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 : 통합(integration)과 분리(segregation)의 이중전략

        Jae Kyung L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여성(또는 페미니스트)사회학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학회 기관 학술지인 『한국사회학』과 한국여성학회 기관학술지인 『한국여성학』을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여성사회학 연구는 여성노동에 대한 관심증가, 여성학의 제도화, 여성운동의 확대, 여성 연구자 증가 추세를 배경으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전해 왔다. 우선 주류 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는, 1960-1970년대는 여성부재의 사회학, 1980-1990년대는 여성연구의 양적 성장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2000년대부터 여성사회학 연구는 양적 증가뿐 아니라 연구 주제 및 영역의 확장이라는 질적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1984년에 한국여성학회가 설립된 이후 페미니스트 사회학연구가 등장하면서 주류 사회학에서 분석되지 않았던 주제 및 개념을 분석하면서,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쟁점을 학문적 주제로 이끌어냈다. 방법론적으로도 심층 면접, 구술사 등 다양한 질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양적 분석에서 간과되어 왔던 여성경험의 의미를 해석해 왔다. 그러나 사회학 내에서 여성연구는 젠더 정체화와 젠더 양극화로 인해 젠더 위계와 불평등이 (재)생산되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가 확장되고 사회학 지식생산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주류 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확대와 주류 사회학과 거리를 둔 페미니스트 사회학 발전이라는 두 가지 전략, 즉 통합과 분리 전략을 넘어서 사회학에 대한 페미니즘의 보다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feminist sociology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For this, it collects and analyzes data from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the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Given the context of increased interests on the issue of female labour,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studies, galvanizing of women’s movements, and a large increase of female scholars,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in two directions since 1980s: first, feminist studies in the mainstream sociology rarely focused on gender issues in the 1960s and 1970s, but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was achieved in the 1980s and 1990s; second,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erms of issues and concerns since 2000. On the other h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in 1984,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carved out a vibrant new field of inquir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private and trivial issue within the mainstream sociology. Methodologically, they have developed diverse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women’s oral histories, which allow re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women’s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have been expressly denied and excluded.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however, have faced some limitations caused by gender polarization and gender identific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paper sets an agenda for expanding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and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sociology.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two strategies, which may require strengthening feminist studies and developing feminist sociology by going beyond integration and segregation.

      • KCI등재

        무엇이 한국의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어렵게 하는가?

        최성은(Choi, Seong Eun)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와 경력단절 이후의 복귀가 저조한 이유를 발전주의적 생산레짐에 따라 형성된 한국의 여성노동시장환경에서 찾는 데 있다. 한국의 발전주의적 생산레짐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한국의 노동시장의 제약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여성 노동시장의 제약, 특히 고학력 여성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충분히 설명해 줄만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노동시장, 교육 · 숙련, 복지, 정치체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에 따라 형성된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실행에 있어 어떠한 제도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한국의 경우 발전주의 생산레짐을 통하여 상당히 제약이 있는 여성노동시장 구조가 형성되어 왔다. 그런데 그동안의 여성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고자 추진하였던 대부분의 정책들은 성별화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 문제와 같은 큰 틀에서의 논의보다는 여성의 돌봄의 부담을 해결할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노동현장에서 남성 중심의 내부노동시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reasons why Korean highly educated women have low participation and low return rate in the labor market after career break, which are found in the environment of Korean female labor market which was form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ist production regime. Rec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roduction regime of Korea has presented a very useful rationale to explain Korean labor market constraints. However, research that sufficiently explains the labor market constraints of Korean women, especially the problems displayed in the labor market of highly educated women, is largely inadequate.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emale labor market that was formed due to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of welfare, political system, receiving industrial and labor market, education/training. Also I am looking for a policy implication that emphasizes institutional aspects in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성부재와 여성 생계부양노동의 의미

        김효정(Kim, Hyo-Jung),박언주(Park, Eon-Ju)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가족 내 남성이 부재한 상황에서 생계부양노동에 나서야 했던 1920년대생 두 여성 노인의 구술생애사에 대한 분석이다. 각 구술자 당 세 차례에 걸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구술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은 남성부재와 여성의 생계부양노동을 초래하고 전통적 가족에서 근대적 가족으로의 변화와 근대적 핵가족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과정을 지연시키거나 변형시켰고, 이에 대한 여성들의 경험은 가족과 개인이 이러한 변화의 과정 중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다른 의미를 획득한다.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으로써 농업에 기반을 둔 전통적 가족노동체제의 유지는 여성에게 주어진 생계벌이의 책임을 가족생존전략의 맥락에 위치시켜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을 지연하였고, 생계부양자로서 여성의 노동경험은 노동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근대적 개인의 형성으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한편 도시 비공식부문에서 수행된 여성의 생계부양노동 경험은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과 방향을 달리하며 근대적 노동주체로의 성장 가능성을 열었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활동 경험에서 형성된 여성의 가족생계부양에 대한 자신감은 가족의 생계부양자로서 여성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성부재와 이로 인한 여성의 삶과 경험을 전통적 가족에서 근대적 가족으로의 변화과정이라는 맥락에서 논의함으로써, 근대적 성별분업체계의 형성과정에서 여성의 노동경험이 갖는 의미를 드러내고 근대와 여성에 대한 논의의 지평을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wo elderly women’s life history,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women’s experiences as a breadwinner and the absence of men in the family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ree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 who was born in 1928 in Cheongyang and with H who was born in 1927 in Yeonan, respectively. Their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 data was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omen’s experiences in regard to the absence of men and earning a living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are intertwined with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families. Women’s work experiences obtain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in which women and their families are situated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Moreover, women experience the absence of men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it occurs in the traditional family labor system or in the modern family labor system. In postwar Korea, maintaining the traditional family labor system often prefers as a survival strategy for families, which influences the postponement of introduc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may affect that women’s work experiences in paid labor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do not lea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worker’s identity. Meanwhile, women’s work experiences in the informal sector of urban areas may open up new possibilities for women to be the subject of labor, while women tend to place more significance on the identity as a mother who takes responsibility for their families than the identity as a worker who are the modern subjec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여성학과 지역 여성주의의 모색

        이혜숙(Lee, Hyesook)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2

        한국여성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여성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반영한 이론적 관점이 필요하다. 이 글은 지역여성 연구의 위상을 살펴보고 지역 여성주의 관점의 중요성과 특성을 논하고 경남지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앙과 지역의 이분법을 지양하고 여성주의의 차이와 다양성, 지역의 주체성, 역동성을 한국여성학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경남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접근함으로써 지역여성주의의 모색가능성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 여성주의의 중앙과 지역의 관계는 불균등 발전을 해 왔다. 그러나 이를 단순히 이분법(발전/비발전)으로 볼 것이 아니라 중층적으로 보면서 지역여성의 경험을 주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지역 여성주의는 중앙의 시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규정되었던 지역에서 벗어나 지역내부, 지역적 차원에서 여성경험의 특성과 지역여성의 다양성과 다층성, 주체성에 관심을 두고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학과 지역여성운동이 어떻게 연대하고 소통할 것인지, 지역여성의 경험을 드러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연구자들간의 학문공동체 네트워크는 어떻게 가능한지 등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한국여성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ttention to local women’s realities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or local women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the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udies about local women and to look at the activities of women’s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at a local feminist point of view in order to show the local women’s realities. This paper tried to deal with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regional identity, dynamic aspects of local area rather than the dichotomy between development and non-developmen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tudies of local women’s realities. The local feminism are interested in the local women who differently experienced in the locational context of spaces. In contrast to the universalizing and homogenizing notion of feminism, this notion of local feminism emphasizes the specificities and multiple natures of women’s realities in local area. The local feminist point of view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So we should consider the ways such as research networks among academic community, communications between the women’s movement and women’s studies and the effective approaches to reveal the experience of local women.

      • KCI등재

        필리핀 이주 기지촌 여성 ‘쥬시걸’의 민족지적 연구

        한정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기지촌은 지금 필리핀 여성들이 과거의 ‘양공주’를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평택 주한미군 기지의 유흥업에 종사하는 외국 이주여성들의 이주의 동기와 과정 그리고 현지에서의 삶의 양식을 밝히는 민족지적 연구에 있다. 성매매 여성을 인신매매의 수동적 피해자로만 보는 시각으로부터 탈피해 한국으로의 이주 경험을 여성들의 주체적인 선택이나 삶의 전략의 하나로서 분석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에서 필리핀 농촌의 붕괴와 필리핀 정부의 해외 이주노동 장려 정책, 이들을 수입하는 한국 사회의 흡인 요인을 고려하면 필리핀 여성의 한국 기지촌으로의 유입은 여성의 성을 매개로 제도화된 해외이주노동에 의해 조장된다. 구조적 조건과 함께 이주과정에서의 여성의 선택의 과정을 분석하고 쥬시걸로서의 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착취적 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여성의 전략을 살펴본다. 기지촌 필리핀 여성 이주자들은 본국에 송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노동자로서 독립적이기도 하고 의존적이기도, 기략이 풍부하기도 하고 착취당하기도 한다. 이들은 세계화의 경제 관계의 망에 갇힌, 그러나 로컬 차원의 행위자들이다. 일의 체계는 고용주가 이들을 최대로 활용하여 최대의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데서 비롯된 주스 할당량과 바 파인(bar fine)의 구조로 짜여진다. 이에 따라 계약 임금노동자로서 지급해야 하는 월급보다 성과급(주스 할당/바 파인)의 비중이 훨씬 높고, 이 부분에 계약서상에 없는 벌금이나 외출 금지의 벌칙이 적용된다. 기지촌 성산업에 유입된 필리핀 여성은 형식적으로는 외국인 계약 노동자이다. 그러나 이들이 계약을 하고 한국에 와서 일하는 모든 과정을 관철하는 하나의 본질(epiphany)은 ‘비(非)법, 편법, 합법으로 위장, 법망을 피하기’이다. 이들이 정부의 허가를 받은 외국인노동자로서 수입됐다면 입국 과정에서의 중개자 역할과 고용 과정에서의 벌금제 등 불합리한 고용 행위를 노동권에 입각해 논의하고 시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ilipina entertainers at a military camp-town in Korea. It includes motivations, immigration processes, and their work in the clubs. With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of the current globalization, the camp-town women have been replaced by foreign migrant women, especially from the Philippines. These women have been usually viewed as trafficked people, victims of forced sex slavery, a view that fails to recognize them as autonomous subjects. In analyzing their migration processes and lives in the clubs, I look at them not as passive agents, but rather as active ones. I have examined various structural causes as the defining factors in the Philippine women’s choices.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hilippines as a debtor country, along with the Philippines policy for enhancing work abroad, have led to this migration as a way of earning foreign currency. Contributing to this movement of women are the lax regulations of broker business, the efforts of the Korean camp town’s club businessmen to import foreign sex workers, a lax process of issuing entertainment visas, and lax regulations over military prostitution as a result of US-Korea relations. The women migrated to Korea to suppor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ack in the Philippines. Their considerations of intermarriage migration to Korea were also examined. However, their urgent financial needs have led them to reject patriarchal type marriages to Korean men. Before migration, they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work possibilities, but the extent and quality of this information seem to deter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igrate. Within the club they are struggling to expand their levels of bargaining power vis-à-vis their employers over required juice purchases and bar fines. Overall, Filipina camp-town women appear to be relieved that they are fortunate enough to migrate to Korea for higher incomes. They are independent, capable of sending money to their families, but are also dependent on labor processes which they sometimes circumvent.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exploitation,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should be the first step. To prevent abusive behaviors by brokers and club owners, there should be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over labor standards, such as regular days off, lifting of the penalty system and curfews.

      • KCI등재

        개발국가의 해외이주 정책과 젠더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재외한인 정책의 현재적 특성이 개발국가의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착안, 한국에서 해외이주가 확장된 시기(1962~1987년)의 출국자 통계 추이와 해외이주를 규정하는 프레임들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한다. 출국자 통계의 흐름을 보면 해외이주가 증가함과 동시에 여성은 이민 목적, 남성은 취업 목적으로 이주 경로가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주 목적지별로 나누어 고찰해보면 또 다른 성별 차이가 발견된다. 1970년대 초반까지는 유럽 및 아시아로 해외취업한 여성들이 증가하였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고, 대신 연고형 이민이 늘어났다. 개발 초기 여성의 해외취업을 ‘생존의 여성화’ 차원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음이 드러난다. 한편, 이 시기 해외이주를 인식하는 지배적 프레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신문기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담론분석을 통해 세 가지 프레임을 발견했는데, 해외이주를 경제개발을 위한 인력수출로 보는 시각, 국제결혼이나 이민의 부작용을 여성화하는 프레임, 그리고 이주자를 개척자와 도피자로 양분함으로써 ‘이주의 자격’을 국위선양 여부에 따라 구분하는 프레임이다. 한국 여성들의 다양한 이주 경험은 국위선양과 개척형 이주를 상상하는 개발국가의 남성중심적 프레임, 국가 민족주의의 틀 안에서 왜곡되거나 배제되어 왔으며, 특히 생존을 위한 여성의 다중적 역할이나 유급 및 무급 노동에 대한 기여는 비가시화된다. 단순한 순혈주의와는 다른, 개발시기의 국가 민족주의와 결합된 개발 프레임의 광범위한 영향력과 젠더 편향성을 보다 정교하게 비판하고 극복할 수 있는 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며, 그러한 기반 위에서 한국 여성들의 해외이주 경험을 새롭게 재조명하는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The number of ethnic Koreans living overseas has exceeded 7 million people. They have emerged as a group of people who also needs policy attention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number of policies to build a homeland tie with them. However, the policies are partly, or predominantly gender biased and also looked as being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fered by so called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from 1962 to 1987.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kept the strong view on Korean migrants as human capitals who could be utilized for the home country’s economic growth. This study argues that this perspective is still prevalent in both Korea’s emigration and overseas Korean policies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state’s policy discourse to trace a set of ideas, such as gender norms and nationalism, incorporated into both past and current policies.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emigration statistic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s policy regime and analyses gender implications from trends and patterns of emigra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conducts the discourse analysis on the collected news 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1962 to 1987. This is to show the prevalent image of Korean emigrants which was mostly represented as a pioneer or an escapee under the nationalism interconnected with developmental ideas.

      • KCI등재

        1990년대 한국여성의 국제결혼과 또 하나의 ‘다문화가족’

        김민정(Kim, Minjung)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이 글은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추적조사를 해 온 세 ‘다문화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이주시대로 접어든 한국사회의 변화가 이주·노동·결혼과 관련된 개인과업과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개인들의 대응 방식을 분석한다. 1990년대 필리핀 남성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들은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관행을 거스르며 국가가 승인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가족을 구성하였다. 가족이나 직장, 이웃과 친구들, 심지어 국가도 우호적이지 않은 결혼이었고, 자녀의 성씨 규정이나 거주지 규정 등에서 한국식 부계(父系) 친족 규범의 구성 요건을 거슬러 구성된 가족이었다. 이런 점에서 한국아내의 입장에서 부부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은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가부장적 협상으로, 필리핀 남편의 정착 과정은 한국사회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부분적으로나마 획득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다문화가족 정책이 도입되면서, 이들의 자녀들은 특별한 교육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가족은, 한국아내가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결단으로 연애결혼을 하고 가족을 대변하고 책임을 지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족의 다수를 차지하는 한국남성의 국제결혼 가족과는 대척점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자녀들에 대한 교육지원과 혜택을 받기위해 ‘우리도 다문화가족’이라는 점을 받아들지만, ‘그런 다문화가족은 아니라는’ 구별짓기를 통해 별도의 정체성을 추구한다. 단일민족신화가 강력하게 작동하는 한국사회에서 이중국적의 보유가 허용되는 혼혈자녀세대는 학교생활과 또래관계를 통해 한국인 정체성을 의식적으로 강화하게 된다. 한국국적 이외에도 필리핀 국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장점으로 인식되지 않았지만, 다른 영어권 국가에 비해 더 적은 비용으로 필리핀에서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은 같은 계급 배경에서는 비교우위를 가져다주기도 하였다. 남자 자녀의 경우는 군복무를 마치는 것으로 ‘온전한 한국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이후에는 이중국적의 전략적 행사에 대한 면죄부를 얻을 수 있다. 최근 젊은 세대에 부는 ‘탈(脫)한국’ 바람의 영향과 함께 한국사회의 혼혈 차별에 대한 대응으로 자녀세대에서는 향후 해외취업이나 해외이주를 도모하는 상황도 예견된다. 이는 이주의 시대에 전통적 시민권에 대한 새로운 관념과 전략적 행동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하는, 이주 주체의 유연한 위치전략이자 전략적 시민권의 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tories of three families whose lives I have followed from 2002 to 2017. They are families of Korean women married to Filipino migrant workers in the 1990s, whose marriages were against the nationality law and patriarchal customs in S. Korea. Their marriages and children’s births could be registered only after the patrilineal nationality law was revised in 1997. Still their family composition didn’t correspond to patrilineal kinship norms, such as female hypergamy, a paternal surname, and the patrilocal residential rule. Under this transnational circumstance, the Korean wives needed to engage in patriarchal bargaining to keep a relationship balance with their Filipino husbands, while the husbands tried to gain back their hegemonic masculinities in the patriarchal Korean society. As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were introduced in the middle of the 2000s, these Korean mothers accepted their families to be classified as multicultural in order to obtain educational benefits for their children. Yet the Korean wives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major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made up of Korean husbands and Asian wives, based on the reasoning that they married for love and that they have broad responsibilities in their families. Meanwhile, the experiences of three adult mixed children in these families offer a context to discuss how dual citizenship could be used by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example, completing high school in English in the Philippines may offer a better opportunity to enter college in Korea; finishing military service in Korea could provide a boy with perfect Korean-ness. These children also dream of emigrating to Canada, where Filipinos are the biggest immigrant group, in the midst of an ‘exodus-Korea’ boom among the young generation. This implies that individuals are now allowed to deal with their nationalities and citizenships in more flexible and strategical ways in this age of migration.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여성할당제의 효과

        김민정(Kim, Minjeoung)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2

        2003년 선거법 개정을 통해서 국회의원 비례대표부분에서 여성 50% 할당제가 받아들여지면서 여성의 대표성확대를 위하여 여성할당제가 입법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지방의회에서도 비례대표에서 여성 50%가 도입되면서 여성정치참여 확대 전략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이 입법과 더불어 비례대표 여성의원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더불어 지역구 여성의원의 수도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의회의 여성의원수도 증가하였으며 여성후보의 숫자도 증가하면서 할당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까지도 할당제의 부수적인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의정활동에 있어서 여성관련 입법을 많이 발의하면서 어느 정도 여성의 이익을 대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여성의원은 주로 전문직에서 충원되면서 정당 내 기반을 가지지 못하였고 지역의 기반도 가지지 못하면서 다음 선거로 의원직을 이어가지 못하게 되었고 초선에 그치게 되었다. 또한 의정활동에 있어서도 상임위원장이나 간사와 같은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정당 및 지역에서 기반을 가지지 못한 초선이다 보니 여성의원들은 정당지도부에 의존하면서 주체적인 의정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할당제가 여성의 숫적 대표성 확대에 효과가 있었고 실질적 대표성 확대에도 어느 정도 기여하였지만 여성정치세력화는 이루지 못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From 2000,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chose a strategy of women’s enhanc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ied to legislate women political quota. In 2003 with a revision of the electoral law, the 50% women quota of party list for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as introduced and the strategy of enhancement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has a relatively successful result. The number of female legislator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s increasing rapidly and even in single district representation the number of women legislators is going up slowly. And in local elections, women are elected more than before and even th number of women candidates who run for the general elections and the local elections are enlarged. Female legislators in national assembly propose legislative bills concerned women’s issues such as education, raising children and social welfare. However, women legislators do not succeed consecutively their term, and a great part of women legislators quit their term with only one time. They are not in the center of legislative activities and it is hardly found female president of permanent committee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y are rather representative of a party than women even though they are elected because they were placed there in a party list as woman by the quota rule. Therefore the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number of female legislators are relative successful but women are not empowered yet.

      • KCI등재

        한국여성사 정립을 위한 여성인물 유형연구 Ⅲ

        최숙경,신영숙,이배용,안연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993 여성학논집 Vol.10 No.-

        This paper explore Korean women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economic, social activities from 1919 to 1945-the period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o the time of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This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he extension of womens access to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and by the increase i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formal sector, especially by learned professional women. Womens educational opportunity expanded beginning with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women were gradually established by women and Christians. Greater educational opportunity for women contributed to reduced illiteracy rates and to a greater awareness of their oppressed position as women and as people of a Japanese colony. Although the principal intention of Japanese colonialists was to assimilate Korean people into Japanese culture through education, Korean men and women instead used their education to foster a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against Japanese rule. In this period, many women intellectuals trained by modern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came to work in various occupations as teachers, reporters, nurses, musicians, painters, dancers, novelists, poets, and pilots. They were pioneers for professional women in modern Korea. Among them were some women from lower classes (i.e. the commoners class) who elevated their social status through education or wealth. Professional women in this period pursued a "super woman image" as an ideal career womans model. However, they suffered from their double burden of household and workplace labor. Regard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in the economic sector during the period totaled 35%. The majority were rural and factory concentrated in such industries as textile, rubber, and rice milling. The content of women traditionally used to weave and grind various corns including rice as a ordinary household labor.) Japans monopolistic capitalists and colonialists exploited these women workers, as well as women drivers in the fishing industry. Such exploitation provoked a systematic womens labor movement, disputes on tenancy, and so on. In the meantime, women participated in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geared towards womens enlightenment, communist revolution, or national liberation. These activities inspired women to assume a feminist consciousness as well as a class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However, beginning in the 1930s, some of these womens organizations served as a pro-Japanese propaganda agency to implement Japanese imperialistic rule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outbreak of World War II, Japan urged womens activities in social and economic sectors in order to mobilize and exploit the female labor force in Korea during the war. Yet, since Japanese colonial policy regulated the supply and demand of labor, womens activities in social and economic sectors were extremely limited. Despite these circumstances, Korean women gradually extended their activities in various sectors of society and struggled against gender and national discrimination under Japanese colon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