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 고전 리더십’ 과목을 통한 새로운 ‘한문 교양’ 유형의 모색

        송병렬 한국한문고전학회 2022 漢文古典硏究 Vol.44 No.1

        This paper seeks Measures to develop the types of ‘Chinese classics as a liberal art’ through the subject ‘Leadership in Chinese Classics’. Recently, “Liberal arts subject”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conducted in universities such as ‘Korean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are changing into various forms. There may be various factors of change, but the main factor of change is the transition of the ages. As a result, changes in “the liberal art subject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have also become inevitable. The Chinese language subjects operated by universities as liberal arts include “Basic Chinese Literature”, “Chinese Literature”, “The classics of the Orient”, “Chinese Character in living”, “Story Chinese Literature”. The contents of these subjects are mainly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dioms, and sentences in Chinese characters. This is the reading of bas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related. Such ‘Chinese literature reading’ is a liberal arts subject that requires a considerable level in the field, such as ‘English language’ or ‘Korean language’. Of course, these subjects are still valid. However, for the changing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on-reading “Chinese character-related Liberal art subject”, and various non-reading “Chinese character-related Liberal art subject” needs to be developed. In the midst of this situation, it has already been confirmed that ‘Leadership in Chinese Classics’ has been developed as a non-reading “Chinese character-related Liberal art subject”. Analyz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Leadership in Chinese Classics” and categorizing it,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various non-reading “Chinese character-related Liberal art subject”. Theref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Leadership in Chinese Classics’ was analyzed. The first is a new perception of liberal art. The second is the composition of content related to ‘leadership’ in Chinese classics. The third is a shift in perception of classics. It was confirmed that what was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was ‘Leadership in Chinese Classics’. These classical development processe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concept that “Chinese Literature” should deal with the original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literatures, idioms in Chinese characters, and sentences in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cultivate non-reading “Chinese character-related Liberal art subject”. The second is the theme of ‘leadership’. The third i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Chinese classics related to ‘leadership’.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a ‘the leader who meets through classics’ was created as a “Chinese character subject in liberal art” The key element of typification here is the theme of 'leadership'. In other words, it is content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It is to set contents and organize content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It was categorized as content-type Chinese literature culture. There are three processes necessary for 'content-type Chinese literature culture'. First, 'Chinese literature culture' abandons the idea of 'reading Chinese literature materials'. Second, a subject that can be used as a culture among the 'Chinese Literature Classical Contents' is decided. Third, it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hinese Literature Classic'. Relatively, ‘Chinese Literature Classic’ is a rich repository of materials containing the value and culture of East Asian classics. Accordingly, ‘Chinese character in Liberal art’ developed as a 'content type' can serve as a rich value and cultural provider. 이 논문은 ‘한문 고전 리더십’ 과목을 통한 ‘한문 교양’ 유형의 개발을 논의한 것이다. 최근 대학에서는 ‘교양 국어’ ‘교양 영어’ 등 전통적 교양 과목이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변화 요인이 있겠지만, 주요한 변화요인은 시대적인 변화이다. 이에 ‘한문 관련 교양’의 변화도 불가피해졌다. 대학들이 교양으로 운영했던 한문 과목은 ‘기초한문’, ‘교양한문’, ‘동양의고전’, ‘생활한자’, ‘이야기고사성어’, ‘생활한문’ 등이다. 이들 과목의 내용은 주로 한자, 한문, 고사성어, 한문 문장이다. 이는 기초적인 한문 지식의 강독이다. 이러한 ‘강독형 한문 교양’은 ‘교양 영어’ 또는 ‘교양 국어’와 같이 해당 분야에 대한 상당한 수준을 요구하는 교양 과목이다. 물론 이러한 과목은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변화하는 세대를 위해서는 비강독형 한문 교양이 필요하며, 다양한 비강독형 ‘한문 교양’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황이 그런 가운데 이미 비강독형 ‘한문 교양’으로 ‘리더십 한문 교양’이 개발된 것을 확인했다. ‘리더십 한문 교양’이 개발된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면 다양한 비강독형 한문 교양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리더십 한문 교양’이 개발된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첫째는 교양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다. 둘째는 한문 고전에서 ‘리더십’과 관련한 콘텐츠 구성이다. 셋째는 고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개발된 것이 ‘리더십 한문 교양’이다. 이러한 고전 개발 과정을 정리하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비강독형 한문 교양을 위해 ‘한문 교양’은 ‘한자, 한자 어휘, 한문’의 원전을 다루어야 한다는 기존 개념을 탈피한 것이다. 둘째는 ‘리더십’이라는 주제를 정한 것이다. 셋째는 ‘리더십’ 관련 한문 고전 내용을 구성한 것이다. 이것이 ‘리더십 한문 교양’으로 ‘고전에서만나는리더’가 만들어진 과정임을 확인했다. 여기서 유형화의 핵심은 ‘리더십’이라는 주제이다. 즉 한문 관련 콘텐츠이다. 콘텐츠를 정하고 한문 관련 콘텐츠를 구성한 것이다. 하나의 주제 유형이 콘텐츠형 한문 교양으로 유형화 된 것이다. ‘콘텐츠형 한문 교양’에 필요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이다. 첫째, ‘한문 교양’은 ‘한문 자료에 대한 강독’이라는 생각을 버린다. 둘째, ‘한문 고전 내용’ 가운데 교양으로 삼을 만한 주제를 정한다. 셋째, ‘한문 고전’ 콘텐츠에 맞게 구성한다. ‘한문 고전’은 동아시아 고전의 가치와 문화를 담은 풍부한 자료의 보고이다. 이에 ‘콘텐츠형’으로 개발된 ‘한문 교양’은 풍부한 가치와 문화 제공자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문(漢文)과 한국사교육요소(韓國史敎育要素)의 상보성(相補性)에 대(對)한 탐색(探索)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8 No.1

        최근 통합, 융합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의 등장은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한때 통합수업, 통합논술 등의 모습으로 교육 현장에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중등학교 교육이 각 교과 영역에 따라 학습되기 때문에 각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기인한 것 같다. 한국과 같은 수평적 교과목의 구성은 학습자가 각 교과 간 학습한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교과 간 상보성, 혹은 교과 간 통합 수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수업 모형이 등장하고 있다. ‘한문’과 ‘한국사’ 교과목은 각각의 다른 교과 영역이지만 두 교과의 교육내용 요소가 밀접하므로 교과 간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보성을 모색할 수 있다. 우선, 2009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문 교과의 목표와 한국사 교과의 목표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문과 한국사는 보편적 교육 목표가 매우 유사하여 각 교과 간 유기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사 교육에서 한문의 어휘(한자어), 문화의 교육 내용이 도구적 역할을 충분히 할 수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문 텍스트의 객관적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그 자료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종합적 탐구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various theories related to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re recently emerged. This theories is influencing to the educational arena as an integral class, integral essay and so on. This phenomenon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idea which the curriculum areas could not be organ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Korean secondary education is studied according to each subject areas. The horizontal formation for school subject in Korea has caused a problem that the students should connect with each learn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s organically by themselves. This problem causes the emergence of new formation of the teaching model like the complementarity or integral classes between each curriculums. The Classical Chinese works as the subject o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urriculum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and the contents are also various. In these works, historical records or true for deeds of the Lord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classical”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History” before the 19th centuries are similar to the subject on “Chinese classical” curriculum as well as are the different curriculum area for each other. However, we can seek the complementarity between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because both of them are closely related and supportable to each other.

      • KCI등재

        2022년 대학 교양한문 강의 목표와 교재 구성에 대한 일고

        이상봉 한국한문고전학회 2022 漢文古典硏究 Vol.44 No.1

        This thesis was conceived as a result of contemplation on how to set the goal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hinese characters lecture and how to conduct the class as we approach 2022. Previous researchers said that the liberal arts course in Chinese characters should help determine the direction of life, that classes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learners' ability and level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y suggested alternatives such as the need for an appropriate arrangement of lecture-style classes and learner-centered classes. In addition, I suggest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teach only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sentence without emphasiz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sentences, even if the humanities knowledge and classics are introduced through the liberal arts course.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goals of the liberal arts Chinese characters lectur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which can be considered successful, the goals of the new liberal arts Chinese characters course and the possibility of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were reviewed and a specific plan was prepared. Considering the views of previous studies, I set the goal of the Chinese characters lectures in 2022 to be ‘learning Chinese characters with content that reflects students’ interests’. For the composi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one to two pages of sentences were selected from bestsellers, liberal arts books, and oriental classics for each lecture, and about one to two pages of song or rap lyrics were selected. And the class was conducted in the Chinese characters that appeared in it. In this way, the lecturer must understand not only the knowledge o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studied, but also the contents of various quotations such as Eastern philosophy, real estate, and stock investment. In addition, it will not be an easy task as students must have prior knowledge of their preferred songs and raps. However, if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insight into life contained i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through such a teaching method, that alone would have achieved considerable results. 이 논문은 2022년을 맞이하면서 대학 교양한문 강의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해야할 지에 대한 고민의 결과로 구상되었다. 선행연구자들은 한문교양과목은 인생의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된다고 했고, 학습자의 한문 능력과 수준의 편차를 고려해서 수업을 계발해야 하며, 강의식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의 적절한 안배가 필요하다는 등 여러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여기에 더해 필자는 교양한문 과목을 통해 인문학적 지식과 고전을 소개하더라도 한자・한문을 강조하지 않고 단지 그 한자와 한문이 담고 있는 내용을 위주로 수업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리고 그 동안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자평할 수 있는 부산대 교양한문 강의의 목표와 교재의 구성을 참고로 새로운 교양한문 과목의 목표와 교재의 구성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보고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보았다. 필자는 선행연구의 견해를 고려해서 2022년 교양한문 강의의 목표를 ‘학생들의 관심을 반영한 내용을 담은 한자어 학습’으로 설정해보았다. 새로운 목표에 따른 교재의 구성은 각 강마다 베스트셀러・교양서적・동양고전 등에서 선별한 문장 1∼2면 정도와 노래나 랩 가사 1∼2면 정도를 인용하고 그 안에 등장하는 한자어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수업을 진행할 경우 강의자는 학습할 한자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동양철학・부동산・주식투자 등 다양한 인용문장의 내용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학생들이 선호하는 노래와 랩에 대해 사전지식을 가져야 하니 그리 쉬운 작업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업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한자・한문이 담고 있는 삶에 대한 통찰에 관심을 갖게 된다면 그것만으로도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둔 셈일 것이다.

      • KCI등재

        하브루타를 적용한 대학 교양한문 수업 사례 연구

        엄미리 ( Eom Mi Ri ),김지현 ( Kim Chi Hyo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양한문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양한문 교육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대인들의 오랜 전통적 학습방법이자 생활문화, 사고양식으로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를 중심으로 ‘하브루타 중심의 교양한문 교육의 교수-학습’ 을 설계하고 K대학에서 2017학년 2학기 수업 기간 동안 총 5번의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기존 강의계획서를 수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학기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 관찰과 학습자의 면담, 설문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및 기말고사에서는 단순한 객관식과 해석중심의 필기시험이 아닌 논술 글쓰기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하브루타의 교육방식이 실제 적용했을 때 교양한문 수업을 수강했던 학습자들의 수업효과성 측면에서 특히 학습만족도(M=4.25)와 학습몰입도(M=3.55)가 평균 3.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이 진행된 후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 또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브루타의 교육방식이 실제 대학에서의 교양한문 수업에서 적용되고 활용되는 양상은 교수와 학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방식을 대학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Chinese class as the Universi ty Liberal Arts Subjects, focusing on Havruta Method, a dialogue and discussion among the Jewish people'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life culture, and Learning. Learner-centered Chinese class was applied by applying 5 times of Havruta metho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We revised the existing lecture plan, focusing on Havruta Method and applied it to a semester class based on it. 33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gical thinking of learners was also improved. Second, average of learning satisfaction was 4.33, and average of learning flow was 3.55. Third, learner’s perception on the Havruta Method was divided three kinds of things: good, difficult, and improvement. The way in which Havruta method is applied and utilized in the Chinese class in actual universit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e results of thin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basic data when applying the Havruta method to university class.

      • KCI등재

        大學(대학)"敎養漢文(교양한문)"의 웹기반 運營事例分析(운영사례분석)과 敎育方法摸索(교육방법모색)

        백광호 ( Kwang Ho Bae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개설되는 ‘교양한문’의 웹기반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강의 전후에 실시한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 연구 대상으로 한 강의는 한국의 8개 대학이 연합하여 개발한 <한자와 한문>이라는 강의이다. 한문 관련 전공이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교양한문 과목인 <한자와 한문>의 웹 콘텐츠 개발 및 사이버캠퍼스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웹기반 강의가 가지고 있는 難點을 해소하고자 하는 교육방법의 하나로 f-class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교양한문’의 웹기반 운영 사례를 살펴보았다. 대학의 교양 교육이 점차 강화되면서도 그 강화의 방향이 실용교육에 치우치다 보니 한문 관련 강의가 점점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일례로 여러 대학이 연합하여 강의 교재와 강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개발한 교재 에 맞는 팀티칭 웹기반 강의를 운영하였다. 그러나 웹기반 강의로 운영하다,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새로운 교육방법을 찾은 것이 f-class이다. f-class는 학생들이 집에서 온라인을 통해 웹기반 강의를 듣고, 학교에서는 강의 내용을 전달하기보다 학습자들과의 직접적인 相互作用을 통해 보다 심화된 학습을 끌어낼 수 있는 토론과 조별 활동 등의 창의적인 학습을 수행하는 교육방법으로, ‘교양한문’에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기보다는 웹을 기반으로 한 강 의처럼 강의 전달 방식이 직접적인 소통이 어려울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대학 ‘교양한문’의 웹기반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학생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문 관련 강의 개선에 대한 아이 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troduce a case of Chinese character as Liberal Arts opened as liberal arts in a Korean university to researchers related to the three nations, that is, Korea, China and Japan. The lecture to be studied in this report is a lecture named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developed by 8 universities in Korea uniting.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case of Web contents development and Cyber-campus oper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Chinese character subject as liberal arts opened for students whose major is not Chinese character. It is the present situation that in Korea, a lecture related to Chinese related lectures gradually decrease because Korean universities tend to focus on practical education though they gradually reinforce liberal arts. As one of solutions for that, various universities developed a textbook for lecture and operated a Team teaching on-line lec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f the situation similar with Korean universities occurs in China or Japan, an idea able to improve a lecture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as Liberal Arts can be sought.

      • KCI등재

        비대면 교양한문 수업에서의 콘텐츠와 고전자료의 활용

        김수현 한국한문고전학회 2022 漢文古典硏究 Vol.44 No.1

        Liberal Arts Chinese Literature is a liberal arts subject that cultivates humanities literacy based on knowledge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Since Chinese is a field with limited access to students,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sought to solve this problem. In particular, as awareness of non-face-to-face lectures increases due to COVID-19, efforts to enhance lecture qualit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re required. In this situation, appropriate use of contents and classical materials can be a methodology. The research began by examining and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of liberal Chinese characters conducted non-face-to-face, and preparing educational plans to respond to them. Various forms and genres were used for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videos, music, old art and old books, and old maps. In the non-face-to-face class conducted with video recording lectures, students took in various contents with interest. The education plan prepared based on this was applied to actual education, and after examining its effectiveness, a feedback system was established. 교양한문은 한문과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인문적 소양을 함양하는 교양교과목이다. 한문은 학생들의 접근성이 제한된 분야이기에, 이 부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코비드19로 인해 비대면 강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강의질과 효용성 및 만족도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콘텐츠와 고전자료의 적절한 활용은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교양한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는 것에서부터 연구는 시작되었다. 콘텐츠와 교육자료는 동영상, 음악, 고미술 및 고서, 고지도 등 다양한 형태와 장르를 활용하였고, 동영상 녹화강의로 진행된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흥미롭게 받아들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련된 교육방안을 현실 교육에 적용하고 그 효용성을 살펴본 후 환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 KCI등재

        한국(韓國)의 "초사(楚辭)" 수용(受容) 양상(樣相) 연구(硏究)

        신두환 ( Doo Hwan Sh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이 논문은 중국 2014년 중국 남통대학 초사연구중심에서 개최한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 역대의 초사 수용 양상에 대해 발표해 주기를 요구받고 작성된 논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한문학 작품 속에 다양하고 폭넓은 楚辭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여 우리한문학의 위상을 해외에 소개하고 정립하고자 한것이다. 초사는 세계문학사로 볼 때 동아시아의 고대 시가의 근원이 되는 시가문학의 보고이다. 초사는 옛날 초나라 중국 남방 문학의 고결한 선비정신과 忠臣戀主의 관료의식은 한국 선비들의 귀감이 되었고 이소를 비롯한 초사는 한국 선비들의 필독서였으며 한국 고대의 교육과정 중에 필수 교과목에 들어 있었다. 한국의 문사들은 어려서부터 초사를 잘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었다. 楚辭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한반도에 소개되어 인용되기 시작했다. 楚辭는 『文選』, 『史記』, 『朱子大全』, 『古文眞寶』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하여 한반도에 유입되었으며 삼국시대부터 근세에 이르기 까지 오랜 기간 동안 楚辭는 한국한문학 장르 전반에 걸쳐서 다양하게 수용되고 있었다. 초사에 대한 탐독의 범위는 「이소」, 「천문」, 「원유」, 「구장」, 「구가」 등 초사의 25편 전편에 까지 미치고 있었으며 초사의 전편의 용어들이 조선의 시가에 다양하게 그 향기를 발하고 있는 것에서 그것이 증명된다. 그 수용의 양상은 주로 시구를 찾아 인용하기도 하고, 초사를 바탕으로 琢句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시어를 재창조하기도 하고, 초사의 형식에 가탁하여 아예 새로운 초사를 짓기도 하였다. 조선의 문사들에게 초사는 문학의 방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국에서 굴원을 비롯한 초사의 작가의식은 유교적인 사상의 기초 위에 이해되었고, 굴원처럼 고결하게 行吟澤畔하며 자기의 울분을 자연에 가탁하여 자유롭게 구사한 비유와 상징은 조선사인의 강호가도와 산수시가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 사인들의 유배시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조선의 문예작품에는 초사의 주옥같고 향기로운 언어들이 앙금처럼 녹아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Cho-sa(楚辭) mentioned in The Korea. The Latter of Korea was read fluently and recite a Cho-sa(楚辭) in the original since childhood. The Latter of the Joseon is learn many things by imitation of Cho-sa(楚辭) and composed different form``s poems by imitation of Cho-sa(楚辭). The Latter of the Joseon poem is full of tragic beauty by imitation of Cho-sa(楚辭). Their poem is a distinctive romantic atmosphere by imitation of mentioned in Cho-sa(楚辭)`` folklore, beautiful flowers and plants. They are much alike in character. they are get driven out from the party of a councilor to the king. The incident colored his entire life. They are smart, capable and supremely confident in the poem world of Cho-sa(楚辭).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Latter the Joseon Dynasty poem i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Cho-sa(楚辭) since the creation of 屈原(Ch``u Y uan). Their Chinese poetry is very beautiful. His poem have a fitting comparison and a symbol a deep meaning sacred verbal image. The latter of banishmen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s composed different form``s poems by imitation of Cho-sa(楚辭). Cho-sa(楚辭) is largely gichin in Korean Poetry.

      • KCI등재

        논문(論文) : 한국선시(韓國禪詩)의 발달사(發達史)

        김미선 ( Mi Seon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中國에서 禪宗이 성립된 이후 독자적인 많은 문헌을 갖게 되면서부터 문학이 활짝 꽃 피웠으며, 이러한 禪 文學의 가장 중요한 분야는 禪詩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불교의 禪이 印度에서 發源하였듯이 禪詩의 연원도 인도에서 비롯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의 진정한 발전은 역시 중국에 와서 이루어졌음 또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中國의 선시를 受容한 한국 禪詩의 淵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禪 文學의 意味·槪念·範圍·方法論·歷史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피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중 본고에서는 禪詩의 槪念 및 韓國의 禪詩의 발달 경로에 대해 고찰하였다. 禪詩의 槪念을 통해 禪과 詩의 그 相關性을 밝혔다. 詩의 相關關係로 禪의 槪念이 文字를 떠나[不立文字] 오직 마음과 마음에 의한 전수방법[以心傳心]에서 나온 것이라면, 人間과 自我와 그 觀照에 있어서 경이의 세계를 詩的인 靈感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로 禪詩이므로 相好發生論的으로 相關關係가 있음을 선시 개념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韓國 禪詩가 中國 禪詩를 어떻게 受容하여 發展되어 졌는가를 禪詩 發達史的 側面에서 考察하였다. 禪詩은 바로 中國的인 文化와 歷史的 背景을 바탕으로 하여 일어난 매우 뛰어난 文學思想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禪詩가 中唐·晩唐에 접어들어 크게 성함을 보였고, 韓國 高麗때 慧諶이 본격적으로 受容하여 朝鮮 後期 마지막 인물로 艸衣 意恂이 등장하여 韓國 禪詩의 脈을 잇고 있음을 밝혀 냈다. 本考의 남는 과제로는 이러한 禪詩史의 産物인 高格한 禪詩作品의 世界를 後考의 課題로 期約한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Zen Buddism in China, many unique literatures were generated and literature was widely flourished. The most important field of such Zen Literate is Zen Poery. just as the Zen of Buddhism was originated in India, it is certain that origin of Zen Poetry was derived from india. However, we should acknowledge that the real development of Zen Poetry was made in China.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korea Zen Poetry, accepting the Zen Poetry of China, we ne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concept, scope, methodology and history of Zen Literature in various field. Among them,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oncept of Zen Poetry and the development channel of Korea Zen Poetry. As mentioned above, the issue of the subject in korean Zen poetry was clarifie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and the history of developing Zen poetry was explained. we also searched that how Zen poetry has been developed in korea by accepting the chinese Zen poetry. The discussion of developing korean Zen poetry was done with the historical point. The Zen poetry could be said that it is very excellent conception in the literature occurred by chinese culture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Zen poetry had been expended during mid and late Dang kingdom in china. The chinese Zen poetry was accepted to korea by the buddhist priest Haesim in Koryo period of the old korea . It is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the korean poetry by the buddhist priest Choeui in Chosun period of the old korea. The realm of the nobel Zen poetry will also be studied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문(漢文) 산문(散文) 수업(授業)을 위한 동영상(動映像) 콘텐츠 모형(模型) 구안(具案)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경우 ( Kyung Woo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2 No.1

        학습자가 한문 산문에 관심을 가지고 교과내용에 접근하려 해도 ``한문 교과서``에는 한문 산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풍부한 배경지식``을 담고 있지 않다. 산문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삶, 작가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 등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산문교육의 본격적인 내용 수업에 앞서 주요한 배경지식을 사전에 전달하면, 학습자는 한문 산문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배경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체(Media)는 무엇이 있을까? 媒體라고 하면 전통적으로 문자 매체, 동영상 매체, 전자 매체(인터넷)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필자는 ``동영상 매체``에 주목하고자 한다. 오늘날은 더더욱 변화된 학습자의 기호와 성향에 맞는 ``한문 산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영상 매체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여 ``현장 교사가 주도하는 교수·학습 콘텐츠 모형안``을 구안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동영상 매체와 한문 산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제 7차 고등학교 한문 고전 영역 산문 분류에 따라 산문을 크게 ``문학류 산문``, ``역사류 산문``, ``사상류 산문``으로 분류하고, 이 분류에 따라 3가지 유형의 ``산문 교수·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모형안``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 모형안 구안절차를 통하여 교사 중심의 콘텐츠 개발이 갖는 의의, 한계점 그리고 그 개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Chinese prose contains much of ancestral wisdom and culture. Chinese education, however, is being disregarded by students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Even if the learners with a lot of interest try to read Chinese prose, the text book doesn`t offer enough affluent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m to understand. To better understand the prose, the readers have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lives of the authors, the background settings. the author`s intention, and why the author had to write such pro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vey the background information before beginning prose education in earnest to better facilitate the students in understanding Chinese prose. What then could be an efficient media? Possible media options range from text and video image media to electronic media(internet). Among these, I would like to note video image media. We need to develop ``a Chinese prose teaching-learning content`` to correspond with learners` preference and propensity. This has direct relation to the learner`s media tendency. Thus through this thesis I would like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content model led by field teachers. The thesis studies the following. Chapter two discusses the relationship of video image media and Chinese prose. In Chapter three, I classify the 7th high school Chinese classic prose into three categories; literary prose, historical prose, philosophical prose. Then I propose three types of teacher teaching-learning video content models. The thesis through developing such a microscopic video image content model looks for an opportunity to find the meanings and limits of teacher-centered conten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ontent development.

      • KCI등재

        논문(論文) : 한문교육과(漢文敎育科) 학생(學生)을 대상(對象)으로 한 한문(漢文) 입문(入門) 강의(講義) 사례(事例) 연구(硏究)

        백광호 ( Kuang Ho Bae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本稿는 漢文敎育科 學生을 대상으로 한 漢文 入門 講義 事例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실시한 設問 調査 結果를 整理하고, 그에 따라 설계된 講義 目標와 運營 方式을 紹介하고, 동료들과 함께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여 발표한 結果物과 課題 遂行 所感을 分析한 것이다. 이 글의 分析 對象인 <基礎漢文>은 한문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漢文敎育을 전공하는 데 필요한 基礎的인 漢文學 知識을 익히는 것을 目標로 하는 강의이다. 일종의 전공 오리엔테이션 수업으로, 4년 동안 배우게 될 전공에 대한 개론 형식의 강의라고 볼 수 있다. 강의는 교수자의 강의와 수강생의 발표로 구성된다. 수강생들은 특히 팀별로 주어진 두 개의 課題를 함께 해결하며, 한문교육과에서 修學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主題들을 접하게 된다. 分析 結果에 따르면, 학생들은 팀별로 정해진 책을 함께 읽으면서 한문교육과에서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情報와 資料를 접할 수 있었다. 또한 팀별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전공에 대해 가지고 있던 약간의 漠然함을 어느 정도 解消할 수 있었고, 漢文學에 대한 親密度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의 한문교육과에 개설되었을 법한 한문 입문 강의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그 意義를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f an introductory lecture on Chinese Classics targeting on students of a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Before starting the lecture, this introduces the results that a survey of students` demand for lecture operation was carried, describes the designed lecture goal and operational method according to such demand, and, after students conducted a variety of tasks with colleagues, they reported the result and feeling of their task performance. <Basic Chinese Classics>,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article, is a subject having character of an introductory Chinese Classics lecture. It aims to provide the basic Chinese Classics knowledge necessary for majoring in a Sino-Korean education. It can be a lecture providing basic knowledge of each section of the major to learn students are scheduled to learn. The lecture is composed of the lecture by a professor and the one by a student. Students was able to gratify curiosity about their major to some extent through presentation, and to increase familiarity with Chinese literature by learning diverse lear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said to provide an idea of an introductory Chinese Classics lecture which is expected to be opened in most of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