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계열(時系列) 자료(資料)와 재무관리(財務管理) 이론(理論)

        이일균,Lee, Il-Gyun 한국재무관리학회 1994 재무관리연구 Vol.11 No.1

        재무관리의 모든 영역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하여는 기업재무관리와 투자론을 비롯하여 금융산업 전체에 대한 연역적 방법에 의한 이론의 정립과 실증분석을 통한 이론의 정립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증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우리나라에서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지 않는 시계열분석의 영역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이와 같은 분야를 천착해 봄으로써 이 분야가 재무관리에 대한 통찰력과 현실 적합성의 판단력을 배양하는데 큰 공헌을 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 때문이다. 이 논의를 통하여 시계열 분석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시계열 확률과정에 대한 재무관리이론을 연역적으로 도출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시계열 분석에서 제시되는 여러 방법론을 재무관리의 시계열에 적용하여 그 시계열의 성질과 특성을 파악하면 그것이 그대로 현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어떤 형태로든 연역적 방법에 의한 이론의 정립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연속시간의 틀과 이시적(異時的) 양태하(樣態下)에서 많은 재무관리 모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동태적 상황을 해명하는 의도에서 이 모형들이 연구되고 있는 만큼 시계열 분석은 이 분야에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시계열 분석에서 제시된 많은 모형들이 재무관리의 실증적 현상을 설명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연역적으로 개발된 모형들이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시계열 분석이 직접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음도 제시되었다. 증권의 현가모형(現價模型), 이자율의 기간구조, 효율적 시장가설도 주가의 변동성 등은 시계열 분석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검증되어야 하며, 이 경우 특히 분산의 추정방법을 여러 측면에서 개발해 야 할 것이다. 시계열 분석에서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기법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ARIMA와 ARCH가 결합되는 것을 본 바 있다. 구조적(構造的) 변화(變化)(structural change)모형(模型)과 ARCH의 결합도 가능하다. 다른 분야로서는 변동성(變動性)에 관한 연구이다. 변동성(變動性)에 관한 연구는 variance bounds test에 한정된 감이 있으나 정보와 변동성의 관계가 중요시되고 있는 만큼 정보집합과 시계열 분석 기법의 결합은 변동성의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보집합의 형성에 따라 새로운 추정방법이 개발될 여지가 풍부하다.

      • REMM과 재무관리의 이해

        오현탁,O, Hyeon-Tak 한국재무관리학회 2006 財務管理論叢 Vol.12 No.1

        M. C. Jensen과 W. H. Meckling이 쓴 'The Nature of Man' 논문의 핵심은 역시 REMM(Resourceful Evaluative Maximizing Model)이다. REMM이라는 용어는 새롭지만 개념은 200년 이상의 연구와 경제학과 사회과학과 철학적 토론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REMM에서의 핵심은 Resourceful이다. 어떤 이론이나 정책이건 어떤 가정과 한계가 있다는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재무관리의 모태인 경제학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모델은 고전 경제학시대부터 일관되어 왔던 추상적 의미의 이익(효용)극대화 모델이다. 재무관리는 그 목적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소비선호체계를(people's consumption preference) 극대화 하는 것이고, 한정된 자원(scare resources)을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배분하여 효용(utility)을 극대화하는 것을 중심과제로 삼고 있다. 효용의 극대화를 위한 자원배분은 생산자원을 어떻게 배합하여 가치생산을 극대화하느냐 하는 생산에의 배분문제와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를 사람들의 욕구충족을 최대로 하는 소비에의 배분문제로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적어도 재무관리에서는 후자는 다루지 않고 가치생산의 문제만 다룬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재무관리의 목표와 이에 따르는 재무관리이론(가정)의 전개는 가치창조와 소비에의 배분을 통한 효용의 극대화를 다루는 경제학의 이론을 답습함으로 일부 혼선을 불러올 수 있다. 위험에 대한 재무담당자(투자자)의 태도를 재무관리의 입장이 아니라 경제현상 전체에 해당되는 입장에서 다루므로 각 각의 교재마다. 투자자의 부 또는 수익에 대한 효용과, 위험과 수익에 대한 무차별곡선이 달리 표현되고 있다. 재무관리 책에서는 재무관리의 가정하에서 투자자의 수익에 대한 효용, 그리고 수익과 위험에 대한 무차별곡선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은행의 위험관리가 실제 위험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조은아 한국재무관리학회 2016 財務管理硏究 Vol.33 No.3

        This paper finds out internal risk management can reduce its tail risk in Korean banks. I construct a risk management index to measure the extent of internal risk management function using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from 2000 to 2013 provided by banks in Korea. I analyse the influence of the risk management index on the risks and performance in Korean banks. The results show that banks with high lagged risk management index have lower tail risk. Meanwhile, internal risk management index of bank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VaRs. Both risk measures are used in common, but capture different aspects of risk. Specifically, VaR indicates the maximum loss not exceeded with a given probability, while tail risk indicates the average loss beyond VaR. In addition, strong risk management enhance ROA in the recession periods. On the other hand, it tends to reduce ROA in the normal periods. These results reflect that strong risk management function hinders banks’ high-risk, high-return activities. 본 논문에서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의 일반은행, 지방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의 공시자료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은행의 위험관리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구성하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을 통해 위험관리지수(risk management index)를 산출하였다. 또한 위험관리지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은행의 내부적인 위험관리의 정도가 실제 위험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전연도 은행의 위험관리지수가 높을수록 당해 연도의 테일 리스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국내은행에서 위험관리기능이 강력할수록 테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음을 밝혔다. 한편, 위험관리기능이 VaR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두 위험 측정치가 포착하는 위험의 성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VaR은 정상적인 시장 여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손실을 측정하는 반면 테일 리스크는 손실이 VaR을 초과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평균 손실을 측정한다. 한편, 경기불황기에는 위험관리지수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증가하는 반면, 불황기가 아닌 일반적인 기간에는 강력한 위험관리기능이 위험이 높지만 수익성도 높은 활동을 제한함에 따라 은행의 수익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기업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동료기업의 영향력 검증

        임지은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기업이 자본구조와 재무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 동료기업의 영향을 받는지 유가증권에상장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기존의 상충이론과 자본조달순서이론에서는 기업의특성변수들로 재무구조의 결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재무 및 실물의사결정이 산업내 기업의 포지션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전체 표본을분석해 본 결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 사이에서는 재무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동료기업의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기업들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기업집단의소속여부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료효과는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 표본에서만 두드러지게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유가증권시장의 기업들에게는 자본구조의결정요인으로서 동료기업의 영향력이 유의미함을 보였으며, 대규모기업집단내에서는 동료효과가사라져 한국에서 재무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 동료효과보다 기업집단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암시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companies are influenced by their peers in determining capital structure and financial policy, using the sample of KSE-listed non-financial companies. In the existing trade-off theory and pecking order theory, the decision of the capital structure is explained by the firm specif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eer effect literature has emerged in which corporate decision making including financial policy can be affected by the position of companies within the industry. I find that the influence of peer firms in determining financial poli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urther analyses, I divide the sample by the membership of the business groups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Korean firms. Peer effect is prominent only among the sample firms that do not belong to any business group.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luence of peer firm is significant as a determinant of capital structure for KSE-listed firms in Korea. Within large business groups, however, the peer effect disappears suggesting that the group effect is stronger than the peer effect in determining financial policies in Korea.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재무분석가의 이익 예측오차와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박범진 한국재무관리학회 2010 재무관리연구 Vol.27 No.1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how analysts’ forecasts affected by ownership structure. This study examine a sample of 1,037∼1,629 the analysts’ forecasts of firms registered in Korean Stock Exchange in the period from 2000 to 2006.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companies which have higher major shareholder’s holdings tend to increase earnings forecast errors and earnings forecast accuracy. Meanwhile, companies which have higher institution shareholder’s holdings tend to decrease earnings forecast errors and earnings forecast accuracy.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view of previous works that companies with higher major shareholder’s holdings look towards more of analysts’ optimistic forecasts in order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major shareholders. Because of analysts’ private information use from major shareholders, earnings forecast accuracy is higher in high major shareholder’s holdings firm than in high institution shareholder’s holdings it. Second, this analysis is whether the minimal required selection condition of outside directors, audit committee adoption and audit quality affect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analysts’ forecasts. This result is that variables related corporate governance do not affect statically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analysts’ forecasts. The meanings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analysts’ forecasts. After this, if analysts will notice forecasts of more many firms, capital market will be more efficient and this field works are plentiful. Also it will need monitoring systems not to distort market efficiency by analysts’ dishonest forecasts. 본 연구는 시장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의사결정에 기업지배구조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소유구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이며 표본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존재하는 12월말 결산법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주주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질 낮은 회계이익을 바탕으로 재무분석가가 낙관적인 이익예측을 하여 이익예측오차는 크나 대주주와의 우호관계를 통해 기업의 사적정보를 입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기관투자자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질 높은 회계이익을 바탕으로 재무분석가가 신중한 이익예측을 하여 이익예측오차는 감소하나 정확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러한 결과들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이 낙관적인 집단에 기인하며, 정확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집단에 기인하였다. 둘째, 소유구조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간의 관련성에 기업지배구조관련변수들의 영향력을 추가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약간의(marginal)의미만을 지니며 소유구조 전반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추후 재무분석가들이 이미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기업경영의 투명성에 지대한 공헌을 한 지배구조 변수들을 의사결정 시에 반영하면 이러한 결과들이 더 뚜렷해 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기의 결과들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 차이를 구분함에 있어서 이익예측치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높고 낮음을 판단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자의적인 방법이므로 추후 개선된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재무분석가들의 이익예측치 발표시점에 대하여 독립변수들을 시장상황에 맞게 대응시키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유구조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였다. 추후 자본시장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재무분석가가 더 많은 기업에 대해 정보를 제시해야 하며 그들의 제공된 정보가 시장효율성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많은 견제와 감시제도가 존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재무 건전성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대,이치송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financial soundness on corporate value. The analysis period was set from 2011 to 2019, and the ESG rating announced by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was used as a variable fo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Group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ir financial status and ESG rating to determine whether financial soundness should be supported in carrying 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ompany’s return and ESG rating in the previous year, the higher the company's value for the current peri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companies with poor financial conditions, prioritizing financial performance to improve corporate value is more effective than performing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addition, companies that have excellent financial performance and faithfully carry ou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an confirm that additional corporate value increases are provided, so they must satisfy financial responsibility, which is the primary purpose of the company, prior to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t can be seen that companies with excellent financial status nee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further increase corporate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hould persuade shareholders as investments that increase the value of a company in the long term and try to actively carry out them, but financially sound should be prioritized.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재무적 건전성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기간은 2010년부터 2019년도까지이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에서 발표하는 ESG 등급을 사회적 책임활동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재무적 건전성이 선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재무적 상태와 ESG 등급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기 기업수익률과 ESG 등급이 높을수록 당기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 전기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과 ESG 등급을 기준으로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당기 기업가치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기업의 경우 재무성과를 우선하여 향상시키는 것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는 것보다 기업가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무성과가 우수하며 사회적 책임 활동도 성실하게 수행하는 기업은 추가적인 기업가치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적 책임 활동에 앞서 기업의 일차적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재무적 성과를 만족시켜야 하며, 재무적 상태가 우수한 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해 추가적인 기업가치의 상승을 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장기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활동으로써 기업이 활발하게 수행하도록 노력해야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재무적 건전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증권업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염명훈,백재승,류두진 한국재무관리학회 2015 재무관리연구 Vol.32 No.1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ities industry and market factors including Sovereign Korea CDS (credit default swap) premium, KRX (Korea exchange) implied volatility, and KRW/ USD spot exchange rate. The Sovereign Korea CDS premium measures the credit risk of the Korean market. The implied volatility of the KRX measures the uncertainty of Korean stock market. The KRW/USD spot exchange rate measures the flow of foreign exchange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show that the fluctuation rate of Sovereign Korea CDS premium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with the return rate of securities industry in comparison with other market factors. This indicates that the credit risk is a negative effect factor for the Korean stock market including securities industry. Second, the fluctuation rates of KRX implied volatility and KRW/USD spot exchange rate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return rate of securities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한국 증권업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한국CDS(credit default swap) 프리미엄, KRX 내재변동성, 원-달러 현물환율의 변동률을 고려하였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Lehman brothers) 파산신청 이후 2013년 5월 13일까지 KOSPI 수익률은 40%, 한국 제조업 수익률은 75% 상승하였으나 한국 증권업 수익률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한 -25%였고, 여타 금융업인 은행업, 보험업의 동기간 수익률은 각각 -18%와 1%를 기록하였다. 2004년 1월 2일부터 2013년 5월 13일까지의 표본을 사용한 회귀분석과 VAR(vector autoregression) 모형을 활용한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의 신용위기를 측정하는 한국 CDS 프리 미엄 변동률은 한국 증권업 수익률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시장의 신용위기는 증권 업을 포함한 주식시장 전반에 걸쳐 부정적 요인이라고 해석하였다. 둘째, KRX 내재변동성과 원-달러 현물환율 변동률은 한국 증권업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한국 증권업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증권업에 관한 정책수립에 기초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국내 은행의 위험관리 실태

        김석진,Kim, Seok-Chin 한국재무관리학회 2000 재무관리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총 26개의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은행의 위험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정상은행과 경고은행 및 퇴출은행의 위험관리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최고경영자나 임원이 위험관리 부서의 책임자로 있는 경우는 없고, 금융파생상품의 사용 등 관련사항의 보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감사위원회 역시 외부전문가를 둔 은행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경영층의 위험관리 인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관리에 관한 평가나 최고경영자에 대한 보고주기도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위험 유형별로는 신용위험, 시장위험 및 유동성위험을 잘 인식하고 있는 반면, 운영위험이나 법적 위험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였다. 위험관리 담당자의 교육 주기가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60%로 가장 높았으며, 40%의 은행이 법적 위험 발생 시 책임소재가 분명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시장위험 관리에 있어서도 매일 VaR값과 실제 손익을 정기적으로 비교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15%에 불과하여 취약성을 드러냈다. 절반 정도의 은행은 금융파생상품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흥미롭게도 정상은행과 비정상은행 간 또는 비퇴출은행과 퇴출은행 간에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행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은행의 위험관리는 전반적으로 미흡하여 체계적인 위험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특히, 위험관리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인식 제고가 요망되며, 합리적 은행구조조정을 위해서는 당해 은행의 위험관리 실태와 그에 따른 경영책임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 한국시장과 일본시장에서 거래제도가 주가행태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김경원,Kim, Gyeong-Won 한국재무관리학회 2002 財務管理論叢 Vol.8 No.1

        본고에서는 한국의 증권시장과 일본의 증권시장이 같은 공매시장(Auction markets)의 형태라도 거래되는 시점에 따라 다른 거래제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점도 있어 각 시점별로 양 시장의 주가행태를 가격조정모형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한국과 일본 모두 오전 시가 수익률의 분산이 종가 수익률에서의 분산보다 크고 또한 오전 시가 수익률의 분산이 다른 시점의 수익률의 분산 보다 켰다. 한국 및 일본 양 시장에서 시가수익률의 분산과 음의 시계열상관계수에서 공히 거래정지기간에 따른 노이즈 항목과 거래오류영향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한국시장에서 거래오류나 노이즈가 일본시장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두 시장에서 모두 오전개장과 오후개장을 다른 시점과 비교하면 주가의 과다반응을 추정 할 수 있으나 일본시 장의 경우는 한국시장에서 보다 미미하였다. 한국시장의 경우 오후종가가 영과 통계학적으로 크게 다르게 양의 수를 가지고 있음은 시장의 효율성에서 한국시장이 일본시장에 비해 떨어지고 시장 정보에 대하여 주가의 가격조정속도가 늦다고 추정할 수 있었고 이는 한국시장이 아직은 일본에 비해 가격제한폭이나 그밖에 거래제한 요소가 일본보다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시장에서는 주식수익률의 변동성은 노이즈거래가설(Noise trading hypothesis)이 더 설명력이 있다고 추정되고 일본의 경우 사적정보가설(Private information hypothesis)과 노이즈거래가설(Noise trading hypothesis) 둘 다 설명력이 있지만 전자가 더 우위일 가능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거래메커니즘 차이가 주가의 행태에 크게 다르게 미친다고는 할 수 없고 단지 주가의 정보전달 속도 및 노이즈 그리고 시장의 효율성에 따라 주가행태에 어느 정도 차이를 일으킨다고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대용시장(代用市場)포트폴리오의 효율성(效率性)에 대한 다변량(多變量) 검증(檢證) - 무위험자산(無危險資産)이 존재(存在)하지않을 경우 -

        구본열,Gu, Bon-Yeol 한국재무관리학회 1995 재무관리연구 Vol.12 No.2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증권시장(韓國證券市場)에서 무위험자산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대용시장(代用市場)포트폴리오의 효율성(效率性) 검증(檢證)을 다변량(多變量)의 검증방법(檢證方法)에 의해 실시하고자 하였다. 검증을 위하여는 첫째로 제로베타수익률을 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Kandel(1984)과 Shanken(1985)의 연구에 기초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로 Jobson-Korkie(1982,1989), Handel(1984,1986)과 Shanken(1985,1986)의 논문(論文)에 의거 대용시장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유도하고 이의 검증(檢證) 통계량(統計量)을 유도하였다. 효율성 검증에 사용된 대용시장포트폴리오들은 한국종합주가지수(韓國綜合株價指數), 한경(韓經)다우지수(指數)와 2개의 동일가중지수(同一加重指數)이었다. 실증적 연구결과, 전기간(全期間)의 경우에 한국종합주가지수(韓國綜合株價指數)와 한경(韓經)다우지수(指數)의 평균수익률은 GMVP의 수익률보다 낮을 뿐만아니라 평균-분산(平均-分散)프론티어의 외부(外部)에 위치하여 이 대용시장지수(代用市場指數)들이 효율적(效率的)프론터어상에 있는가에 대한 검증(檢證)은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하위기간별분석(下位期間別分析)에서도 이 대용시장지수(代用市場指數)(후반기(後半期)의 한경(韓經)다우지수(指數) 제외)들은 평균-분산프론티어의 내부(內部)에 있어 효율성 검증은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는 대용시장지수(代用市場指數)가 효율적 프론티어상에 있는가에 대한 효율성 검증이 아니라 단순히 평균-분산프론티어상에 있는가에 대한 검증에 불과하였으며 이러한 검증 결과는 효율적(效率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증권거래소(韓國證券去來所)에 상장(上場)된 전 종목(種目)을 대상으로한 동일가중지수(同一加重指數)와 본 연구의 기준시점인 1980년도에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을 대상으로 구성한 동일가중지수(同一加重指數)는 이들의 평균수익(平均收益)이 GMVP의 수익률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대용시장지수(代用市場指數)가 효율적(效率的) 프론티어 상에 있는가에 대한 효율성 검증에서 모두효율적(效率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종합주가지수(韓國綜合株價指數)를 근거로 기관투자자들이 투자수익율(投資收益率)의 관점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거나 CAPM의 실증적(實證的) 연구시에 대용시장지수(代用市場指數)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동일가중지수(同一加重指數)를 선택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