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노빈의 신생철학과 아렌트의 정치철학 비교 시론

        안효성 ( Hyo-soung Ahn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윤노빈의 신생철학은 토착성과 독창성이 가득한 한국철학의 한 모범이다. 그러나 윤노빈은 단 한권의 책 『신생철학』만을 남기고 가족 모두가 월북을 한 까닭 등으로 인해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고 그의 학문에 대한 연구도 빈곤하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는 주로 그의 철학에 영향을 미친 서양철학적 계보나 동학과의 연관성, 생명철학적 가치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반면 이 논문은 윤노빈의 ‘신생철학’과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을 비교하는 시론(試論)적 연구다. 윤노빈의 신생철학과 아렌트의 정치철학 사이엔 상통하는 점이 많기에, 비교적 익숙하게 알려진 아렌트 철학과의 비교를 통해, 신생철학이 가진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인 정치사회 철학적 성격과 내용을 분명히 할 수 있다. 윤노빈의 신생철학은 서양철학의 ‘존재’와 ‘실존’과는 다른 ‘생존’을 세계관의 중심에 두고, 아렌트의 정치철학은 서구 실존철학의 연장에 있는 독창적인 변용이다. 다만 두 철학 모두가 인간의 주체적 ‘행위’를 가장 중시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먼저 윤노빈과 아렌트의 철학에서 ‘행위’ 개념을 비교해 본다.(2장) 윤노빈은 생존의 적을 ‘악마’라 부르며 독특한 악마론을 전개하며, 아렌트는 인간 실존의 최대 적, 인간성에 대한 범죄로 전체주의를 꼽고 그것을 ‘근본악’이라 부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윤노빈의 악마에 대한 논의와 아렌트의 근본악에 대한 논의를 비교해 본다.(3장) 이 과정을 통해 윤노빈 신생철학의 정치사회철학적 의미는 물론 글로컬적(glocal) 한국철학으로서의 가치도 제시한다. Youn Ro-bin’s “New Life Philosophy” is an exemplary example of Korean philosophy with excellent Indigenousity and originality. However, Youn Ro-bin left only one book, New Life Philosophy, and his entire family defected to North Korea. For that reason, he is not widely known to us, and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into his studies. Existing research on Youn Ro-bin’s philosophy was limited. the Western philosophical genealogy, the relationship with Donghak, and the Life philosophical value that mainly influenced his research have been studied.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compares Youn Ro-bin’s “New Life Philosophy” with Hannah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There is much in common between Youn Ro-bin’s “New Life Philosophy” and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Through comparison with Arendt’s philosophy, which is familiar to u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political and social philosophy,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New Life Philosophy.” Youn Ro-bin’s “New Life Philosophy” puts “survival (ex-stasis)” at the center of the worldview, which is different from the “being” and “existence” of Western philosophy. Meanwhile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is an original transformation in the extension of Western existential philosophy. However, both philosophies value human subjective action the most. Therefore, first, we compare the concept of “action” in the philosophy of Youn Ro-bin and Arendt.(Chapter 2) Youn Ro-bin develops a unique demon theory by calling the enemy of “survival” the “demon.” Arendt points to totalitarianism as a crime against humanity, the greatest enemy of human existence, and calls it a “radical evil”. Therefore, this study also compares Youn Ro-bin’s discussion of demons with Arendt’s discussion of radical evil.(Chapter 3) Through this process, not only the political and social philosophical meanings of Youn Ro-bin’s “New Life philosophy,” but also its value as a glocal Korean philosophy is presented.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 : 두 종교적 지평 사이에서

        서동은 ( Dong-uhn Suh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논문은 불트만과 일본의 니시다니(西谷啓治)의 존재, 불안, 죽음 무(無)개념 등과 논쟁 가운데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사고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논의 과정에서 신을 말해야 하는 신학자와 어디까지나 사유의 문제로 귀결시키는 하이데거 사이의 친화성과 이질성이 드러날 것이며, 하이데거의 무(無)개념은 대승불교 전통의 무(無)개념과의 차이도 비판적으로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세 사고의 지평은 실체적 형이상학의 극복이라고 하는 궁극적 지향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세 사고의 지평은 더 심층적인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세 사고의 지평은 근대적 형이상학적 세계관과 생태 위기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는 심층 생태론의 관점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This paper aims to grasp Heidegger’s ontological thought in the midst of the debates between Bultmann and Nishitani about being, anxiety, and the concept of death and nothingness. In the process of this discussion, the affinity and heterogeneity between the theologian, who must speak of God, and Heidegger, whose argument ultimately leads to the problem of thought, will be revealed. Heidegger’s concept of nothingness will also be critically differentiated from the concept of nothingness in the tradition of Mahayana Buddhism.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se three horizons of thought can meet at the ultimate goal of overcoming substantial metaphysic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hree horizons of thought will be able to engage in more in-depth dialogue. In particular, the horizons of the three thoughts are naturally connected to the perspective of deep ecology, which sees that the modern metaphysical worldview and ecological crisis are closely related.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에 관한 소고(小考) : 그 과정. 구체성과 실존성의 상호 지지관계를 통한 이해

        한우섭 ( Woosub Han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글은 ‘생동적 현재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라는 살에 대한 레토릭 외부에서 살에 대한 해명 난망의 원인을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메를로-퐁티의 철학에서 살 개념이 요구되는 이유를 밝힌 후, 그가 존재론과 형이상학을 구분하고 있다는 것, 나아가 존재론을 형이상학 너머에 위치시키고자 했던 기획이 그가 말하는 ‘새로운 존재론’적 기획이라는 사실을 주장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또한 전개한다. 살 해석의 어려움은 살 개념 자체의 고유한 성격으로부터 기인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가 펼치는 살에 대한 해명이 지각의 현상학적 기획에서의 구체성과 실존성 사이의 구도를 더는 유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원인을 다음과 같이 파악한다. 살의 존재론은 그것이 지각의 현상학적 목적의 심화인 한, 지각의 현상학적 기획으로부터 유리되지 않는다. 이때 그 기획은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전통을 유지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지각의 현상학적 작업으로부터 유리되기도 하는데, 이는 내재성의 심화를 향해 펼쳐진 결과 살 존재에 부여된 보편적 성질로부터 기인한다. 본 논문은 살의 현상학적 존재론의 성격은 살이라는 보편 존재의 모순성이 이른바 살에 대한 ‘생생한 기술’로 얼마만큼 ‘해명’될 수 있는가로 판단될 수 있으며, 그 정도에 따라 살 철학의 정체성이 결정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cause of the difficulty in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flesh outside of the rhetoric of “ontological elucidation of the living present.” To this end, after having first specified why the concept of flesh imposes itself on the philosophy of Merleau-Ponty, we claim that he distinguishes ontology and metaphysics and that the project of placing ontology beyond metaphysics is what he calls a “new ontology” project. In the process, we learn the following facts: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the flesh is attributed to the singularity of the concept of the flesh itself and, at the same time, it is because its explanation of the flesh no longer maintains the structure between concreteness and existentiality in the phenomenological project of perception. In this article, the case is argued as follows: The ontology of the flesh is not disconnected from the phenomenological project of perception in the sense that it deepens th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t this stage, the project maintains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f Husserl and Heidegger. However, at the same time, it is disconnected from the phenomenological work of perception, which relates to the nature of the flesh that must be both immanent and universal. Ultimately, the elucidation of the flesh can be judged by the extent to which the contradiction of the flesh can be “described vividly.”

      • KCI등재

        동물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회생물학적 분석과 의미

        신응철 ( Eung-chol Shin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생물학은 동물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어떻게 진화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그 과정에서 인간의 윤리 혹은 도덕 원리도 진화의 관점에서 예외 없이 설명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유전자 결정론에 바탕을 둔 사회생물학적 인간 이해, 덧붙여 인간의 도덕 원리에 대한 그들의 해명방식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윤리학자의 시선에서 인간의 도덕 원리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에 대해 비교적 열린 자세를 취하고, 사회생물학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피터 싱어의 입장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동물과 인간의 공통점을 넘어 인간 고유의 특성을 해명하기 위해서 사회생물학은 어떤 측면을 보완해야 하는지,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면서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marily investigate how sociobiology explains the social behaviors of animals and human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In the process, it aims to examine whether human ethics or moral principles can be consistently explained from an evolutionary standpoint without exceptions. This study also intends to explore the problems with sociobiological explanations of human understanding based on genetic determinism and their explanations of ethical principle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adopt a relatively open-minded approach toward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human moral principles from the viewpoint of ethicists. It seeks to examine the stance of Peter Singer, who critically evaluates the influence of sociobiology. Finally, to expl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umans beyond the similarities between animals and humans, this study intends to conclude the discussion by examining the aspects sociobiology needs to complement and the challenges it needs to address.

      • KCI등재

        코로나 전·후 시대 돌봄과 환대의 필요성 연구 :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오지석 ( Jie-seok Oh ),이지하 ( Jieha Lee ),장은수 ( Eun-soo Jang ),윤나은 ( Nae-eun Yoon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코로나 19 전후시대에 두려움과 혐오가 확산되면서 돌봄과 환대의 필요성을 사회복지학 차원과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공감을 통해 경계와 혐오를 넘어서 환대의 부재를 넘어서고자 하는 시도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은 우리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젠더·계급·인종적 불평등과 같은 구조적인 차별에 취약한 이들에게 더욱 치명적이다.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 확산 방지 정책으로 ‘자가 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가’가 강화되면서 여성에 대한 성차별과 불평등이 이전보다 강화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일상과 차별, 배제, 혐오에 대한 전반적인 성찰을 이끌어 내었다. 구체적으로 구조적·젠더 차별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여성의 돌봄과 노동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코로나 전후시대를 살아가면서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차별과 혐오에서 벗어나고 넘어서기기 위해 환대와 공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전후를 살아가는 존재로서 ‘돌봄’과 혐오를 넘어서는 ‘환대’를 구체적인 행동을 이끌어 내기위해 공감에 주목하면서 증오와 폭력으로 드러나는 타인의 고통을 변화시키기 위해 정부기관 등에 요구하고 항의하거나 격려하며 언제나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need for care and hospitality in the post-COVID-19 era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work and Christian ethics and attempts to move beyond the absence of hospitality through empathy as fear and hostility spread. Individuals who are already marginalized due to preexisting gender, economic, or racial inequalities are disproportionately impacted worse by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discrimination and injustice against women have been reinforced since virus prevention programs have encouraged “self-isolation” and “social distancing.” Despite this, people across society are questioning the role that discrimination plays in their everyday lives. The role of hospitality and empathy in escaping and overcoming the widespread prejudice and hatred in our culture in the post-COVID-19 era was specifically studied, as well as the topic of women’s care and work, where structural and gender inequalities are expressed in real ways. As survivors of COVID-19, we propose paying attention to empathy to lead concrete actions for “care” and “hospitality” to overcome hatred and to demand, compel, or encourage government agencies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others manifested in the form of hatred and violence.

      • KCI등재

        에디트 슈타인과 유대주의 : 유대인, 가톨릭 성녀 그 사이에서, 슈타인은 왜 아우슈비츠에서 사망했어야 했는가?

        이은영 ( Eun Young Lee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철학자 슈타인 사상에 내재된 유대주의를 조명하고, 유대교-가톨릭교회의 한 편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슈타인의 그것을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유대인 가정에서 교육받았던 슈타인을 살펴보고, 그것이 그녀의 삶과 철학사상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자서전 『유대인 가정의 삶에서』를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글에서 슈타인의 자서전이 중요한 이유는, 한편으로 이 저서가 1933년 9월 21일 서문 작성을 시작으로 1939년까지 완성되었다는 점에 근거가 있다. 왜냐하면 그녀가 이 저서의 서문을 작성한 한 달 후 1933년 10월 14일 쾰른의 가르멜회에 수녀로 입회했기 때문이다. 이는 슈타인이 자서전을 통해 유대인 공동체의 애정과 자부심을 드러낼 의도로 집필했다는 의미이며, 나치에 과감하게 대응했던 지점이라고 판단된다. 슈타인 저서들에 내재되어 있는 사상을 통해서 그녀가 유대교를 부정하거나 비판하면서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전회 한 것이 아님을 우리는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슈타인은 그리스도교를 통한 하느님의 구원을 통해 ‘열린 눈’으로 그리스도교와 유대인과의 연결을 지향했다고 생각된다. 어쩌면 유대인 사상가로서 시대적 상황과 정치적인 문제로 희생된 가장 안타까운 인물일 수 있다. 필자는 슈타인을 종교라는 렌즈로 그녀의 입지를 재단하려는 의도보다는 슈타인 삶의 여정에서 종교를 간과할 수 없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타인이 작성했던 수많은 저서와 글을 통해서 철학자 에디트 슈타인으로 더욱 부각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Edith Stein’s theory without being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Jewish-Catholic Church, highlighting the Jewish-ism inherent in the philosopher Stein’s idea. I first look at Stein and find out how her life and philosophical thought are unveiled through her autobiography entitled “In the Life of a Jewish Family.” Stein’s autobiography is important in this article because her book, which was started with the writing of the preface on September 21, 1933, was completed in 1939. On October 14, 1933, about a month after writing the preface to the book, she joined the Carmel Society in Cologne as a nun.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an opportunity for Stein to boldly respond to Nazi activities to exterminate Jewish bloodlines, as she began writing the book with the intention of revealing the affection and pride of the Jewish community through her autobiography while already being part of Carmel. Stein’s autobiography is thought to be a meaningful book in the sense that through it, Stein researchers can more clearly understand her life and values that are not biased toward Catholicism or Judaism.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tein aimed to connect Christianity and Jews with “open eyes,” as she believed in God’s salvation and its attainment through Christianity. I hope to become as prominent as the philosopher Edith Stein.

      • KCI등재

        짝사랑의 존재론 : 세계-내-존재하는 자기의 자발성에 대한 숙고

        박현정 ( Hyun Jung Park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7

        현대적 사유는 근대적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주체나 의식의 강조를 포기하고, 주체를 구성하는 ‘비주체적’ 조건들, 의식을 구성하는 ‘무의식적’ 조건들에 주목한다. 그러나 자기가 아닌 것들로부터 비로소 자기가 되는 각 인간이 그때마다 하나의 ‘자기’로 ‘있다’는 사실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는 개별자와 그의 자발성에 대한 존재론이 필요하다. 그래서 필자는 ‘자기로 있음’의 실존적 구조를 드러내고 거기에서 ‘자발성’의 여지를 찾아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짝사랑’이라 불리는 존재방식에 주목한다. 짝사랑이야말로 내가 어쩔 도리가 없는 조건들이 내 실존에 대해 갖는 주도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방식으로 존재하면서 우리는 그러한 존재 방식이 ‘불가항력적’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짝사랑의 ‘불가항력성’의 정체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스스로 믿고 있는 것보다 더 자발적이어서 내 실존을 스스로 실행하는 자로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실존론을 참고한다. 이는 그가 타인의 존재를 비롯한 외부적 조건에 직면하는 인간에 주목하되, 구조 주의를 계승한 철학자들과 달리 이 인간을 선행 조건의 결과 이상으로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인간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우선 짝사랑에 빠진 사람의 존재를 세계-내-존재로서 정리함으로써 사랑의 ‘불가항력성’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이 불가항력성이 조건적 제한뿐 아니라 동시에 이에 맞서는 나의 의욕으로 구성됨을, 그래서 결국 자기와 자발성을 가리킴을 보인다. 짝사랑이란 결국 자발적인 자기가 세계의 저항성에 사로잡히지 않고 시간적으로 있음임을, 즉 세계의 저항성을 넘어서는 자기의 의욕을 거듭해서 선택함임을 보여준다. 누구나 할 수 있고 하고 있는 짝사랑에서 자발적인 자기를 발견해냄으로써 본 논문은 시대적 무력감에 빠진 이들에게 간접적으로나마 새로운 환기가 되고자 한다. To distance themselves from modern anthropocentrism, contemporary philosophers abandoned the emphasis on the subject or consciousness. Instead, they pay attention to the “non-subjective” conditions constituting the subject and the “unconscious” conditions constituting consciousness. However, while we become who we are from things that are not ourselves, each person is a self. We need an ontology of the individual and its spontaneity. Therefore, I attempt to reveal the existential structure of “being self” and to find room for the “spontaneity” of this way of existence. To achieve this purpose, I focus on the way of existence called “unrequited love” because unrequited love shows the initiative of external conditions rather than self; due to strong emotions, the unrequited lover has no choice but to stay in love. Being in love, we say that such a way of being is “irresistible.” However, by revealing the structure of unrequited love, I argue that we are more spontaneous than we believe―that we, as ourselves, enact our existence. This paper refers to Sartre because he focuses on human beings who face external conditions, including the existence of others. However, unlike structuralist philosophers, he understands this human being as a person who is more than a consequence of preceding conditions and who can do something. I first focus on the sense of irresistibility that the unrequited lover feels and analyze human existence as being-in-the-world so that the irresistibility can be analyzed. This irresistibility is constituted not only by conditional restrictions but also by the lover’s willingness to oppose them, which refers to the lover’s spontaneous self. I further reveal that the spontaneous self is not caught up and stopped by the world’s resistance but is temporal; that is, every moment the self chooses to repeat its willing. By discovering the spontaneous self in unrequited love, which anyone can experience, this paper intends to serve indirectly as a new inspiration to all of us who have fallen into a sense of helplessness in this era.

      • KCI등재

        하이데거 공간개념을 통한 플라톤의 코라(chōra)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포스(topos) 비교연구

        조홍준 ( Hong-joon Jo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3

        공간은 자명하면서도 파악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칸트는 공간을 의식의 고유한 측면으로 보았지만, 고대 그리스는 공간을 주로 외부 사물과 연관시킨다. 이러한 고대의 개념은 우리의 상식과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개념을 파악하기는 여전히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공간개념인 코라(chōra)와 토포스(topos)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그리스의 공간개념 일반을 해명한다. 이를 우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간개념에서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이 두 철학자의 공간개념을 비교하고 그것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논자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의 분석을 바탕으로 양자를 함께 설명할 수 있는 근원적 공간개념을 모색한다. 이로써 이 논문은 고대 그리스의 공간개념의 의미를 명확히 할 뿐만 아니라, 공간개념의 현상학적 이해를 밝히고자 노력할 것이다. Space is a self-evident yet difficult concept to grasp. Kant viewed space as an inherent aspect of consciousness, but ancient Greece associated space primarily with external objects. Although these ancient concepts seem consistent with our common sense, they are still difficult to grasp. Therefore, in this study, we elucidate the general spatial concept of ancient Greece by examining the ancient Greek spatial concepts of chōra and topos. However, although these words have the same meaning, they also represent space in different ways. We can know this from the spatial concepts of Plato and Aristotl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atial concepts of these two philosophers and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To this end, based on the analysis of Heidegger’s Being and Time, the author searches for a fundamental spatial concept that can explain both. As a result, this paper will not only clarify the meaning of the ancient Greek concept of space, but will also strive to reveal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pace.

      • KCI등재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합리주의의 비교연구(2) : 존재관을 중심으로

        박찬국 ( Chankook Park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존재론적 해석학은 현존재의 삶과 서양철학의 역사 그리고 예술작품과 정신과학에서 일어나는 존재 이해의 사건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인간과 세계 그리고 양자를 포괄하는 존재를 드러내려고 한다. 이에 반해 포퍼와 한스 알베르트의 비판적 합리주의는 과학의 탐구방식과 과학의 발전이 어떤 식으로 일어나는지를 고찰하는 방식으로 인간과 세계를 탐구한다. 비판적 합리주의는 자신의 철학적 과제를 과학적 주장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사이비 과학을 척결하고 참된 과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에서 찾는다. 따라서 비판적 합리주의에서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파악과 양자를 포괄하는 존재에 대한 파악도 결국은 과학이 발견해 낸 사실들에 입각해야 한다고 본다. 비판적 합리주의와 달리 존재론적 해석학은 자신의 철학적 과제를 니힐리즘의 극복에서 찾는다. 존재론적 해석학에서는 전통 종교들의 붕괴 이후에 사람들이 처한 니힐리즘의 상황에서 삶의 새로운 의미와 방향을 어디서 구할 것인가가 문제가 되는 것이다. 존재론적 해석학은 과학은 인간의 삶에 의미와 방향을 제시할 수 없다고 볼 뿐 아니라, 과학만이 인간이 의지할 수 있는 진리를 제공한다고 보는 과학주의야말로 현대를 규정하는 의미 상실의 근본 원인이라고 본다. 따라서 존재론적 해석학은 예술 작품이나 고전적 전승과의 대화를 통해서 일어나는 존재의 개시를 통해서 만 우리 인간의 존재도 충만한 것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런데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진리란 무엇이냐는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는 존재라고 하더라도 어디까지나 인간에게 이해된 존재이며 인간에게 진리로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합리주의의 진리관을 살펴본 후, 이러한 고찰에 입각하여 양자의 존재관을 살펴보았다. The ontological hermeneutics of Heidegger and Gadamer attempts to establish a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and the Being that encompasses both by analyzing the life of human beings,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 events of understanding the Being in works of art and human sciences. On the contrary, the critical rationalism of Popper and Hans Albert explores human beings and the world by examining the scientific method of inquiry and how science develops. Critical rationalism finds its philosophical task in identifying the nature of scientific claims to eradicate pseudoscience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rue science. Therefore, critical rationalism holds that ou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as well as our understanding of the Being, which encompasses both, must ultimately be based on the facts discovered by science. Unlike critical rationalism, ontological hermeneutics finds its philosophical task in overcoming nihilism. The problem for ontological hermeneutics is where to find new meaning and direction for life in the nihilistic situations that people face after the collapse of traditional religions. Not only does ontological hermeneutics believe that science cannot provide meaning and direction to human life, but also that scientism, which believes that only science can provide the truth that humans can rely on,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loss of meaning that defines modernity. Therefore, ontological hermeneutics sees that the life of humans can become full only through the disclosure of the Being that occurs through dialogue with works of art or classical traditions. However, the question “What is the Being?”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question “What is the truth?” because the Being is always the Being understood by humans and appears as truth to humans.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views on the truth that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critical rationalism hold and then delve into the views of both domains about the Being.

      • KCI등재

        찰스 테일러의 철학에서 해석과 주체의 위상 : 감정, 강한 평가, 언어를 중심으로

        김헌중 ( Heonjoong Kim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논문은 어떻게 찰스 테일러의 철학에서 해석학적 성과로부터 인간 주체의 주체성과 정체성이 파악되고 있는지를 보여줄 목적으로 쓰여졌다. 테일러에 따르면, 인간 주체의 본질은 다름이 아니라 그가 표출이라고도 부르는 해석에 있다. 테일러에게 해석 혹은 표출은 주체의 주체성, 정체성을 결정짓는다. 테일러는 해석과 주체성, 정체성 사이의 그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감정(feeling)을 지목한다. 테일러에게 감정, 특히 주체-지시적 감정은 두 가지 면에서 해석이다. 그것은 동시에 상황에 대한 해석이기도 하면서 자기-해석이기도 하다. 테일러는 강한 평가를 사유하며 그 지점을 더욱 더 확신한다. 게다가 강한 평가는 주체-지시적 감정이 단지 내면의 어떠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 도덕적 영역에 맞닿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 관점에서 윤리성 혹은 도덕성은 주체의 정체성과 결부된다. 주체의 주체성, 정체성은 해석적이면서 윤리적이다. 테일러에게 해석과 윤리는 불가분이다. 결국 테일러는 그 지점을 보여주기 위해서 언어를 주목한다. 테일러에 따르면, 언어는 인간들이 사용하는 단어들의 집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의미에서 인간 주체의 본질이 해석학적 윤리에 있음을 드러낸다. 그런 의미에서 테일러는 인간 주체가 강한 평가를 본질로 삼는 자기-해석적 언어적 동물이라고 확신한다. 이 논문은 그 지점을 보여주는 것에 주력했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in the philosophy of Charles Taylor, the subjectivity and the identity of the subject are grasped from hermeneutics. According to Taylor, the essence of the human subject resides in interpretation, which he calls articulation. For Taylor, interpretation or articulation determines the subjectivity or identity of the subject. To highlight the link between interpretation and subjectivity, Taylor focuses his reflection on feeling. Feeling, especially that characterized by subject-reference, is interpretation in a dual manner: it comprises both interpretation of the situation and self-interpretation. Strong evaluation reveals this well. Moreover, strong evaluation shows that the subject-referring feeling, instead of designating one’s inner state, touches on ethics or mor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ubjectivity of the subject relates itself to morality. The identity of the subject is both interpretative and ethical. With Taylor, interpretation is inseparable from ethics. Ultimately, to illuminate this point, Taylor focuses on language. According to Taylor, language does not refer to a set of words but to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the subject lies in ethical interpretation. In this sense, Taylor affirms that the subject is an animal of language whose essence lies in strong evaluation, which is hermeneut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