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2010-2014)’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최병연,이명숙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논문 중 영재 혹은 영재교육에 관한 8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 영재성 영역, 연구주제, 연구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7%), 교원(22%), 중학생(18%), 고교생(7%), 전문가(7%), 그리고학부모(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성 영역으로는 과학(54%), 수학(17%), 발명(10%), 언어(7%)의 순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셋째, 이들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영재성 및 특성(36%),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12%),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10%), 교수-학습 전략(9%), 선발 및 판별(8%), 영재교육동향 및 정책(7%), 교원의 전문성(6%), 진로 및 상담(5%), 부모 및 가족(5%), 특수영재(2%) 등의 순으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는 조사연구(44%), 문헌연구(20%), 혼합연구(15%), 질적연구(12%), 실험연구(9%)의 순으로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최근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의 결과에근거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능이 유아의 영재교육 인식도,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미정 한국영재교육학회 2019 영재와 영재교육 Vol.18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능이 유아영재교육 인식도 및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대전, 광주, 대구지역 975명의 유아기(만 2∼5세) 자녀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영재교육 자녀연령에서는 만 2세∼만 3세의 집단이 만 4∼5세의 집단에 비해 유아영재교육의 인식도와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녀수는 인식도의 경우 1명의 집단이 2명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요구도는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거주 지역은 인식도와 요구도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어머니 학력은 대학원 이상과 대학교 졸업 집단이 전문대졸, 고졸이하 집단에 비해 인식도와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 직업에 따른 인식도와 요구도는 전업주부 집단이 시간제 근무직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인식도에 있어서, 소득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요구도는 700만원 이상과 5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의 유아영재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능 요인 중 격려, 합리적 권위, 소통, 수용, 융통이 높을수록 유아영재교육 인식도와 요구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능의 3가지 변인이 유아영재교육 인식도 및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어머니 부모역할지능의 하위요인 중 발달자극, 양육 및 지지의 하위요인이 유아영재교육 인식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구도의 경우 양육 및 지지가 유아영재교육 인식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발달자극, 관리의 순서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 KCI등재

        영재 교육과정 모형 탐색과 현장적용

        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영재교육학회 2004 영재와 영재교육 Vol.3 No.2

          Over the last twenty years, general principles about appropriat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have been delineated. Meeker used the Guilford"s SOI and Renzulli focused on a differentiated curriculum model. And VanTassel-Baska have stressed a confluent approach to differentiated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that includes both acceleration and enrichment strategies. There were various basic Paradigm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fostering higher thinking process.<BR>  The contents of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cludes the activities fostering higher thinking process, detect main idea and theme, basic important principles.<BR>  The development of our gifted education is cling to the level and role of teachers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Now, their are the program for gifted that was developed KEDI from 2002 to 2003. But it was not appropriate apply equally to all the region in the country. So a suitable curriculum is needed.<BR>  Gifted education is the basic stage in Korea, therefor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are the tasks of the our nation.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발전은 영재담당 교사의 수준 및 역할과 더불어 어떤 교육과정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재교육프로그램으로는 2002년과 2003년에 시ㆍ도교육청이 공동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에 의뢰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이 있으나 지역 실정에 부합되지 못하여 교사가 재구성해야 하는 부담과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실정에 따라서, 학교 학습자 수준과 환경을 고려한 적합한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BR>  영재교육의 많은 부분은 학교, 가정, 사회에서 영재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되며, 영재아의 학습욕구에 부응하여야 한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정규학교에서 일상적으로 제공되는 것 그 이상의 차별적 교육프로그램으로, 속진과 심화의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영재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며, 일선 현장의 교사에게 위임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아직은 영재교육 시행 초기임을 감안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영재교육과정이 구성되고 프로그램일 개발되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재교육의 수직적 연계 현황 및 발전 방안

        이영준,최정원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3

        영재성을 보이는 학생은 지속적인 영재교육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고 사회에 공헌할수 있는 인재로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초-중-고 학교급간에 수직적인 연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영재교육이 시작된 지 약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학생들이 초등학교, 중학교를 거쳐 고등학교 영재교육기관까지 진학하면서 지속적으로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었는지, 지속적인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초-중-고 학교급간의 수직적 연계가 구축되어 있는지에 대한 현황도 명확히 파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 및 과학고등학교 재학생, 영재교육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직적 연계 현황을 파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직적 연계는 학생의 지속적인 영재교육 수혜 측면과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측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연구 결과 학생의 지속적인 영재교육 수혜 측면에서 살펴볼 때 과학 고등학교나 영재학교로 진학한 학생의 약 80% 정도가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었다. 그러나 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직전까지 지속적으로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은 36.2%로 대다수 학생들은 영재교육 도중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공백기가 생겼던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기관 간의 연계 현황에서는 기관간 연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연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 이력 관리와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준과 기준 제시 등의 제도적 장치를 통해 영재교육이 체계성을 갖춤으로써 학생들의 자아실현에 도움이 되는 영재교육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중-고에 이르는 영재교육기관의 연계 현황 파악 자체에 그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영재교육 정책 수립 및 발전에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Gifted Students should be able to make self-realization and grow into human resources who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through gifted education. To this end, these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continuous gifted education and vertical linkag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established. However, now when 10 years has passed since gifted education started, whether gifted students were able to receive gifted education continuously throug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whether there was vertical linkag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s not been clearly researched.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vertical linkage through a survey of students at science high schools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students, and to derive suggestive points. Vertical linkage is divided into an aspect of continuously receiving gifted education and an aspect of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for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n terms of continuous reception of gifted education, about 80% who entered science high schools had received gifted education before. However, the rate of those who had continuously received gifted education was 36.2% and a majority of students had some periods when they did not receive such education.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for gifted students, there was almost no linkage but teachers thought that such linkage was necessary. The above result suggests tha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should become systematic through institutional tools such as management of students' history and provision of curriculum levels and standards on a national level so that such education can be helpful to those students' self-real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linkage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gifted students and will be a ground for establishing and developing policies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무엇이 영재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방해하는가?

        한기순(Ki-soon Han)*, 황현경(Hyun-kyoung Wh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2

        이 연구는 영재교육의 현장에서 영재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영재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영재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영재교육의 영역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첫째, 영재교사들은 교과 영역 측면의 지도나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동의 판별 등 5개 영역은 보통 이상(M≧3.00)의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했으나 평균 4점 이상의 항목은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미성취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잠재적 영재를 위한 판별과 프로그램 제공, 일반교사들과 협동 교수 실시 등 나머지 17개 영역은 보통 이하(M<3.00)의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효율적인 영재교육 운영에 있어 장애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영재교육의 운영 영역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지적, 창의적 영재 판별은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의 미비가, 잠재적 영재의 판별 및 프로그램 제공은 교육청의 정책이, 교과 영역의 지도는 영재교사의 전문성이 주요 장애요인으로 제시되는 등 각 운영 영역별 주요 장애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영재교육 운영의 장애 요인에 대한 전체 응답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업무과다 또는 시간부족 요인이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의 미비(19.6%), 영재교사의 전문성(13.6%), 교육청의 정책(12.8%)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교육 운영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많은 부분의 개선과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ng status and to find out the obstacles of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operation. For the study, 102 gifted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operating status of gifted education,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services related identification of the intellectually and creatively gifted, working with gifted students in content areas, and developing academic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gifted working above the average level. But the other 17 out of the 22 areas related to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rarely or never provided. In particular, the services related to differentiation for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r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differentiation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and coope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almost never provided. Second, concerning the barriers of gifted education, barriers related to the overwork and lack of time were reported most often. However, different services were most impacted by different barriers. For example, the services most impacted by cost barrier were to facilitate school-wide ev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e gifted; while services most impacted by policy barrier were to work with students not formally identified.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영재성과 창의성 개념 간의 관계를 통해서 본 영재성과 창의성

        이선영(Seon-You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영재성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영재성과 창의성이 본질적으로 동질적인 개념인지, 이질적인 개념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논문은 영재성을 설명하는 모형에 내재된 창의성, 영재성의 한 가지 유형으로서의 창의성, 그리고 영재들의 특성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문헌 리뷰에 기반하여 창의성이 영재성의 하위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일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영재성과 창의성 개념을 이들 간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논의하면서 영재교육은 소수 천재적 엘리트들만을 위한 특별한 수월성교육이고 창의성교육은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평등교육이라는 이분법적 인식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한다. 뿐만 아니라 재능계발교육을 지향하는 영재교육과 그 안에 이미 내재된 창의성교육이 개념적 관계성에서처럼 상당 부분 동질적인 속성의 것이라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creativity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in order to understand if these two concepts are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n nature.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regarding the models and forms of gifted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individuals, giftedness was found to embrace creativity conceptually. Specifically, creativity has been included a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giftedness and suggested as one form of giftedness, particularly in contrast to intellectual giftedness. Creativity and/or creative characteristics have been found for many gifted people across different domains and thus included a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people. Given that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involves that of creativity, giftedness and creativity are not the same concepts but share a considerable amount of homogeneous attributes. The article also underscored that gifted education must be geared toward developing talents for all learners as an overarching educational goal and that creative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to advance gifted education toward talent development education.

      • KCI등재후보

        SIGT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영재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전망

        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2

        영재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교수-학습방법 및 원리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는 실제 영재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영재들의 특성 및 창의성의 요인과 영재교육을 위한 교과 영역별 창의적 사고기법을 파악하고, 각각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적절한 학습경험이 제공되어야 하며 어떤 교육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알아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하여 영재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망과 제언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창의적 영재의 특성, 영재를 위한 창의성 계발의 방향, 영재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과 방법을 탐색하며, 영재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로 SIGT 영재 창의성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영재 창의성 교육이 어떻게 발전되어야 하는 지에 관해 논의한다. Lots of studies about creativity from various points of view are studied for improving creativity of students. Even though there are so many instructional methods related with diverse subjects, it needs effective instructional model and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students. Therefore we have to investigate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study the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In this study, I suggested an effective teaching model and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students using the example of SIGT gifted creativity program. We should discuss the problems and perspectives about future gifted educa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초·중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인식 비교

        박후휘(Hoo Hwi Park),최호성(Ho Seong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는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으로서 교사 실천사항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초·중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학습과 발달, 평가,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학습환경,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계발의 6개 영역과 각 영역별 교사 실천사항에 대해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등교사 모두 학습과 발달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행도는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영역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만큼 실행도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프로그램 운영 영역은 초·중등교사 모두 가장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가장 덜 실행하고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영역 내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순위는 초·중등 교사 간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가적 기준이 없는 우리나라 영재교육 상황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practices of gifted education programming standar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more highly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d in six areas(Learning & Development, Assessment,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 Learning Environment, Programm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 practices in each area. Second,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greed that Learning & Development was the most important area, but it had lower performance. They also recognized that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 was performed well as much as its importance. Whereas,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Programming had the lowest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areas. Thir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different priorities for teachers’ practices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practic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the absence of national standard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영재 교육과정의 법적 규정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

        박창언(Park, Chang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법적 규정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 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논의된 내용은 첫째, 영재교육의 본질과 ‘영재교육진흥법’의 특별법적 성격과 교육의 자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의 본질은 인간의 성장에 대한 것이고, 이는 영재교육의 본질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인간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에 적절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학교의 자율성이 요청되었다. 둘째, 영재 교육과정의 법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영재교육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에 제시된 사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해 현행교육과정 법규에 대한 문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여기서는 ‘초․중등교육법’ 전체 조문과의 관계, 법과 시행령에 제시된 교육과정 관련 용어 사용의 부정확성, 교육과정 결정자로서 교장과 학교의 관계,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지원체제, 영재 교육과정 규정의 종합적 검토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영재 교육과정의 규정에서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에 제시된 규정은 삭제하고, ‘영재교육진흥법’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사항을 영재 교육기관이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legal issue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nature of the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and autonomy of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nature of the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helped the grow of individuals and demanded autonomy in education place. Second, Legal statu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ducation was analysed. Legal regulation associated with curriculum in gifted ducation 'Act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order to ensure the right of the gifted to receive proper education. In consequence,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should require to obtain autonomy. But it was found the right to decide the curriculum, inconsistency of curriculum between 'Act of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nd 'Enforcement Decree Act of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tc. Third, It was discussed legal examination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Article 23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choice of words about curriculum, the right to decide curriculum, expertise of the implementation and organization for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ere examined. In conclusion, further attentions to legal imperatives in gifted education need to reconstruct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 KCI등재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핵심역량 현 수준 분석 및 역량 강화 방안

        류지춘(Ryu Ji chun),이신동(Lee Shin dong),이정규(Lee Jeong K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 핵심역량에 대한 현 수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7개 시ㆍ도 교육청의 협조로 영재학급, 영재학교 및 과학고의 영재교육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핵심역량 현 수준의 기술통계 및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독립변인(성별, 연령대별, 학교급별, 최종학력별, 근무지역별, 교직경력별, 영재교육 기관 근무 년 수별, 현재 영재교육을 지도하는 교육기관의 유형별, 교과영역별, 영재교육 관련 연수 이수별 등)별 종속변인인 핵심역량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영재교육 담당 교원 집단 내에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 수준 간에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핵심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및 교육적ㆍ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based on the verified model, to analyze the current level of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the gifted survey was executed. By this research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reinforce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the gifted. A survey has been used to conducted research based on the 'Core competence STAR Model'.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teachers for the gifted (n=393) at schools for gifted students and science high schools with the cooperation of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for the assessment of the current level of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the gifted in Korea. First of all, the current level of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the gifted have been analyzed through difference verification concerning the core competence,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of the teachers for the gifted,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hat the basis of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gifted education, and will also be used as educational research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core competence of teachers for the gif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