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만남을 중심으로-

        안신 ( Shin Ah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학회의 세계화와 2011년 대만에서 열린 세계 신종교학회의 국제학술대회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자들의 당면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신종교연구에서 최근 서구학자들의 관심이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신종교학회는 1970년대 서구신종교들의 부흥과 더불어 스웨덴, 이탈리아, 영국, 미국의 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연구소와 지역학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2009년에 국제학회를 결성하고 국제저널을 출판하고 있다. 2011년 처음으로 동양에서 세계대회가 개최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활발한 상호 교류가 기대된다. 둘째로 대만의 유불선 다종교상황에서 기독교 사립대학 알레떼이아대학교(眞理大學校)의 대회유치는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문적 위상과 연구범위를 잘 보여준다. 단순히 제도종교나 신종교 종단에 대한 연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와 이슬람을 포함한 기존 세계종교들의 새로운 변화들과 종교문화 콘텐츠의 종교성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셋째로 발표된 논문들의 내용을 분석해 볼 때 학제 간 연구, 사회과학적 접근, 종교문화의 콘텐츠분석, 비교종교연구 등이 연구의 주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넷째, 학술대회에 이어 마련된 대만지역 종교문화답사는 세계의 학자들이 대만의 종교인들을 직접 조우하며 ``살아있는 종교박물관``으로서 대만의 다종교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종교학회는 국제학술대회에 대한 지속적 참가와 학술교류를 위한 제반여건을 강화하고 신종교 관련 전문연구소들과 유관 학회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이루어 장기적 안목에서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ask and respec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KANR) by analyzing the 2011 Cesnur Taiwan Conference. Taiwan Conferenc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paradigm shift from the West to the East in the study of new religions. Scholars of Sweden, Italy, UK, and USA have played major roles in studying new religions in the West since the 1970s. In 2009, they founde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New Religions (ISSNR), publishing its English journal twice a year. Taiwan Conference was the first conference held in Asia. We can expect active interchanges between KANR and international societies. Second, the multi-religious situa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aiwan and a Christian host institution, Aletheia University, reflect the present academic concern and boundary of ISSNR. The object of study covers institutional religions, new religious groups, new trends of existing religions, and religiosity of religious culture contents. Third, by classifying more than 50 papers delivered at the confer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social science approaches, contents analysis of religious culture, and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are major trends. Fourth, post-conference excursion was very helpful for scholars to participate local festivals and to visit major Taiwanese religious communities. In conclusion,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needs to keep continual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scholars through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s. Strengthening the research abilities to study new religions and cooperating with other academic groups, KANR should create the creative environment to hold the nex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ew religions.

      • KCI등재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의 분석적 탐색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및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지를 중심으로

        손원영(Won-Young Sohn),김지혜(Jihye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2005 宗敎敎育學硏究 Vol.21 No.-

        이 논문은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를 대변하는 두 학술단체인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와 한국종교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곧 《기독교교육정보》,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그리고 《종교교육학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의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종교교육학은 개별 연구자에 의한 연구에 지나치게 의존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한국 종교교육학은 하나의 ‘실천학’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론과 실천 사이의 심각한 불균형의 상황 속에 위치해 있다. 셋째, 한국의 종교교육학 연구자들은 비교적 높은 종교적 관용의 정신을 갖고 있다. 넷째, 한국종교교육학 연구는 남성과 여성 연구자들 사이에 비교적 양성평등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종교교육학의 국제화수준은 아직 매우 낮은 편이나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섯째, 교육현장과 관련된 한국종교교육학 연구는 기독교의 경우 주로 교회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불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는 학교를 중시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일곱째, 후기현대적 주제에 대한 한국종교교육학계의 연구는 매우 빈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여덟째, 한국의 종교교육학 연구자들은 교육의 구성요소 중 주로 교육목적 및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분야에 집중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홉째, 한국의 종교교육학은 그 연구방법에 있어서 주로 인문학적인 연구방법, 곧 문헌연구방법에 크게 의존해 있는 특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major two Korean academic societies, i.e.,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KSCEIT),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Religious Education (KASRE). Now, KSCEIT publishes two different journals, which are called by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CEIT) and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JCEIT). The former is Korean language-based journal, and the latter is based on English language for globalization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KASRE also publishes one journal named by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KJRE). Accordingly, the researcher tried to analyses these three journals in terms of nine decisive factors, that is, collaborative focus,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religious tolerance, gender equality, globalization, educational context, post-modern issues, research field in terms of educational elements, and research methods. In conclusi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research are appeared like followings: 1) heavily dependence on individual research rather than collaborative study, 2) discrepanc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3) highly concern for religious tolerance, 4) balanced writers between two genders, 5) a little lower level of globalization, 6) focusing on church context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but public school-oriented in Buddhist and other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s, 7) small concerns for post-modern issues except inter-faith/religious dialogue, 8) high concentration on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research field in comparison with curriculum and evaluation, 9) dependence on literature study rather than social science method lik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 KCI등재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신정론(Theodicy)이란 이 세상에 현존하는 악과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하는 신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당하는 의인들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이러한 신정론은 오늘날에도 만연하고 있는 고통과 소위 고통 받는 인간 곧 의인 때문에 범종교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의인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어떤 종교든 관심하는 것이고 신종교 또한 같은 맥락에서 그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요청받고 있다.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은 그 태생적 이유 때문에 대개의 경우 종말론적 신정론을 갖고 있다. 한국의 신종교도 기성종교(established religion)에 대한 종파(sect)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종파로서의 성격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종말론적 시대경륜론dispensation)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의 시원으로 볼수 있는 동학(천도교)부터 그 사상적 특징 중 하나가 개벽사상 혹은 지상천국사상인 점을 보면 분명하다. 한국의 신종교는 내세에서의 복락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 신종교의 관심은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따라서 내세에 관한 교리가 없거나 미약하며 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교리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세월의 흐름에 따른 종말의 지연은 종말론적 신정론의 유형변화를 운명적으로 겪게 되었다. 이는 가치의 문제가 아니고 정체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파로서의 신종교가 발전하여 기성종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유형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변화한다면 태생적 조건은 한계가 될 것이며 그러한 한국 신종교의 유형변화는 자신의 종말론적 역동성을 잃게 하며 그로 인해 한국사회에서 무시되고 결국은 도외시될 것이다.신정론이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라면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 유형변화는 한국의 신종교가 형성해온 종교문화의 지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신정론 유형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지 않는 한국의 신종교는 생존을 가름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Theodic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God`s justice explaining the reality of evil and its accompanying pain. Especially, Why do righteous people suffer from pain without any reason? How can they be consoled? Where is righteous God? Christian theolog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in the name of theodicy as well known. However,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pervasive pain is not only Christian problem but also all religions` problem. That i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people`s pain is the matter of concern to all religions including new religions. The pain of modern society results from social structure more than personal immorality. Theodicy can be politics of praxis to overcome the reality of pain and evil. Therefore,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 theological dialectic of the reality of sin and evil, and the participation in salvation today.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God`s future against the reality of sin and evil. Consequently,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type of theodicy in sociology of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theodicy of Korean new religions. Generally, new Korean religions inherently have eschatological theodicy. However, as the time goes by, the delay of the end of the world causes the change of theodicy type. This is not the problem of virtue but identity. A sect of religion may become an established religion later. But if the change of theodicy type causes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possible to loose the eschatological activity of new religion. It could result in disregard in Korean society. If theodicy is an ideology establishing religious culture, the change of theodicy type will make change in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s. Therefore, appropriate reaction of new Korean religion is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신종교 주문(呪文)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근·현대 한국 신종교(新宗敎)의 연구는 이제 개별적 종교의 소개나 단순 비교의 차원을 넘어서 보다 심층적(深層的)이고 통합적 시각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종교 각각을 관통하는 공통의 주제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가 관심을 갖는 주문(呪文)에 대한 연구는 종교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의미하면서도 중요한 종교적 핵심코드(Core code)가 된다. 한국 신종교가 가진 주문(呪文)의 유형과 내용분석, 사상적 연원 탐구 그리고 종교적 수행과 의례에서의 의미 등을 탐색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신종교를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종교적 의미와 신앙체계(Belief system)와 한국 민중들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종교적 심성의 원형(原型, Archetype)을 발견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 사상적 연원(Origin of thought)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의 신종교는 1860년 수운 최제우의 동학 창도이후 해방 전 12계통 백여 단체를 헤아릴 정도로 그 수와 규모면에서 대단하였으며, 해방 후 14계통 4백여 개까지되었으나, 현재는 3백여 개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신종교에서는 그 신행의 방법으로 다양한 주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 속에서 그 종교적 역할과 명맥을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신종교의 주문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 신종교의 주문에 나타난 한국인의 주요한 종교심성은 천(天) 기(氣) 심(心)등의 핵심개념과 이에 대한 믿음과 수행의 체계 등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인 고유의 종교심성은 근현대 역사 속에서 매운 심한 혼돈 속에 빠져들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이 각종 교육과 수행 등을 통해서 현대 한국인들의 생활과 의식 속에 자리 잡게 될 때, 현대사회의 많은 문제점들도 치유될 수 있는 그 방향을 찾을수 있으리라고 예상해 본다. The study of Korean new relig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requires in-depth and integral perspective research rather than introduction of individual religion or simple comparison. In such research methodology, common theme penetrating every new religion is important element. In this research, religious spell or holy words has been dealt a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religious core code for understanding them. On the process of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ype and content of religious spell, investigation of ideological origin, and meaning in religious practice and ceremony, we can find out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the belief system commonly penetrating Korean new religions, an archetype of religious nature of Korean people`s originally own, and furthermore, origin of thoughts. Korean new religion presently assumes to be remaining three hundreds organizations, soon after establishment of Donghak by Choi Je-Woo in 1860 was a hundreds organizations in twelve religious groups, and after the independence was, flourished in numbers and size, four hundreds organizations in fourteen groups. Those Korean new religions are using various religious spells for their belief and practice methods. This research has dealt with religious spells in important new religions taking significant role and continuing tradition of their relig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at important religious nature of Korean is core concepts as like heaven(天), energy(氣), mind(心), and so on, and the structure of belief and practice in them. It also identify that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intactly melted in thos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new religions. However, such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sunken in tremendous confus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vertheless, in the tenets and thoughts of Korean new religion silently kept Korean calm religious nature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specially in the religious spells used in those religions, they contains core concepts to heal emotional path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society. We can expect that when those concepts are located in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Korean by various education or practice, then diverse matters of contemporary society can be cured.

      • KCI등재후보

        한국민족종교의 특성과 대순사상

        이경원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8 No.-

        The time when Korea entered into a early-modern society was before or after the beginning of the past 20th century despite its long history. In this short period, Korea was revealed to the tide of the world history to show itself on the international stage. What was the problem here was the inherence that is required for the history of the Korean spirit. Though Korea of course had cultural tradition before, and had religious culture that formed the mainstream, there had been no such religions of which most of the people were the subject yet. The religions that enhanced the national spirit encount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adictions of the state, and were initiated as people’s spontaneous movements were the original religions appearing in the early-modern history of Korea. The Original Korean religions are understood to be Sintoburi ‘the original are the best’ Korean religions that advocate universal human salvation with such a temporal sense of duty, and attract attention as a kind of Korean culture in the world. Based on the background so far,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original Korean religions in this period of globalization, and introduce the ideology of Haewon-Sangsaeng ‘helping one another through eliminating of resentment’ in the Daesoon philosophy, which occupies a place in the Korean religion. Finding its place as the main ideology of the Daesoon Philosophy, ‘Haewon-Sangsaeng’ is an ideology with which the former tries to lead human peace and world prosperity with national identity as an original Korean religion. As a main term of ‘Haewon’ has an all-mankind and worldwide meaning as well as humans’self-realization, in that it pursues the desirable state of the whole universe. As a new principle of interrelationship, ‘Sangsaeng’ has the principle of positive reciprocity. On its basis exists the collectivist view of world that claims that the mankind and the whole creatures belong to a unique substance. It is the value of the Daesoon Philosophy as an original Korean religion in Korea to make the whole mankind unitary by the ideology of Haewon-Sangsaeng, and try to fulfill eternal peace for the mankind. 19세기 말 이후 근대사회로 진입하게 된 한국은 세계사의 조류에 노출되면서 국제무대에 나서게 되었다. 여기에 문제되는 것은 한국의 정신사에 요구되는 고유성이었다. 물론 한국은 그 이전에도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었고 또 주류를 형성한 종교문화가 있었지만, 대다수 민중이 주체가 된 종교는 아직 없었다. 국가의 대내·외적인 모순에 접하여 민족정기를 선양하고 민중의 자발적인 운동으로서 시작된 종교는 한국근대사에 등장한 민족종교였던 것이다. 한국 민족종교는 이러한 시대적인 사명감과 함께 인류의 보편적인 구원을 부르짖는 신토불이(身土不二) 한국종교로 이해되고 있으며 세계 속의 한국문화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상의 배경에 따라 세계화 시대에 한국 민족종교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종교의 한 맥을 차지하고 있는 대순사상에서의 ‘해원상생’이념을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핵심이념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해원상생’은 민족종교로서 민족의 주체성을 지니고 인류의 평화와 세계번영을 주도하고자 하는 사상이다. 그 주된 단어로써 거론된 ‘해원’은 인간의 자기실현이라는 의미와 함께 우주 전체의 바람직한 상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전 인류적이고 세계적인 의미를 지닌다. ‘상생’은 상호관계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상호 적극적인 호혜(互惠)의 원리를 지니고 있다. 그 바탕에는 전 인류와 만물이 하나의 근원에 속하고 있다는 전체론적 세계관이 있다. 이러한 해원상생의 사상으로서 전 인류가 하나 되고 나아가 인류의 영원한 평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 한국민족종교로서의 대순사상이 지닌 가치이다.

      • KCI등재

        한국창가학회(KSGI)와 국제창가학회(SGI)의 평화주의에 대한 비교연구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

        유광석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6 No.-

        While existing studies of religious pacifism excluded the typological perspective on religions, the paper tries to make clear certain sectarian characteristics inherent in a ‘sectarian pacifism’, noting that they sh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from the pacifism of established churches. In particular, despite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SGI peac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understanding sectarian specifications of KSGI that are bound to reflect the Korean context rather than SGI pacifism itself. Theoretically, the supply-side and demand-side aspects of Korean religious market are examined together to consider KSGI pacifism as a religious good, and further compare KSGI with the pacifism of Christian sect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n increasing membership of KSGI, the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social differences between KSGI and SGIs in USA, UK, and Australia. In conclus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sectarian pacifism, the paper argues that it is an essentially religious act that cannot be simplified into a political act or a social movement. 논문은 종교평화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종교유형론적 관점과 특성을 배제 한 것과 달리,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 ‘종파적 평화주의(sectarian pacifism)’라는 개 념으로 종파적 유형에서 두드러진 현상적 특징에 주목하여 그것이 한국창가학회와 국제창가학회에 의해 어떻게 그리고 왜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국제창가학회(SGI)가 추구하는 국제주의, 시민운동, 현세주의 및 인간중심주 의적 평화주의가 한국창가학회(KSGI) 평화활동의 이념적 및 실천적 지향점임에도 불구하고,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는 평화주의 그 자체보다 한국적 맥락을 반영한 KSGI의 종파적 특수성을 더 중점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론적으 로는 종교재(宗敎財)로서 KSGI의 평화주의를 고찰하기 위해 종교시장의 공급 측면 과 수요 측면을 함께 검토하였고, 비교분석을 위해 미국, 영국, 호주의 창가학회, 여호와의 증인들 및 메노나이트와 같은 기독교종파들의 평화주의를 개괄적으로 검토 하였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창가학회의 평화주의에 대한 종교유형론적 비교분석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국에서는 정치행위나 시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한 한국창가학회 의 사회적 특수성에 대한 종교유형론적 접근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신종교로서 무종교(Nonreligion) -최근 서구 학계의 무종교 연구를 중심으로-

        우혜란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6 No.-

        ‘Nonreligion’ is a broad term to refer to the population or related phenomenon that does not have a specific religious belief or does not belong to a certain religious organization. The increase in non-religious people is a distinct religious/cultural/social trend these days across the world,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According to a recent (2021) survey of Gallup Korea, the proportion of non-religious people (60%) got far ahead of religious people (39%) of the population. This trend is to be predicted already in the 2015 Census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hen the non-religious population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56.1%) of the total population for the first time. As seen above, the increase in non-religious people in South Korea is gaining speed, quite comparable to the European situation. But the interest of Korean academics on ‘nonreligion’ is rather limited, and even related debate and research are preoccupied with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ociology of Religion. Therefore, this paper is motivated by the expectation that studies on new religions will be revitalized by integrating ‘nonreligion’ in the research area, a distinguishing religious trend of the contemporary era. This new step could markedly broaden the scope of the research area of studies on new religions, not to mention acquiring timely relevance. Firstly, this paper examined how ‘nonreligion’ has received, somewhat recently, much attention from sociologists of religion in the West and has rapidly grown into an important sub-research field, from a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Secondly, to get an overview of the latest research trends in studies on nonreligion in Western academic circles, two international conferences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Religion (ISSR) and Religious and Secular Research Network (NSRN) were chosen as case studies. A series of sessions and presentations of these conferences in 2021 are selected and reviewed by the degree of connectedness to the subject ‘nonreligion’. As a result, some significant research subjects on ‘nonreligion’ were presented and commented on briefly. Finally, based on the writings of several Western scholars,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nonreligion’ and new religions was underlined. ‘무종교(nonreligion)’는 특정한 종교적 믿음을 갖고 있지 않거나 특정 종교조직에 속하지 않는 인구군이나 관련 현상을 가리키는 보편적인 범주로 현재 학계에서 사용 되고 있다. 무종교인의 증가는 서구는 물론이고 전세계적으로 하나의 뚜렷한 종교적 /문화적/사회적 흐름으로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2021년) 한국갤럽 조사에 의 하면 무종교인의 비율(60%)이 ‘종교인’(39%)을 크게 넘어섰으며, 이러한 추세는 1995년부터 10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는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서 2015년 처음으 로 무종교 인구가 총인구의 절반을 넘는 56.1% - 종교인구 43.9% - 를 기록하면서 이미 예측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한국의 무종교 상황은 서구 특히 유럽에 견 줄 만큼 빠른 속도로 심화하고 있으나, 관련 주제에 대한 한국 학계의 관심은 제한 적이며 이마저 한국종교사회학회에서 관련 논의와 조사연구를 선점하고 있다. 따라 서 본 논문은 한국의 종교학계 특히 신종교 연구가 동시대의 특징적인 종교문화 현 상인 ‘무종교’를 새로운 연구영역으로 수용하여 신종교 연구가 그 폭을 넓히고 시의 성을 획득하여 더욱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필자의 기대를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무종교’가 서구의 종교사회학에서 근래에 높은 관심을 받으며 중요한 하위 연구 분야로 급성장한 배경을 지식사회학적 시각 – 사회환경적 조건, 학문적 인프라 구축과 ‘패러다임의 전환’ 등 – 에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서구 학계 무종교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여름에 열린 ‘국제종교사회학회 (ISSR)’와 ‘무종교와 세속성 연구 네크워크(NSRN)’의 국제학술대회의 관련 세션과 발표내용을 바탕으로 일련의 중요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끝으로는 일련의 서구 학자가 ‘무종교’를 신종교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 두 현상 또는 이 두 연구 분야가 가지고 있는 밀접한 상관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한국SGI 성장의 차원에서 본 부산의 포교와 발전-SGI 전개와 문화회관의 형성을 중심으로-

        김현석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Korea SGI stands for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a new religion that started its activities when the Japanese Soka Gakkai (創価学会) was introduced into Korea. The Soka Gakka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groups of new religions of Japanese origin, enjoying a fairly stable religious influence compared to other new religions. Established model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Soka Gakkai, Korea SGI operates with its own sub-organizations and has ‘Districts’ [方面] centered around a large city as well as ‘Zones’ [圈] in the sub-administrative regions of the city. As of August 2022, Korean SGI is known to have 46 Districts and 146 Zones across the country. The fact that a city has well-established Districts and Zones means that the city has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well-established Culture Centers for them. Culture Centers are religious facilities of SGI Korea, where its members can engage in basic religious activities, thus serving as the most active hubs for the believers. Currently, the Districts, Zones, and Culture Centers are most well established in the cities of Busan and Daegu, as well as in Seoul and Gyeonggi-do. All these regions have in common that the members of the Soka Gakkai formed small organizations from the time the Soka Gakkai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that makes them considerably significant in the propagation history of Korea SGI in Korea. This is why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SGI in Busan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its propagation there. In the past, Busan served as the Busan-Gyeongsang General Headquarters of Korea SGI, which was later divided into three General Headquarters, and then started to expand its influence while carrying out its regional activities. These three General Headquarters later developed into ‘Zones,’ which underwent the process of being divided into smaller ‘Zones’ several times over time and played a key role in shaping the’Districts’ and ‘Zones’ in present-day Busan. Of course, Busan witnessed the development of Culture Centers along the way, establishing 13 Culture Centers. However, the believers in the Yeongdo Zone could not keep their own Culture Center recently and are renting out the Culture Center instead, which means that Busan currently operates and manages 12 Culture Centers. Nevertheless, Busan still boasts of the second most Districts, Zones, and Culture Centers after Seoul and Gyeonggi-do, and this proves that there are many active believers in Busan with a stable religious influenc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Korea SGI,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its Culture Centers, and the spread of SGI Korea in Busan from the time the Soka Gakkai was introduced to the present day.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an understanding of what the process of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SGI looked like in Busan,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stabilizing Korea SGI today, will be of great help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propagation in Korea. 한국SGI는 한국 창가학회(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라는 의미로 일본의 창가학회(創価学会)가 국내로 유입되면서 활동을 시작한 종교이다. 오늘날 일본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종교 단체 중 하나로 다른 신종교와 비교해도 상당히 안정적인 교세를 보인다. 일본 창가학회의 조직구조를 참고하여 확립한 한국SGI는 큰 도시를 중심으로 방면(方面)을 구성하고, 그 도시의 하위 행정 지역을 권(圈)으로 구축하여 다시 한국SGI 나름의 아래 조직을 두고 활동을 하고 있다. 2022년 8월 기준 한국SGI는 46개의 방면, 146개의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면과 권이 고루 확립된 도시가 그만큼 신자들도 많고, 신자들이 이용하는 문화회관도 잘 구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문화회관은 한국SGI의 종교시설로 신자들의 기초적인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므로 접근이 가장 활발한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 방면과 권, 그리고 문화회관은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한 부산과 대구가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역은 창가학회가 유입될 시기부터 작은 조직을 형성하여 활동한 도시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한국SGI에서도 상당히 의미가 있고, 중요한 도시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에 집중하여 부산의 한국SGI 유입과 전개 과정 그리고 오늘날의 포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부산은 과거 경상남도와 함께 부산에 거점을 두고 부(산)경(남)총합본부로 활동을 하였다. 이후 3개의 총합본부로 나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적 활동을 개시해나가며, 부산의 교세를 넓혀나갔다. 이 3개의 총합본부는 훗날 권으로 발전하여 몇 번의 분권을 거치면서 오늘날 부산의 방면과 권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문화회관도 함께 발전하여 13개의 문화회관을 구축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영도권 신자들의 회관이 없어지면서 임차회관을 이용하고 있다. 고로 현재 부산은 12개의 문화회관을 운영ㆍ관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방면과 권, 문화회관의 현황은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3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그만큼 활동하는 신자가 있고, 교세 또한 안정되어 있다는 방증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SGI의 조직체계와 문화회관의 전개와 현황을 부산이라는 도시에 적용하여 창가학회로 유입될 당시부터 오늘날까지의 부산은 어떠한 전개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SGI가 포교가 되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SGI의 교세의 안정화에 큰 역할을 한 부산의 포교와 발전 과정을 파악한다면 필시 한국SGI의 국내 전개 과정과 포교 현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가톨릭에 대한 일반인의 종교적 인식에 대한 연구

        朴日榮 韓國宗敎敎育學會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9 No.-

        한국 가톨릭에 대한 일반인의 종교적 인식을 다루는 본 연구는 가톨릭교회가 한국에서 과연 한국인의 종교가 되었는지를 일반인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를 추구하는 배경에는 우선 가톨릭교회가 이제 진정한 한국인의 종교로 자리 매김하고, 그러한 위상을 바탕으로 다(多) 종교 문화를 보여주고 있는 한국의 사회가 상호 존중과 이해를 기반으로 삼아, 건설적인 공존과 협력의 관계를 설정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가톨릭에 대하여 한국인들이 어떤 종교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우선적인 연구내용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천주교 신자와 비신자를 모두 포함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한국 가톨릭교회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심층적 관찰의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그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주제와 관련된 기왕의 전국 규모조사 자료들을 활용한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 가톨릭의 과거를 반성하고 현재를 평가하며 미래를 전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기대된다. 관련 학계에는 가톨릭의 다양한 면모들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단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교회 내적으로는 선교와 사목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다종교 공존의 한국 사회문화 전반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는 가톨릭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ether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become one of the genuine religions of Korean people. The target of the research is the common people of Korea, among them catholics including. The backgrounds of the research are following: Firstly, we hope that the Catholic church becomes one of the genuine religions of Korea. Secondly, we hope that Koreans realize mutual respect and deep understanding in a multi-religious society. Thirdly, we hope that Korean religions establish constructive co-existence and cooperation. To do this kind of research I try to use following methods. The research contents are the analysis of religious perception about Catholicism by common people in Korea. Anyhow I limit the boundary of the research in recently made social surveys on the topic of Korean religions, including catholics and non-catholics. So I would like to show various facets of Catholic church in Korea, as the result of profound investigation. We can expect from this kind of research to get useful information for the sake of introspection about past times, examination of the present days and vision gaining for the bright future. For the concerned scholars we can provide good knowledge for correct understanding about catholicism in Korea as it is. Inside church itself, I suppose it will be helpful to set up the pastoral master-plan. In the national dimension, this study gives worthy and objective data for better understanding about catholic church in the religiously pluralistic society.

      • KCI등재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의 ‘대표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종만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Korean society is a multi-religious society in which world religions such as Buddhism,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native religions such as Cheondogyo, Daejonggyo, Jeungsangyo, and Won Buddhism, and Shamanism handed down from the Paleolithic Era are mixed together. This multi-religious situation in Korean society has created a unique characteristic in world religions where Chinese-style religions, Indian-style religions, and Jerusalem-style religions coexist peacefully. In the end, this acted as a driving force for many religions to form an association in the Korean religious landscape.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 Council of Religious Leaders(KCRL) among the many associations that have developed in the pluralistic situation of religion in Korea. KCRL is a religious association composed of not only world religions but also major sects of Korea’s native religions and the gatherings of religious leader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Native Religions. KCRL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ulti-religious social situation in Korea, and it can be said that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peaceful coexistence of religions in that all the leaders of religions representing Korean society are participating.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Korea’s religious pluralism is not only the above-mentioned major religions but also the existence of invisible surrounding religion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ritical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whether only KCRL is suitable as the character of a leader’s group representing Korean religion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한국은 불교, 기독교, 유교와 같은 세계종교, 천도교, 대종교, 증산교, 원불교와 같은 자생적 민족종교, 그리고 구석기시대부터 전래된 무교(巫敎) 등이 함께 뒤섞인 다종교사회이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다종교적 상황은 중국형 종교, 인도형 종교, 예루살렘형 종교 등이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세계종교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특질을 형성케 하였다. 이는 결국 한국종교 지형에서 수많은 종교들이 연합체를 결성하는 동인(動因)으로 작동했다. 본고는 한국의 종교 다원적 상황에서 전개된 많은 연합체 가운데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이하 종지협)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종지협은 세계종교뿐만 아니라 한국 자생 종교의 주요 종단과 한국민족종교협의회 종교지도자들의 모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교 연합체이다. 종지협은 한국의 다종교적 사회 상황을 증표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종교의 지도자들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들의 평화로운 공존 상황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종교 다원성이라는 특징은 상술한 주요 종교뿐만 아니라 눈에 드러나지 않는 주변 종교들의 상존(常存)으로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과연 종지협만이 한국종교를 대변하는 지도자 모임의 성격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