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지리학계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에 대한 고찰

        이전(Jeon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 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는 대한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 province scale(시·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 KCI등재

        미국 지리교육자의 한국에 대한 지식과 주권교육 중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윤옥경(Yoon, Okkyong),최종남(Choi, Jongna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는 미국 지리교육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을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영토관련 쟁점들을 세계시민교육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미국 지리교육자의 한국과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수준과 주권교육의 중요성 및 주권교육이 추구하는 하위가치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했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이들의 한국에 대한 지리 지식수준은 한국에 대한 문화 지식수준에 비해 높았고, 한국에 대한 교육 이수 경험과 한국 방문 경험이 이들의 한국에 대한 지리 및 문화 지식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 국 지리교육자의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수준의 높지 않다. 그러나 이들은 지리교육에서 주권교육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세부적으로 주권교육이 추구하는 하위 가치로서 영토의 경제적 가치와 지역갈등 해결능력 등 실질 적, 실용적 요소보다는 애국심이나 세계시민교육을 중시한다. 또한, 이들의 주권교육에 대해 중요성에 대한 인식수준 과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수준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한편, 한국방문과 한국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이 이들의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리교육자를 교육함으로써 한국과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관한 홍보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각종 국제 홍보전략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This study examines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familiarity and knowledge of Korea, their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and their knowledge on Korea’s sovereignty issues using the survey conduc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NCGE)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and 2012. This study also analyzes how much these knowledge and perception influence on values of sovereignty education and Korea’s sovereignty issues and further investigates proper educational approaches on territorial issues in Northeast Asia.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Korea of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is higher than their knowledge on Korean culture. Both experiences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bout Korea and visiting Korea further enhance their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Korea and Korean culture. They agree the importance of sovereignty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and believe that sovereignty education should promote students’ sense of patriotism and encourage students to be global citizens who promote public interests. However, they value less on teaching on the economic value of their own country’s territory and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territorial conflicts with other countries.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improves their familiarity with and knowledge of Korean territorial issu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Korea and Korean territorial issues can maximize geography educators’ accessibility to Korean territorial issues, regardless of their interest in territorial issues. These findings help Korean government develops better strategies for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future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practices for Korean territorial issues.

      • KCI등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이은숙(Euns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Since its found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has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such as Korean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y,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 Korea's history and culture embedded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ical phenomena. During the initial ten years, the active research of th korea's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Association became the well-established area of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ten years of the Association were devoted to studies of old map, Feng Shui landscape and the building of general system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t the same time, one observes an increase of the studies adopting the cultural and ecological approach as a way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nect modern human geography and traditional geography, there have b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oponyms or contemporary diaspora. Young geographers in particular have been trying to use cultural-political or social-economical approaches regarding historical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nd to apply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culture. 1988년 창립이후 한국문화역사지리확회는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전통적 환경지각 방식, 문화경관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역사와 문화, 과거 문화역사지리적 현상의 복원 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처음 10년 동안은 한국의 전통지리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학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10년 동안은 고지도나 또는 풍수경관 등 전통지리학연구의 증가와 함께 종합적 체계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여 왔다. 한편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현대 인문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연결방안의 하나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지명 연구, 현대 디아스포라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려TEk. 특히 젊은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대안으로 신문화지리학적 접근, 사회와 문화의 역사적 변동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문화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변천과 지역 단원 구성의 특징

        강창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Geography in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t focuses on internal demand aspects and external influence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 organization of Korean Geography was composed of systematic geography centered on human geography after 『Geography I』 in the second period. Until the second period, 『Geography I』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fourth period, 『Geography II』 was changed to a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Geography was changed to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Our Country Geography』→ blank period for Our Country Geography→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National Geography』→chaotic period of National Geography→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and elective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 Third, in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regional geography was composed of one or two units, including ‘geography of living in each region,’ which is a key topic, or in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of the region and regional classification’ or ‘unification and division of national territory.’ Finall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centered on functional regions, but in actuality w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gional names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made up of different names, such as different hierarchical names, at different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regional sco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지역 단원 구성, 지역 구분 등 내재적 측면과 사회과 편제 등 외재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지리는 제2차 교육과정기 『지리 I』부터 인문지리 중심의 계통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지리 단원은 제2차 시기 『지리 I』까지 전통 지역지리(지방지) 체계로 구성되었고, 제4차 시기 『지리 II』부터 지역지리 체계로 변화되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우리나라 지리』 필수 과목기→우리나라 지리 학습 공백기→『국토지리』 필수 과목기→국토지리 학습 혼란기→『한국지리』필수 과목기→『한국지리』 선택 과목기로 변천되었다. 셋째, 계통지리 중심 내용 체계에서 지역지리는, 핵심 주제가 되는 ‘각 지역의생활’이 1개 단원으로 포함되거나,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혹은 ‘국토 분단과 통일’ 단원과 연계되어 2개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 구분은 기능 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실제는 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역 구분에 따른 지역명칭은 그 범위와 지역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명명되거나 위계가 다른 명칭이 혼용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게재 논문으로 본 도시지리 연구의 주제와 과제: 1998~2016년

        최재헌 ( Jae Heon Choi ),김숙진 ( Sook-jin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창간 20년을 맞이하여 1998년~2016년 동안 게재된 461편의 학술 논문을 도시지리학의 하위 연구 분야별로 분류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경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전통적인 연구 분야였던 도시체계와 도시구조 연구보다 도시응용 분야에서의 연구가 확대되고 도시 문화와 도시사회 분야의 논문 게재 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즉, 이론보다는 쟁점과 문제해결 지향적으로 연구 관심도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도시지리학의 연구주제별로 핵심 연구자 집단이 일정 수준에서 확인되고 있다. 향후 도시지리학의 과제는 학술 연구의 양적 질적 확대와 연구 성과의 대중화, 심화연구와 연구범위 확대를 통한 한국적 도시지리 담론의 형성, 다양한 연구방법의 도입, 지속적이고 반복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 도시지리 이론 마련, 사회적 현안 관련 연구 주제의 선도화, 이슈와 문제해결 지향적 연구와 순수학문 지향적 연구의 조화 등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research themes and issues of Korean urban geography by analyzing 46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during 1998~2016. It attempts to discuss curr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tasks. The result reveals the increasing number of papers in applied urban geography focusing upon urban cultural social themes and urban policies rather than traditional urban geographical themes such as urban system and urban structure, which also implies the shift of academic interests into issues and problem oriented urban geography from the pure-academic oriented one. The future tasks for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may include expansion of research both in volumes and quality to enhance public awareness, formation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discourse, vigorous search for various new research methodologies, establishment of urban theories to explain Korean urban phenomena, exploration of new research issues relevant to Korean society, and making a balance between academic interests and social practice for problem solving.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한국 군사지리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황성한(Hwang Sung-Han),김만규(Man Kyu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12

        군사지리학은 지리적인 요소를 군사적 행위에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다. 연구의 범위는 군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자연환경, 군부대와 제반 사물의 위치, 그리고 특성 및 분포가 가지는 영향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군사지리학은 응용지리학의 한 분야이며 군사학의 주요 교육과목에 포함되어 있다. 군사지리학 연구의 결과는 군대의 작전 및 용병술, 그리고 군사이론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1970년대~1980년대의 한정된 기간 동안에 군사적 업무수행 목적 하에 수행되어졌으나 현재는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반면에 영미권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기존의 전쟁에 기여하는 관점의 연구가 초래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는 방향으로의 영역 확장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군사지리학의 중요성에 대해 시대별 용병술 형성 및 군사학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과 현재의 군사지리학 연구 및 교육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군사지리학 연구 및 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군사지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교육수준 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 관련 기관간의 협의체 구성, 지리학회 내의 군사지리학 관련 소분과 설치 등이다. Military Geography is a literature studying to apply geographical elements to military behaviour. The Category of study includes nature environment, location of military troops and overall objects, an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centered in military situation. Therefore military geography is a part of applied geography and included as major education subject in military sciences. The study result of military geography conduct important role offering theoretical base to military operation and tactics and military theory. The study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was conducted under the object of military practice perform during limited period from 1970s to 1980s, but now came downturn generally. Whereas, domain expansion effort have been deployed in anglo american military geography to overcome the negative recognition contributing to the war. So this study conducted discu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specific tactics formation and military science, and analysed present military geography study and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discussion result, this treatise proposes three plans to improve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The key contents of plan are comprised with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the construction of council between relevant organism, and the installation of subdivision in relevant geographical society.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과목의 위치정보 문항 출제 경향 연구: 인문(경제)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이소영 ( Soyoung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2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4 No.1

        위치 지식은 지리학에서의 핵심개념이자 고차적인 지리적 사고를 위한 기초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위치 지식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약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과목의 위치정보 문항 분석을 통해 출제의 경향성 및 학생들의 위치 지식 수준을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요소로서의 출제 지역이 공간적으로 편중되어 나타났고, 특히 영남권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둘째, 사실 기반 위치정보 문항에서는 지역특산물과 같은 지리적 표시제, 지역축제 등 지역성을 묻는 내용이 많았다. 셋째, 개념 기반 위치정보 문항의 내용은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영역으로 구성되는데, 경제지리와 관련된 문항은 농업 2건, 공업 2건으로 총 4문항이 출제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위치정보 문항을 어렵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유형에 따라 어려움의 정도는 상이했는데, 학생들은 고차적 사고를 요하는 개념 기반 문항을 더 어렵게 느꼈다. 그중 경제지리 관련 문항을 두 번째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출제 지역의 스케일에 따라서도 정답률의 차이가 있었는데, 학생들은 보다 정밀한 스케일에서의 문항을 상대적으로 더 어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research explores the tendency of the items that require Place Location Knowledge (PLK)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eographical regions of the items are spatially skewed, especially in the Yeongnam regions, which are test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e others. Second, the fact-based items more concern with regionality such as geographic indication system and regional festivals. Third, the concept-based items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and there were four items related to economic geography. Fourth, students tend to find it challenging in the items asking PLK. The difficulty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tems. The students find concept-based items which require high-order thinking more challenging. There is also differences identified between contents. For example, the section of physical geography, especially climatology-related, were considered the most challenging followed by those of economic geography. Finally, the differences in the rate of correct answer are associated with the scale of the regions covered in the items and students experienced more difficulty in the items asking more precise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