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요가의 기원과 정체성 문제

        심준보(Sim Junbo) 한국요가학회 2015 요가학연구 Vol.- No.14

        본 논문은 한국요가의 기원과 정체성의 고찰을 목표로 한다. 한국요가의 기원에 대해서는 불교 법상종 기원설, 유영모 선생 자생적 발생설, 정태혁 도입설 등이 주장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이론 들을 살펴보고 기존의 이론과는 다르게 장인선, 정태혁 2인 도입설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의 또 하나의 주제인 한국요가의 정체성 문제는 현대요가의 역사와도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먼저 간략히 서구 및 인도의 현대요 가사를 개관하고, 한국요가의 최초기 형태가 현대요가사의 어떤 흐름과 상응하는지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세계요가사의 흐름이 비베카난다 이후 (19세기 말) 1920년대까지의 치유요가 계열과 1930년대 이후 크리쉬나 마차리야와 그의 제자들의 체위를 중심으로 하는 미용요가 계열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최초로 도입된 요가는 주로 치유요가 계열이었음을 주장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identity and origin of Korean yoga. There have been three kinds of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Korean yoga : the theory of Korean buddhist yogācāra sect origin, the theory of autonomous beginning by Ryu Yeongmo who was a korean thinker in the early-mid 20th century, and the theory of the introduction of Jeong Taehy-eok who was a yoga scholar of Korea. This paper insists the theory of the introduction of Jang Insun and Jeong Taehyeok. Another topic of this paper is the identity of Korean yoga which is relat-ed with the history of modern yoga closely. So this paper surveys the his-tory of modern yoga of India and the West and then considers that which trend in the history of modern yoga corresponds with the earliest form of Korean yoga. This paper insists that there are two trends in the history of modern yoga : the first, the healing yoga style from Vivekananda period to 1920’s, and the second, the fitness yoga style since 1930’s in which Krish-namacharya and his student were central leaders. This paper insists that the first yoga trend introduced to Korea in the earliest period was mainly the healing yoga style.

      • KCI등재후보

        요가심신테라피 진행과정과 구성적용방법 연구

        강화 한국요가학회 2017 요가학연구 Vol.- No.18

        The interest in yoga therapy, a new field in yoga, is rapidly growing. Yoga therapy is a holistic mode of therapy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individual who needs treatment and healing, but also culture and lifestyle.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has made persistent efforts for the past seven years to develop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YTMB) as one of the professional fields of yoga therapy attuned to Korean situation. This study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basic application principles, methods, and progress of structured YTMB. To this end, I have review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yoga therapy, and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India and the United States, where treatment is actively pursued through yoga. In addition, the basic principles of yoga therapy, which is newly formed as meeting with the teaching of traditional yoga and modern psychology, are reviewed in the course of applying it to YTMB.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10 sessions consists of the initial stage, the development stage, and the final stage. The initial stage consist of the first interview and introduction is to identify the clien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and agree on the goals of the appropriate therapy, also guide the necessary yoga postures and techniques for clients to organize. In the developmental stage, the self-regulating ability based on the body sensation is improved by the self-training and the self-awareness training of the previously learned therapy posture, and the healing can be confirmed. The final stage is to stabilize the continuously practiced therapy posture so that it continues to be practiced in everyday life even after the end of YTMB and confirm that the initial set therapy goal has been achie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the situation in which healing occurs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clinical cases of two clients. Through this thesis,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YTMB are applied at clinical sites and hopes to be activated on the basis of this. 요가의 새로운 흐름으로써 성장하고 있는 요가치료에 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요가치료는 치료와 치유를 필요로 하는 각 개인의 특수한 상황은 물론 문화와 생활양식까지 고려하여 적용되는 전일적인 치료 양식이다.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는 지난 7년간 요가치료의 전문적인 영역중의 하나인 요가심신테라피를 한국 상황에 맞추어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서 구조화된 요가심신테라피의 기본적인 적용원리와 방법, 그리고 진행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며 실천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요가치료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와 논의들에 대해 개관하고, 현재 요가를 통한 치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인도, 미국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적인 요가의 가르침과 현대 심리학이 만나면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요가치료의 기본원리가 요가심신테라피에서 적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하며 그 구성을 개관하였다. 전체 10회기로 구성된 요가심신테라피의 일반적인 구조는 초기단계, 발전단계,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면접과 도입으로 이루어진 초기단계는 내담자의 신체적 특징과 호소증상을 파악하여 적절한 테라피의 목표를 합의한다. 내담자에게 필요한 요가자세와 기법을 활용해 요가디자인을 구성하고 안내한다. 발전단계에는 앞서 익힌 테라피 자세를 익숙하게 수련하며 자각력이 높아져 신체감각을 기반으로 한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어 치유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무리 단계는 지속적으로 수련한 테라피 자세를 요가심신테라피가 끝난 이후에도 일상에서 수련을 지속할 수 있게 안정화 시키고 초기에 설정한 테라피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각 단계의 특징과 치유가 일어나는 상황을 두 명의 내담자의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요가심신테라피의 구성과 방법이 임상현장에서 적용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가 활성화 되길 바란다.

      • KCI등재후보

        마음과 명상의 요가심리학적 이해

        서정혜(Seo Jeong Hye) 한국요가학회 2014 요가학연구 Vol.- No.12

        한국에서 명상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요구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불교 등 다른 전통의 명상법들과 달리 요가전통의 명상법들은 대중화와 상품화에 실패하였다. 그 결과 요가는 몸의 건강을 훈련하는 생활체육, 명상은 마음을 조절, 관리하는 수련법이라는 구분과 오해가 대중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즉 요가는 명상과는 구분되는 몸의 훈련으로 제한,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 요가 문화의 현실에서, 요가와 마음을 관련짓는‘대중인 문학으로서의 요가심리학’과‘마음치유와 훈련으로서의 요가명상’이라는 요가심리학 담론들을 만들어, 대중적으로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은 새로운 담론으로서의 요가심리학 창조의 실험이다. 요가심리학에서 1) 사람과 마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2) 마음을 치유 하고 훈련하는 대중적인 요가명상 프로그램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훈련 할 것인가를 3‘) 가능한 단순하고 쉬운 심리학적 방식’으로 설명하는 담 론 구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역사 속의 특정 경전이나 철학 속에‘진정한 요가가 있다’는 본질주의의 입장에서 벗어나 있다. 대신 대중사회에서 끊임없는 변화와 혼용을 거쳐‘지금 현재 문화로서 창조되고 있는 요가’를 적극적으로 인정한다. 그러므로 이 글의 의도는 보다 다양한 한국 요가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창조적 시도를 공유하고 권유하고자 한다. Public concerns and demands for meditation practices are growing bigger in Korea. Unlike other traditions of meditation such as Buddhism and Kuksundo, Yogic meditation which has rich tradition and various techniques proved unsuccessful in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in Korea. As a result, there is a common misguiding dichotomy that yoga practices are techniques for bodily exercises while meditation is disciplines for the mind. That is to say yoga is confined to an physical exercise. Considering this reality of yoga culture in Korea, relating yoga practices with the mind through the disciplines of Yoga Psychology is essentially needed. It is important to create fresh discourses on Yoga Psychology as Public Humanities and put the discourses into lively circulation. In addition to that, to produce Public Yogic Meditation Programs for healing and training of mind. and spread the yogic meditation programs as a self-healing practice for modern people, is a live issue for yoga teachers. This article is a creative experiment for producing fresh and live discourses on Yoga psychology. It is intended to create a simple and easy psychological discourse about the understanding of humans and the mind in yoga psychology, and what and how to practice yoga meditation as the public programs for healing and training of mind. The standing point of the article is opposite to the yogic fundamentalism which maintain and argue that there is True Yoga in the ancient Indian traditions or in the Yoga Sutras. But rather, it agrees that Yoga is a culture of now created consistently through cultural mix and transformation in the public society in time.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share and suggest an effort for creating more diverse and dynamic yoga culture in Korea.

      • KCI등재후보

        동시대 요가 문화, 그 데생과 몽타주

        박효엽(Park, Hyo Yeop) 한국요가학회 2013 요가학연구 Vol.- No.9

        ‘요가의 르네상스’라고 불릴 만한‘현대 요가’는 탈종교화 (세속화)와 탈지역화 (세계화) 의 산물이다. 그럼에도 현대 요가는 그 문화적 측면에서 여전히 종교적이고 또 지역적이다. 결국 현대 요가는‘문화적 요가’의 가능성을 향해 다양한 변용을 겪고 있는 셈이다. 현대 요가는 혼종 문화, 대안 문화, 연대 문화로 규정될 있다. 혼종 문화로서의 요가는 일면 긍정적이지만, 그것이 서구에 의해 여과되고 자본 에 의해 수혈된 것인 이상 더 날것의 의미인 잡종성을 추구해야 한다. 요가는 현재 비과학도 아니고 과학도 아닌 중간적 위치에 자리 잡고 있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요가가 대안 문화로서 풍부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그리고 미래의 요가는 요가의 정치화를 통해 개인수양 문화로부터 연대 문화로 적극 나아가면서 사회적 정의를 구현하는 데 일조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현재 한국의 요가 문화는 배타주의, 종속성, 상품화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요가의 이론과 현장 모두에서‘비판 담론’과 같은 작은 실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Modern Yoga, deserved to be called ‘Renaissance of Yoga’, is a product of secularization and delocalization. However, it is as used to be religious and regional in its cultural aspects. After all it may be said that Modern Yoga is undergoing various changes in appearance towards a possibility of being‘ Cultural Yoga’. Probably, Modern Yoga can be laid down as ‘Hybrid Culture’, ‘Alternative Culture’, and‘ Solidary Culture’. As far as Yoga, as Hybrid Culture, is filtered by the West and is transfused by the capital market, a raw hybridity consisting of odds and ends has to be preferred rather than an appropriated hybridity. Yoga is nowadays located in between science and non-science, and yet this fact gives an allusion that Yoga can paradoxically be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to be Alternative Culture. Yoga in future should convert Itself from the self-cultivated culture into Solidary Culture by means of‘ the politicization of Yoga’, so that It is of a help toward materialization of social justice. In this regard, Korean Yoga culture at the present time suffers such crises as exclusionism, subordination, commodifica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rises, there must be a‘ critical discourse’about Yoga as a small practice not only in theoretics but in actual field before everything else.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요가의 최근 국내외 연구현황

        안선덕(An, Sundeok) 한국요가학회 2020 요가학연구 Vol.- No.23

        본 논문에서는 마음챙김과 마음챙김 요가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마음챙김 요가의 최근 국내외 연구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요가는 보완대체의학 분야에서 심신중재법으로 인정받아 해외에서는 독립적인 치료분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아직 치료요가 분야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최근 심신통합 치유요가로 주목받고 있는 마음챙김 요가의 국내외 연구현황을 조사하여 요가 활성화 기여하고자 한다. 마음챙김 요가의 국내외 연구현황을 검색한 결과, 연구기간은 2003년∼2020년이었고, 국내에서 연구된 문헌은 총18편, 해외에서는 총124편으로 조사되었다. 먼저 연도별 조사결과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2003년에 최초로 논문이 발표되었고, 국내에서는 2009년에 첫 연구 발표가 있었다. 이후 마음챙김 요가 연구는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2018년을 기점으로 발표된 논문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학술지 분야별 현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총 8종의 학술지에서 발표되었고, 운동/스포츠 분야의 학회지에서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해외에서는 총 94종의 학술지에서 발표되었고, 그 중 의학 분야 학술지에서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모두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기술/분적방법은 효과검증 분석방법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고, 해외연구 중에서 19편은 RCT로 연구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마음챙김 요가의 효과 연구였고, 해외에서는 요가와 마음챙김(명상)의 효과를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내 연구문헌에서 연구된 주요 질환은 심리 분야였고, 해외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 뇌성마비, 통증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종합해보면, 국내 마음챙김 요가는 아직 매우 적은 수가 연구되었고, 제한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었다. 해외 마음챙김 요가 연구는 최근 발표 논문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연구 방법, 연구 주제, 연구 질환의 종류도 매우 다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mindfulness and mindfulness yoga in theory and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mindfulness yog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Yoga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mind-body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is growing internationally into an independent treatment field, but it is not yet active in Korea. Therefore,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new yoga by investigating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mindfulness yog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hich has recently been receiving attention as a mind-body intervention. According to a surve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indfulness yoga, the year of the study is from 2003 to 2020, and a total of 18 studys have been studied in Korea and 124 other countrie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y year, the first paper was published other countries in 2003, and the first research was published in 2009 in Korea. Since the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as of 2018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mind-taking yoga studies continued to increase at home and abroad. Since then, research on mindfulness yoga has been to increase continuedl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2018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y research journal field, it was published in eight journals in Korea, and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journals in the field of exercise/sports. It was published in a total of 94 journals abroad, most of which were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The research method had the largest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both at home and abroad. Research techniques/analysis methods were chosen the most frequently a effect verification, and 19 of the abroad studies were studied with RCT. The most studied subject in Korea was the study of the effects of mindfulness yoga, and the study abroad focused on the effect of yoga and mindfulness. The main diseases studied in the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were in the psychological field, and overseas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stress, anxiety, depression, cerebral palsy and pain. In summary, a very small number of domestic mindfulness yogas have been studied and are being studied in limited fields, The study of mindfulness yoga abroad has been grea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has been studied in a very wide range of fields, and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types of research diseases are also very diverse.

      • KCI등재후보

        한국개신교의 현대요가 수용에 대한 고찰 :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예장통합) 교단의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심준보(Sim, Junbo) 한국요가학회 2020 요가학연구 Vol.- No.24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adopted the research report on yoga that prohibits the yoga practice of Presbyterian, 3 years ago(18, September, 2017). The acceptance or prohibition of yoga practice may differ along with doctrines of religions or orders. However, when they judge the acceptance or prohibition of it, the judgement must be based on objective and correct facts. But the prohibition of yoga practice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was judged on an inaccurate facts. This prohibition may distort the facts on yoga, and lead to misunderstandings on yoga in Presbyterian, by extension, the public. This paper first criticizes the non-objectivity and insufficiency of reference materials used in The Research Report on Yoga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he Report), and the lack of academic base. Next, this paper points three inaccurate facts of The Report : ① the origin of yoga, ② the period of important classic texts in India, ③ the theory on the origin of Korean yoga, and by above criticism,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Report has not academic bases. In the las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Report has mistaken not to understand what yoga that the Report prohibit is, because the Report not differ modern yoga from traditional yoga practices. By this paper, I demonstrates an example of acceptance of modern yoga in modern korean protestantism, and wish that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study on modern yoga more objectively and correctly. 2017년 9월 18일 한국 개신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예장통합)교단은 교단 내 신자들의 요가를 금지하는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받아들였다. 각 종교나 교단의 요가 수용은 각 종교들의 교리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요가를 평가할 때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와 사실을 기반으로 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금 번 예장통합의 결정은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정보와 사실들을 통해 이루어 졌고, 이것은 요가의 본질에 대한 왜곡을 가져옴으로써 개신교도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요가에 대한 오해를 일으킬 소지가 없지 않다. 본 논문은 먼저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가 이용한 참고문헌의 객관성 및 학문적 불충분성을 비판했다. 다음으로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가 ① 요가의 기원, ② 인도 중요 문헌의 연대, ③ 한국요가 기원설에 대해 심대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함으로써 이 보고서가 학문적인 신빙성을 가지지 못한 것임을 논증했다. 마지막으로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는 현대요가와 전통요가의 개념을 구분하지 못함으로써 그들이 금지시키려 하는 요가가 어떤 요가인지도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논증하여 보고서의 논지가 처음부터 성립되지 못함을 보였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에서 현대요가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보이고, 요가 왜곡에 대한 시정을 엄정한 학문적 기준을 가진 학회의 논문을 통해 예장통합 측에 엄중히 요구하려 한다.

      • 요가아사나의 스포츠화에 대한 소고

        배윤종(Bae, Youn-Jong) 한국요가학회 2015 요가학연구 Vol.- No.13

        요가는 고대 인도의 종교와 철학을 배경으로 전승되어온 심신 수련법이며 내면의 성찰과 사마디 (samadhi) 라고 하는 심신통합의 과정을 통해서 해탈 (moksha)을 지향한다. 현재의 요가는 서구를 중심으로 대중화, 과학화된 스포츠구조의 현대요가이며 미용과 다이어트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근래의 한국요가 역시 심신통합이라는 거창한 목적보다는 좀 더 대중 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향의 모색과 함께 스포츠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이것을 제도화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요가가 즐거운 스포츠처럼 대중에게 생활화 될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대한 모멘텀을 맞이하고 있다고 본다. 우려되는 부분은 스포츠화에 대한 준비과정에서 이에 대한 호감과 반감으로 양분화 된 요가계의 모습이다. 이는 요가의 스포츠화에 이어 질 득과 실에 대한 관망이나 기득 계층의 위상, 요가에 대한 보수와 혁신의 갈등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요가와 스포츠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정보를 통해서 하나의 대상이 스포츠화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요가의 스포츠화에 대한 예측과 전망이 필요하다. Yoga a mind-body training method that has been transmitted up to now from ancient India based on its religion and philosophy. It pursues moksha through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and mind-body integration, so-called samādhi. The yoga of this age is modern yoga equipped with the structure of a sport popularized, diversified, and scientified in the West, and it is characterized by its beauty care and diet purposes. Currently, Korean yoga is also becoming a sport pursuing its goal to approach the public more closely instead of its original, big goal to integrate mind and body. Moreover, they even intend to institutionalize it. With this phenomenon, we can see that yoga is facing a critical, transitional moment at the point that it can turn out to be a habit of life to the public as an enjoyable sport. But what our concern is that the circles of yoga are divided into two, pros and cons about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making it a sport. This is attributed to the prospect of profit and loss resulted from making yoga a sport, the status of those with vested rights, and conflicts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bout yoga. Therefore, based on broa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yoga and sports,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process to make a certain object into a sport and predict how yoga will become a sport.

      • KCI등재후보

        국내 요가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

        곽미자(Kwak Mi ja) 한국요가학회 2018 요가학연구 Vol.-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국회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2011년부터 최근((2018.4.22)까지의 ‘요가’, ‘아유르베다’, ‘딴뜨라’ 및 ‘필라테스’를 키워드로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서 요가 470편, 아유르베다 36편, 필라테스 206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연도별 연구동향과 전공별 연구동향분석이다. 연도별 연구동향은 논문제목으로 나타난 연구의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전공별 연구동향은 ‘요가’와 ‘필라테스’를 중점으로 학술지유형별 빈도분석과, 박사학위논문의 전공유형 및 전공영역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요가 연구는 2011년 이후에도 2011년 이전의 연구에 비해 학술지 게재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2017년 이후부터 요가관련 박사학위논문은 필라테스 박사학위논문 수보다 감소하였다. 요가와 연관이 있는 아유르베다와 딴뜨라 연구는 2011년 이전의 연구에 비해 양적으로 증가되었기보다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둘째, 전공별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요가의 학술지 게재 영역은 29개 학술지로서 다양하였으나, 필라테스의 경우 주로 체육 분야에 게재되었다. 요가 및 필라테스의 박사학위논문의 유형을 살펴보면 효과검증연구(요가, 68.4%, 필라테스 94.7%)가 대다수였으나, 요가는 필라테스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연구유형이 제시되었다. 요가 및 필라테스의 박사학위논문의 전공유형 분석의 경우, 둘 다 체육학 전공(요가 19.3%, 필라테스 52.6%)이 많았지만, 요가의 경우 전공영역이 다양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가학문의 발달과제는 아유르베다, 딴뜨라의 유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필라테스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생활체육으로서 요가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가의 다양한 수련법이나 지도법을 체계화하고 재활에 초점을 두는 요가테라피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y trend in related to yoga in Korea and to propose new study direction based on the analysis. As for the data collection through DB of the Library of Congress,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keywords such as “yoga”, “ayurveda”, “tantra”, “pilates”from 2011 to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total 470 pieces about yoga, 36 pieces about ayurveda and 206 pieces about pilates at the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and thesis published on academic journals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search trend according a year of studies and a major field of study were analyzed. Research trend according to year was analyzed by the number of studies and research trend according to the major field of study was analyzed through the type of journal and the field of major of doctoral dissertation in case of yoga and pila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number of studies about yoga was increased since 2011 compared to before 2011, doctoral dissertations about yoga were decreased since 2017. The number of studies of ayurveda and tantra were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2011. Second, The number and types of journals on yoga were various but pilates was focused on the field of sports. In case of the type of doctoral dissertation in yoga and pilates, most of them were experimental research( yoga 68.4%, pilates 94.7%). The other hand, as far as the analysis of the field of major, even though both of yoga and pilates were physical education, yoga was various. The new task of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ies of yoga should be studied with ayurveda, tantra and pilates. Second, as far as sports for all, the identity of yoga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yoga therapy focused on practice, teaching method and rehabilitation.

      • KCI등재후보

        복합외상경험자에게 미치는 트라우마 치유요가의 효과

        윤온감(Yun, Ongam)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경험자들을 대상으로 트라우마 치유요가를 실시함으로써 현재 신체적·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복합외상경험자들에게 미치는 치유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트라우마의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 현실에서 트라우마 치유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치유적인 지원사업이 병행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따라서 스스로 자기 치유력을 높이고 치유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트라우마 치유요가의 유용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복합외상의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 성인들로서 각각 17명이었으며, 실험집단에는 요가자세와 호흡,이완이 결합된 요가 프로그램을 주 1회 1시간 30분씩 총 8회기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한국판내부감각자각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치유요가프로그램에 참여한 복합외상경험자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증상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내부감각자각이 증진되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라우마 치유요가 프로그램이 복합외상경험자에게 미치는 치유적 효과에 대한 첫 경험적 연구라는 점과 요가 자세와 호흡, 이완으로 구성된 트라우마 치유요가 프로그램이 복합외상경험자들의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트라우마 치유 현장에서 트라우마 치유요가를 일반프로그램과 함께 병행하는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복합외상경험의 치유지원 사업은 상당한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 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ing effect of trauma experiencer who ha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by conducting Trauma - Sensitive Yoga for Complex PTSD experiencer. In Korea, where trauma is becoming more popular, there is a widespread awareness that healing support projects should be combined to achieve trauma hea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o help self-healing and succeed in healing.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Trauma- Sensitive Yoga.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17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had experience of complex trauma,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yoga the program combined with yoga asana, breathing and relaxation for 1 hour and 30 minutes a week, totaling 8 sessions.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cale, Korea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and Korea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K-MA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bined trauma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f the experienc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Trauma-Sensitive Yoga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ternal sensed awareness was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trauma healing yoga program on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d person and that the Trauma - Sensitive Yoga program composed of yoga shape, breathing and relax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ing of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d person. Therefore, if a policy approach is made to combine Trauma - Sensitive Yoga with general programs in trauma healing sites, the healing support project of complex trauma experience will be able to achieve considerable effectiveness.

      • 남인도 요가수행의 전통

        변순미(Byeon Sunmi) 한국요가학회 2015 요가학연구 Vol.- No.14

        하타요가가 20세기 이후 현대요가로 정립되면서, 고대 인도에서는 특정한 수행계층에만 한정되어 있던 요가수행이 현대에는 현대생활에 필요한 요소들이 알맞게 응용되어 인도뿐만 아니라,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고대 지혜의 열매의 맛을 공동으로 향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현 대요가의 다양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쉬바난다요가, 비니요가, 아슈탕가 빈야사요가, 비크람 요가, 히말라얀 요가명상, 필라테스요가, 힐링요가, 발란스요가, 비트요 가, 아디다스요가, 플라잉요가, 체질요가, 수정요가 등등 다양한 요가수련 법들이 한국에서도 시도되고 정착하고 있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유행풍조에 민감한 요가수련은 그 생명이 짧다. 이러한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서는 쉬바난다 요가의 전통과 가치관을 통해서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쉬바난다요가의 특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고대 전통요가와 하타요가의 통합을 통하여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실현하고, 아사나 수련을 통하여 육체적인 고통을 최소화하고, 뿌라나야마를 통하여 정신적인 고통을 극복하고, 명상을 통하여 자신의 고유한 본성을 찾아가는 여정이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든 이론적 근거는 베단타 즉 󰡔우파니샤드󰡕 와 󰡔바가바드기타󰡕의 가르침과 파탄잘리의 󰡔요가경전󰡕과 󰡔하타 요가 프 라디피카󰡕 그리고 샹카라 철학 󰡔아트마 보다󰡕에 기반을 두고, 힌두교적 인 방식으로 영적인 삶을 지향하는 실천적 수행체계이기 때문이다. 올해의 아슈람 방문을 통하여 느낀 것은 내가 처음 마주했던 것들에 대하여 세월이 흐른 뒤에도 ‘하나도 변한 것이 없다’였다. 이 변화가 없 는 것은 스와미 쉬바난다와 스와미 비슈누 데바난다의 정신과 가르침이 다. 따라서 전통을 이어주는 ‘변화된 것이 없는 것’은 어떤 큰 변화보다 도 더 큰 변화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유행풍조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한 국의 요가현실에서 세대와 세대뿐만 아니라 남녀노소를 초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요가의 수행체계 확립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요가의 궁극적인 목적과 현대인들의 삶에 실질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무엇인가가 있어야 한다면, 개인의 영성을 깨닫는 것일 것이다. 이러한 의미로 현대요가를 수용할 때에는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영혼의 양식이 될 수 있는 사상적 체계와 가치관이 함께 도입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As a hatha yoga established by modern yoga since the 20th century, it became widespread in the world. In ancient India, yoga has been training only in certain layers, but in modern times, the important elements of yoga are properly been applied to modern life. Accordingly India as well as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many people jointly enjoy the taste of the fruit of ancient wisdom. This result may appear to the diversity of modern yoga, for example Shivananda vedanta yoga, Asthangavinnyasa yoga, Hot yoga, Vinnie yoga, Vikram Yoga, Himalayan Yoga, Meditation, Pilates Yoga, Healing Yoga, Balance Yoga, Adidas Yoga, Flying Yoga, Constitution Yoga, Modify yoga and so on. Modern systems of yoga mention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ry and settle in Korea. But features of modern yoga is variously been tried, but fashion trend-sensitive yoga practice is that life is short. To seek a reso-lution of this problem would like to mention about the value and tradition of Shivananda Yoga. Briefly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Shivananda yoga i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through the integration of Raja yoga and Hatha yoga. In other words, through asana training is to minimizes phys-ical pain, through pranayama is to overcome the mental sufferings and through meditation. These three could be considered as a journey getting their unique nature. In addition, all rationale is based on Upanishads, Bhagavad Gita, Yoga Sutra, Hatha Yoga Pradipika, and Adi Shan-kara’s atmabhodha etc., practical Hindu way to be able to perform sys-tem-oriented spiritual life. When I visited the center this year, I felt that “nothing has changed nothing”. The absence of a change in the spirit and teachings of Swami Sivanada and Swami Vishnu Devananda. So that connects the tradition ‘will not be a change’, thinks bigger change than any big changes. When we do not lose the spirit and values of yoga, it would more beneficial to man-kind. With regard to this topic “The identity of Korea Yoga in the world Yoga”, What we need to think the traditions and values of yoga. If we have something that we can reach in the lives of the ultimate goal of yoga it would be aware of the individual’s spirituality. When we accept the modern Yoga in this sense I think it should be introduced with an ideological framework that could be a form of physical and emotional and s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