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강민진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 a total of eight 1-3 graders of single-parent families utilizing K local children center, who volunteer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whose parent agrees upon it. The control group include eight 1-3 graders of single-parent families utilizing J local children cen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was conducted 15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rom January 2015 to March 2015 for the duration of a hundred minutes for each session.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2.0 program, applying a non-parametric test and Wilcoxon’s singed-ranks test. For the contextual analysis, Kinetic House-Tree-Persons Drawings(K-HTP) and Kinetic School Drawings(KSD) were conduct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and the changes in the group were observed in the course of the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Secondly,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imilies. Third, the self-confidence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ere gradually improved as the session was carried on and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changes, attempting to interact with the group. Give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and that the program can possibly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by expressing dynamic creativity and artistr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so as to prevent thei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well as to help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본 연구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 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K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한부모 가정 아동으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자 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8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시에 위치한 L지역아동센터를 다니는 초등학교 1-3학년인 한부모 가정 아동 8명으로 선정하였으 며, 실험집단을 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1회기 100분씩 총 15회기의 전래놀 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위한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22.0 프 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비모수 검증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 한 통계 검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동적 학교생활화 (KSD)를 실시하였으며,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관찰되는 집단의 변화를 통해 내용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실험집단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실험집 단 한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 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한부모 가정 아동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자신감과 성취감이 향상되고 적극적인 태도로 집단과 상호작용하려는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부모 가정 아동의 심리⋅정서⋅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고 심리사회적 적응에 활용할 수 있는 표현예술치료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 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상담자의 자기치유 내러티브연구

        황보유순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치유경험이 상담자 자신의 삶과 상담현장에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표현 예술치료를 활용한 내러티브 방법론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적절성’과 ‘충분함’이라는 질적 연구의 두 가지 원리에 따라 2007년 7월부터 2012년 12월까 지 표현예술치료 자기치유과정을 경험한 상담자 자신을 선택하였고, 2017년 12월부터 2018년 6 월까지 그동안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내러티브의 분석(Narrative analysis)을 통해 핵심 내러티브 를 내러티브 탐구의 기본 틀인 시간(연속성), 공간(상황), 관계(상호작용)의 3차원으로 분석해내고 그러한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내러티브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내러티브를 경험한 본 연구자의 정서적 과정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본 연구 자가 경험한 자기치유과정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본 연구자가 분석한 삶의 의미는 무엇이었는가? 이다. 연구결과 본연구자의 정서적 경험은 ‘애착관계의 부재’, ‘과잉충성‘으로 확인되었고. 본 연구자 의 자기치유과정은 외부지향으로는 관계중독, 및 일중독, 내부지향으로 자기성찰 및 성숙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자가 구성한 삶의 의미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안으로(inward)의 방향은 순응, 밖으로의 방향은 도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상황, 과거로부터 지금까 지의 삶, 주요 전환점, 미래에 대한 삶의 지향점을 위주로 재구성된 내러티브는 애착관계의 부재 를 겪으며 과잉충성하며, 성인기의 사회적 맥락에서는 가부장적 가족관계에서 외며느리로서 충성 과 원가족과의 관계중독, 일중독의 양상을 보였으나, 내부적인 자기성찰을 가져와 성숙으로 변화 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의 삶의 지도인 기초선 진술과 바램의 진술, 필요의 진술을 통 해 선명해진 삶의 지향점은 3수준의 자각(알아차림)이 본연구자의 종교적 신념과 함께 제 4수준의 영적수준으로 연결되고 확장된 점이다. 표현예술치료 작업과 내러티브로 이야기하기는 체화된 치 유의 경험이 되었고 상담현장에서 상담자의 역할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역력히 알 수 있게 되었 다. 본 연구는 표현예술치료와 내러티브 탐구의 통합연구의 전 과정에서 순환, 반복되는 자기치유 를 통해 삶의 영역의 많은 과정에 확장, 변화되는 내용과 그 사회적 함의를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 과 국내에서는 드문 상담자의 자기치유에 대하여 표현예술치료기반 내러티브 탐구를 시도하였다 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k how much effect of counselor’s self-healing experience on the counseling field using narrative method of Expressive Arts Therapy. The researcher myself was chosen to study who experienced in the Work of EAT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with Narrative Analytical basic principles from December, 2017 to July, 2018. 1. On the place-situational level ‘Abs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and ‘over Faithful’ of the researcher's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e two kinds of the characteristics were supposed to be from the anxiety not to be abandoned and originated from the traumatic event when the mother left the one year old baby researcher alone in a bus-terminal. 2. On time-continuity level, outwardly ‘Relational addiction’ and Workaholic were imprinted not to be abandoned and recognised. Hence she used to overworked and dedicate herself excessively to the family members in law and her biological family members to have good relationships at adult age. On the other hand on inwardly ‘Self-insight’ and Self-growth of the researcher were developed increasingly. 3. On the interactional level, inwardly ‘Adaption’ and outwardly ‘Challenging’ were confirmed for the researcher to be survived and successful in the real world of lif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especially made it to connect and extended to 4th level of the spiritual through repeating the 3 levels of awareness, with the life-long religion of the researcher. All the awareness including the spiritual awareness was embodied over all body-parts. All the processes of a counsellor's self- healing was self-disclosed, never found in domestic and academic society. Both of two phenomenological methodologies such as Expressive Arts Therapy and Narrative Analysis are integrated with such as image, senses, emotion, and movement. Through this study, a brand-new research methodology, Expressive Arts Therapeutic Narrative is suggested.

      • 할프린 신체부분은유기법 중심의 소매틱 즉흥춤 프로그램이 무용수의 신체자각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안선희,박은화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This thesis studies the topic of the effects of the somatic improvisation dance program, which centers on the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body awareness, and expression of modern dance majors. As for more in-depth content, this research constitutes a program centered on the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which deals with life experiences and symbols that are inherent to corporeal bone and muscles, above all other various dances and recovery methods of Halprin, and it applies this program to modern dance majors to study its effectiveness. Most of the improvisation dance process consists of moments and creations of novel works as movements are realized, not of moving towards a goal with specific topics or intentions, and this process can be seen as putting focus on change and creation by awakening the body’s latent senses. In that respect, the research in this thesis argues that, in order to reformulate a program centered on Halprin’s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and to thereby achieve understanding of one’s body and creative expression, a creative program that instigates deeper understanding of one’s own body and ability to express creatively must be designed instead of lessons and coaching on techniques. Furthermore, a somatic characteristic of improvisation dance is that the human is the organic being of the body and the mind. This process,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healing a person through he or she placing an 188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제1권 제1호, 2018년도) unconditional trust in the physical/mental capability of humans, becomes a meaningful working process that can reveal one’s ability to express creatively through choreographing or creating, and that includes an internal healing process as well. With a movement-oriented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at the center,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which works with the body, is the integral application of expressive arts with the Jungian psychology of active imagination, the various methods of healing in Gestalt’s psychotherapy, etc. Based on such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thesis attempts to practice the work of integrating the body and heart of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ho are modern dance majors, using imagination and association to search for emotions and images remembered by each body part and connected with one’s life. This, ultimately, is also the aim of this research. At the same time, the somatic method is an important process in improvisation dance, and the program in this research is considered highly applicable because it is developed around the physical self-consciousness and the metaphorical relationship, both of which can actualize the process in a more specific manner. Therefore, this research proceeds through two-level studies: the first level consists of a program that revolves around a somatic body-part metaphor technique combined with improvisation dance, and the second level consists of examining physical/mental changes through physical self-consciousness and expression. In order to draw these proces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pos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rganizes a somatic improvisation dance program that revolves around Halprin’s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verifies how the program affects modern dance majors. Specifically, it looks at how a somatic program influences the physical self-consciousness and expression of modern dance majors. To test this, a total of seven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physical self-consciousness ability, expression, and physical/mental change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somatic method of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First, after looking at the subcategories of physical self-consciousness capability, physical competence showed the greatest change, followed by physical interest and internal self-consciousness, a manner of order that revealed that the program influenced the participants’ physical self-consciousness competence. Second, after looking at the subcategories of the above analysis, expressivity showed the greatest change, followed by variety, individuality, and significance, leading towards the conclusion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rticipants’ expressivity, variety, and individuality. As a result of both quantitative research as well as the analysis and observations of qualitative responses from individual participants,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a special response from and effect on the physical, mental, and cognitive aspects of various areas. Therefore,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omatic improvisation dance program focusing on Halprin’s body-parts metaphor technique on the body awareness and expression of modern dance majors, analyzed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to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d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at various levels, and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body awareness and creative expression. 본 논문은 할프린 신체부분은유기법을 중심으로 한 소매틱 즉흥춤 프로그램을 현무용 전공자 들에게 실시하여 즉흥춤 작업 과정에서의 신체자각과 예술 표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현무용가이자 예술교육자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할프린의 다양한 춤과 통합적 교육 방 법들 중, 신체부분은유기법은 신체 부분의 구조와 기능으로 인해 뼈와 근육을 중심으로 행하는 동 작들이 삶의 특별한 경험들을 만들어 내고, 그 경험들이 삶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는 현상 학적 작업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부분은유기법의 기본 관점 및 기법을 무용수들을 위한 프 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의 체험들을 분석해보는 것으로 이루어 졌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사전ㆍ사후로 분석해 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에게 실질 적인 도움이 되었으며 참가자들의 신체자각과 표현에 변화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각 개인의 심리 적, 정서적인 부분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로 그들의 창조적 예술 작업에 다양한 측면에서 자원이 확장되었다는 점과 더 나아가 무용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겠다.

      • 신념처 명상의 체화를 위한 소매틱 움직임 고찰

        안신정(An SinJung)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불교의 신념처 명상이 소매틱 움직임의 관점들과 어떤 공통성을 가지는지, 명상을 체화하는 데 소매틱 구조와 움직임 방식들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이론적 고찰이다. 몸과 움직임은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법 중 신념처 수행의 대상에 속한다. 신념처 수행법은 몸을 통한 호흡, 자세 및 움직임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현상이 ‘나’라는 집착 대상을 허물기 위한 것이다. 자아가 있다는 생각과 습관에서, 만족과 불만족에서, 기쁨과 실망, 혐오들에서 벗어나 자유롭기 위한 목적을 지니기 때문이다. 신념처 수행의 네 가지 요소는 첫째, 호흡 관찰. 둘째, 네 가지 자세를 꿰뚫어 아는 통찰. 셋째, 몸의 움직임을 알아차리는 정지. 넷째, 이들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챙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소매틱 관점의 움직임들과의 관련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신체 감각, 감정 및 인지적 상태를 주의 집중해서 관찰하는 것은 소매틱영역의 개념인 1자적 체험, 즉 내관內觀으로 자기인지를 강화시켜 신경가소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결된다. 둘째, 몸의 자세를 통해 변화되는 신체와 정서 상태를 알아차리고 정신적으로 인식하는 정지는 소매틱 영역의 고유수용감각 및 내부감각을 활성화 및 횡격막 이완을 통한 자연스러운 호흡과 상호관련성이 있다. 셋째, 몸 움직임을 통해 드러나는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통찰하는 방법들은 느리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통해 결합조직을 이완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구조화 하는 소매틱적 관점을 연결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심부근육과 접촉은 감각운동기억상실과 묻어둔 깊은 감정들과도 접촉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넷째, 지금 여기 현존과 체화로의 의도적인 훈련으로서 마음챙김은 근육을 늘리는 수련을 통해 몸의 내 외부 공간을 확장하여 더 자유로울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에 근거한 움직임과 예술적인 방법으로 몸의 내부공간에 쌓아 두었던 감정을 흘려보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신념처수행의 4요소와 소매틱적 관점은 움직임명상을 체화하는 구성요소로 긴밀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oretically what buddhist ‘Sinnyeomcheo’ meditation (i.e. mindfulness through discerning the body as it is) has in common with somatic movement in their perspectives and how somatic structure and movement methods are related to embodiment of meditation. Body (Soma) and movement are categorized into the targets of Sinnyeomcheo discipline of all the buddhist traditional disciplines. Sinnyeomcheo discipline is that all phenomena occurring from breathing, posture and movement through body are for getting out of obsessing over ‘me’ as an obsessed target. This is because it has the purpose of getting free from the idea on the presence of our ‘self’ and habituating to the idea, satisfying or dissatisfying with, being delighted or disappointed at or abhorring the idea. Sinnyeomcheo discipline consists of four components; 1) anupassanā, observation of breathing 2) paññā, insight into four postures 3) sampajaññā, awareness of body movement, 4) sati, mindfulness facilitating all the above elements from 1) to 3), and each component has relevance to somatic movements as follows; first, concentrating our attention on observing the status of body’s sense, emotion and awareness is connected to reinforcing ‘witness’ by introspection, i.e. first-person experience as a somatic concept and then increasing the neural plasticity. Second, sampajaññā, which means awareness of physical and emotional states changed by body postures and mental recognition of them, is correlated with activating somatic proprioception and interoception and natural breathing by relaxation of diaphragm. Third, ways to make the unconscious which is felt through body movements become conscious and to have an insight into it relax connective tissues by slow and smooth motions and connect to the somatic perspective in which damaged tissues are restructured. Also, contact with deep muscles makes the contact with sensory motor amnesia and deep hidden emotions possible. Fourth, mindfulness as an intentional training for here-and-now presence and its embodiment tested the possibility to get freer by expanding body’s inner and outer spaces through practice of elongating muscles. In addit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movements based on mindfulness and artistic methods can disembogue emotions which have been stored in body’s inner space. Therefore, it is realized that the four elements of Sinnyeomcheo discipline and the somatic perspective can be connected closely with each other as components to embody the movement meditation.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양육수준에 따른 협력행동 및 갈등관리전략의 차이

        김혜성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high school students’ cooperation behaviors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al over-prot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K-POS was administered to a total number of 637 students (consisted of 281 first grade students and 356 second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in Seoul. Out of these students, 2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overprotected group, and another 2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Targeting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a public goods game task in social dilemma situations was carried out and the differences in cooperative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same time, tasks related to possible conflicts that may occur between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ers, or other adult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i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s we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cooperation behavior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the overprotected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relation to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s correlated with how overprotective their parents’ we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operativ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effect was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 in other words, cooperative behavior increased with the grad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과보호 양육 수준에 따라 자녀의 협력행동 및 갈등관리전략에 차이가 있 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637명(1학년: 281명, 2학년: 356명)에게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를 실시하여, 과보호 집단 25명과 비과보호 집단 25명 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공공재 게임 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협력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동시에 부모, 또래, 기타 성인 간의 갈등과제를 제시하여 두 집 단 간 갈등관리전략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보호 집단과 비과보호 집단 간의 협력행동 및 갈 등관리전략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년에 따른 갈등관리전략의 차이는 부모의 과보 호적 양육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보호 집단과는 다르게 비과보호 집단에서만 학년이 높을수록 더 다양한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또, 협력행동의 경우, 학년에 따른 주효과 가 확인되었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협력행동이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의의에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커뮤니티 댄스에 대한 50+세대의 인식 연구*:- 커뮤니티 댄스 체험자와 미체험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최보결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50+세대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변화들이 주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회복할 수 있 는 역으로서의 커뮤니티댄스 역할과 확장 가능성을 알기 위한 기초인식 연구이다. 이를 위해 커 뮤니티 댄스 체험자와 미체험자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다. 결과로, 커뮤니티댄스를 체험한 집단은 개인 내면의 성장, 인간성 회복, 소통을 중요가치로 여 기고 있었다. 또한 커뮤니티 댄스에 관해 소통적, 체험적, 인간적, 치유적, 본질적이고 예술적이라 는 가치를 키워드로 꼽았으며, 그 중 자기 치유와 누구나 할 수 있는 춤이 핵심 단어가 되었다. 미체험자 집단은 자아성장 및 계발추구, 가족중심, 생활방식, 자기건강을 중요가치로 여기고 있 었다. 커뮤니티 댄스는 공동체와 타인에 대한 이해가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으며, 개 인의 신체적 상태와 함께 대인관계와 사회적 측면의 변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댄스 체험 전후의 인식에서 체험자는 자신의 내면적인 면과 신체적인 변화에 대해 긍 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커뮤니티댄스는 내면의 성장과 인간성 회복을 높은 가치로 인식되며 소통의 중요한 도 구가 된다는 인식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50+세대를 위한 커뮤니티 댄스의 다양 한 계발이 요구된다는 것에 함의하는 연구가 되었다. This thesis is a basic research on how people get aware of the role and extensibility of community dance as a tool with which 50+ generation (the elderly of 50 and over) can relieve and recover from stress their soci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may cause. For this researc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volving two different groups: people who experienced community dance and unexperienced ones. As a result, the group with the people who experienced community dance regarded personal inner development, recovery of humanity, communication as precious value. They selected ‘communicational, experiential, humane, sanative, fundamental and artistic’ values as the keywords for community dance and among them, self-healing and ‘Creedence’ dance were the most salient words. The group with unexperienced ones considered the growth and on-going development of self, family-oriented way of thinking, lifestyle and their health as important value. They expected that community dance would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ir community and other people and also expected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ther social aspects, along with in personal physical conditions. On the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community dance, the subjects in the dance-experienced group rated their inner and physical changes positively. Hereby, we could draw an awareness that community dance is recognized as high value for the inner growth and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becomes an important tool for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developments of community dance for 50+ generation are required from now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