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Jeong in Relation to Caring in Nursing Science

        Seongha Hong(홍성하)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5 No.-

        이 논문에서 간호학에서의 돌봄이 한국인의 심성을 상징하는 ‘정’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미 간호학에서 현상학이 중요한 연구방법론으로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간호학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은 간호학이나 현상학 모두에게 유익한 작업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두 가지 방향에서 돌봄의 문제를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돌봄과 간호와의 관계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한국 사회와 문화에서의 ‘정’을 돌봄과 연관하여 어떻게 성찰할 수 있는가를 현상학적으로 해명하였다. 간호사와 환자와의 만남을 현상학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돌봄 자체라는 현상학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돌봄은 간호사가 환자에게 행하는 직업적으로 의무가 아니라 ‘정’을 기반으로 한 인간적 상호관계의 실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은 한국민의 정서를 이해하고 한국 사회와 가족의 구조를 밝히는 전제조건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 a Korean word, and caring in nursing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n ever-increasing number of nursing research project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of which an interpretive approach constitutes a major methodological structure in these projects. Aiming to clarify how phenomenology has expanded into the area of nursing science, this paper develops the following two key aspects related to the expansion: 1)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and nursing; 2) caring as an expression of jeong in Korean culture and society. Operating under the notion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nurses and clients, phenomenology helps to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An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caring shows that ‘caring’ is not simply related to performing a professional duty for clients, but it also encompasses the realization of a jeong-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the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 KCI등재

        간호학에서의 ‘돌봄’(caring)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현상학이 간호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방법론으로 응용되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전반부에서는 간호학과 현상학의 관계, 즉 간호학이 현상학을 어떻게 연구 방법론으로 응용하고 있는가를 다루게 된다. 간호학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상학 역시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수용된다. 실험이나 통계적인 분석, 표준화된 관찰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질적 연구는 현상학이나 해석학적 방법, 근거이론, 사례연구 또는 역사연구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수행된다. 간호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대상자인 환자나 보호자, 혹은 간호사들이 겪는 경험의 의미를 근원적으로 밝히고자 시도한다. 후반부에서는 간호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생활세계적 지평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과학화나 전문화 이전에 이미 돌봄은 생활세계에서 일상적이고 자연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한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돌봄은 무엇보다 한국인의 오랜 전통과 함께 이어 내려오는 ‘정’개념을 통해 해명된다. 한국문화의 특징을 ‘정’의 문화라고 규정할 수 있을 만큼, ‘정’은 한국인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은 타자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타자와의 관계적 구조를 지닌 돌봄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아무리 전문적인 간호행위를 수행한다 할지라도 ‘정’이 담겨져 있지 않은 돌봄을 통해 환자나 보호자는 정서적 만족감이나 위안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돌봄은 근원적으로 대인관계의 토대를 이루는 ‘정’의 표현이며 ‘정’은 궁극적으로 하나가 됨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돌봄은 돌봄을 행하는 사람과 돌봄을 받는 사람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하나가 되는 통일적 경험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n ever-increasing number of discipline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for methodological inspirations. This paper will unfold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main topics; first, the meaning of phenomenology as a research method in nursing science; and secon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aring as a core concept in nursing science. The former is about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re focusing on laboratory experiments, formal methods and numerical method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developed in the social sciences to enable researchers to stud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most frequently used in social sciences are ethnographic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critical social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The latter takes the form of shedding a phenomenological light on the traditional Korean meaning of caring. Phenomenology helps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through procedures geared toward an understanding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caregivers (nurses) and patients or their caretakers (e.g., members of family). In Korean society, jeong brings the members of a group together to the point where a collective and communal inclination among the members is readily perceptib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Caring means not simply a meeting between individual subjects: patient and nurse, but the practice of jeong as an ultimate found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becoming ‘one’ A separation between care-providers and care-recipients would disappear if jeong took ho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s.

      • KCI등재

        타자성과 친숙성

        박인철(In-Cheol Park)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타자의 문제를 자신의 철학의 중심으로 삼고 있는 레비나스는 타자를 절대화해 절대적 타자성의 실체와 근거에 대해 해명한다. 여기서 레비나스가 철학적 토대로 삼고 있는 것이 현상학이다. 레비나스는 현상학의 지향성 개념을 근거로 나와 타자의 관계를 밝힌다. 그러나 타자의 절대성에 대해 집착하는 레비나스는 절대적 타자의 개념을 현상학을 넘어서서 형이상학적으로 정초할 것을 시도한다. 그의 타자 형이상학의 핵심적 근거가 되는 개념은 바로 무한성이다. 레비나스는 타자를 하나의 무한자로 설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타자의 형이상학을 정립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시도는 본래 그가 출발점으로 삼은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타자경험으로부터 괴리된 채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무한 개념으로 침잠함으로써 자신의 철학체계의 부정합성을 드러내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레비나스가 타자의 철학을 직접성의 경험에 근거해 정립하고자 한다면 형이상학이 아닌 현상학적인 방향에서 이를 체계화했어야 옳다. 이런 맥락에서 타자경험을 전적으로 현상학적인 틀에서 논의하는 후설의 타자이론은 레비나스의 타자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예시이다. 특히 후설은 발생적 현상학의 틀에서 타자경험을 습성과 결부지어 역사적으로 해명하고 있는데 이는 비역사적인 공간에서 타자의 문제를 추상적이고 정적으로 다루고 있는 레비나스의 타자이론에 대해 우위성을 지닌다. 나와 타자의 관계는 이를 둘러싼 역사적 문화적 지평성을 배제하고는 철학적으로 제대로 해명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왜 메를로-퐁티는 신체의 현상학에서 살의 존재론으로 이행하는가?

        주성호(Seong-Ho Joo) 한국현상학회 200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0 No.-

        메를로-퐁티는 이른바 〈현상학 시기〉에서든 〈존재론 시기〉에서든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이분법적 사유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가 죽기 전에 준비하고 있었던 살의 존재론은 이분법적 사유를 넘어서고자 했던 『지각의 현상학』의 많은 주요 논의들을 사실상 반복하고 있다. 그래서 미완성 된 유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읽는 대다수 사람들은 이 유고가 『지각의 현상학』과의 근본적 단절이 없는 것으로 여긴다. 이분법적 사유 극복이라는 목표와 그 목표에 이르기 위해 사물과 의식이 분화되기 이전으로 되돌아가 간다는 점에서, 사실 두 주저 사이에는 근본적 단절이 없다. 그러나 이 유고의 작업 노트에서 메를로-퐁티가 「지각의 현상학』은 여전히 이원론적 사유에 머물렀다고 자기 비판할 때, 또한 많은 사람들은 마치 자기 앞에 수수께끼가 갑자기 제기된 것처럼 의아해 하거나 당혹스러워 한다. 지성론과 경험론을 대칭적으로 끊임없이 비판하는 『지각의 현상학』은 그야말로 이원론적 사유를 충분히 극복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당혹스러움을 일으키는 이런 수수께끼를 신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풀어보려고 한다. 신체의 현상학에 어떤 문제점이 있어서 메를로-퐁티가 살의 존재론을 모색하는지 해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지각의 현상학』과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에 알려진 차이 내지 불연속성의 의미를 더욱 명료히 할 것이다.

      • KCI등재

        행복의 방법에의 현상학적 모색

        조정옥(Jeong-Ok Cho)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9 No.-

        쇼펜하우어는 일반적으로 현상학자로 취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상학은 후설이 말한 바와 같이 데카르트로 거슬러 올라가며 칸트 철학까지도 주관주의적 인식론의 성격으로 인해 현상학과 공집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쇼펜하우어가 크게 영향 받은 두 철학은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칸트의 주관주의이다. 특히 쇼펜하우어의 행복론은 칸트의 영향으로 주관주의적 인식론에 기초해 있어 현상학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 맹목적 의지를 우주의 본체로 보는 그의 존재론, 우주론, 또는 형이상학은 사변적이며 형이상학적인 것으로서 사실 그 자체를 지향하는 엄밀학으로서의 후설의 현상학과는 거리가 있음은 인정할 수 있지만, 쇼펜하우어의 주관주의는 현상학의 본질적인 측면에 맞닿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세계가 나의 표상이듯이 행복감도 나의 표상이다. 행복감은 세계에 대한 나의 사고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세계에 대한 나의 쾌불쾌 만족 불만족이라는 표상이다. 행복감의 표상이 만들어지는 것 그것이 곧 행복이다. 행복감의 표상이 만들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세계에 대한 나의 사고를 긍정적인 것으로 바꾸어야한다. 쇼펜하우어는 자족적인 사고, 현재중심적 사고, 필연성을 인정하는 사고 등의 사고방식을 가짐으로써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이것은 행복감이 사고방식에 의존한다는 주관주의적 행복론이다. 이러한 행복론을 바탕으로하여 우리가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가라는 방법론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행복으로 가는 길에는 외적인 조건을 바꾸는 길과 내적인 조건을 바꾸는 길이있다. 전자는 재산과 지위 등을 바꾸는 것인 반면에 후자는 내면의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이다. 전자에는 복지제도 등 사회적 조건의 변화가 속한다. 인간은 이미 도달한 것에 대해 무감각하고 계속해서 더많은 것을 바라므로 객관적 조건의 개선은 행복을 위한 결정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 아무리 사회적 조건을 바꾼다고 해도 사회는 개개인의 부정적인 사고방식 앞에서 무기력하다. 행복을 위한 효율적인 길은 내적인 길이다.

      • KCI등재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지난 50-60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수학적인 정량적 분석의 방법이 지니는 한계 및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질적연구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는 바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은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썰에 위해 정초된 현상학적 철학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발전된 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는 “체험연구"(lived experience research)를 위한 방법인데.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은 심리학, 간호학, 교육학 등 다양한 인문사회과학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이 이처럼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과연 현상학적 철학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있는 타당한 방법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그동안 개발된 여러 가지 유형의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을 활용하면서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일군의 연구자들은 그러한 방법이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처럼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과 관련된 논의는 현재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는데, 그 일차적인 이유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이 아직도 튼튼한 철학적인 토대 위에 정초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상학적 칠적연구방법과 관련된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표는 바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를 검토하변서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In the past 50-60 years, pointing out the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metho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ome researchers have developed various kind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ne of them is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founders of this method consider it to be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that is developed by such phenomenologists as E. Husserl, M. Heidegger, M. Merleau-Ponty. The most well know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is the method of the lived experience research. It is widely used by many researche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some challenge that this kin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really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ne can say tha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not yet founded on a firm philosophical grou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the lived experience research could be considered to be really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현상학 자연화”의 함의와 한계

        김태희(Tae-Hee Kim)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9 No.-

        최근 인지과학자들과 철학자들 사이에서 현상학적 연구를 자연과학의 설명의 프레임 안으로 통합하려는 연구 프로그램인 ‘현상학 자연화’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들은 의식이라는 연구 주제가 지니는 ‘설명 간극’을 자각하고 인지과학이 의식을 포함하는 모든 인지적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을 때에야 비로소 인지 현상들에 대한 포괄적 이론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지과학적 자료들과 현상학적 자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점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상학자들은 인지과학자들이 현상학에 대해 보이는 이러한 최근의 관심에 대해 일종의 자연주의로 여기고 정당한 회의적 입장을 표명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본고는 이러한 ‘현상학 자연화’ 기획들 중에서 특히 신경현상학의 핵심적 방법론적 개념인 인지과학과 현상학의 ‘상호제약’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고는 이 연구 프로그램의 함의를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신경현상학 기획이 성공할 경우 상호제약이라는 방법론적 개념에 힘입어 설명의 간극에 다리를 놓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본고는 이 연구 프로그램의 한계를 현상학의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신경현상학의 목표가 일종의 세련된 자연주의라는 현상학자들의 의심을 불러일으킴에도 불구하고 현상학적 심리학과 양립 가능하지만, 초월론적 현상학과는 양립 가능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Recently, discussions about “naturalizing phenomenology,” i.e. integrating phenomenology into the explanatory framework of the natural sciences, are actively taking place among cognitive scientists and philosophers interested in bridging the “explanatory gap” and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theory which explains all cognitive phenomena including consciousness. Within those discussions, neurophenomenology regards “reciprocal constraints” between cognitive sciences and phenomenology as its fundamental methodological concept. Nonetheless, this bid to naturalize phenomenology also arouses profound suspicions, particularly among phenomenologists, that it is not being consistent with the overall anti-naturalistic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n this paper, I concentrate on two issues related to this concept. First,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is area of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s, I argue that a full-fledged neurophenomenology is able to fulfill the promise of bridging the explanatory gap. Second, considering the limits of this research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 argue that neurophenomenology is consistent with what Husserl calls “phenomenological psychology” but not with what he cal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 KCI등재

        “반-헤겔주의”로서의 하이데거 철학사상

        하피터(Peter Ha)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기초존재론에서 확립된 하이데거의 사유를 거시적인 철학사적 관점에서 해명하는데 있다.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은 그동안 철학사적 문맥에서 주로 후설 현상학과의 연관성 속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이 논의는 두 가지의 상반된 관점에서 진행되었는데, 한 관점은 하이데거의 사유가 후설 현상학의 연장선에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반면에, 다른 관점은 하이데거 사유가 후설 현상학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사유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두 가지 관점을 넘어서 우리는 하이데거 사유의 본질적인 특성은 궁극적으로 “반-헤겔주의”를 지향하는데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비록 하이데거가 현존재의 “실존”을 “세계-내-존재”로 규정하지만, 현존재의 “실존”은 후설이 자신의 발생학적 현상학에서 발견한 “생활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확장된 이성” 또는 “초-합리주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후설보다 전통 철학사에 더 다가가 있는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볼 때 현상학적 “초-합리주의”는 신-칸트 주의와 비교할 때는 매우 독창적인 이성개념이지만, 헤겔의 사변적인 이성개념과 비교할 때는 그리 독창적이지 않다. 현상학이 진정으로 고유한 철학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헤겔철학과의 대결이 불가피하다. 하이데거는 현상학자들 중에 최초로 이러한 대결을 시도했다. 그리고 하이데거에 따르면 헤겔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문자로서의 진리를 추구하는 “이성의 확장”이 아니라 이러한 “이성의 해체”가 요구된다. 이 “이성의 해체”를 하이데거는 역사적인 운동에서 소문자로서의 진리를 근거하는 “존재론적 차이”에서 정초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pproaching from this perspective, Heidegger’s thoughts have been interpreted with respect to Husserl's phenomenology. And these interpretation proceed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On the one hand, it has been argued that Heidegger’s thoughts still belongs to the tradition of Husserl’s phenomenology.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has nothing to do with Husserl. Against these interpretations, we want to argue tha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eidegger’s thoughts lies not in “anti-husserlianism” but in “anti-hegelianism.” Although Heidegger defines the “existence” of Dasein as “Being-in-the-world”, the “existence” of Dasein does not signify Husserl’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expanded reason” that is rooted in the “life-world.” According to Heidegger, Husserl’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expanded reason” is indeed an original concept in comparison to neo-kantianism, but it is not original in comparison to the philosophy of Hegel who also speaks of the importance of the sensible world in his concept of the speculative reason. So in order to demonstrate originality, phenomenologists must confront with Hegel. Heidegger is one of first phenomenologists who has performed this task. He contends that hegelism can be overcome when one emphasizes not the “expansion of reason” but the “destruction of reason” that is based on the “ontological difference.”

      • KCI등재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7 No.-

        마음과 인지의 본성에 대한 과학적·철학적 탐구와 관련하여 대니얼 데넷(1942- )이 유물론, 자연주의, 과학주의를 옹호해왔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의 철학에서 상당히 놀랍고 다소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그것은 데넷이 인지의 본성을 해명하는데 있어서 모종의 ‘현상학’을 제안해왔다는 점이다. 그는 고전적인 후설 현상학을 ‘오토 현상학’이라고 칭하고 그것을 맹렬하게 비판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을 ‘헤테로 현상학’이라고 이름 짓고 그것이 현대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의 적실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기에서 필자는 다음 물음을 제기한다. 마음 연구 일반과 관련하여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은 정확히 무엇인가? 그 현상학의 난점과 의의는 무엇인가? 이 문제에 대하여 필자는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이 ‘현상’ 개념을 변형함으로써 인지와 마음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지만 그럼에도 그 원리적 변형이 상당히 심하므로 그것이 적절한 형태의 현상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입적 환원’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방법적 원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본 논의가 성공적일 경우 우리는 보다 더 확장된 현상학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마음의 본성을 규명하는 데에 이른바 1인칭적인 현상학적 접근과 3인칭적인 과학적 접근을 부분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법론의 실마리를 낳을 것이다. Regarding the scientific and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mind and cognition, it is well-known that Daniel Dennett(1942- ) has defended materialism, naturalism, and scientism. But there is a quite surprising and somewhat unknown fact in his philosophy. It is that Dennett has suggested a certain sort of “phenomenology” in carrying out the research into the nature of cognition. He has dubbed the classical Husserlian phenomenology as “auto phenomenology” and vehemently criticized it. Whereas he calls his own phenomenology as “hetero-phenomenology”, and asserts that it can be the proper method both in the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s and the philosophy of mind. Now I raise the question, exactly what is Dennett’s hetero-phenomenolog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mind in general? What could be its inherent significance and difficulty? Concerning these questions, I propose that hetero-phenomenology, by means of modifying the notion of phenomenon, can extend the range of phenomenology, but because it’s modification is quite severe, it still needs a specific methodological principle called the “empathetic reduction”, in order for it to be the proper form of phenomenology. If this inquiry is successful, it will make us have an extended form of phenomenology, and it will bring about an important clue for a consilient method for pinning down the nature of mind in which the first-person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third-person scientific approach can be partly comb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