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서사와 민족주의

        이소현(So-Hyu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1 No.-

        이 연구는 분단 서사를 주제로 한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나타난 여성의 재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내재한 민족주의적 담론의 문제점들을 파헤쳐 보고자 한다. 분단과 전쟁을 다룬 세 편의 한국형 블록버스터, ?태극기 휘날리며(2003)?, ?태풍(2005)?, ?웰컴 투 동막골(2005)?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떻게 분단 서사의 대중화가 남성 주체 중심의 문화적 획일화 내러티브를 재생산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의 초점은 젠더화된 상상, 내러티브 속에서 여성의 위치, 그리고 남성 중심적 담론의 의미 작용에 맞춰져 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들을 전 지구적 미디어 환경과 지역 영화 문화와의 관계 속에 놓고, 민족/국가와 민족 영화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려는 것이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민족주의적 분단 서사 속에 여성은 남성 주체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거나 남성 정체성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영화적 장치로 기능하며, 여성의 육체는 민족/국가의 비극을 형상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대중화 전략은 가족 서사와 민족주의적 담론의 결합을 가져왔으며, 이 속에서 여성은 내러티브의 주변부에 자리매김하고 남성 주체의 보조자로서 기능한다.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압도적 시장 지배는 전체 문화의 발전을 저해할 위험성을 보인다. 90년대 후반 경제 위기 이후 거세어진 민족주의적 감성은 국내 문화 상품을 보호하자는 움직임으로 이어졌으나, 문제는 그 수혜자가 몇 개의 대자본 영화라는 점이다. 더 나아가,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재현하는 민족주의적 담론 속에 자리한 한국 여성은 역사적 정체성의 부재 속에 보조적 구실을 할 뿐, 어떤 대안적 이미지나 담론을 제공하지 못한다. 가부장적 민족주의의 획일화 담론이 민족 영화의 바탕을 이뤄야 할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 평등의 논리를 저해하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여성 재현 양상은 그 영화들이 표상하는 “민족”이라는 개념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할 뿐 아니라 주류문화 속 여성의 주변화를 재인식시킨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atics of nationalist discourses, looking at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It frames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media environments and the local film culture in order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national cinema. A close look at thre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Taegukgi: The Brotherhood of War (2003), Typhoon (2005), and Welcome to Dongmakgol (2005), illustrates how the homogenizing nationalist discourses are reproduced within the cinematic narratives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Korean War. The focus is on the gendered imagination, the espousal of patriarchal ideology, and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exploit the notion of national cinema in commercial terms. Based on the analysis, the male-centered nationalist narratives position the female characters as cinematic devices that allow the male protagonists to get motivated or transform their masculine identities. Also, the women"s bodies are often employed as the trope for the nation, often symbolizing the tragic history. Within the nationalist, patriarchal discourses in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the Korean women are portrayed as marginalized figures with little agency, which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female stereotypes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whore and mother. The nationalist representation of Korean women in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demonstrates the interweaving influence of the male-centered discourses such as nationalism, militarism, and Confucian patriarchy, drawing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the big-budget films" domination of the market suppress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ies and social differences. More importantly, the Korean national blockbusters" dependence on nationalism and other hegemonic discourses raises questions about the true meaning of the national, illustrating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cultural negotiation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 KCI등재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양정혜(Jung Hye Y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7 No.-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결혼이주 외국인 여성들을 대중매체가 어떤 방식으로 재현해 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KINDS 검색을 통해 2004년 1월 1일부터 2007년 1월 1일까지부터 3년 기간 동안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문 뉴스가 재현하는 이주여성의 의미는 한국 주류사회가 원하는 이주 여성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의 규범과 생활방식에 적극적으로 적응하여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관주도의 교육을 필요로 하는 이방인들로서 그려진다. 뉴스는 이주여성들이 겪는 혼란과 좌절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제시하기보다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어 이주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해결방식은 주로 교육프로그램의 도입과 언어 및 문화적 동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인데 이러한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그렇지 않을 경우 장차 주류 한국사회 유지에 위협이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스 재현에서 이주여성들에게 일관성 있게 부여되는 의미는 동화될 필요가 있는 대상, 혼란을 겪는 대상, 따라서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다. 이주여성의 재현에서 일관성 있게 배제되는 부분은 이주여성들의 목소리와 시각이다. 자신들의 삶에 대한 의미규정과 해결책이지만 이들 여성들은 말할 기회를 가지지 못하며, 이주여성들의 이해관계와 사회적 요구는 한국 주류사회의 관점에서 규정된다. 이주여성들 내부에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각기 다른 관심사가 존재하지만 필리핀, 베트남, 중국 등의 출신지와는 상관없이 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와 대비되는 동질적이면서 집합적인 타자로 제시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news coverage represent the interracially married women to Korean men who became increasingly visible in Korean society since 1990s. These women are subalterns who are largely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society and who do not have a position from which to speak about themselves. Their identity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is constituted within the system of Korean media representation. The paper analyzed one liberal, and one conservative newspaper coverage of interracially married women for three-year rime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the news actively construct the meaning of these women from the interest and need of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Specifically, interracially married women are represented as confused and helpless subjects who need to adjust themselves to the values and lifestyle of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The news media depict educational programs sponsor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the solution to the frustration and hardships these women suffer. In this process, their diverse ethnicity, educational and cultural background are largely ignored. They are treated collectively as the interracially married women to Korean men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from. The way media represent these women well demonstrate how the media construct the meaning of the other. Always, their meaning is shaped from the stand point of us, the members of the mainstream society.

      • KCI등재

        고립되고 불안한 미생들과 학문공동체로서의 학회

        최이숙(Yisook Choi),김세은(Sae-Eun Kim),김은영(Eun-Young Kim),한선(Seon Han),김미희(Mihee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이 연구는 2016년 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에서 진행한 여성신진연구자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여성신진연구자들의 연구/학회활동 상황 및 연구자로서의 자기 인식을 파악하고 학회구성원으로서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학회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결과 절반에 가까운 여성신진연구자들은 전업 시간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의 불안정한 고용상태는 전반적인 연구 및 학회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신진연구자들은 졸업 후 불확실한 미래를 몸으로 직접 체험하게 되면서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될지 모르는 불안감과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했다는 고립감에 시달리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학회활동이 이들의 연구 및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에는 경제적, 시간적, 정서적 차원에서 매우 부담스러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회 활동에 대한 이들의 경험은 언론학 분야 학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우리 학계가 연구자들을 지켜내고 보호하기 위해 어떠한 일을 할 수 있는가를 질문하게 만든다. 여성신진연구자들이 연구자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 지원과 함께 이들을 기존의 제도적 틀에 끼워 맞추기보다는 한 사람의 동료로서 존중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활동 및 문화의 조성이 요청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emale new researchers’ self-perceptions as a scholar and their activities in academic society. In order to do this, an onlin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nearly half of the female researchers have been working as a part-time instructor, and this unstable employment status has been a major obstacle to their research and academic activities. After their graduation, they were suffering from the anxiety that they might become ‘nothing but being’ and the sense of isolation that they could not belong anywhere. The female researchers thought that the activities of the academic society help to form their research and human networks, but they said that they have econo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eir experience with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reveals various hierarchies that exist within the journalism societies and makes us question what we can do to protect the researchers.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emale new researchers with financial support programs to encourage their academic activities. Results also show that we need to develop an academic culture that respects newcomers as a colleague.

      • KCI등재
      • 농업 플랫폼 적용을 위한 영상 및 계측 데이터 활용 연구

        김종탁 ( Jong-ta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머신러닝, 딥러닝 등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다양한 정밀 산업의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다수의 모빌리티 플랫폼들은 운용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신뢰성 분석 기술 및 자율/자동화 플랫폼으로 적용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자동화 산업 분야에서는 각 구조 및 부품의 건전성 평가를 위해 정밀 계측 센서를 활용하고 있으며, 자율 작업을 위해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인지/판단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활용 사례로써 영상 데이터를 통해 작업자의 판단을 제외하고 스스로 인지, 판단을 수행하는 지능형 자동차, 로봇이 있으며, 부품의 정상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건정성 평가를 할 수 있는 신뢰성 평가 기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 농업 플랫폼에 필요한 기술인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인지 알고리즘 및 계측 데이터를 활용한 신뢰성 평가 활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인지 알고리즘은 우선 무인 전기구동 플랫폼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농업 플랫폼 특성에 맞춘 비정형 노지의 환경에서 정확한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계측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변속기 동작시간에 따라 변속기 오일의 점도 변화를 분석하여 오일 상태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계측 데이터 활용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한국 여성 기자/저널리스트의 전쟁 취재 경험에 대한 연구: 걸프전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홍지아,정사강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8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coverage experience of war reporters and journalists,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the history of Korean war journalism for more than 30 years, and explored the impact of their coverage experience on war reporting as women.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analyzing war reports including “women” as a variable. And usually research on war coverage focuses on the mythical stories of military journalists, while the experience of a few female journalists was consumed as an exceptional and unusual interest of “women working as men.” The researchers tried to pay concentrate on what “female” reporters/journalists experience in the war coverage field, and on the point wher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reporters/journalists and the sexual/gender identity of are combined, or conflicted. To this end, a total of nine women were interviewed, including two female journalists covering the Gulf War and the Iraq War, four female journalists dispatched to the recent Ukrainian war, and three freelance female journalist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biological and social femininity of female reporters/journalists conflicts with the masculinity of w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ir age (generation), reporting experience, and organization affili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ble to enter places and private spaces where male reporters were not aloud because they were women, and as a result, they discovered more diverse stories of female victims. They also showed consideration, compassion, and empathy for female coverage target forming an emotional relationship more than a general reporter-coverage relationship. Their compassion and empathy, in particular, affect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between women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others caring for their children, because reporters also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 the role of childbirth and care. However, while forming an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based on the role experienced/might experience as a woman, women’s perception of women’s gender roles was not single, suggesting the need to look at women’s war coverage experiences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In addition, Korean female war Journalists showed empathy for the weak rather than the strong with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and this sentiment was expect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new war coverage beyond the limits of Korean war journalism, which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West,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t the intersection of women’s and minor citizens’ identities, their location is where new war reporting can be possible, and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new war journalism can also vary depending on how they interpret their experiences. 이 연구는 30여년에 걸친 한국 전쟁 저널리즘의 역사에서 거론되지 않은 전쟁 취재 여성기자/저널리스트의 취재 경험에 주목하며 여성으로서 이들의 취재 경험이 전쟁 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전쟁보도를 비판하고 분석하는 일련의 연구들에서 ‘여성’을 연구의 변수로 포함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며 특히 전쟁을 취재하는 소수 여성 기자들의 경험은 ‘남성 못지 않은 여성’의 예외적이고 이색적인 흥미거리로 소비되어왔다. 연구진은 ‘남성 못지않은 여성’이 아닌 ‘여성’ 기자/저널리스트들이 전쟁 취재 현장에서 어떠한 일을 경험하는지, 기자/저널리스트라는 직업적 정체성과 ‘여성’이라는 성적/젠더적 정체성이 결합, 또는 갈등하는 지점은 어디인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걸프전과 이라크전을 취재한 여성기자 2명,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견된 여성 기자 4명, 프리랜서 여성 저널리스트 3명, 모두 9명의 취재 여성을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기자/저널리스트들의 생물학적, 그리고 사회적 여성성은 이들의 연령(세대), 취재 경험, 조직 소속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쟁의 남성성과 충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여성이라서 경험하는 전쟁 취재의 어려움 한편으로 이들은 남성기자들은 갈 수 없는 금남의 장소와 사적 공간에 출입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보다 다양한 여성 피해자들의 스토리를 발굴해 내었다. 이들은 또한 전쟁 피해 여성에 대한 배려와 연민, 공감의 모습을 보이며 일반적인 기자–취재원 이상의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이들의 연민과 공감은 특히 성폭력 피해 여성과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와의 관계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이유는 취재 기자들 또한 취재 대상과 마찬가지로 출산, 육아, 돌봄의 성역할을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취재 여성들의 인식은 단일하지 않았으며 이 점은 여성들의 전쟁 취재 경험을 보다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한국의 여성 전쟁 취재 기자들은 피식민의 역사적 경험으로 강자보다는 약자에 공감하는 정서를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정서는 서구, 특히 전쟁 당사자국인 미국의 시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온 한국 전쟁 저널리즘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전쟁 보도의 가능성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여성과 약소 국민의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에 선 이들의 위치는 새로운 전쟁 보도가 가능할 수 있는 지점이며 이들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전쟁 저널리즘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 또한 다양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주류화' 정책과 여성 미디어워치의 새로운 모색

        백미숙(Misook Baek),유선영(Sunyoung Yo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4 No.-

        이 글은 1995년 UN 북경세계여성대회가 채택한 성주류화 정책의 주요 전략의 하나 인 여성 미디어워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의 세 가지를 다루고 있다. 첫째, 글로벌 거버넌스의 수준에서 UN이 여성의 지위와 권리 향상을 위해 추진해온 정책의 변화를 검토했다. 성평등 정책의 기획과 실행이라는 거시적 맥락에서 여성 미디어워치가 가지는 실천적 의미와 필요성을 귀납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성주류화 개념의 이론적 실천적 쟁점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셋째, 해외 여성 미디어워치 단체의 모니터링 사례를 실천적 맥락에서 검토했다. 분석결과로는 모니터링 과정에서 성 차별 분석에 중점을 두는 여성주의 관점이 여성들의 불평등한 지위를 개선하기 위한 보상적 목적을 넘어, 젠더 관계의 개혁을 통한 남녀평등 주류화로의 질서전환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제시했다. 이로부터 이 글은 전 지구적 미디어 모니터링 프로젝트와 미디어 개혁운동과의 연대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women's media watch, which is employed as one of crucial strategies for 'gender mainstreaming' policy. UN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held in Beijing in 1995 adopted gender mainstreaming as a new paradigm for gender equality. This paper deals with three major point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 this paper examines UN's policy development, which promotes the empowerment of women's status and rights. This reveals inductivel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women's media watch in the broad view of planning and practicing the project of gender equality. Second,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concept of gender mainstreaming. This intends to inquire the changes of viewpoints and focuses in monitoring gender description of media when the critical discourse on sexual discrimination and patriarchy has been trans formed to the discourse of gender equality mainstreaming. Third, oversea women's media watch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ies are reviewed for the purpose of gaining practical seconded¬experiences and seeking for possibilities of global solidarities to achieve the goal of the Beiing project. Based on these three points, this paper presents the tasks of participating in global media monitoring projects and organizing activities at both domestic and global level.

      • KCI등재

        웹사이트 워마드의 ‘흉자’ 담론 분석: 굴절된 자기혐오라는 성공에의 동력

        고은해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4

        This study attempt to adopt a critical approach toward discourses <Womad> has constructed, especially focusing on ‘honorory-men’ discourse (aka ‘Hyung-Ja’ discourse). <Womad> has been categorizing Women in discursive dimension under the ‘We must Only care for Women’ banner. But this categorization exposes a self-contradiction of <Womad> through ‘honorary-men’ discourse, which is a kind of hate speech against Other Women. Since <Womad> can be considered as a feminism group, it is problematic that they are practicing misogyny by doing so. This contradiction strongly suggests the need for study of ‘honorary-men’ discours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honorary-men’ discourse that justifies the criticism of Other Women, by apply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 is following: firstly, ‘honorary-men’ discourse follows and repeats the mechanism of misogyny that generalizing characteristics of non-specific women, which shows the influence of strong hegemony of deep-rooted misogynic culture in Korean society. Secondly, the discursive practice of ‘honorary-men’ discourse is related to social isolation of <Womad> and their attempt to overcome the isolation forms a recursiv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practice of enlightment against ‘Hyung-ja’. Lastly, the affect of anxiety <Womad> reveals through the practice of ‘honorary-men’ discourse, has built a connection to the social practices of <Womad>, which are neoliberalistic projects that only limited and selected individuals can succeed within. This analysis result tells us that practicing ‘honorary-men’ discourse represents <Womad>’s survival strategy with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which has a twofold suppression structure of misogyny and neoliberalistic economy system. This means that young women generation called <Womad> is newly mapping ‘discourse of young generation’ and ‘discourse of Hell-Joseon’ from women perspective. For deconstruction of the self-hatred mechanism represented in practice of ‘honorary-men’ discourse of <Womad>, this study emphasizes two kinds of proposals. One thing is forming a solidarity through a critical consideration of closed collective identity. Another thing is forming a critical discourse that incubates potential for disarticulation between two macroscopic hegemonies in korean society, which are misogyny and neoliberalistic competition system. 이 연구는 웹사이트 <워마드>가 구성하고 있는 담론 중 특히 ‘흉자’담론에 대한비판적 접근을 시도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에 대한 비하표현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으며 <메갈리아> 사이트로부터 분화되어 나온 웹사이트 <워마드>는, ‘오직 여자만챙겨야 한다’는 기치 아래 ‘여성’에 대한 범주화 작업을 담론의 차원에서 구성해왔다. 그 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워마드>의 ‘흉자’ 담론은 ‘다른 여성’을 향한 비난을실천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함으로써, 이들이 구성하고 있는 ‘여성’ 범주의 모순을강하게 암시한다. 이는 ‘여성주의’ 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을 가진 <워마드>가 ‘흉자’ 담론을 통해 일종의 ‘여성혐오’를 실천하게 된 배경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워마드>의 ‘흉자’ 담론을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분석 접근을 원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첫째, ‘흉자’ 담론은 불특정한 여성들의 특성을 일반화하고 있는 여성혐오의 매커니즘을 반복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 문화의 강력한 헤게모니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둘째, ‘흉자’ 담론의 실천은 <워마드>의 사회적 고립과 연관되며, 이 고립의 극복은 ‘흉자’들에 대한 폭력적 구제 행위의 실천으로 연계되는 순환 구조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흉자’ 담론의 분석을 통해 드러난 <워마드> 구성원들의 불안의 정동은, ‘탈코르셋 운동’, ‘야망보지 프로젝트’ 그리고 ‘탈조선 프로젝트’와 같은 신자유주의적 자기계발 주체의 계발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회적 실천과 강력한 개연성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워마드>가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 및 신자유주의적 무한경쟁 체제가 긴밀하게 얽혀 있는 이중적 억압의 구조 속에서, ‘흉자’ 혐오를 통해 각자도생의 생존전략을 모색하는 현실을 재현하고 있다. 이는 <워마드> 라는 일부 ‘여성 청년 세대’가 기존의 몰젠더적인 청년 세대 담론과 ‘헬조선’ 지형도의 다른 한 축을 <워마드> 버전으로 기록하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 KCI등재

        태국 축제에서 여성의 재현과 문화 창조

        이동옥(Dong-Ok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7 No.-

        태국 정부는 축제의 상품적 가치를 인식하고 전지구적으로 방문객의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축제의 상품화는 지역 여성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치앙마이의 송끄란과 로이끄라통 축제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고, 정부, 지방자치단체, 방문객, 공동체의 구성원들과의 관계에서 여성들이 축제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요 방법은 참여관찰이다. 여성들은 ‘전통’에 기반해서 남성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여성상은 태국 정부의 의도대로 가부장제에 순응하는 여성의 몸을 재생산함으로써 관광산업에 유익한 태국의 이미지를 구성했다. 또한 여성들은 특정 제례와 놀이에서 배제됨으로써 축제의 주체가 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여성들은 물놀이에서 일탈과 해방감을 경험하고 가부장제의 성규범을 위반함으로써 전복적인 공간을 창출했다. 여성들이 축제에서 문화 창조자가 되기 위해서는, 상상력과 창조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Thai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economic value of festivals and focused on inducing tourists. The commodification of festivals also has influence on the lives of local women. This research examined how women are represented in Thai Songkran and Roy Krathong Festival of Chiangmai and participate in events such as parades, performances, beauty festivals, plays and rituals in relation with government, local government, visitors and the members of community. The main research method is the participant-observation. Women play the subsidiary roles on the basis of tradition and are represented as objects of men’s desire. This image of women constructs that of Thailand which is beneficial for tourism, by reproducing the women’s body to adapt themselves to patriarchy, according to intention of Thai government. In addition, women did not become main agents, by being partly excluded from religious rituals and plays. However, women experienced liberation and deviation through playing in water and created the subversive space by resisting sexual norm of patriarchy. In order that women become creators of culture in festival, the setting that women can express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freely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토픽분석을 활용한 직장여성의 이직 원인 재탐색에 관한 연구

        송현정(Hyunjung Song),조윤재(Yoonjae cho),김재욱(Jaewook Kim),윤성식(Sungsik Yoon),이석준(Sukju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현재의 시대양상에 맞춰 여성 직장인들의 주요 고민을 통해 여성 이직의 원인을 개인관련 요인과 직무관련 요인으로 분류하여 현 노동시장에서 여성 인력이 실감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원인, 이직 준비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반응 및 행동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전용 커뮤니티에 작성된 게시글들을 수집하였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분석을 수행하여 직장여성들의 주요 고민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시간에 따른 고민들의 변화 추이와 연관성 분석을 통해 이직원인을 다각도로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직장여성의 주요 고민은 개인관련 요인과 직무관련 요인 두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세부 토픽으로는 관계, 일 자체, 돈, 나이와 성별, 결혼에 의한 고민과 같이 다섯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직장여성들의 이직원인으로 직무관련요인 보다 나이, 성별 그리고 결혼과 같은 개인관련 요인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여성들의 우선순위가 바뀌어 결혼이 늦어진다는 점과 결혼을 하게 되면 업무에 지장을 받는다는 점을 결혼과 일에 의한 고민의 연관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현재 직장여성들의 이직원인은 여성으로서 겪는 차별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각종 정부정책들이 직장여성에게 유의미하지 않다는 기존의 연구와 일맥상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urnover of business women through their stress by social medi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ommunity postings and classified major worry of business women by type using topic analysis of text mining and explored various angles of cause of turnover through changes of stress over time and correlation. Given the finding of the study, personal correlates such as age and sex, and marital status have more influence on the specific cause of turnover of business women than work-related correlate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women’s marriage is delayed because their priorities have changed and they have problems of work because they are married using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tatus and work itself. The study suggest that current causes of turnover of business women is due to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women. And these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re not use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