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 청소년복지예산의 결정요인 분석

        김지경,정윤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체감도 높은 청소년복지정책을 추진하고, 적절한 청소년복지정책예산의 확보 및 예산 편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16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수집한 2009년∼2012년까지의 청소년복지예산을 결합시계열 자료(pooling cross-sectional timeseries data)로 구성하고, Newey-West 추정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지방정부 청소년복지예산총액은 지난 4년간(2009년∼2012년) 19억원 정도 증가 하였으며, 1인당 청소년복지예산액은 5천원 정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청소년복지예산총액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점증 요인을 제외한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복지수요 요인, 재정능력 요인들이 청소년복지예산총액을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전체인구수(사회·경제적 요인)가 많고, 지방의 재정적인 능력(1인당 지방세액, 재정자주도)이 높을수록 청소년복지예산은 증가하고, 여당의 자치단체장보다 야당과 무소속의 단체장들이 청소년복지예산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 인구 비율과 예산 중 국비비율은 청소년복지예산총액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1인당 청소년복지예산액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요인과 복지수요 요인, 재정능력 요인이 1인당 청소년복지예산액을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경제적 요인 및 복지수요 요인은 1인당 청소년복지예산액을 감소시키고, 재정능력 요인 중 1인당 지방세액, 재정자주도는 1인당 청소년복지예산액을 증가시키는 반면, 국비비율은 1인당 청소년복지예산액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청소년복지예산 결정에 자체 재정력 즉, 1인당 지방세액 및 재정자주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in the local government. For this study, we collected the data on the local government budget from 16 metropolitan governments from 2009 to 2012 and pooled the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data. Using this data,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budget and analyzed determines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using Newey-west estimator model.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total amount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had increased 1,900 million won and the amount of per head of youth population had increased 5,000 won for four years(2009∼2012). Second, the total amount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was determined by socioeconomic, political, welfare demand, local fiscal capacity factors except for the budget size of previous year. The population and local fiscal capacity(local taxes per person, financial autonomy rate) factors affected the total amount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positively. Also, Political Factor influence in total amount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that political party o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s head increased the amount of the total budget. But welfare demand factor and ratio of government expenditure of local fiscal capacity factor influence total amount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negatively. Third, the amount of per head of youth population was determined socioeconomic and welfare demand, local fiscal capacity factors. Socioeconomic and welfare demand had decreased the amount of per head of youth population. The Local taxes per person, financial autonomy rate(local fiscal capacity) has increased the amount of per head of youth population. But ratio of government expenditure influenced the the amount of per head of youth population negatively. Local financial power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budget for the youth welfare.

      • KCI등재

        청소년복지이념의 재조명: 경제적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복지사회기반으로의 이념적 전환을 중심으로

        노혁 ( Hyouk Roh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청소년복지는 사회복지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고 있으나, 복지 이념체계에서 복지와 경제의 불가분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청소년복지에서도 그대로 수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서의 청소년복지이념에 주목하면서 궁극적으로 포괄적 복지 개념을 안고 있는 청소년복지의 독자적 이념방향 탐색을 목적으로 하여, 경제적 시각을 넘어선 청소년복지이념의 핵심을 제시한다. 또한 ``경제인``에서 ``복지인``으로의 전환을 통해 청소년복지의 이념 방향과 실천과제를 탐색해 청소년복지의 이념적 모색을 추구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at the social welfare and youth welfar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ut welfare and economic in the welfare system of ideology or philosophy tend to emphasize the inseparable from the question of how to accept that the study begins. As a field of social welfare, especially focusing on youth welfare ideology, and ultimately involve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welfare and welfare of youth should seek independent ideological direction. In this regard, beyond the economic perspective, presents the core of youth welfare ide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eventually ``The economic man`` from ``The welfare man(human)`` awareness of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transition through the youth welfare and youth welfare and practical tasks, the search is to seek to explore the ideological.

      • KCI등재

        청소년복지권의 성격과 증진 방안연구

        김선애 ( Sun Ae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4

        청소년복지권은 사회권의 하나이다. 성인의 복지권에 비해서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논의는 매우 미약한 상황이다. 청소년복지권은 현재 법과 제도로서 권리뿐만 아니라 현실 생활과 밀접한 실효적 권리여야 한다는 면에서 국가와 사회의 현재와 함께 미래적 전망도 포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사회적 권리로서 청소년복지권의 특성과 성격을 명확히 규정하고 정리하여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복지적 권리를 증진하고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1) 아동복지권의 연장에서 청소년복지권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2) 청소년복지권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을 논의하며 담아야 할 내용과 유형을 도출하고 3) 복지권의 범주 안에서 청소년복지권의 증진방안을 논의한다. 그 결과 청소년복지권을 증진하기 위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올바른 복지권 향상을 위한 복지권리 교육이다. 둘째는 청소년 개인과 사회적 권리를 넘어선 미래권리로의 확대이다. 셋째는 실질적인 복지프로그램의 개발이다. 넷째는 청소년복지권의 자치입법이다. Welfare rights for Youth is one of the social rights. Compared with adults it youth welfare rights very important, but it is a weak situation for discussion. Youth Welfare Rights are comprehensive futuristic outlook, along with the current of the state and society in that it must be a real and right to intimate life right now, as well as laws and institutions also. This study will first clarify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provisions youth welfare rights as social rights to organize and proposes measures to promote and improve the welfare rights of youth based on it. Accordingly, this research are: 1)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welfare rights in the extension of the child welfare rights 2) youth welfare rights derive the content and type to be discussed and put an orientation to pursue this, and 3) in the scope of welfare, they discussed youth``s welfare rights,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promote their welfare rights as follows: The first, a welfare rights education for the correct youth welfare rights improved. The second is the expansion of the youth rights as the future goes beyond individual rights and social rights.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elfare programs. The fourth is youth welfare rights should be enact an ordinance for each autonomous region.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긴장이 비행과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의 조절효과 탐구

        최지원 ( Ji Won Choe ),한윤선 ( Yoonsun Ha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3

        한국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 및 학교 부적응과 이중언어 간 관계를 이해하고 개인 내적·외적 체계의 다양한 보호요인을 탐구하려는 시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그 긴요성에 불구하고 아직은 희소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의 5차년도(2015년) 자료인 한국 다문화 청소년 1,279명을 대상으로 일반긴장이론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첫째, 부족한 한국어 능력 및 능숙함에서 비롯한 언어긴장이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 및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가 비행 및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셋째, 언어긴장과 비행 및 학교 부적응의 관계에 있어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가 보호요인으로서 갖는 조절효과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계승어 능력과 부모지지 수준은 비행 경험 확률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에 언어긴장이 미치는 영향을 계승어 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스트레스 수준과 한국어 비능숙도 모두 학교 부적응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계승어 능력, 자아존중감, 부모지지의 수준 모두 학교 부적응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과 학교 부적응 문제에 개입할 때 이중언어, 자아존중감, 부모지지를 고려하는 것이 유효한 접근이면서도 계승어에 대한 인식 제고와 사회적 제반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re are rarel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 and to explore various factors of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to protect immigrant adolescents even though these attempts are required as the increase of immigrant adolesc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2015; N=1,279),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The general strain theory was used to analyze dat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and the impact of protective factors such as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was examined. Major results showed first,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and parent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delinquency. It was identified that only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tatistically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Meanwhile, both the level of stress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 incompetence had a positive on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negatively influenced school maladjustment of immigrant youths. Based on these results, when there is an intervention i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considering bilingualism,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is an useful approach. It suggests that enhancing the awareness of heritage language and social consideration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 서비스 주체 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선필호 ( Phil Ho Sun ),김동주 ( Dong Joo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과 효과성에 대한 서비스 주체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수요자인 다문화가정 청소년 어머니 101명, 전달자인 기관 종사자 78명, 공급자인 공무원 98명 등 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사후비교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서비스 주체에 따라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과 효과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수요자는 전체 변량의 75%, 전달자 70%, 공급자 72%로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기준이 효과성을 설명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y service subjects on administrational standards and effectiveness of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that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otal 277 subjects including 101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fare service beneficiaries and 78 institution workers as deliverer, and 98 public servants as provider. For data analysis, the wer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multiple comparison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dministrational standards and effectiveness of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kind of ordinary level. Second, the perception of administrational standards and effectiveness of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different by service subjects.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ministrational standards and effectiveness of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the administrational standards effect of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effectiveness indicated 75% of the total variation of the provider, 70% of deliverer, 72% of provider explained the effectiveness of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improve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청소년복지의 실천적 정립을 위한 고찰 -아동복지실천과의 비교를 통한 청소년의 개발적 복지접근을 중심으로-

        김선애 ( Sun Ae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4

        본 논문은 아동복지실천과 비교하여 청소년복지실천의 방향과 논의점을 제기하고 그 원리와 방법 등을 관련 문헌의 연구와 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복지지원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개발의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실천 인식틀의 요소인 직접적 치료와 환경의 조정, 서비스 등의 상호적 관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실천원칙과 방법, 청소년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해 청소년복지관련학에서의 청소년복지실천의 함의를 도출하여 청소년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principle and its methodologies for the adolescent welfare practice through close observation on the relevant literatures. It also addresses the direction and challenges for their welfare practice compared to the child welfa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s the difference in welfare supports to the child and the adolescent, and further investigates three factors and their relation of understanding framework for the social welfare practice in terms of the adolescent development, i.e., direct treatment, environmental manipulation, and adminstration of a practical service. This study also explores on fundamental change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adolescent or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of welfare practices. Based on such explorations, this study addresses the potential and limit of social welfare for the adolescent by deriving the implication of an adolescent welfare practice in the adolescent welfare studies.

      • KCI등재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신혜란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ation counseling, and to examin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under probation based on the volunteer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Eleven volunteer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counseling for adolescent probationers at the probation office, were interviewed in depth.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categories. The approach of the grounded theory design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core category representing the topic of this study was that ‘a volunteer counselor enthusiastically started to counsel adolescent probationers but retained consistently counseling them, realistically negotiating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y did as possible as they could.’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understanding the system of the probation, the characteristic of volunteer counseling, and the emo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ts was necessary. The result shows that volunteer counselor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intimate counselor,’ ‘parental counselor,’ ‘counselor with time-limited counseling,’ and ‘educational counselor’.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counseling consisted of 4 steps, ‘Getting to know’, ‘Waiting’, ‘Melting into’, and ‘Moving forward’ and all of these steps repeatedly happened when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which allows the whole process of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to be viewed. Plus, the role and the awareness of volunteer counselors were verifi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at the national level were cover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urther studies to explore detailed methods which are not only to more understand adolescent probationers but to help practical probation counseling. 본 연구는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경험을 통해 보호관찰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이며,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과정과 상담의 특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주요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청소년들을 상담하고 있는 자원상담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원자료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하여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중심 주제를 대변하는 핵심범주는 ‘의욕적으로 보호관찰청소년 자원상담을 시작했다가, 내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현실적인 타협을 해가며 앞으로 계속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자원상담원들은 비행청소년에 관한 관심,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고 싶은 마음, 사회봉사 하고자 하는 의지, 기존 상담영역을 확장하고 싶은 마음, 상담교육 후 상담경험을 시작하고 싶은 마음 등으로 보호관찰청소년상담을 시작했지만 보호관찰 제도와 자원상담의 특성,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환경적 이해가 필요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호관찰청소년을 상담하면서 상담원들은 4가지로 유형 - ‘친근형’, ‘부모대리형’, ‘상담한계 설정형’, ‘교육지도형’으로 각기 다른 방식의 상담을 진행하고 있었고, 상담과정은 ‘알아가기’, ‘기다려주기’, ‘내어주기’, ‘녹아들기’, ‘나아가기’ 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과정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원상담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호관찰청소년 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가 보호관찰청소년을 조금 더 이해하고 실질적인 보호관찰 상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을 통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다영,강현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서 교우관계․학업․교사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기의 6차-8차년도(2016년-2018년) 조사에 모두 참여하고 주요변수에 성실히 응답한 다문화청소년 1,158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수 모델링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와 학업을 통해 진로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는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한 다문화청소년이 학교에서 적절히 진로태도 형성해 나가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엽 ( Jae Yop Kim ),이근영 ( Keun Young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변수로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교 남녀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자 1,140명 중 50.6%와 18.6%가 각각 지난 1년간 음주와 흡연을 경험하였고, 57.5%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행했다고 응답하였다. 음주와 흡연을 많이 경험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청소년의 음주와 흡연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조절함으로써 청소년이 학교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개입하여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drinking and smoking to their aggressive behavior at school and it tries to defin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inter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adolescents of mixed gender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ut of total 1,140 adolescents in the research group, 50.6% drank alcohol and 18.6% smoked tobacco in the previous year and 57.5%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or the last week. Adolescents who used alcohol and tobacco were more prone to have higher school violence rates than adolescent groups who did not use substance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adolescent`s drinking, smoking and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tervention that prevents adolescent`s drinking, smoking and school violence promotes healthy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s

      • KCI등재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법 비교

        김영희 ( Young Hee Kim ),강은정 ( Yeun Jung K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의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대하여 비교 연구함으로써 그들이 보다 적응적인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명령 수행 중인 청소년과 소년원에 입소해 있는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다음 그에 따른 일반청소년의 표집범위를 설정하였다.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법에 관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내용을 SPSS 18.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일반청소년이 비행청소년보다 스트레스를 받는 수준이 높았으며, 하위 원인별로는 경제적 문제관련 스트레스를 제외한 부모관련, 성적 및 학교관련, 친구관련, 외모관련 스트레스를 유의미한 차이로 받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이 가장 많이 사용한 대처방법은 회피중심 대처방법이었고, 일반청소년이 과업중심, 정서중심 대처방법을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청소년이 어떤 스트레스를 받느냐에 따라 각 대처방법 수준은 달랐고, 세부적인 내용은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이 서로 달랐다. 넷째,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이 대처방법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달랐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외되었던 제주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성장을 도울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 청소년 스트레스를 향한 지도 및 개입전략은 지역적 또는 환경적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밝혀냈다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xpression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ECR), Self Expression Scale (S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RSC) were investigated. 3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115 men, 215 women), South Korea, who loved each other,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measured variable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non-strained approach designed by Marsh, Wen, and Hau, in 2004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dimension of adult attach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xpression. Second, self expression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anxiety dimension of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When university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romantic relationship, preventive approach behaviors such as active efforts to overcome their hardship, demands for acquaintances’ social support and self expression about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ere more helpful for their mental health.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building the meaningful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counselors while counseling and the intervention to enhance self-expression for couple therap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