning and function the cultural representation had, more than the change of its name. This paper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change with the sociological dimension of Durkheim and Ogino Masao who noted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as theoretical methods. Ogino have explained the aspect that the local lifestyles are reborn as a cultural properties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but this paper regards the change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And it argues the transition to be interlocking directly to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tarted to happen in late capitalist era.

      • KCI등재

        재한조선족의 이중정체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변용을 매개로-

        조예신 ( Cho Ye-shin ),김진열 ( Kim Jin-yeol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재한조선족은 국가와 민족에 대해 이중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이중정체성이 한국에서의 문화변용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래 다문화사회를 위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이들 언어와 문화의 유사성에 대한 기본요건이 기타 국가의 해외이주민과는 달라 한국문화 적응과정에서 경험한 생활만족도는 가치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 )의 삼단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정체성 중 민족정체성이 문화변용과정에서 큰 영향을 미쳤는데, 동일 종족(ethnic)으로서의 `한민족`정체성은 문화적응과정에서 생활만족도를 제고하게 했다. 둘째, 이중정체성의 조선족은 중국의 집단거주지에서 자신들만의 문화를 향유하였고, 한국 이주이후 에도 집단거주지 형성을 통해 자신들만의 문화유지가 가능하게 되면서 생활만족도가 제고되었다. 셋째, 재한조선족은 다른 해외이주민과는 달리 언어소통에 문제가 없고 문화와 습관도 유사하여 문화변용과정에서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넷째, 재한조선족의 한민족정체 성은 문화변용에서 완전매개효과를, 중국조선족 정체성은 문화변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통해 문화변용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Korean-Chinese living in South Korea has dual identity in terms of the nation and ethnic group.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ir identity on their experience of living in South Korea is important. Especially because of their language, culture, and other basic factor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migrants from different countries, their life satisfaction while adapting to the South Korean culture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ointer for future multicultural society.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three-step analysis method of mediation effect developed by Baron & Kenny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dual identity, ethnic identity had a stronger effect on accultu ration. The identity of `Korean race` as an ethnic group improved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Second, after the migration, the Koreans living in the dual identity have grown their life satisfaction by cultivating their own culture through the formation of group residence. Third, unlike in other migrant groups, the lack of language barrier and similarity in culture and customs between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improved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Fourth, dual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living in South Korea, via mediation of acculturation based on formation of group residential place and economic stabilization, improve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오키나와의 문화적 정체성과 세골장

        김창민 ( Chang Mi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0 No.-

        일반적으로 오키나와의 장례방법은 세골장(洗骨葬)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오키나와에는 세골장만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세골장이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장례방법이긴 하지만 세골장 외에도 풍장(風葬)과 토장(土葬) 등의 장례방법도 공존하고 있다. 이 글은 오키나와에서 풍장과 세골장 그리고 토장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이 세 가지 장례방법 중 세골장이 오키나와의 가장 대표적인 장례방법으로 인식되게 된 이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풍장은 류큐코 전 지역에서 나타나지만 특히 미야코지마를 포함하는 류큐코의 남부 지역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장례방법이다. 반면 세골장은 오키나와 본도 이북 지역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오키나와 본도 이북 지역의 세골장은 중국 동남부 지역의 영향을 받은 가메바카의 도입으로 본격화 되었다. 한편, 류큐왕국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아마미 일대를 자신의 영토로 편입한 사쓰마번은 아마미 지역에 풍장을 금지하고 토장을 할 것을 명령함으로써 아마미에는 문화접변이 일어나게 되었다. 아마미에는 이후 토장이 일반화되었으나 오키나와 본섬과 가까운 지역에서는 토장을 하지만 세골장도 함으로써 세골장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세골장이 오키나와 문화의 핵심적인 문화요소로 인식되고 있지만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류큐코 일대의 장례방법은 지역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 풍장과 세골장 그리고 토장이 공존하고 있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풍장은 미야코지마 일대에서, 세골장은 오키나와 본도 일대에서 그리고 토장은 아마미 일대에서 중심이 되는 장례방법이다. 이는 문화적 교류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류큐왕국 이전까지는 미야코지마를 경계로 풍장권과 세골장권이 나누어졌지만 류큐왕국 이후 세골장이 류큐왕국의 전 지역에 파급되었으며, 사쓰마의 침공 이후에는 토장이 류큐코 일대에 확산되었다. 그러나 류큐왕국의 지배 범위 안에서 세골장은 여전히 문화적 전통으로 기능하고 있다. 최근 화장이 도입된 이후에도 세골의 관습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세골장의 전통이 이 지역에서 지배적 전통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Generally speaking, the method of funeral in Okinawa has been understood as segoljang (洗骨葬, bury after washing bone). But there is not only segoljang in Okinawa. Although a typical burial method in Okinawa is segoljang, but in addition there are also other burial methods such aspungjang (風葬, aerial burial) and tojang (土葬, bury in the ground).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goljang, pungjang and tojang in Okinawa. And another object is to analyze why the segoljang to be recogniz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funeral method of Okinawa. Pungjang is typically found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Ryukyu archipelago including the Miyako island. On the other hand segoljang appears typically in the northern part of Ryukyu archipelago including the Okinawa main island. Segoljang was generalized in Okinawa with the introduction ofthe Gamebaka(tortoise shaped tomb) which was affecting from areas of south-eastern China. On the other hand, by substantially dominating the Ryukyu Kingdom, Satsuma incorporated the Amami island into their territory. In addition Satsuma prohibited pungjang and/or segoljang and ordered tojang in the Amami region. After this, tojang has been generalized in Amami island, but segoljang was continued as a tradition in the nearby mainland Okinawa.Although segoljang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element of Okinawa culture, the method of funeral in the Ryukyu archipelago has regional differences. With the coexistence of pungjang, segoljang and tojang, pungjang is recognized as main funeral method in Miyako island, segoljang is in Okinawa main island, and tojang is in Amami area.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cultural exchange. Before the Ryukyu Kingdom, Miyako islandwas border line of pungjang area and segoljang area, but after Ryukyu Kingdom, segoljang was carried into whole Ryukyu Kingdom. And after the invasion of the Satsuma, tojang has spread to the Ryukyu archipelago. However, segoljang still function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Ryukyu archipelago in the realm of funeral method.

      • KCI등재

        광장의 공공문화-광주공원과 5․18민주광장의 형성과 역할 변화-

        손유림,김진아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9 No.-

        In western cities, the “Square” dates back to the Agora of ancient Greece and the Forum of Rome and even encompasses the medieval market or the churchyard. In the modern era, a new public space called the “Park” as well as the typical city square were born under a more systematic urban planning method. Unlike the western square and the culture formed around it throughout history, in Korea, parks and squares simultaneously began to appear in early 20th century urban plann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this time, the square was a symbol of the colonial government and a major traffic center; the forms and roles of squares were far away from the traditional squares of the West. Often parks were used as main gathering places for citizens instead of the square. Through the 4․19 Revolution,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the squares in Korea served as an important public sphere for the citizens, and gradually became a place for cultural sports events and festivals. Especially since the 2000s, after the World Cup and the Candlelight rally, the culture of the Square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However, whi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square and the political and cultural events held in places such as Seoul City Hall Square, Gwanghwamun Square, and Yeouido Park,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Gwangju’s squares.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y 18 Democratic Square” and “Gwangju Park” which replaced its role as a cultural and political hub of civic activ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at first, this paper will briefly look 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square as a “public” space. Then, while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Gwangju Park and the May 18 Democratic Square, it tracks how the five functions of the square defined by Franco Mancuso-place for market, culture, arts, celebrations, involvement-have been revealed in each time period. Lastly, it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as well as political gatherings held at the May 18 Democratic Square since 2015, when it was reborn with the new Asia Culture Center. 서구의 도시에서 ‘광장’은 ‘사람들이 만나는 곳’이라는 의미인 고대 그리스의 아고라에서부터 로마의 포룸, 중세의 시장이나 교회 광장으로 맥락이 이어져 왔고, 근대에는 보다 체계적인 도시 계획 아래 광장과 함께 새로운 야외 공공공간인 ‘공원’이 탄생하였다. 서구의 광장과 이를 둘러싼 광장 문화가 오랜 역사를 통해 변모해온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19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실행된 근대 도시 계획 속에서 공원과 광장이 동시에 출현하게 되었다. 이때의 광장은 식민 정권의 표상이자 교통 중심의 광장으로 서구의 전통적 광장과는 그 형태와 기능 모두 거리가 멀었으며, 종종 공원이 광장 대신 시민들의 주요 운집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이후 4․19혁명과 광주민주화운동, 6월항쟁 등을 거치며 한국의 광장은 시민들에게 중요한 공론장으로 기능했고, 점차 시민들의 문화체육행사, 축제 등을 위한 장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월드컵과 촛불시위 등을 거치며 소위 광장 문화가 활발히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 서울의 시청광장, 광화문광장, 여의도공원 등에서 열리는 정치적, 문화적 이벤트와 광장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광주의 광장 문화에 대한 논고는 거의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5․18민주광장’과 식민지 시대에 시민 활동의 문화적․정치적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대신했던 ‘광주공원’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으로서의 광장의 의미와 특성을 간략히 살펴본 후, 광주공원과 5․18민주광장의 형성과 변모 과정을 살펴보고, 만쿠조가 구분했던 광장의 다섯 가지 역할(장터로서의 광장, 문화로서의 광장, 예술로서의 광장, 의식儀式의 장소로서의 광장, 군중집회의 장소로서의 광장)이 시대별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2015년 재조성된 5․18민주광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행사와 집회 등을 고찰하면서, 그 역할 변화와 의의를 점검한다.

      • KCI등재

        지역문화 연구와 인문공동체 모델 -강원도 천주교-전쟁 담론을 중심으로-

        이근세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9 No.-

        This paper, as a method of research on regional culture, avoids the dichotomous concept of the center-periphery and regional identities and proposes the Humanities Community Model as an alternative. Regional culture studies have shown the tendency of securing local ident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dichotomy that divides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s, along with the center’s viewpoint of peripheral areas. Yet, the dichotomous perspective o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risks of cultural universalism, while the concept of local identity is likely to be trapped by cultural relativism related to centralism. Cultural universalism argues that universal culture with common values is constantly represented as its variations in other individual cultures. However, this coincides with an invasive mainstream logic based on the idea of irreversible duality of the center and surroundings. Meanwhile, cultural relativism or culturalism claims that various individual cultures with identity have their own uniqueness or particularities. This position that individual cultures have invulnerable characteristics is not only a simple counter logic against the universal culture implicitly assumed also a certain variant of hegemonism connected to the dichotomy of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With this binarity and its relevant dilemma, local culture is sometimes overwhelmed by local hegemonism against that of the center, thereby imitating mainstream logic, or is just immersed in sentimental emphasis on obsecure local peculiarities or shallow merchandising of cultural elements. This paper avoids the idea that individual cultures have a fixed identity and suggests regarding cultures as the concept of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are neither possessions nor fixed essences such as identity, but the more they are discovered and unearthed, the more possible it is to use them. The Humanities Community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the intercultural network that does not consider individual cultural resources as mutual exclusion or competition but creates and discovers cultural resources in a way to acknowledge each difference and therefore enrich one another. This intercultural network is ceaselessly directed to that of other cultural resources when it encounters a new cultural element or resource, as a result, expanding the local culture and strengthening its vitality. What local life is hardly any knowledge divided into abstract and exclusive concepts, so, cultural elements must be subsumed into an interactive network for cultural resources in order to make up the substance of local culture. Through this Humanities Community, a local culture evolves as a subject of dynamic life. 본 논문은 지역문화 연구 방법으로서 중심-주변의 이분법과 지역 정체성 개념을 모두 지양하고 인문공동체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지역문화 연구는 중심과 주변을 구분하는 이분법이나 중심을 기준으로 지역을 바라보는 관점으로부터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으로 이동해왔다. 그러나 중심과 주변의 이분 논리는 문화보편주의의 함정에 빠질 위험이 있고 지역 정체성 개념은 중앙중심주의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문화상대주의의 덫에 걸릴 위험이 있다. 문화보편주의는 공통 가치를 보유한 보편 문화가 개별 문화들에서 일종의 변주들처럼 재현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는 중심과 주변의 극복 불가능한 이원성을 전제한 침략적 주류문화 논리에 불과하다. 문화상대주의는 정체성을 갖춘 다양한 개별 문화들이 고유의 특수성을 갖는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 입장은 개별 문화가 침범 불가능한 고유성을 지닌다는 관점으로서 암묵적으로 상정된 보편 문화에 대한 단순한 대항 논리이며 중심과 주변의 이분법을 전제한 패권주의의 변종이다. 지역문화와 관련한 중심과 주변의 이분법 또는 딜레마로 인해 지역문화는 때로는 중앙패권주의에 대항하는 지방패권주의를 내세우며 주류 논리를 답습하거나 때로는 정체불명의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감상적인 강조나 피상적인 상품화 등에 몰입되어왔다. 본 논문은 개별 문화들이 고정된 정체성을 지닌다는 입장을 지양하고 문화를 ‘자원’(資源) 개념으로 대체하는 입장을 견지한다. 문화자원은 정체성과 같은 소유물이나 고정된 본질이 아니고, 그것을 발굴하고 개척할수록 더 많이 활용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문공동체 모델은 개별 문화자원들을 상호배제나 상호경쟁의 관계로 고찰하지 않고, 서로의 간극을 인정하는 동시에 서로를 풍성하게 하는 방식으로 문화자원들을 개척하고 발굴하는 문화 간 대화 네트워크이다. 이와 같은 지역문화 관계망은 어떤 문화요소 또는 자원을 접할 경우 곧바로 다른 문화자원들과의 관계로 인도되기 때문에 지역문화의 확장성과 생명력을 강화한다. 지역의 삶은 추상적이고 배타적인 개념들로 구획된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문화자원들은 지역문화의 실질을 구성하려면 상호작용하는 관계망에 포섭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인문공동체를 통해 지역문화는 역동적인 생명 주체로서 진화하게 된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 연구 -당안관 자료의 외부 공개-

        안병삼 ( An Byung-sa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를 대상으로 그 학교의 ‘울타리 문화’를 형성한 목적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울타리 문화’란 조선족학교가 교문을 포함하여 학교주변을 둘러싼 울타리(담장), 학교 게시판 및 학교 건물 외벽 등 사람이 많이 다니는 장소에 학교의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고 있는 문화를 가리킨다.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에서 볼 수 있는 자료는 학교의 역사는 물론 상부에서 받은 표창, 공문서, 학교 규칙, 학생들의 수상내용, 시간표, 교표, 교가, 교훈, 상장, 활동 사진, 졸업 사진 등 실로 다양한 자료들이다. 또한 조선족학교가 ‘울타리 문화’를 통해 이루고자 한 목적은 내부 구성원들에게는 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외부인들에게는 학교를 알리는 홍보 역할과 더불어 정부의 정책을 선전하는 선봉의 역할을 하면서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충실히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의 내용을 장소별로 크게 세 곳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문과 학교를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담장)에 나타난 당안 내용이다. 교문에는 학교의 명패가 있다. 교문 바로 옆 경비실 주변의 울타리(담장)에는 상급 기관의 문건, 학교의 알림, 학생 규칙, 학교 당직자 및 휴식 시간표, 스쿨버스 시간표, 사회 안전 및 범죄예방 포스터, 학교 교과주임과 담임 배정표 및 각 과(科)와 실(室) 인원배치표, 일과표, 수업 시간표, 학비 공고 등이 있었다. 교문과 거리를 두고 있는 울타리(담장)에는 주로 공산당 및 사회주의 선전 문구, 전통문화 그림, 항일열사 소개 등이 있었다. 둘째, 학교 게시판의 당안 내용이다. 학교 내 설치 게시판에는 학교에 관한 내용인 학교의 역사, 학교 이념, 교훈, 교가 등 학교소개, 학교 관리 설명, 인성교육 자료, 민족교육 홍보, 선진문명 실천에 대한 포스터 등이 있다. 학교 외부에 설치한 게시판에는 학교 통지의 여러 문건이나 학교의 알림, 학교의 자랑거리, 스쿨버스 정보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밖에서 바라보이는 학교 건물 외벽의 당안 내용 등이다. 건물 외벽에는 각종 학교가 지향하는 배움의 방향을 나타내는 문구들이 있다. 중심 건물의 가운데에는 교표가 걸려 있고, 건물 벽에는 학교의 교훈, 학교가 내세우는 문구 등이 쓰여 있다.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내포하고 있었다. 첫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의 가장 많은 내용을 차지하는 것은 당정관리 자료(黨政管理類)였다. 이것은 당정관리자료의 당안 범위가 46가지로 가장 많은 종류를 포함하기 때문인 동시에 당·정의 공문서와 학교의 공문서들은 학교를 통해 반드시 학교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들에게도 전달되어야 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에서 민족적 색채가 사라져가고 있다. 정문에서부터 울타리, 게시판, 외벽에서 보이는 변화들은 아무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서서히 중국화가 되어 가고 있었다. 셋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 에 통일성이 없었다. ‘울타리 문화’를 구성하는 정문, 울타리(담장), 게시판, 건물 외벽의 내용들이 학교마다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있었고, 서로 다른 내용들의 당안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넷째, 도시와 농촌 학교 간 ‘울타리 문화’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선족학교는 ‘울타리 문화’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을 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in China. This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refers to a culture in which Chinese-Korean schools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bout schools including fences, fences surrounding fences, school bulletin boards, and exterior walls of school buildings.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have a lot of documentations. for example, the history of Chinese-Korean school, the direction of school, the contents of school administration, the contents of learning,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teachers. The important fact that contents have been released through the fence cultures is the fact that documents of the Archive(檔案館, Dang An Gwan). In this paper, the content of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is divided into three places by place. First,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fence surrounding the school and school gate. Second, it is the content of the school bulletin board. Third, it is the content of the Archive, including school buildings facades overlooking outside. The fence culture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had many characteristics. First,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were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documents. Second, the ethnic color is disappearing from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Third, there was no unity in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Fourth, the gap of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between urban and rural schools was very large. Fifth, Chinese-Korean School is communicating with local community through ‘Fence culture’. I hope that the interest in various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s and the systematic research and study in various angles will be actively pursued.

      • KCI등재

        생태공간의 지리적 상상과 녹색 오리엔탈리즘 -환동해(環東海) 원주민 문화표상을 중심으로-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본 논문은 현대 동(북)아시아(환동해지역) 문화 속에서 생태적 삶의 전형으로 자리한 변방의 원주민 형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동아시아인의 생태공간에 대한 지리적 상상과 그것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Green Orientalism)의 응시 구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발전 오리엔탈리즘(Development Orientalism)을 환경적으로 전유한 시각이다. 정치적인 발전 오리엔탈리즘은 빈곤하고, 미개하고, 전통중심적인 남(Global South)에 대해 근대화되고 과학적이고 민주화된 북(Global North)으로 공간분할을 위계화하고 이를 정당화한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이러한 이분법을 뒤집어 저개발 지역이 생태적 보전지역이며 인류의 미래를 위해 자원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녹색 오리엔탈리즘 역시 정치적 오리엔탈리즘과 마찬가지로 중심부로부터 밀려난 주변부 지역에 대한 공간 분할을 문제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더욱이 남과 북의 거시적 공간 분할은 각 사회의 미시적인 공간 분할로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원주민은 생태학적으로 가치 부여되며 동시에 근대 문명의 바깥으로 주변화 되는 포함과 배제의 이중 과정에 포섭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00년대 대중 미디어가 생산하고 있는 ``원주민`` 문화 표상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의 의미와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대상 지역은 동아시아에서 생태공간으로 부상한 환동해지역, 특히 한반도의 북방, 즉 옛 만주와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이 지역은 원시림과 초원이 발달해 있으며, 대체로 경제적으로 저발전 지역이 많다. 하지만 최근 동아시아 환경파괴 심화로 인해 이들 지역은 새로운 생태적 보존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 변화는 동아시아 생태담론이라는 사상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본고는 한국, 중국, 러시아 다큐멘터리 작품을 중심으로 원주민 문화 표상을 추출하고, 이러한 문화 표상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생태담론의 논쟁적 차원을 면밀히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ereotype of the indigenous people`s images and to explain its sociocultural meaning in East Asia (East Sea Rim). In connecti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most of mass media has mainly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natives have maintained their own ecological culture from the primitive to the present in the border areas. There have been the coherent geographical imagination where the indigenous people live in. In other words, this thought means that they are mostly uncivilized until now. That`s why the nature in the undeveloped borderlands is considered as better-preserved than in the developed core city. Especially the realistic spectacles of the nature produced by the mass media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visible resources to verify it. Needless to say, the mass media contributes to reconstruct the conventional dichotomous way of thinking and the hierarchy between the urban modernity and the primitivity (civilization and savage). To put it another way, re-discovering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indigenous culture means finding alternatives to recover the ecosystem destroyed by the civ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ltimately, what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emphasize is rethinking ab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However, ``the subject`` who can estimate and preserve the value of the nature is not the indigenous people but the civilized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representation i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environmental orientalism, called ``green orientalism``. Therefore, even though green orientalism fosters awareness of green issues, it is still based on the ``development orientalism`` producing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hierarchical division of the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In this view, I would like to show sociocultural meanings of representing the indigenous people in the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 KCI등재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과 척본우(戚本禹)(1931~2016)

        손승회 ( Son Seung-hoi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7 No.-

        이 연구는 `최후의 중앙문혁소조원` 戚本禹를 중심으로 문화대혁명을 재검토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문혁소조원`, `청년역사학도`, `급진파`라는 戚本禹의 세 측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첫째 문혁의 `가해자`이면서 동시에 `피해자`였던 그가 왜 毛澤東과 文革을 죽을 때까지 포기하지 않았는지, 둘째 어떠한 과정을 거쳐 `南姚北戚의 국면을 만들어 문혁 급진화를 주도하였는지, 셋째 그리고 왜 돌연 `王·關·戚事件`으로 실각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毛澤東과 江靑의 신임을 바탕으로 활발한 대중활동을 전개했음은 물론 문혁소조 내의 조반파임을 자임했던 戚本禹는 `혁명을 위한 역사`를 주장함으로써 자신의 혁명활동을 역사적으로 정당하다고 입증하였고 조반운동을 급진화시켰다. 그는 비록 `극좌파` 죄목으로 문혁이 한창이던 1968년 1월 숙청되었지만, 毛澤東과 문혁의 이상·실천이 올바르다는 신념을 버리지 않았다. 오히려 자신의 과오를 진지하게 반성하고 毛澤東의 문혁 노선 전환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劉少奇, 鄧小平은 물론 周恩來, 陳伯達, 江靑, 王力 등 `中央首長`에 대한 관방의 정통적 평가와 상반되는 주장을 하였다. 이러한 戚本禹의 사상과 활동에 대한 연구는 문혁에 대한 기존의 일면적, 사회이론적, 권력투쟁적, 이데올로기적 이해를 넘어 새로운 `역사로서의 문혁`을 재구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reexamined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based on Qi Benyu and his memoirs, as h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entral Cultural Revolution Group as a member. More concretely I concentrated on his three main aspects; the members of the Central Cultural Revolution Group, the young historian, and the clique of radicalism. Through this research I tri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problems as follows; first why Qi Benyu who played the role as the victim and the attacker at the same time in the Cultural Revolution did not withdraw his support to Mao Zedong and his Revolution until death, second how he could produce the situation of the South-Yao Wenyuan North-Qi Benyu(“南姚北戚”) by taking his high level position that allowed him to lead the radicaliz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ird why and how he suddenly lost his position due to the incident of Wang Li·Guan Feng·Qi Benyu(“王·關·戚事件”). Qi Benyu was not only actively engaged in public activities based on the trust instilled in him from Mao Zedong and Jiang Qing, but also actively argued the history of the revolution and tried to prove that his own revolutionary activities had historical appropriateness. Even though Qi Benyu lost his position due to being considered part of the “Clique of Ultra-Leftism”, he didn`t lose his faith in Mao Zedong and the fact that the idea and the ac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were just. This caused him to seriously reflect upon himself and try to gain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Mao`s ways. Also, he had an argument that was opposed to the orthodox estimation about Liu Shaoqi, Deng Xiaoping, Zhou Enlai, Chen Boda, Jiang Qing, and Wang Li. In retrospect of Qi Benyu`s memoirs of the Cultural Revolution, I believe that this reexamined knowledge will contribute to overcome a one-dimensional, sociological, ideological understanding of Cultural Revolution, and could help recreate a new perspectiv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history.

      • KCI등재

        김기영 감독의 제국체험과 식민지적 무의식 -김기영 영화의 포스트-콜로니얼리티 연구-

        김청강 ( Kim Chung-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3 No.-

        이 논문은 “인간의 본능을 해부하면 검은 피가 나온다”라는 말을 남기며, 한국 영화사에서 가장 독특하고도 ‘기괴한 영화’를 만든 감독으로 잘 알려진 김기영(1919~1998)의 제국체험과 이 체험이 해방 후 그의 영화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났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식민시기와 이후까지 이어지는 제국문화 체험의 흔적들을 추적하며, 이 제국적 문화체험이 그의 영화의 어떤 특질로 발현되는지 분석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적이 단순히 괴기한 한 영화감독의 과거 행적을 추적하여 그의 영화의 특수성만을 살피려는 것은 아니다. 그의 경험은 식민지 교육을 받고 일제하에서 청년기를 보냈으며 이후 한국의 문화적 주류를 형성했던 많은 지식인들의 경험과 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식민지를 겪은 대부분의 문화엘리트들은 민족주의적 견지에서 식민과거를 암울한 일제의 지배와 억압의 역사로 재서술하거나 다양한 식민 기억을 삭제, 은폐하곤 했다. 반면 김기영은 식민기간과 자신의 청년시절을 회상하며 다수의 엘리트적 민족주의의자들과는 해석과는 다른 시각을 보였다. 또한 김기영의 영화는 일본영화와의 혼종성, 모방(mimicry),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 특별한 반감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공식 민족주의 담론과 달리 한국 문화계가 일본 문화의 흐름을 따라잡기 위해 암암리에 밀항과 밀수를 통해 일본과의 문화적 교류를 했던 비공식적 경험과 통한다. 이러한 현상은 해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제국’이자 ‘식민자’로서의 일본에 대한 분열적 태도가 드러나는 식민지적 무의식이 작동한 결과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김기영 개인의 제국 경험과 해방 이후 그의 영화에 발현된 일본 문화/영화와의 접촉지점을 추적함으로써, 대한민국이 국민국가로의 전환과정에서 공식적으로는 억압하였으나 여전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던 일본문화가 한국인들에 의해 어떻게 전유되었는지, 그리하여 어떤 한국만의 ‘독특함’을 만들어 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독특함’을 한국인의 식민지적 무의식이 드러난 포스트-콜로니얼리티로 파악한다. 특히 김기영의 식민지말기의 제국 선망의 행보와 해방 후 정치적, 문화적 교류가 공식적으로 단절된 상태에서 일본영화를 잡지나 시나리오 등 ‘문자’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흡수하여 영상화하였던 김기영의 영화만들기 방식은 일본 영화와는 일정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차이는 군부독재로 폐쇄성과 파괴적 상태의 한국의 역사와 포스트-콜로니얼리티를 여실히 드러낸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erial experience of Kim Ki-young (1919-1998), a director known for making some of the most unique and “bizarre films” in Korean cinema, and how this experience is reflected in his films after liberation. In particular, it traces the traces of imperial cultural experience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ost-colonial period, and analyzes how this imperial cultural experience manifests itself in the characteristics of his films. However, this is not simply a case of tracing the past of an eccentric filmmaker to examine the particularities of his films. His experience is shared by many intellectuals who received colonial education, spent their youth under Japan, and later formed the cultural mainstream in Korea. Nevertheless, most cultural elites who experienced colonization after liberation often rewrote the colonial past as a grim history of Japanese domination and oppression from a nationalist perspective, or erased or concealed various colonial memories. On the other hand, Kim Ki-young’s recollections of the colonial period and his own youth were different from the interpretations of many elite nationalists. In addition, Kim Ki-young’s films had hybridity, mimicry, and affinity with Japanese cinema, and he did not show any particular antipathy to it. This is in line with the fact that, contrary to official nationalist discourse, Korean cultural circles engaged in cultural exchanges with Japan through smuggling and stowaways in order to keep up with Japanese culture. This phenomenon can also be seen as the result of a colonial unconsciousness that manifests itself in divisive attitudes towards Japan as an unconsciousness that manifests itself in divisive attitudes towards Japan as an “empire” and “colonizer” despite its liberation. By tracing Kim Ki-young’s personal experience of empire and the points of contact with Japanese culture and cinema expressed in his films after liber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t-colonial phase of Korean cinema in terms of how Korea appropriated Japanese culture, which had been officially suppressed during the country’s transition to a nation-state, and thus created its own ‘uniqueness’. In particular, Kim Ki-young’s filmmaking method, which indirectly absorbed Japanese films through “textual” media such as magazines and screenplays while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were officially cut off after liberation, is identified as a shift from “text to image,” and I argue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post-colonial cinema can be found at this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