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용 윤리학의 방법으로서 자연화된 반성적 평형

        김일수 ( Kim Il-s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전통적인 규범 윤리학이 접근하기 어려운 현대의 윤리적 문제들의 실천적 해결에 일차적 목표를 두는 응용 윤리학은 이제 새로운 윤리학의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반성적 평형은 응용 윤리학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원리와 사례에 동등한 관심을 가지는 반성적 평형에서는 구체적 윤리적 쟁점에 관한 도덕 판단과 개별적 사례들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도덕 원리가 서로 일관된 체계로 나아가게 된다. 반성적 평형은 새로운 도전에 개방적이며, 역동적인 과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응용 윤리의 주제들에 적합한 탐구 방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반성적 평형은 신뢰할 수 없는 주관적 판단들 간의 정합성에만 의존하는 순환 논증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반성적 평형이 응용 윤리학에서 유효한 방법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정당화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온건한 토대가 필요해 보인다. 이때 과학은 관련된 사실을 통해 오류를 교정하고, 합리적인 탐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반성적 평형에서 온건한 토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독립적 신뢰성을 가지는 과학 분야의 지식은 잘못된 사실에 기초한 도덕적 주장을 교정해주고, 과학적 탐구 방법은 동등한 정합적 체계를 유지하는 복수의 반성적 평형들 중에서 최선의 대안을 잠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절차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화된 반성적 평형은 개방성과 융통성을 가지는 정합주의 성격은 유지하는 동시에 정당화를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응용 윤리학을 위한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다. Applied ethics, which aims at the practical resolution of contemporary ethical problems that traditional normative ethics is difficult to approach, is now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field of ethics. In this context, reflective equilibriu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major method to be used in the field of applied ethics. In the reflective equilibrium, which considers principles and cases equally, both moral judgments on practical ethical issues and general principles that cover specific cases move toward a consistent system. Reflective equilibrium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inquiry method for issues of complicated applied ethics in that it is open to new challenges and involves dynamic processes. However, critics say that the method of reflective equilibrium that follows coherentism is only a circular argument and is based on subjective judgment.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has been a steady of stream of criticism that reflective equilibrium is merely a circular argument that relies only on consistency among unreliable subjective judgments. In order for reflective to function in a plausible method in applied ethics, it seems necessary to have a moderate foundation to provide objective standards of justification. Science can serves as a moderate foundation in reflective equilibrium by correcting errors through relevant scientific facts and proving rational scientific method of inquiry. Knowledge in the field of science with independent credibility corrects moral arguments based on wrong scientific facts, and scientific method can provide a rational procedure to provisionally choose the best alternative among multiple reflective equilibrium that maintain an equal coherent system. This naturalized reflective equilibrium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cohentism with openness and flexibility while presenting objective standard for justification. In this regard, it can be alternative method of applied ethics.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에 대한 시론

        변순용 ( Byun Sun-yong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자동차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는 수단이며, 사고가 일어날 경우 생기는 책임 문제와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시 여러 가치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윤리적인 논의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아직 자율주행자동와 관련된 윤리적 논의는 초보 단계이다. 특히 한국에서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윤리적 측면의 이론적 논의는 전무한 상태이다. 스스로 인식하고 판단해서 도로를 주행하게 되는 자율주행자동차가 인간이 운전하는 자동차와 혼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급박한 상황(예컨대, 중앙선 침범이나 교통법규의 위반이 오히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황 등) 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 보호,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해킹가능성, 충돌 사고시 보험문제 등과 실제적인 법적, 사회적, 윤리적인 문제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이 부분에 대한 철학, 윤리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의 분야가 협력하여 대안적인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준비할 시기가 왔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에 초점을 맞추어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윤리적인 이론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실제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디자인하는 경우에는 공리주의적 접근 및 의무론적 접근 어느 한쪽에 치우치기보다는 두 접근을 혼합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무론적 접근을 활용하면 자율주행자동차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들을 정하기 쉽다. 또한 규칙을 설정하고 이에 알맞게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컴퓨터의 기본적인 속성에 알맞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인 자율주행자동차의 디자인의 첫 단계는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에 기반을 둔 자율주행자동차의 가장 큰 원칙을 설정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큰 원칙 및 하위 규칙들을 설정하고 프로그래밍 하여 할 수 있는 행동의 틀을 제시하는 것이 로봇과 유사한 자율주행자동차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다. 그러나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도로 주행을 할 때에는 이러한 원칙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원칙으로 행위를 결정할 수 없는 충돌 상황의 경우 결국은 공리주의적인 관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물론 인간의 생명은 단순한 계산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한다고 하여 그것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인간의 생명은 다른 어떤 것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가치이다. 따라서 더욱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An Ethical discussions on autonomous vehicles are necessary, given that a car is a means tha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life of a person and that we must consider several values when considering the liability issue in case of an car accident. However, the ethical debates on autonomous vehicles are still at an early stage. Especially in Korea, there is no such discussion. Legal, social and ethical issues such as privacy protection, hacking possibility, and insurance problems will continue to be raised, as well as the imminent situation when autonomous vehicles mix with other ordinary c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any fields such as philosophy, ethics,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prepare alternative ethical guidelines. In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apply ethical theories as part of the preparation for making ethical guidelines. In designing the ethical guidelines of the autonomous vehicle, it is expected to be a way to mix the two approaches rather than bias toward either the utilitarian approach or the obligation approach. Using the deontological approach, it is easy to determine the most basic principles of autonomous vehicles.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set the rules and deal with the problem appropriately to the basic properties of the computer. Therefore,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of ethical autonomous vehicles is to set the general principles of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the Asimov`s three principles of robot. It is also an easy way to apply autonomous vehicles similar to robots to set up a framework of behavior that can be set up and programmed with primary principles and sub-rules. However, when an autonomous vehicle runs on an actual road, it can not be solved by these deontological principles alone. In the event of a conflict in which the actual problems of autonomous cars can not be determined in principle, it must ultimately be assisted by a utilitarian perspective. Of course, human life is not a matter that can be determined by simple calculation. Considering several variables does not guarantee that it is the best choice. But human life is a value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anything el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carefully.

      • KCI등재

        후설의 ‘순수 윤리학’ 이해

        최우석 ( Choi¸ Woosok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본 논문은 후설의 초기 윤리학으로 불리는 순수 윤리학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을 둔다. 현상학을 창시한 후설은 비록 윤리에 대한 공식적인 출판물을 남기지 않았지만, 평생 동안 윤리 문제를 탐구하였다. 후설의 현상학이 현상의 보편적 이해를 추구하듯, 그의 윤리학은 보편적 윤리 수립을 지향한다. 이성에 따라 보편적인 형식판단이 도출되듯, 후설의 순수 윤리학은 가치판단 역시 이성에 따라 보편적으로 수립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기획된다. 순수 윤리학으로부터 제시되는 가치판단은 이성작용을 토대로 감정과 의지가 융합된 결과물이다. 이러한 가치판단은 객관적 형식성을 띠며 궁극적으로 최상의 보편형식으로서 정언명령을 형성하게 한다. 순수 윤리학은 질료적 차원의 보편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이념의 보편성이 형식적으로나마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설은 이를 발판삼아 차후에 순수 윤리학의 가능성을 다른 방식으로 간구한다. 후설의 순수 윤리학은 이념의 규제적 기능을 선보임으로써 윤리 상대주의나 회의주의를 극복하는 학설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usserl’s Pure Ethics and reveal the significance of his ethics. Husserl, the founder of phenomenology, explored ethical issues throughout his life, although he did not leave any official publication on ethics. Just as Husserl’s phenomenology pursues a universal understanding of phenomena, his ethics also aims to establish universal ethics. The pure ethics proposed by Husserl is designed from the fact that just as objective formal judgment is derived according to reason, value judgment can also be established universally according to reason. Value judgment presented from pure ethics is the result of synthesizing of emotion and will be based on a rational act. This valuation takes on an objective formality and ultimately forms a categorical imperative as the best universal form. Pure ethics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specifically present the universality of the material level, but Husserl asks for its possibility in a different way, positively taking the fact that the universal ideal is possible formally. Husserl’s pure ethics can be understood as a theory that overcomes ethical relativism or skepticism by showing the regulative function of an ethical ideal.

      • KCI등재

        도덕 교과 교수ㆍ학습에서 행동 윤리학의 적용 방안

        추병완 ( Chu Beong Wa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3 No.1

        행동 윤리학은 사람들이 도덕적 영역에서 결정을 내리는 방식과 이유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본질상 규정적ㆍ처방적인 접근법이 아니라 기술적ㆍ서술적인 접근법에 근거한 행동 윤리학은 우리가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방식과 이유를 이해하려고 행동 심리학, 인지과학 그리고 관련된 사회과학에 의존하는 학제적인 분야다. 행동 윤리학은 인간의 제한된 윤리성 개념에 근거하면서, 선한 사람이 비도덕적 행동에 쉽게 관여하는 현상을 이해하는 데 그리고 그것을 교정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행동 윤리학 연구는 사람들이 왜 자신의 도덕적 기준에 어긋나는 그릇되고 비도덕적인 행위에 관여하게 되는지를 설명해 줌으로써 도덕 심리학에서 합리주의 모델의 약점을 잘 보완해줄 수 있는 잠재력이 풍부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행동 윤리학의 연구 결과를 도덕 교과의 교수ㆍ학습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덕 교사가 도덕적 점화를 활용하기, 도덕적 직관에 귀를 기울이기, 점진주의 편향을 예방하기, 이기적 편향을 극복하게 하기, 도덕적 자아를 활성화하기, 도덕적 풍토를 조성하기와 같은 방식을 행동 윤리학의 지침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는 학생들의 도덕적 행동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Behavioral ethics focus on revealing how and why people make decisions in the moral sphere. Behavioral ethics is based on not prescriptive but descriptive approach in nature. It is an interdisciplinary area that relies on behavioral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and related social sciences to understand the way and why we make moral decisions. Behavioral ethics, based on the concept of limited ethicality, can give many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and correcting the phenomenon of good people's easy involvement in immoral behavior. Behavioral ethics research has plenty of potential to compensate well for the weaknesses of the rationalist model in moral psychology by explaining why people get involved in wrongful and immoral behavior that goes against their moral standards. Thus, in this paper, the concrete method of applying the research findings of behavioral ethics to teaching and learning in moral education was presented. If teachers majoring in moral education can make good use of the guidelines of behavioral ethics, such as utilizing moral priming, listening to inner moral intuition, preventing incrementalism bias, overcoming self-serving bias, activating moral self, and creating a moral climate, we can further promote students’ moral behaviors.

      • KCI등재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

        변순용 ( Byun Sun-yong ),신현우 ( Shin Hyun-woo ),정진규 ( Jeong Jin-kyu ),김형주 ( Kim Hyeong-j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이미 로봇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로봇을 거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인간과 로봇의 관계 설정에 대한 논의와 로봇의 설계, 제작, 그리고 사용에 대한 논의 또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서 2007년에 제정되기로 했던 미완의 로봇윤리헌장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2007년 당시 산업자원부는 세계 최초로 로봇윤리헌장을 제정하려 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로봇윤리헌장을 공식화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해 이 윤리헌장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의 로봇산업 발전에 발맞춰 앞으로 개정해야하는 로봇윤리헌장의 윤리적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 수정방향에 대하여 제시할 것이며, 로봇윤리헌장의 초안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설정과 로봇 설계자, 제작자, 그리고 사용자가 준수해야하는 윤리원칙에 대한 세련화와 명료화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Robots are already very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es, and no one will reject robots that can enrich our live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robot are very inadequate. And also, discussions about the design, manufacture, and use of robots are insufficient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implications of the amendment to the Chart of Robot Ethics, which was enacted in 2007. In 2007,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e world`s first established the Chart of Robot Ethics, but did not promulgate the Chart of Robot Ethics. However, in order to coexist human and robot in the future, the Chart of Robot Ethics is very meaningful. Therefor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ethical basis of the Chart of Robot Ethics which should be revised in the future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robot industry, and simultaneously offer guidance on the direction of the cor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t of Robot Ethics, we will discuss the clear setting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robot and refinement and clarification of the ethical principle that robot designers, manufacturer and users should comply with.

      • KCI등재

        융합 기술에 관한 윤리적 분석

        추병완 ( Chu Beong-wa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융합 기술 시대에서 윤리학은 이전의 기술에 대한 사후 평가에 그치는 소극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바람직한 미래 기술의 방향을 권장하고 자극하는 더욱 적극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윤리학자로서 우리는 연구ㆍ개발 중인 기술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근거로 하여, 그런 기술의 향후 있음직한 인공 산물과 응용이 가져올 사회적 영향을 신뢰성 있게 예상하는 윤리적 분석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해야 한다. 그렇다면 윤리학자가 융합 기술에 관한 윤리적 분석을 시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이 논문에서는 융합 기술이 제기하는 윤리적 도전을 기술하고, 융합 기술에 관한 윤리적 분석 활동에 적합한 기존 접근법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며, 융합 기술의 윤리적 분석을 위한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Nowadays we are in the midst of technological revolution initiated by converging technologies. Traditionally ethics focused on post hoc evaluation of new technologies. Ethics and ethicists should be proactive and anticipatory so that they are able to encourage a desirable future of converging technologies. Ethicists should try to have more informed knowledge on converging technologies, get actively involved in ethical analysis of them, and propose ethical guidelines for engineers, policy makers, and civil society. Unfortunately, technology assessment by Korean government has many drawbacks. It stops short of ethical implications of technology in ques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ethicists to do their own ethical analysis for converging technologies. Ethical analysis of ethicists should be done from early research and development st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It is desirable that ethicists utilize three levels of analysis such as technology, artifacts, and applications. Regarding forecasting methods, ethicists can combine both top-down analysis and bottom-up analysis. Finally, ethicists can follow three stages of ethical analysis such as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for converging technologies.

      • KCI등재

        흠, 죄의 의미와 고백의 윤리성 고찰

        김대군 ( Kim Dae Gu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3 No.1

        본 논문은 고백의 윤리적 의의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백은 사회나 남의 잘못을 비판하기보다는 우선 자신의 허물을 인식하고 드러 내는데 특징이 있다. 오늘날 윤리 문제들이 대두될 때마다 사회구조, 제도, 정책이나 타인에게서 원인을 찾아 밝히는 일은 많지만 자신을 반성하고 스스로 허물을 고백하는 경우는 드물다. 본 논문은 고백의 윤리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흠과 죄의 의미를 탐색했다. 사람에게 흠이 있다는 것은 인간다움에서 뭔가 빠진 것을 말한다. 죄는 실존의 내면에 있는 것으로써 신의 뜻을 저버리고 맞서는 것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흠, 죄는 악의 상징으로서 고백에 의해 정화되고 순수를 회복하게 된다. 고백의 말은 자신의 의식 안에서 잘못이라고 여겨졌던 죄의식을 밖으로 이끌어 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백이 갖는 윤리적 의의를 자신의 허물을 인식해서 자율적으로 흠, 죄를 씻는다는 데서 찾고 있다. 고백의 윤리교육에서 위상은 벌과 달리 자율적이며 남을 탓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반성하고, 자신을 설명하는 말이 아니라 비탄의 말로써 정서를 순화한다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흠과 죄의 의미를 고찰하고 고백의 윤리성을 탐색하면서 사례는 2021년 한국사회의 학창시절 폭력 내러티브와 고백을 활용했다. 윤리교육은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흠과 죄를 남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있고, 윤리상담은 내담자들이 지난날의 윤리적 허물로 인한 불편함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흠, 죄와 고백에 대해 탐구하는 것은 특히 윤리교육과 윤리상담 영역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thical significance of confession. Confession is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and revealing one's own guilts. Today, whenever ethical issues arise, we attribute them to social structures, institutions, policies, or others. However, it is rare for them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confess their faults. First of all, based on Ricoeur's “Symbol of Evil” text, I try to understand the symbol of evil by examining defilements and sins. I will explore the explanations of Ricoeur's defilements, sins, and confessions to find implications for ethics education. While examining the meaning of defilements and sins and exploring the ethics of confession, the case utilized the narrative and confession of school violence in Korean society in 2021. It can be seen that ethics education plays a role in helping to escape from defilements and to prevent evildoers. In this respect, recognizing and confessing defilements, sins, and guilts from within oneself is still an effective method of ethics education. Confession is not about blaming others, but rather reflecting on me first. I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confess my guilts as a technique of ethics education.

      • KCI등재

        COVID-19 접촉자 추적 시스템의 윤리적 도전과 AI 윤리교육의 과제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3 No.1

        COVID-19 발발 후 몇 주 내에 이루어진 제약은 전례 없는 속도로 AI 솔루션의 채택을 가속화했다. COVID-19 확산에 대한 정책 대응에서 AI 디지털 사회는 데이터 수집, 접촉자 분류 및 인구 관리 등에 첨단 기술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는 일반 시민들에게 디지털 위험으로 작동하기도 했다. QR코드로 대표되는 팬데믹 인구 통제는 AI 판옵티콘을 현실화하며 AI 윤리 문제를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팬데믹 환경에서 AI 기술이 전염병 확산 방지라는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 및 사회 차원에서 어떠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AI 활용 팬데믹 대응 조치의 윤리적 문제들은 AI 윤리교육에서 실제적인 교육 소재로서 적합한 교육 콘텐츠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시티가 잠재적인 디지털 이점을 어떻게 남용하고 있는가. 감시 및 추적 시스템이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는 무엇인가. 팬데믹 상황에서 이동의 자유 제한과 격리 및 고립 조치로 인한 자유 통제가 정당한지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 첫째, COVID-19 팬데믹 환경에서 AI 기술 지원 상황과 이에 의해 발생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COVID-19 접촉자 추적 시스템이 갖는 윤리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AI 추적 기술의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윤리원칙과 해결과제를 검토하였다. 넷째, 팬데믹 시대 AI 윤리교육에서 다룰 필요가 있는 핵심 논의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Sanctions imposed within weeks of the COVID-19 outbreak accelerated the adoption of AI solutions at unprecedented rates. In responding to the pandemic of COVID-19, the AI digital society has supported advanced technologies in data collection, contact classification, and population management. However, it has also acted as a digital risk to ordinary citizens. The pandemic population sanctions represented by the QR code acted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AI ethics issues by making AI Panopticon a reality. In a pandemic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the positive aspects of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ut also what ethical problems are being caused at individual and social level. Ethical issues of AI-enabled pandemic countermeasures can be used as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in AI ethics education. Examples include: How are smart cities abusing their potential digital benefits? What are the ethical issues raised by surveillance and tracking systems? In a pandemic situation, is it justifiable to restrict freedom of movement in order to adhere to isolation measures? Therefore, the following topics were dealt with in this study. First, I looked at the use of AI technology and the problems caused by it in the COVID-19 pandemic environment. Second, the ethical problems of the COVID-19 tracking system were analyzed. Third, the ethical principles and tasks for solving the ethical problem of AI tracking technology were reviewed. Fourth, several core topics of discussion that needs to be dealt with in AI ethics education in the pandemic era were suggested.

      • KCI등재

        『금강경』의 윤리교육적 함의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4 No.1

        본 연구는 『금강경』의 핵심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불교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리교육적 함의를 탐구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동양은 유교교육이 바로 윤리교육이었고, 서양도 근대 이전에는 종교가 윤리교육을 담당하여 특별히 윤리교육을 강조하지 않았다. 근대 이후 인간 존중, 자유, 평등의 민주주의가치가 보편화되면서 윤리교육은 교과로 이루어져왔는데, 종교 관련 교육은 조심스러워 중립적인 관점에서 실시되었다. 윤리교육은 종교와 밀접히 관련되는데, 종교가 지닌 윤리성뿐만 아니라 윤리교육의 내용과 효과 측면에서도 그러하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의 강조, 도덕적 황금률과 연계되는 종교적 가르침, 다문화사회의 추세에 따른 다원성 교육 등은 이러한 관련성을 잘 드러내준다. 2015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선택 교과인 `고전과 윤리`는 종교 경전들을 고전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중 하나인 『금강경』의 윤리교육적 함의를 파악함으로써 관련 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강경』의 사상사적가치와 내용 체계를 살펴보고, `고전과 윤리`에서 제시된 『금강경』 교육의 방 향에서 윤리교육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고전과 윤리`에서는 『금강경』을 `타인과의 관계` 영역에서 관계성으로서 윤리적 자아의 발견,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통한 윤리적실천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금강경의 강독, 공감과 성찰을 위한 명상, 일기, 일상에서의 실천 등의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윤리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기(緣起)는 불교사상의 핵심 원리로 청소년들은 연기적 존재인 자신을 인식함으로써 자신을 둘러싼 관계망을 조망하여 윤리적 자아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타인 및 다른 존재들을 인정.수용 ·공감하는 자비심으로 나눔[베풂, 봉사]을 실천하되 상(相)에 집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청소년들에게 쉽지 않은 실천이지만 방편적 보시를 행하다보면 습관이 되고 점차 자신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명성이나 대가를 바라기보다 베풂을 받는 대상에 대한 사랑의 마음으로 실천하는 단계에 이르게 될 것이다. 『금강경』의핵심은 무주상 보시 (無住 相 布施)인데 그 실천이 종교적 의미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종교적 틀로 제시되기는 하지만 보편적 삶의 지혜로 승화된 가 르침을 통하여 모든 종교는 윤리적 의미를 통하여 행복한 세상을 꿈꾸며 이는 인류가 추구하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thics education in Diamond Sutra. Traditionally, before modern times, confucianism education had been ethics education in east and religious education had been moral education in west. Moral subject takes charge of the moral education in democratic society in modern times. The education connected with religion regards to neutrality of religious education and free of religion in school. Ethics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religious education not only by dealing with human spirituality but by the effect of religious education. Religion and ethics as a subject of highschool deals with Classics in 2015 revised curriculum. Diamond Sutra is the book of early in the Mahayana Buddhism. The ethics education by using Diamond Sutra pursues the integrating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morality. The educational contents in Religion and ethics are about understanding relational self and offering for others without attachment[無住相 布施]. Diamond Sutra is a valuable book which have universal wisdom above religion. The effort for practice of offering for others without attachment[無住相 布施] is not restricted to religion meaning. The teachings of religion must sublimate into living as wisdom of life.

      • KCI등재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메타 윤리와 신경 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결 ( Jung Kyul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0 No.1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는 ‘지금-여기’에 한정되어 있던 윤리적 책임의 범위를 공간적으로는 전체 자연으로, 시간적으로 미래 세대의 인류로 확장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거시 윤리의 한 가지 원천으로서 책임 윤리는 우리에게 많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주었지만, 그것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요나스가 주장한 책임 윤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보다 발전된 논의가 이어질 수 있기 위해서, 윤리학과 관련되는 주요 영역에서 그의 사상을 검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 윤리의 입장과 신경 과학의 입장에서 평가할 때, 요나스의 책임 윤리가 가지는 약점을 지적하고, 강점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우선 메타 윤리의 입장에서, 존재가 당위를 함축한다는 요나스의 주장이 자연주의적 오류를 통과할 수 없음을 지적하고, 신이 존재를 선으로 창조하였다는 주장의 증명 불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다. 다음으로 신경 과학의 입장에서, 요나스의 창조론을 유전자와 진화의 관점으로 대체하면 보다 강한 설명력을 가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 공포의 발견 술에 대한 실험적이고 경험적인 근거들을 검토해 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요나스의 책임 윤리는 메타 윤리의 입장에서 평가할 때, 의문스러운 근거들 위에 수립되어 있는 주장이지만, 오히려 최근의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증거로 동원하면 보다 높은 설득력을 가지는 이론으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Hans Jonas' responsibility ethics argues that the scope of ethical responsibility, which used to be limited to ‘now-here’, should be extended to the whole of nature in space and to the future generations of mankind in time. While responsibility ethics as a source of macro ethics have given us many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blind pursuit of it is by no means desirable. It is time to make an effort to review his thoughts in key areas related to ethics so that more advanced discussions can be made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Jonas' responsibility ethics. This paper will point out the weaknesses of Jonas' responsibility ethics and suggest ways to further develop their strengths when evaluated from the position of meta ethics and neuroscience. First, from the viewpoint of meta ethics, I point out that Jonas' argument for ‘Problem of Is-Ought’ can not pass naturalistic fallacy and will discuss the impossibility of proving that God created existence by goodness. Next, from the standpoint of neuroscience, I suggest that replacing Jonas' creationism with a viewpoint of genes and evolution can have a stronger explanatory power, and examine experimental and empirical grounds for the heuristics of fear. Through these processes, Jonas' responsibility ethics is an argument that would be established on questionable grounds when assessing it from a meta ethics standpoint, but rather with the recent evidence of neuro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