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 편찬『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의 편찬 배경과 역사 인식

        박찬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4

        이 글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최초의 초등 국정 역사교과서인 『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의 편찬 배경과 역사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책은 1910년대 초등 역사교육이 부재한 상황에서1920년대 『보통학교국사』를 통한 역사교육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1920년대 보통학교에서 한국사 교육이 실시된 발단은 3·1운동이었지만, 그 배경에는 일본정계의 지형 변화가 있었다. 일본에서 하라 다카시를 수반으로 한 정당 내각이 들어서자 식민통치 정책이 ‘내지연장주의’로 전환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보통학교의 학제가 일본과 동일해졌고 역사교육이 실시되었다. 『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는 이때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초등학교용 국정 한국사 교과서이다. 이미 1910년대 일본 국내와 식민지 조선에서 중등 일본사 교육과정에 한국사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개정된 교육과정이 실시되기 전까지 새로운 초등 교과서를 만들기에는 시간이 많지 않았다. 또한 조선총독부가 굳이 일본사 교과서를 새롭게 만들어야하는 부담을 질 필요도 없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일본 국내의 교과서를 그대로 가져다 쓰고, 한국사 내용을 추가하기 위해서 『보충교재』를 편찬하였던 것이다. 『보충교재』의 발행 시기를 고려해봤을 때, 『보충교재』는 사이토 총독의 부임 직후부터 편찬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상당히 짧은 시간 안에 완성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한국사에 정통한 오다 쇼고가 교과서 편찬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제국대학 출신의 전문역사가인 오다 쇼고는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의 ‘반도사’ 편찬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한국사 교과서를 만들어 냈던것이다. 이 때 1910년대 일본사 교과서 편찬에 영향력을 끼쳤던 재한일본인의 영향력은 배제되었다. 『보충교재』는 단원 구성에서부터 조선총독부의 한국사 교육 목적이 드러난다. 전반적으로 ‘내선일체’와 ‘병합의 정당화’와 관련된 단원이 부각되어 있다. 또한 한·일간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사건과 주제를 드러내는 구성을 선택하였다. 『보충교재』의 내용 서술에 나타난 역사인식의 특징은 두 가지이다. 첫째, 단군을 부정하였다. 이는 재한일본인의 역사인식이 투영된 1910년대의 역사교육과 대비되며, 당시 한국인의 역사인식과도 너무나 큰 거리를 보여준다. 이 무렵 친일파를 포함하여 단군을 인정하는 인식이 식민지 조선에서 광범위하였지만, 오다 쇼고가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일본 사학계의 단군 인식이 반영되었던 것이다.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역사교육에서 단군은 사라졌다. 둘째, 한반도의 북방세력은 침략자로, 남방의 일본은 한민족의 보호자로 도식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고구려는 한민족과는 구별되는 만주의 한 종족으로 묘사하였고, 발해의 역사는 아예 배제시켰다. 또한 일본의 침략은 객관화되거나 왜곡되었다. 왜구는 침략자가 아닌 시대적 산물로 규정되었으며, 임진왜란에 대해서도 조선의 책임과 명의 침략상을 강조하였다. 근대사부분에서도 일본은 북방의 침략자인 청과 러시아에 맞서 조선을 구원한 것처럼 서술되었다. 이미1910년대에도 만선사관(滿鮮史觀)과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등 식민사학과 병합을 정당화하는 논리들이 식민지 조선의 역사교육에 반영되고 있었지만, 『보충교재』에서는 교육적 효과를 위해 더욱 체계화 ...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background of the publication of Shimsangsohakguksa-bochungkyojae(Supplemental Textbook of Japanese National History for primary school), the first government-complied history textbook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Korea and its historical perception. This textbook is an important historical source because it shows the situation of the transitional time from the 1910’s lacking primary history education to the 1920’s with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of national history for primary school. In the 1920’s, the reason to introduce Korean history into primary school was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but its background was derived from the political changes in Japan. The government led by Hara Dakashi started to rule Japan and their colonial policy was converted to ‘extend the domestic policies’. Accordingly, the primary school’s curriculum became identical with that in Japan and history education was introduced. Shimsangsohakguksa-bochungkyojae was the government-compiled Korean history textbook for the primary education pub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Already in the 1910’s, Japan and the colonial Joseon, the Korean history wa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Japanese history in secondary school. But, until the revised curriculum was introduced, there had been too short time to publish a new textbook for primary school. In additio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had no burden to make a new Japanese history textbook. So the colonial government just used the Japanese textbooks and published the supplemental textbook in order to add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When considering the publication time of Shimsangsohakguksa-bochungkyojae, its publication plan was established just after arrival of the Governor-general Saito and done within considerably short time. Its reason was that Oda Shogo, who was the expert of Korean history, led the publication of the textbook. Oda Shogo, the professional historian who studies in the Imperial University of Japan, based on his experience to publish the History of the Peninsular in Jungchoow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made the Korean history textbook very quickly. However, the influences from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o had affected the publication of Japanese History in the 1910, was excluded. This textbook showed the purpos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from its own table of the contents. In general, it emphasized the chapters related to the oneness of Korea and Japan and the justification of annexation. It also selected the events and themes to show close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erception in the contents of this textbook. First, Dangun was denied. It was contrasted to the history education in the 1910’s, which had reflected that of the Japanese scholars in Korea, and it was also ver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people. At that time, the perception to recognize Dangun including pro-Japanese parties, existed broadly in the colonial Joseon. However, when Oda Shogo led the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 the Japanese historians’ recognition on Dangun was reflected. Subsequently, Dangun disappeared from the history educati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Korea. Second, it drew the northern power of the Korean peninsular as the invader while southern power, Japan as the protector of the Korean people. According to this perception, Goguryeo is described as one of Manchurian people who were distinguished from the Koreans, and Balhae was completely excluded. The Japanese invasion was objectified or distorted. Japanese pirates were defined as the products of an era not as the invaders.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textbook emphasized Joseon’s responsibility and Ming China’s invasion. Even in the modern history, Japa...

      • KCI등재

        『역사교육연구』 게재논문의 동향과 전망

        최상훈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한국역사교육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역사교육연구』 창간호부터 제20호까지게재된 총 143편의 글을 검토하고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분류 체계와 개론서를 참조하여 연구 성과를 분류할 10개의 범주를 설정하였는데, 범주별 글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21편, 역사교육과 역사학 15편,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2편,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12편, 역사교육의 교재 23편, 역사수업의 방법 22편, 역사학습의 평가 9편, 역사적 사고 14편, 한국 역사교육사 7편, 외국의 역사교육 18편. 각 범주별로 주목할 만한 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범주에서는 박현숙허은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역사교사 3명의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교과서에 대한 해석 양상과 교수내용지식의 활용 방식을 규명하였다. 역사교육과 역사학 범주에서는강선주의 젠더 개념 규명과 류현종의 초등학생 역사 재현에 관한 연구가 의미 있었다.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범주에서는 발표된 글이 두 편에 불과하므로 의미 있는 글을 지적하기는 어렵지만두 글에서 제안한 방안을 교육과정 집필이나 평가문항 출제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범주에서는 황지숙의 글이 돋보이는데 동아시아사가 처음 등장한상황에서 내용구성이나 학습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역사교육의 교재 범주에서는 천은수의 오개념 형성을 유발하는 교과서 서술 분석에 관한 글이 눈에 띄었다. 역사수업의 방법 범주에서는 이영효, 이해영, 권정애, 류현종의 글이 방법론적으로 새롭고의미 있는 성과를 제시했다고 보았다. 역사학습의 평가 범주에서는 오정현과 김미선의 글이 주목할 만하다고 보았다. 오정현은 출제과정에서 난이도와 관련해서 고려해야 할 준거를 제시하였고, 김미선은 내용타당도를 제고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적 사고 범주에서는 방지원의 글이 돋보였다. 방지원은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에 대한 재개념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보았다. 한국 역사교육사 범주에서는 김한종의 연구가 일제시기 교육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국의 역사교육 범주에서는 김정인과 신주백의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관련 연구가 돋보였고, 신경희의 미국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하였다. 『역사교육연구』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하여 학술대회를 꾸준히 개최해야 한다. 학술대회 발표자와 토론자도 회원에게만 한정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참여시켜야 한다. 그래야 학회의 저변이 확대되고 학회지의 내용이 풍성해질 수 있다.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필요하다.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학교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역사수업의 실체를 살펴보거나 학생들에 대한 질문지 조사나 심층면접을 통해 역사교사와 학생들의 역사인식이나 역사의식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이와 아울러 연구 성과가 부진한 범주의 연구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survey the theses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History Education Association and review their tendencies and prospec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I set up t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 frames and the introduction textbooks of history education. The number of the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21),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15),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2),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12),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23), methods of history teaching(22),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9), historical thinking(14),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7), foreign history education(18). The features of significant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In the category of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gh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is representative. This investigated the interpretation patterns about textbooks and the practicable metho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by participation observation on classes of three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ategory of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the study on gender concept and the study on history representation of primary school pupil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theses are only two, but they are worthy of being applied to curricula reforms and making questions. In the category of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East Asia is significant because that suggested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learning methods of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category of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sentences in textbooks leading to the misconceptions formations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methods of history teaching, the studies using new methodologie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 two studies are remarkable. One suggested criteria to consider about the difficulty of items in making questions, and the other suggested the methods to raise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thinking, the study on reconception of the empathetic history understanding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the study o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at Japan conquest era is significant. Lastly in the category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the studies on the accounts of Japan textbooks are significant, and the survey on American history teachers' historical recognitions is remarkable, too.

      • KCI등재후보

        한국 고대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임기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how recent research findings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can be reflected in history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courses as well as history educatio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nd writing standards for textbooks were reviewed to obtain the main element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presently being employed was examined. The recent trend and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associated with the content elements of the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centering on the book, New Research Trends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were reviewed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recent research direction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was appropriately reflected, to some degree,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yet there also were some discrepancies. Examination o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compiling system seems warranted for newly-accepted orthodox views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to be presented in textbooks. Furthermore, a new content composition appears required for an accurate description of the overall flow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us, a new direction for description was proposed with a stance on the ancient society and the ancient state’s nature whereas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history focusing on the ancient state development was criticized. A direction for describing the ancient stat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nvironment from an East Asian history’s perspective was examined as well for a multifaceted yet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본 논문에서는 한국고대사의 최신 연구성과를 역사교육 및 초 중 고등 역사교과서 서술에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을 검토하여 역사교육의 주요 요소를 추출하고, 그러한 교육과정의 제시가 적절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이란 책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등의 내용요소와 연관되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같이 역사교육과정과 최근의 연구성과를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 등이 연구동향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면이 많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부분에서 연구 동향과 거리를 두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물론 연구의 흐름과 내용이 역사교육에 반영되기까지는 일정한 시차가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차는 역사교육에서 내용 선정이 보다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당연하다. 하지만 이미 연구에서 새로운 견해가 제출되고 그것이 통설로 받아들여지는 내용 조차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반영되지 않는 면이 적지 않음에서 알 수 있듯이, 현행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편찬 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다. 물론 개개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 등에서는 최신 견해와 자료 등을 반영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고대사 전체의 내용 구성의 맥락이 더 중요하며, 이 부분에서 연구의 동향을 반영할 필요가 절실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필자는 고대국가 형성론 중심의 고대사 교육과정을 비판하고, 고대사회론과 고대국가 성격론의 입장에서 구성가능한 내용 구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고대사의 입체적 이해를 위해서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고대사의 이해, 즉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및 국제환경에 대한 이해 방식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물론 앞으로 교육과정 등의 구성에서 반영될 수 있는 하나의 시론적 제안이기 때문에, 보다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성과를 반영하는 측면만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교육의 입장에서 교육과정의 구성 등을 통해 역사 이해의 맥락을 재구성하여 역사연구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측면을 통해, 양자의 접촉점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 없는 역사교육 - 갈림길 위의 역사교육학을 위한 제언 -

        임병철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This is a historiographical essay which critically reviews two recently published works. In doing so, it aims to evaluate some important arguments concerning the purpose and value of history education proposed with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e first work, The Logic of Historical Epistemology and History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subjectivity inherent in history itself, contends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the socalled humanities education which teaches epistemological procedure and process of historians. Unlike this disciplinecentered perspective, the second work, History Education for the Democratic Society and Citizens, keeps an eye on the public function of education and underscores the turn of history education toward the citizen education or the education viewed from the citizen. Despite this apparent discrepancy, however, two work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y all premise a purposeful value and insist to lead students to it. In addition, both works either mythify history as a sort of the almighty key or treat it as a simple educational tool so that they run the risk of foreclosing history out of history eduction. By focusing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o study the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이 글은 최근 서로 다른 관점에서 출판된 두 역사교육 논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목적과 가치와 관련되어 역사교육계에서 이루어진 중요한 논의들을 검토한 비평적 시론이다. 먼저 『역사 인식의 논리와 역사교육』은 역사 고유의 주관성에 주목하면서, 역사교육이 역사가의 인식 과정이나 절차를 가르치는 이른바 인문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학문주의적 경향과 달리, 『민주사회와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은 교육의 공적 기능에 천착하며 시민 양성이나 시민적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저작은 모두 특정한 ‘가치’를 전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학생들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이들은 역사를 신화화하거나 교육의 단순한 도구로 제한함으로써 자칫 역사교육에서 역사를 배제하는 위험성 또한 내포한다.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면서, 본고는 우리 역사교육의 논의를 확대하고 발전시키는 방안으로서 ‘역사교육학의 역사’를 고구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의 의미

        방지원(Jiwon B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4

        인류의 장구한 경험을 여러 각도에서 들여다보고 탐구하는 역사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진 다양한 ‘렌즈’에 따라, 인류의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를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적 삶과 미래에 대한 상상력이 풍부해질 수 있다. OECD와 UN이 제시한 새로운 교육론을 통해서도 이와 같은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국제 문서가 강조한 학생 행위주체성, 변혁 역량 등의 개념은 학생의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역사교육에 관한 기왕의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 유용하다. 또한 ‘손상된 지구를 위한 교육과정’과 같은 아이디어에 담긴 교육 패러다임의 생태적 전환은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오랜 서사적 전통을 반성하도록 한다. 역사교육에서 교육 패러다임의 생태환경적 전환은 ‘생태적 시민으로서의 학생의 자기 형성’에 관한 문제이다. 인간이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한 역사교육의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 전제를 성찰하고 동시에 역사와 인간을 생태적 관계성 속에서 사유하도록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교육적 질문을 만들어내자는 절박한 제안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아득한 과거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생태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역동적으로 살피도록 돕는 역사학습주제를 찾고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역사학습은 학생들이 생태적 감수성을 깨우고, 오늘날 환경위기를 극복하는데 나서는 주체로서의 의지를 진작시킬 수 있다. 역사학이 담당하고 회복해야 할 공적 역할을 생태환경사와 역사교육의 적극적 제휴와 그것을 통한 교육적 실천으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e history class, students explore the long experience of mankin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he process, students will be empowered to look at the past and present, and to imagine possible futures for individuals and society. The new education theory proposed by the OECD and the UN supports the importance of such history education. Two international documents proclaimed the eco-environmental tur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based on the student's agency and transformative competency. And thi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advance the discussion of history education that helps students in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The long narrative tradition of history curricula and textbook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ight of ideas on the curriculum proposals of the UN report. In the end, the eco-environmental tur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in history education is a matter of ‘self-formation of students as ecological citizens’ It is also an urgent proposal to reflect on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 of history education on how human beings relate to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create educational questions necessary to change history and humans to think in ecological relationship.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develop a history learning topic that helps students to dynamically examine how humans as ecological beings have lived in the environment from the distant past to the present. Such history learning can awaken students' ecological sensibility and boost their will as subjects to overcome today's environmental crisis. The role that history studies should play and restore for the public can be found in the active alliance between eco-environmental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it.

      • KCI등재

        조선총독부 검정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의 역사서술

        박찬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8

        이 글의 목적은 조선총독부 검정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의 서술을 분석하여 1910년대 중등일본사 교과서에 담긴 역사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은 식민지 조선에 특화된 교과서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한일 교류가 활발했던 고대사와 근대사 부분에는 한국사가 일본사 속에 편입되어 있지만, 나머지 시대는 한국사와 일본사의 이원적 구성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한국 관련 내용의 비중은 전체의 1/5이다. 또한 한일 간의 지속적인 교류를 나타내기 위해 「내지(內地)와의 관계」라는 소단원을 각 시기별로 편성하였다. 교육과정에는 한국사에 관한 내용이 없지만, 실제 교과서에는 한국사가 비중있게 다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의 구체적인 서술에 나타난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조선총독부의 일본사 학습목표인 국체(國體)를 숭상하는 국민의식을 형성시키려는 의도를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 책에는 당시 일본 국내의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하더라도, 일본 국민이라는 의식이 미약한 한국인 학생들이 국체관에 의구심을 갖게 할 가능성이 있는 내용은 축소되거나 배제되어 있다. 둘째, 한국사 학습의 중점을 종속적인 한국의 대외관계를 학습시키는 데 두고 있다. 한일관계는 일본의 우월성을 강조하면서도 지속적인 교류친선 관계로 서술되어 있다. 한일관계에서는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한국 측 사료까지 제시하면서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또한 한중관계는 중국의 일방적인 간섭지배 관계로 묘사하고 있다. 특히 청의 건국과 정묘병자호란을 집중조명한 것은 1910년대 전반 교육계에 이미 만선사관(滿鮮史觀)이 침투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해준다. 셋째, 『신찬대일본제국사략』에는 병합 초반 정치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컸던 재한일본인들이병합을 정당화하고자 했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이 당시 일본 역사학계와 조선총독부가 단군을 부정하는 상황에서 단군에 대한 서술이 교과서에 들어간 것은 재한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단군긍정론 때문이다. 의병운동이 망국을 이끌었다는 서술 역시 “한국이 병합되는 원인은 한국에 있다.”라는 잡지 『조선』에 나타난 논리가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은 식민지 역사교육의 단초를 열었다.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은 재한일본인이 설립한 출판사에 의해서 상당히 이른 시기에 발행되었고, 조선총독부는 검정이라는 도구로 이 책의 유통을 강력하게 뒷받침하였다. 여기에 관립학교 교원인 미쿠니야 산시로가 편찬에 참여한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은 일반적인 검정교과서라기보다는 국정교과서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한국인 학생들이 『신찬대일본제국사략』에 담긴 식민사학의 내용들을 정규 교과 속에서 체계적으로 배우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신찬대일본제국사략』에는 이후의 교과서들에 비하여 한국사의 중요 흐름이 생략되어 있는 부분이 많았고, 일본사 내용 중에도 식민통치에 위협을 가할 요소는 최대한 배제하려고 노력하였다. 중점을 역사 학습보다는 국민의식의 형성과 한일관계사를 통한 정서적 차원의 내선동화에 둔 것이다. 이것은 무단통치기의 식민지교육이 전시체제기만큼 수단적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istorical awareness in Japanese history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in the 1910s, by investigating history description in Shinchandaeilbonjeguksaryak(New Concise History of the Empire of Japan) author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Shinchandaeilbonjeguksaryak well demonstrates the aspects of a textbook specialized for colonial Choseon. While Korean history was inserted in Japanese history during ancient and modern times when there were active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re is a dual system of Korean and Japanese history for the rest of the periods. Furthermore, the parts related to Korea account for a fifth of the entire content. Each period was accompanied by a small unit called “Relations with the Inland” to show constant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Even though there was no content about Korean history in the curriculum, it was handled with importance in the actual textbook. The specific descriptions of Shinchandaeilbonjeguksaryak hav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t clearly manifests the intention of form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to admire the national polity, which was one of the objectives of teaching Japanese histor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The textbook reduced or excluded the content that could make Korean students, who had weak consciousness as Japanese citizens, doubt the view of national polity even if the content was part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Japan. Secondly, the textbook placed a focus of Korean history study on teaching subordinative Korea’s international relations. It wrote about the ongoing exchanges and friendl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emphasizing the superiority of Japan. It tried to increase its persuasive power regarding Korea-Japan relations by giving various examples and offering even Korean historic data. Also, it depicted Korea-China relations as China’s one-sided interference and ruling. Especially, its intensive illumination of the foundation of Qing Dynasty and Jyeongmyo and Byeongja Horan shows that the Manseonsagwan(滿鮮史觀) had already penetrated the entir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1910s. Finally, Shinchandaeilbonjeguksaryak contained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o had enormous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s in the early days of Korea’s annexation to Japan, to justify it. When the Japanese history circl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denied Dangun, the textbook included the description about him because of the theory to regard him in a positive sense around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he description that the movement of loyal troops led to the collapse of Choseon is also the reflection of the logic, which was “Korea is responsible for its annexation to Japan,” introduced in the magazine Choseon. Shinchandaeilbonjeguksaryak offered a clue for colonial history education. It was published very early by a publishing company set up by a Japanese resident in Korea,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strongly supported its circulation via the tool of authorization. Given that a teacher of a public school called Mikuniya Sanshiro participated in its publication, it is closer to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rather than a common authorized textbook. Most of Korean students started to systematically learn the content of colonial history in the textbook as a regular subject. The textbook omitted many of the important flows in Korean history compared with its successors and tried to exclude the elements of Japanese history threatening to colonial ruling as many as possible. It focused on assimilation of Korea into Japan in the emotional sense through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instead of history study, which confirms the fact that colonial education during the military ruling period was as instrumental as t...

      • KCI등재

        ‘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진로 모색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of the study of history curriculum in overcoming the current deep crisis caused by wrong history education policies of conservative government. And I must stress, real improvement we want, only works with studentdirected- researches, which see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From this point, it is worth highlighting that ‘korean modern history’ has become the important part of history curriculum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recent surveys on ‘Student’ s Opinion o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aken in large scale more then 1,200 every time by teachers and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History Education Institute, Over 70 percent of students choo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s worthy of study in all ages of korean history. Another one thing to remember as productive result in the field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s the ‘History’, the new-born subject i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 best feature of it is comprehensive recognition and reflection through World-Korean history. Until then, our history education has been very rigid and has lacked any diversity. On top of that, in these days, some researchers and teachers began to look at the potential of history education as core subject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They are seeking various ways to develop history curriculum which vased on democratic values. Then I put forward three future-oriented propositions, necessary for progression in the study of student-centered program history curriculum. First is to examine critically ‘state-centric-narration’ Which deeply ingrained in history textbooks and ordinary public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Second, we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ways for organizing democratic values-based curriculum; peace, civil rights, the respect of difference and coexistence and so on. Third, we must realize that to delay is no option in the fight with a series of measures designed to entrench of deep- right- biased history curriculum. 이 글은 오늘날 역사교육이 처한 엄혹한 상황을 타개하는 출발점이 교육 주체인 학생의 삶을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재구성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그 핵심을 담당해야 함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연구와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긍정적 유산으로두 가지를 들었는데, 첫 번째는 근현대사 교육의 강조이고, 두 번째는 국사 중심 역사교육에서 세계사와 함께하는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이다. 이어서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공감대를 넓혀가는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연구와 실천의 동향을‘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으로 잠정 정의하고, 이 맥락에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현실 진단의 과제로서 국가 중심 서사 및 그 재생산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다. 수십 년간공고하게 형성 유지된 국가주의 역사교육의 유산을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의 토대를 확고히 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미래 역사교육의 상을 마련하는 과제로 평화와 인권, 다문화와 공존 등 민주적 가치와 덕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필요한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는 급격히 달라진 역사교육의 외적 조건을 인식하기위한 것으로 ‘우파’ 역사인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정리이다. ‘우파’ 역사교과서의등장이 역사교육계에 몰고 온 충격에 대해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차원에서 대응하고, 학습자를 위한 역사교육 내용 체계를 모색하는 또 다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역사적 금기영역’에 대한 역사수업 방안 -제주도 4‧3사건에 대한 ‘상관주의적 역사해석’을 중심으로-

        곽병현,최용규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his study points out that current history education tends to be doctrinistic, that it serves only the old-school ideology. It offers relationalism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its implication on the problems of current history education methodologies is as follows. From analysis of curriculum sociology, it can be seen that current history education is too doctrinistic, that it doesn't offer enough room for discourse and interpretation, and that it suffers from oppression by ideology of the hegemony. In this light, the teacher and student of history should become owners of their own education and expose the standardized bias of the hegemonic ideology. In addition, history should be looked at from a variety of viewpoints, and it should become a dialectic one, with an eye toward the best interpretation of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values of the coming generation through totalität Second Hunt, Metcalf, and Giroux assert that problems of societies and curriculum with seinsgebundenheit must be exposed, be opened up for discourse, and looked at from various angles for critical examination. They also stress reflective thinking and dialectics, which are processes of continuous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with the presumption that there is no absolute truth, thereby finding solutions generally in line with what the times require. In this light, the teaching of history using 'relation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exposes the current interpretation, which contains the bias of the hegemonic ideology, to discourse and allows the students to find their best interpretation of history. In addition, we can define 'historical closed areas' for the education of history using 'relation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as "history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that is bound to the hegemonic ideology and is standardized to serve that ideology, or history that has been biased, distorted, or concealed because it has been found to be inappropriate or disserving of the ideology." Lastly, the 'Je-ju 4‧3 Incident' was chosen as a 'historical closed area' and were taught in real school using 'relation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look at the incident from a variety of viewpoints and find the biases and justification of their interpretations. In other words, they were taught to examine the incident critically and consider the limitations of their interpretations so that they can arrive at a satisfactory interpretation of their own. As can be seen from this study, history education needs to take a direction that overcomes a singular interpretation of history that contains biases of the hegemonic ideology. In this context, teachers of history should be careful not to cram into the students the interpretation of textbooks or those of their own. Instead, they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become the owners of their own education and allow them to interpret and reorganize history for themselves 본 연구는 기존의 국가주도 역사교육이 가치 절대적이며, 이데올로기 편향적이라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그것의 문제 해결에 대한 지향점으로 ‘상관주의적 역사해석’으로서의 역사교육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관주의적 역사해석’의 개념 및 성격, 그리고 기존 역사교육의 문제점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과정사회학을 분석틀로 하여 살펴본 우리의 역사교육은 지나치게 가치 절대적인 역사해석을 추구하여, 담론과 해석의 다양성을 추구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이데올로기적 헤게모니에 의해 억압을 받아 이데올로기 편향적인 역사교육을 지향해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Mannheim의 상관주의는 우리의 역사교육에 다음과 같은 함의를 주고 있다. 즉, 교사와 학생이 교육의 주체가 되어 획일적인 역사해석이 가지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편파성을 폭로하고, 그와 더불어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면서, 총체성을 통하여 시대가 추구하는 미래상에 적합한 최선의 역사해석을 추구하는 변증법적인 역사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Hunt와 Metcalf, 그리고 Giroux의 이론을 토대로, ‘상관주의적 역사해석’에 기초한 교육 내용으로서의 ‘역사적 금기영역’에 대한 개념 정의와 그러한 역사수업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Hunt와 Metcalf, 그리고 Giroux는 존재 구속성을 가지고 있는 사회 또는 교육과정 상의 문제점들을 폭로하여 담론의 과정에 개방시킨 후, 그것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들은 절대적 진리를 부정한다는 인식체계 하에서 계속적 수정‧보완의 과정인 ‘반성적 사고’와 ‘변증법적 사고’를 강조함으로써, 시대의 과제에 맞는 보편적인 해결 방안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상관주의적 역사해석’이 추구하는 역사교육은 이데올로기적 편파성을 가지고 있는 교육과정 상의 역사해석을 다양한 담론 속에 노출시킴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최선의 역사해석을 도출해 내도록 유도하는 교수‧학습 과정을 지향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관주의적 역사해석’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 ‘역사적 금기영역’을 정의하면, “지배 이데올로기에 의해 존재적 구속을 받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특정 가치만을 획일적으로 다루거나, 이데올로기 편향적인 역사해석을 주도하여 지배 이데올로기에 적합하지 않은 역사해석은 은폐‧금기시, 또는 왜곡하여 다루는 역사교육 내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셋째, ‘상관주의적 역사해석’ 교육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사례로 ‘제주도 4‧3 사건’을 ‘역사적 금기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제주도 4‧3 사건’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두루 살펴보게 하고, 각각의 해석들 속에 내재된 입장의 편파성과 정당성, 즉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우리 시대가 추구해야 할 보다 올바른 ‘제주도 4‧3 사건’에 대한 해석을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스스로 정립하게끔 구성해보았다.

      • KCI등재

        사회과통합형 초등 역사교육 모색

        김정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7

        The curriculum of “Society education” for elementary classes has caused a lot of tension and clashes since the very beginning, and at the heart of such controversies there was always the issue of history education. From very early on, teachers and scholars who were all involved in historical education have remained fairly skeptical as well as critical of the idea or intent of assimilating the History curriculum into a larger Society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the 2007 Education Plan, as divisional thinking was reinforced within the Plan itself, tension over the prospect of a larger Unified Society Education curriculum began and continued to rise. We are now are at a critical juncture, as we should decide between two available options: either separate History education from the Society Education curriculum package(again), or try to teach and run History classes as part of a larger [Society] Educational curriculum. Examined in this article is actually the latter option, which could be labelled as ‘History education maintained as part of a larger Social education curriculum,’ that could hopefully mark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elementary level history education, probably enabled by horizontal linking of different curriculums. In an effort to learn lessons from the past, how an (Elementary-level) Society education curriculum of such sort was arranged in the U.S., when it entered a multi-cultural era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and what kind of controversies it gave birth to, when such curriculum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and Japan, will all be consulted. Then, while discussing how such curriculum plan changed over the years, I would also like to comment upon certain historical education-related crises, which were caused by such curriculum plan. Third, in the current climate of debating over the right type of history education which would be suitable in training democratic citizens for the multi-cultural era, some accomplishments enabled by this very idea of tieing history education to Society education, will be highlighted as well. And finally, the meaning -as well as shortcomings- of history classes run as part of a more comprehensive Society education program, which also drew heavy attention from the public and all involved when the 2015 Education plan was announced, are reexamined at the end of the article, so that we could suggest a new future avenue for the evolution of history education as part of the Society education structure. 초등 사회과는 출발부터 통합을 둘러싼 논란을 이어왔다. 통합 논란의 핵심에는 언제나 역사 영역이 자리했다. 일찍부터 역사교육계에서는 통합을 회의하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2007개정 교육과정을 거치면서는 분과 인식이 강화되면서 초등 사회과 ‘안’의 갈등이 고조되었다. 그렇다면, ‘지금 여기’ 초등 사회과에서 역사 영역은 또다시 독립의 깃발을 들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사회과역사교육’, 즉 사회과통합형 역사교육을 모색해야 할 것인가. 본고는 후자, 즉 초등 역사교육의 ‘전환’으로서 사회과교육의 횡적 연대에 토대를 둔 사회과통합형 초등 역사교육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20세기 초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미국에서 사회과가 탄생한 과정과 사회과가 일본과 한국에 도입되며 일어난 논란을 살핀다. 둘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변천사 속에서 역사 영역이 초등 사회과 통합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다문화 시대의 역사교육과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역사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초등 사회과를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는 사회과 통합형 초등 역사교육과 관련한 성과들을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주목받았던 초등 사회과 ‘통합’ 역사 영역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며 역사교육계가 사회과통합형 역사교육에 좀 더 깊은 관심을 갖기를 기대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역사과 내용 구성에서 인물사, 생활사, 문화사 구성의 가능성 탐색 - 2015 개정 초등사화과교육과정 역사영역을 중심으로

        임기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possibilities of organized history of lives of people, personal history, cultural history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the History Category) Living tools, houses, and customs are not appropriate as subjects of history of everyday life. The subject of history of everyday life needs to be reconstructed to show the social unit of a family or a community History of lives of people is necessary to search not only individual characters but also a person group composed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the same era. It is desirable to describe the history of culture in terms of the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of each dynasty.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역사영역 (초등역사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검토하여 생활사, 인물사, 문화사 서술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3학년에 생활사, 4~5학년에 문화사를 나누어 배치하고, 5학년 2학기에 정치사를 인물사 중심으로 풀어가는 내용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사회과의 통합적 구조에서 지리의 환경확대법에 따라 고장의 역사-지역의 역사- 국가사로 구성하고 있는데, 환경확대법 자체가 국가주의의 구도를 실현하는 도구인 듯하다. 그래서 역사에서 공간적 범주는 지리의 범주가 아닌 공동체나 사회구성의 범주를 기본 성격으로 구성해야 한다. 2015 초등역사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검토하면서 이를 역사지식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두 가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이를 제시하였다. 생활사 서술의 주제도생활도구나 가옥, 세시풍속, 가족 등이 아니라, 개인이 결합되어 있는 가족이나 지역사회 즉 국가가 아닌 하위의 사회단위를 보여주는 내용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인물 중심 서술에서는 인문학적 접근을 고려하여 그 인물이 어떤 사건이나 시대 상황과 결합되어 있을 때, 그 사건이나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고, 판단하고, 어떻게 실천으로 옮기는지, 그런 실천 행위는 어떤 결과를 초래하거나 영향을 미쳤는지 등등에 대해 기술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나아가서는 개별 인물만이 아니라, 같은 시대, 같은 사건과 연계된 인물들, 혹은 같은 맥락에서 연관성이 높은 시대와 상황을 달리하는 인물들로 하나의 인물군을 구성하여 서술하는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물질문화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문화사도 시대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이는 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초등역사교육과정 내에서는 실현하기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문화사 서술은 문화사 자체의 맥락에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본다. 이럴 때 특정시기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전후로 주제중심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생활사, 인물사, 문화사의 세 영역을 연결하는 고리를 탐색하면서 초등통합사회과 영역으로서 역사교육이 민주시민교육과 연계성에 주목하였다. 즉 역사상의 권력에 대한 역사교육적 접근은 곧 현실 권력의 공공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다양한 시민적 공동체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는 목표를 갖는다. 권력의 공공성이나 공동체의 문제는 결국 정치적인 문제이고, 이러한 의미에서의 정치사가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