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이라크 내 한국NGO 활동 : 과제와 전망

        최한우(Choi, Han-Woo) 한국NGO학회 2004 NGO연구 Vol.2 No.1

        9 ·11 사태를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이슬람권의 반미 저항운동은 소비에트 체제 해체 이후 세계 국제질서의 재편과정에서 발발한 종교와 문명을 기축으로 하는 새로운 냉전 질서에 편승하여, 전통적으로 반서구 감정이 강한 비서구권으로 심리적 지지 세력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국면이 지속된다면 장기적으로는 국제적 반미 및 반서구 심리적 프롤레타리아 운동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러한 네거티브 국제환경이 가속화되면서 국제NGO 활동의 앙상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 서구 NGO 들의 활동은 크게 제한받고 있으며 갈수록 그 활동영역은 축소되고 있다. 또한 단체와 지원의 외형적 규모에도 불구하고 서구 NGO 활동의 효율성과 성과 역시 재평가 받아야 할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최근 비서구권 NGO, 특히 한국 NGO의 역할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1991년 소련 해체 이후부터 시작하여 최근 몇 년 동안에 금융위기로 인한 IMF 관리체제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한국NGO들의 해외 구제 봉사활동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그 이유는 1980년대 후반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 10여 년 동안의 동아시아의 환경변화, 즉 경제적 성장, 정치적 개혁, 그리고 세계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9·11 사태로 야기된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이후 서구 NGO활동이 크게 제약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 지역에서의 한국NGO 활동의 활약상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역사가 짧은 한국 해외NGO들의 취약점 또한 적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전후 이라크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 해외NGO들의 활동상황을 평가하고 현재 한국NGO들이 당면하고 문제와 과제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NGO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ti-American islamic resistance movements rapidly proliferated due to the 9·11 incident, jump to the new cold-war world order which has been formulated and affected on the ground of religion and civilization issues. This movements have been continually gaining the psychological supports of Non-Western countries, which were traditionally against the Western hemisphere. If they continue to grow internationally in the long run, this would more likely put a fire on the spread of psychological proletarian movements with anti-American and anti-Western spirits. Due to this acceleration of negative aspects, international NGO s activities are affected in a great volume. The western style NGO activ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limited and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has also been greatly reduced. Despite of its magnitude of their size and appearance, it is largely considered that their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western NGO s activities need to be re-evaluated. Along with this current changes, the roll of non-Western NGOs, especially those of Korean NGOs are greatly expected. Actually, the international relief activities of the Korean NGOs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even though Korea had suffered from the so-called IMF financial crisis for recent years. It may be because of the 10 years of change in East-Asia social environments, which was begun in the late 80 s throughout 1990s. Korea s economic growth, political reform and globalization policy generated the yields.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of Korean NGOs in Afghanistan and Iraq are now very highly evaluated in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ose of western NGO s were very limited in these regions after the Afghan and Iraq War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weaknesses and vulnerabilities in Korean NGOs because of their short history and lack of experiences. This paper will overview the effects on the post-Iraq War situation, and evaluate the activities of Korean NGOs. Furthermore, by scrutinizing the current issues and confronting problems ahead of them, it will also provide the ideas and proposals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Korean NGO s activities.

      • KCI등재

        한국 NGO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탐색과 제언

        서유경(You-Kyung Suh) 한국NGO학회 2014 NGO연구 Vol.9 No.1

        지난 10여년 사이 NGO학을 둘러싼 주변 환경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우리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해 봐야 한다. 첫째, 한국의 성공적인 민주화 운동과 급격한 시민사회의 성장이라는 현대정치사적 특수성에서 발원한 ‘NGO학’의 한국적 유용성이 완전히 소진되었는가? 둘째, 한국의 ‘NGO학’이 한국적 특수성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학문적 보편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가? 이 글은 한국에서 NGO학의 유용성은 소진된 것이 아니라 2세대 시민 운동의 동력을 창출해야 할 변화의 시점에 있으며, 이제 NGO학은 그것의 형식과 내용을 재정비하여 보편적 학문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침 해외 유수한 대학들도 우리의 NGO학과 유사한 성격과 지향성을 보이는 다분과적 전공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시대적 요구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현재 제안 단계에 있는 가칭 ‘한국 NGO학-NGO섹터 협의체’의 창설과 그것의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핵심문제로서 현재 한국의 NGO학과와 연계전공들이 설치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한 실천적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NGO Studies has noticeably decreased in our society. As a result, some of its departments have changed their names into something else or merged with other departments not to mention the total abolishment of its departments. Those who still maintain their names are pondering on their next moves. At this juncture, the following two important questions need to be asked: first, has the usefulness of the NGO Studies grown out of the successful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rapid growth of civil society of S. Korea as well as its nuanced political history of late totally exhausted?; and, second, is there any possibility for the Korean NGO Studies to acquire an overarching academic universality beyond the Korean soil? The strong argument in this paper is that the usefulness of the NGO Studies has not exhausted but arrived at a turning point when it must create strength required for the 2nd civic movement by reshaping its forms and contents. In this connection, it is worth taking into account that many overseas universities are presently responding to the timely demands of the would-be students by providing various interdisciplinary curricula akin to the Korean NGO Studie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In conclusion, I propose that we create ‘The Korean Consortium for the NGO Studies-NGO Sector’ to take up the mission of making the curricula more sensitive to the current changes in demand for the NGO Studies.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현황과 발전과제

        김영래(Kim, Young-rae)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본 논문은 21세기를 맞이하여 학계는 물론 일반시민들로부터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한국시민사회의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고찰하고 있다. 최근 사회를 ‘시민사회의 시대’라고 지칭할 정도로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최근 개최된 각종 국제회의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의 영향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시민운동은 2000년 4월 총선에서 부패 무능 정치인들의 낙선운동을 전개한 ‘총선시민연 대’ 활동과 더불어 발전하였으며, 2002년 12월 19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 서도 한국 비정부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들은 ‘2002 대선유권자연대’를 결성, 정책과제 발굴, 대선자금공개, 공명선거캠페인 활동을 전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NGO의 이론적 배경과 발전요인 등을 고찰하고, 한국의 사례에 주목하여 1980년대 중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출범과 더불어 그 후 참여연대 등으로 상징되는 한국 시민사회의 중요한 행위자로서 NGO의 성장, 발전과정을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주로 2003년 한국민간단체총람에 수록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가지고 한국NGO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21세기는 국가를 중심으로 하는 공공영역도 아니고, 또한 이윤 추구를 중심으로 하는 사적 영역도 아닌 제 3의 영역인 NGO가 중심 되는 사회가 될 것임으로 NGO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해야 된다. 대중의 기반을 둔 NGO, 시민사회의 대변자로서 NGO, 민주적 정치과정의 확립, NGO의 자율성 제고 등이 요구된다. 또한 NGO는 정부와의 지속적인 제도적 연계망을 구축하여야 되며, 신뢰성을 일반국민들로부터 유지 하기 위하여 철저한 투명성과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보 사회의 등장에 따른 네트워크의 확대를 통한 국제적 연계활동의 강화와 협력 체제의 구축도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the global community is to more concern about the growing influencing power of citizen’s groups. 21st century, so we called, is to be ‘age of civil society’ or ‘ag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increasing concern on ‘activities of citizens’ groups including NGOs would be a global phenomena. In Korean government and other foreign governments it is natural for NGOs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such as environment, political reforms, and consumer problems, and others. In Korea, public interest groups such as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and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have been much influenced in electoral process and other policy-making process. So the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e increasing citizens’ power in many areas such as political, economic , and social spheres.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som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NGOs. In particular, the paper suggests increasing of the grassroots organizational ties with citizens, democratic leadership, strengthening networks both internal and external groups, professional knowledges in policy-making, and transparency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finance.

      • KCI등재후보

        한국 지역 시민단체의 활동역량에 관한 비교연구: 대전, 대구, 광주지역 주창형 NGO의 활동차이를 중심으로

        금홍섭(Hong-Seoup Keum),이은구(Eun-Ku Lee)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역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 해보는 것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NGO의 성장과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조망해보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과 관련한 역량은 지역사회 전반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했다. 특히 지역NGO활동 역량에 대한 범주화된 각 변수에 대한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지역NGO활동 역량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테면 대전과 대구, 그리고 광주지역NGO의 경우 사례연구에서 뿐만이 아니라, 지역 NGO의 성장과 활동에 적지않은 차이가 확인이 되었다. 다만 대구지역의 경우 지역전체 NGO가 아닌 대구참여연대로 국한했을때는 대구지역 전체의 NGO의 성장과 역량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이들 세 지역NGO에 대한 변수검증 결과 에서도 대전, 대구, 광주지역 간에 지역NGO의 형성과 성장에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역사회의 재구조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지역NGO 스스로 끊임없이 자각하고 바람직한 역할 모색을 통해 성장・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local NGOs. For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case studies focusing the advocacy NGOs in Daejeon, Daegu, and Gwangju.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NGOs of the concerned are influenced in comm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ocieties. The study also finds out differences in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the concerned local NGO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variables(internal capacity, governance capacity, institutional capacity) are able to confirm a clear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formation of NGOs.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local NGOs coupling with the local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local NGOs in Korea.

      • KCI등재

        NGO실무자의 인식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안득기(Ahn Deug Kee) 한국NGO학회 2005 NGO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한국NGO에 대한 인식연구와 지역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기초하여 한국사회 중 강원지역을 선정, NGO실무자가 가지고 있는 인식을 실증적으로 규명·분석하여 한국 NGO에 대한 지역적 차원의 이해를 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지역NGO 실무자들 스스로가 그들의 조직과 운영 및 활동과 관련하여 그 인식의 정도가 어떠한지를 밝히고 나아가 지역적 차원의 결과를 통해 한국NGO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NGO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그 위상이 정립되기 위해서는 NGO구성원이 어느 정도 NGO의 활동과 부합되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한 이유는 NGO의 활동이 시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불신 속에서 이루어지게 된다면 NGO의 존립의 근거는 사라지고 그 유지 또한 어려울 뿐만아니라 그들의 활동을 정당화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NGO활동과 관련하여 누구의 인식이 중요한가를 묻지 않을 수 없고, 이에 대한 대답은 역시 NGO를 이끌어 가는 활동가뿐만 아니라 NGO의 활동을 바라보는 사회구성원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NGO가 그 존립기반인 시민의 신뢰를 져버렸거나 혹은 태생적 동기와 목적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면 한국의 NGO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시민운동의 부분적인 역기능을 설명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study the perception and locality of Korean NGOs, whereas most of the current researches are geared toward specific NGOs or NGOs active in Seoul.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local NGOs in Korea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perceptions the NGOs activists of Gangwon Province have on the local NGOs. At this stage, a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perception of local NGOs is very valuable in the study of Korean politics because such recognition of NGOs as well as their current social stature is deeply related to their very survival.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discover the understanding of and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member of society, such as local NGO activists, residents, legislators, governmental employees, and journalists, in regard to NGOs in Gangwon Province. Data with corroborative evidence were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individual-level analyses on the member of society. The members of society must possess values that coincide with the objectives of NGOs for the organizations to maintainits activities and establish their stature. Without such a basis, NGOs will lose the interest and trust of the citizens, thereby failing the basis for their existence. Thus, one needs to ask the citizens perception on matters relating to NGOs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NGO members and their activities. If NGOs were to lose the trust of citizens or if they were to fail their expectation and trust, it would be possible for one to assess such status of Korean NGOs as a civic movement without any substantial involvementof the citizens, and such an outcome can beused to explain the shortcomings of NGOs in part.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in the era of regional politics. There are now more NGOs operating away from the capital. Now, the locals a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activities of local NGOs rather than NGOs operating the capital. Thus, conducting a research on local NGOs has become as important as a research on Korean NGOs in general.

      • KCI등재

        NGO의 역할과 정체성비교: 고령자취업정책을 중심으로

        김찬동,윤형호 한국NGO학회 2006 NGO연구 Vol.4 No.1

        공공정책과정에서 NGO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들은 정부관료제와 어떤 역할관계를 가지는가에 따라 의존형NGO가 되기도 하고 자립형NGO가 되기도 한다. NGO는 시민사회의 자발성, 공공성을 가지고 활동하고 비영 리성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NGO의 특성이 정부부문을 견제하기도 하고, 감시할 수 있는 권위를 부여해주게 된다. 그런데, 공공정책과정에 나타나는 NGO는 공공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주는 재원과 사업계획 들에 의존적이 되어 NGO로서의 기본성격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공공정책 과정에 나타나는 NGO의 역할과 행태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구체적인 사례로서는 최근 고령화사회가 됨에 따라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고령자취업정책에 관련된 NGO들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시니어클럽과 고령자취업알선센터를 일본에서는 고령자고용개발협회와 실버인재센터를 비교분석하여, 한국NGO의 중앙정 부의존성과 일본NGO의 민간주도형의 자립성을 지적하였다. 또 이러한 공공사업들이 추진되는 시스템에서 한국에서는 지방정부의 형식적인 역할, Top-down형의 업무추진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일본의 경우 지방정부가 사업성격에 따라 직접참여하면서, 지역유관기관과의 수평적 연계를 통하여 지역별 분산추진을 하고 있는 점이 대별된다는 것을 지적하 였다. 한국 NGO의 공공정책과정에서의 자립성과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신통일세계의 문선명·한학자선생 평화사상 고찰 : 천주평화연합(UPF)의 글로벌시민 NGO활동을 중심으로

        정시구 한국평화NGO학회 2022 평화NGO연구 Vol.2 No.-

        본고의 목적은 문선명·한학자선생의 신통일세계 평화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천주평화연합(UPF)의 글로벌시민 NGO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양위 분의 평화사상의 핵심은 인간의 몸과 마음이 일치할 수 있는 인격성을 갖추는 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양위분은 천주평화연합 창설(2005)하고, UN ECOSOC (경제사회이사회)의 최고지위인 ‘포괄적 협의지위’획득(2018)에 성공하였다. 천주평 화연합은 세계평화를 위한 글로벌시민 NGO로서 실제적인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그러나 미래의 더욱 발전된 글로벌시민 NGO활동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실천적 대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천주평화연합은 ‘이슈생산자’라는 본연의 NGO역할을 통해 건전한 시민 사회를 육성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외연 확대를 위한 ‘이미지전략’이 필 요하며, ‘살아있는권력’을 움직일 수 있는 글로벌시민 NGO가 되어야 한다. 둘째, 천주평화연합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적 평화운동을 전개하며 ‘빅 데이터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에 대한 대안 제시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셋째, 천주평화연합은 국내외의 평화운동을 선도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의 대안 제시자·감시자로서의 보다 전문화하여 시민NGO운동을 통한 ‘의 사소통능력’을 높여가야 한다. 넷째, 천주평화연합은 지역공동체에서 갈등 조정 자의 역할을 하며 ‘시민NGO생활화’를 정착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천주평화연합은 신통일한국과 신통일세계라는 세계적인 평화운동을 위하여 미중 갈등과 같은 급변하는 신냉전체제라는 국제정치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인식 의 전환과 전략이 필요하다. 일제침략과 그로 말미암은 38선분단도 따지고 보면 당시의 급변하는 국제상황을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정치지도자들의 안이한 시각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ocus on the global citizen NGO activities of the Universal Peace Federation (UPF)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ace thought of Moon Sun-Myung and Han Hak-Ja in the Heavenly Unified world. The core of their peace thoughts is to have a personality that can match the human body and mind. To practice this, they founded UPF in 2005, and acquired ‘general consultative status’, which is the highest status of UN ECOSOC in 2018. UPF has been conducting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as a global citizen NGO for world pea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llowing practical alternatives for more advanced global citizen NGO activities in the future. First, UPF should focus on fostering a healthy civil society through its original role of an ‘issue producer’ as NGO. In addition, an ‘image strategy’ is needed to expand the scope and become a global citizen NGO that can move ‘living power’. Second, UPF needs to play a role of suggesting alternatives to complex problems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big data system’ while conducting a concrete practical peace movement on social issues. Third, UPF should be more specialized as an alternative presenter and monitor of information provision in order to lead the peace movement at home and abroad, and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citizen NGO movement. Fourth, UPF should act as a conflict mediator in the local community and establish a ‘livingzation of citizen NGO’. Finally, UPF needs a new perception shift and strategy to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a rapidly changing new cold war system such as the US-China conflict for world peace movement called the Heavenly Unified Korea and the Heavenly Unified world. Considering the Japanese aggression and the division of the 38th parallel, it can be said that it was because of the easy view of the political leaders who could not active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 KCI등재

        한국의 NGO연구: 이론적 쟁점과 과제

        이원웅(Lee, Won-woong)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70-80년대 민주화투쟁과 더불어 성장해온 한국시민-사회운동의 구심체는 이제 NGO운동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NGO시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 주고 있다. ① 시민단체, 시민운동단체 등의 용어가 NGO로 통일되는 현상 ② 전통적 민중운동의 퇴조와 NGO의 양적 질적 급성장 ③ NGO의 지구적 이슈에 대한 관심 증대와 국제적 활동 증가 ④ 연대, 혹은 네트워크형의 활동양식 이러한 NGO 급성장의 이면에는 부정적인 모습들도 표출되고 있다. NGO 개념의 혼란과 과잉문제, 일부 NGO들의 성장주의 문제(일부 NGO들은 대형 화, 관료화 되면서 사회적 자원의 독식, 편중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엘리트주의 문제, NGO 지도자들의 도덕적 자질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 NGO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면서 보수진영으로부터 NGO의 사회적 책임성 문제와 이익단체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NGO연구의 이론적 관심은 NGO와 국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NGO의 역할에 대한 논의로 집중되고 있다. 전통적인 다원 주의모델과 신시민운동이론은 NGO의 사회적 역할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이론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세계화와 관련하여 NGO운동을 제도론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이른바 ‘협치’ 또는 ‘공치’로 번역되는 거버넌스이론을 말한다. NGO의 다양성과 영향력과 관련하여 앞으로 학계에서는 연구방법론에 대한 천착은 물론 지방사회와 NGO의 관계, 시장 과의 관계, NGO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비서구사회에서의 NGO운동에 대한 보다 많은 사례연구 축적이 필요하다. 한국사회의 변화와 동태 속에서 한국적 NGO연구는 NGO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는 이론적 경험적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Korean civil movement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 struggles for democracy in 70s and 80s is now at the cross road to change its characters. NGO has been a new concept standing for new organizational foci for the change in Korean civil movement. NGO substitutes the concepts of civil organization or civil movement organization these days. As NGO movements rising in numbers as well as in the sense of quality the classical social movements like strong labour movements has been decayed. NGOs are focusing more global issues and their activities are more like internationally connected. Though their political strength and social power has been growing up remarkably there is a scepticism on their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as a public entity.Some critics argue that some NGOs act like interest groups lacking any democratic responsibilityand represent elitist interests with the monopolization of agenda setting and quantity-oriented strategy. Theoretical concerns in the study about NGOs in Korea are concentrated on the issue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ole of states. There are some debates among pluralist and neo-social movement theorists on the role of NGOs in society. The governance theorists are presenting more institutionalist and global perspectives. More studies are needed on the issue of the development of NGOs and their political characters in non-Western countries. More case researches are expected in the field of NGOs studies on their relationship with market, local governments with the methodological clarification. Studies on Korean NGOs movement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participatory democracy and the changing role of civil society i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NGO의 개념화 : 경험적 개념을 중심으로

        박상필(Park, Sang-Peel) 한국NGO학회 2005 NGO연구 Vol.3 No.2

        사회과학에서 개념을 정의하는 것은 사회현상을 관찰하고 과학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서구 사회과학에 편항된 한국사회에서 NGO의 개념 또한 서구사회로부터 무분별하게 수입하여 연구대상이나 분석차원과 동떨어진 개념정의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논문은 한국 NGO의 경험적 개념정의를 시민사회의 각종 결사체 및 다른 국가의 결사체와 비교하여 정의하려고 한다. NGO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개념발생의 역사성, 문화적 특수성, 비교의 유효성, 실체적 개념정의에 중점을 두었다. NGO의 개념은 발생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각 국가에서 다르게 정의된다.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국제협력단체로 출발하여 확장되는 경향이 있고, 유럽이나 캐나다는 넓은 의미의 NPO에서 좁은 의미의 공익추구 회원조직까지 다양하다. 제3세계에서는 민주화를 위해 국가권력을 견제하고 비판하는 시민운동단체에서 시작하여 다른 공익결사체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 NGO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하여 공익을 추구하는 회원조직의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NGO는 거의 시민단체와 같은 의미로서 좁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NGO는 시민사회의 각종 결사체를 명명하는 비영리단체, 시민사회단체, 민간단체, 민중단체, 관변단체, 사회단체, 이익집단 등과 개념적 범주 및 속성에서 중첩되는 부분도 있지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 It is an essential work to define a term in proceeding a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 But, in Korea, we can often find mistaken definitions of NGO, which is due to an imprudent income of the term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rom the Western society. This paper is aimed to define the term NGO in Korea compared to other voluntary organizations in civil society and in other countries. I laid great emphasis on historical background, cultural characteristics, comparative efficacy, substantive conceptualization in defining NGO. NGO is defined as a voluntary organization working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Europe, the conceptual categories of NGO are diverse according to the countries. In the third world, the term is usually known to mean th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gainst the authoritarian states. In Korea, the term NGO means civic organizations which are voluntarily organized by the citizens and pursue public interests. There are many words meaning voluntary organizations in the civil society. Since the meaning of each organiz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use the word in academic researches.

      • 정부와 NGO의 상호협력 파트너십 구축 방안 연구 : 세계평화청년학생연합(YSP) 활동을 중심으로

        마츠다 코지 한국평화NGO학회 2023 평화NGO연구 Vol.3 No.-

        NGO(비정부기구)와 정부의 파트너십 유형은 과거 갈등관계에 있던 NGO와 정부 의 관계에서 최근에는 파트너십 구축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상호협력 파트너십 모형이 보다 NGO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 모형은 NGO가 정부의 재 정지원을 받아 공공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상당한 활동 재량을 행사한다. 2017년 한 학자 총재가 창설한 NGO 세계평화청년학생연합(이하 YSP)은 어떻게 하면 정부와 상호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청년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생각했다. YSP가 정부와 연계된 사례로 YSP 필리핀과 YSP 상투메 프린시페의 활동이 있다.양국 정부와 YSP와의 파트너십 구축 내용과 결과를 현지 담당자 3명씩 인터뷰하여 공통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YSP와 정부와의 지속적 인 상호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포인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째, YSP 지도자는 각국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정책, 청년교육 내용을 연구하고 정부 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YSP가 교육할 수 있도록 찾는 것이다. 둘째, YSP가 정 부에 필요한 가치를 제공하는 NGO가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셋째, YSP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안정적인 경제기반을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담당자를 세워 적극적 으로 조성금 신청 등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정부와의 상호협력 파트너십 지속에 기여할 YSP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하였다.첫째, YSP가 진행하는 봉사학습과 체험교 육을 정부 및 학교와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둘째, 청년 학생들의 관심 높은 문 화 활동을 활성화하고 SNS를 비롯한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다.셋 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각국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추진하는 것을 제안한 다.이러한 프로그램 개발에 YSP는 주력함으로써 정부와의 상호협력 파트너십 구축 과 지속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사회와 국가와 세계에 공헌하는 청년들을 육성하는 교육의 활성화 여부는 향후 각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일이므로 연구를 계속 할 필요가 있다. In recent years, the partnership type between NGO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has changed from a relationship of confrontation to partnership building. Specifically, the mutual cooperation partnership model between NGOs and governments has attracted increased positivity towards NGOs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of aforementioned collaborations. This model allows NGOs to provide public services driven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exercising considerable discretion.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Youth and Students for Peace (YSP) was founded in 2017, by Dr. Hak Ja Han Moon, to empower youth and students to become global citizen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pertains to how YSP can create and maintain an ongoing and mutual cooperation partnership with governments and successfully conduct youth educational activities. Successful examples of YSP’s partnership with the government include the activities of YSP Philippines and YSP Sao Tome and Princip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cases of partnership between the two governments and YSP, and analyzed by interviewing three local leaders from each country and literature studies. Based on findings, the following points are proposals to establish a continuous mutual cooperation partnership between YSP and governments. First, YSP leaders would benefit from studying youth policies and youth education promoted by governments, and support youth education to solve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cannot resolve. Second, is to make concerted efforts to become an NGO that is mutually beneficial for the government. Third, it is necessary for YSP to actively apply for government grants to reinforce NGOs and youth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stable economic foundation to promote and implement YSP activities. Additionally, the following three plans are proposed to revitalize youth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mutual cooperation partnerships with governments. First, YSP’s service learning and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Second, cultural activities and online programs should be active platfor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online programs, including SNS, by revitalizing cultural activities that engage and motivate youth and students. Thir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re advised to b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governments and schools through working together with the HJ Academy Foundation, UPF, and YSP. YSP needs to focus on developing these programs to enable the establishment and sustainment of mutual cooperation partnerships with the government. Revitalizing education that fosters young people who contribute to society, the nation, and the world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future of each country, so continued research in this area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