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 - 스포츠교육이 이끌어가는 한국체육 4.0을 지향하며 -

        최의창(Eui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1

        지금 한국체육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아니, 성장통이라고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 같습니다. 1988서울올림픽대회 이후 급격한 발전이 만들어낸 불순물에 의한 신체부조화 현상입니다. 새로운 세대와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한국체육의 재탄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스포츠교육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이 글은 이 한국체육 격변의 시기에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 중견연구자의 개인적 의견 제시입니다. 우선,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의 의미를 규정하여 밖으로 뻗어나는 향외적 개혁과 안으로 파고드는 향내적 개혁으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스포츠교육의 역할”의 뜻을 살펴보면서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지음에 스포츠교육이 주체적 역할과 종속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해석합니다. 이 해석의 바탕 위에서 스포츠교육이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이루어지는 향외적 개혁과 향내적 개혁의 의미를 살펴봅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교육의 이상을 추구하는 한국체육을 “한국체육 4.0”이라고 규정하고 최우선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Korean Sport(KS) is in turmoil now. Many negative happenings in the elite sport sector have occurred this year only.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has launched a special task force to reform KS. Reform ideas for the transformation of KS have been proposed, and some pros and cons on them are now being suggested. In this context, the role that sport education(SE) has to play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form of KS(RKS) and the role of SE(RSE). First, the general meaning of RKS is explained, and the two forms(the introvert and the extrovert) of reform are identified. Second, the general meaning of RSE is presented, and the two forms(the independent and the subordinate) of SE’s roles are suggested. I emphasize the role of sport education(and sport pedagogy) should be the leading one in which SE is the goal, not the mean. Based on these ideas or clarifications, I explain the meaning of the introvert reform and the extrovert reform in which SE plays the independent role. Finally, I call the Korean sport that SE takes the leading role as Korea Sport 4.0. And I suggest some fundamental and urgent innovations that need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 Landsat 8 대기 반사도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서울시 PM<SUB>10</SUB>시공간 해상도 향상

        백창선(Baek, Chang-Sun),염재홍(Yom, Jae-Hong) 한국측량학회 2019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9 No.4

        최근 한반도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관측 일수가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서울시를 기준으로 24개의 도시 대기 관측소와 15개의 도로변 대기 관측소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제공하고 있으나 미세먼지 특성상 토지 피복, 기상 조건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관측소에서 측정되는 데이터가 서울시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성 영상, 기상 관측 데이터, 토지 피복도와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높은 시공간 해상도의 서울시 미세먼지 영상 생성 모델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한국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강신복(Kang Sin Bo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0 No.3

        스포츠교육학은 체육 교육 현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와 코칭을 다양한 관점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초기에는 스포츠교육학이 학교체육의 실천과 교사양성에 주된 초점을 맞추었지만, 체육학문화 운동 이후 사회체육, 전문체육까지 포함하여 교육과정, 교수와 코칭, 교사(지도자) 양성 등으로 연구 영역이 확대되었다. 이 같은 동향은 한국스포츠교육학의 성장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특히 한국스포츠교육학은 1980년대 말부터 박사 과정의 개설, 그리고 1994년 한국스포츠교육학회가 창립되고 학회지가 출간됨으로써 태동되었고, 그 후 현재까지 학문적 성장기에 있다. 이후 한국스포츠교육학이 보다 중흥을 이루기 위해서는 그간의 연구 성과들을 성찰해 보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최근 선진 외국의 경우에도 지나간 연구 성과들을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과제를 모색하려는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스포츠교육학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주요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지난 10여 년간 발표된 스포츠교육학 관련 논문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한국스포츠교육학은 크게 학교체육, 사회체육, 전문체육 영역에서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어져 왔으나 비교적 학교체육 중심의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과제로서 이론과 실제의 문제, 연구 패러다임의 문제, 그리고 학문 자립성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Sport pedagogy is the sub-discipline of Human Movement Studies, which explores the teaching and coaching practiced in the various contexts from the multiple perspectives in order not only to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information but also to improve th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beginning era of sport pedagogy, it had focused both on practicing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on prepa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fter the disciplinary movement which was prompted by Henry(1964) in the early 1960s, sport pedagogy has extended its research scope from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the leisure and elite sports. Also it has focused mainly on the curriculum, teaching/co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hese trends could be observed simultaneously in the history of Korean sport pedagogy`s growth. Especially Korean sport pedagogy has been quickened and grown up with a successive process such as opening the doctoral program in the early 1980s, establishing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KASP) in 1994, and publishing th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Now it is very important to review the research outcome which was accumulated by much of researches for developing Korean sport pedagogy. Recently many of leading sport pedagogues in foreign countries have tried to review the past research findings for exploring new tas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sport pedagogy and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and practical tasks. So this study explored the domestic doctoral theses and the articles related to sport pedagogy,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professional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during the past decade. As the result, Korean sport pedagogy was studied in the realm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leisure sports, and elite sports with the various themes, but relatively the studie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led Korean sport pedagogy in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are pointed out with following three tasks: ⑴ th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⑵ the research paradig, and ⑶ the academic independence.

      • KCI등재

        스포츠티칭교육학에서 스포츠코칭교육학으로

        최의창(Eui 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2

        스포츠교육학 분야는 체육학의 여러 하위학문 중에서 지난 30여년간 가장 급성장한 분야 가운데 하나다. 특히 한국스포츠교육학은 최근 성장을 통해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연구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단연코 최선두에 있다고 인정받고 있다. 1990년대 미국연구 동향의 답습에서 시작하였으나, 체육수업, 체육교육과정, 체육교사교육 전반에 걸쳐 이제는 한국 학교체육의 제도적, 문화적 특색이 반영된 한국적 주제와 이슈들이 많이 탐구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적 연구주제의 개척이라는 긍정적 성과를 올리고 있는 반면, 급격히 변해가고 있는 최근의 학문적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도 있다. 이 점은 한국스포츠교육학의 국제적 수준으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취약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30년을 위하여 한국스포츠교육학이 어떤 학문적 모습을 갖추어야 할 것인지를 연구영역(연구대상)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그간의 연구영역이 거의 전적으로 학교체육교육 장면에 국한되어왔음을 지적하면서, 생활체육교육과 전문체육교육을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핵심적으로, 스포츠 “티칭”을 벗어나 스포츠 “코칭”으로 연구범주의 전환을 도모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먼저 현재 세계 스포츠교육학계의 동향과 한국 체육교육 분야의 현황을 파악한다. 이를 기초로 한국스포츠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몇 가지 핵심 개념들을 소개하고 필요한 실천적 노력을 제안한다. Sport pedagogy is one of the most grown subfields in Kinesiology for the last 30 years. Except for the cases of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it is well recognized that sport pedagogy researchers in Korea has become the leader in Asia. The quantity and quality of research studies by Korean researchers have increased at an astonishing speed. Korean sport pedagogy research(KSPR) has begun by imitating and importing those of United States. However, KSPR has developed research perspectives and topics grown from Koreans institutions and practices. Many current practices and policies have studied and reviewed recently. This identification process of KSPR is now occurring in all the subareas of curriculum, teaching, teacher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Although this trend is welcome, the field has for some period neglected the international trends occuring other countries than US. The SPR in other countries have extended to sport coaching in schools and stadiums. The eyesight has been widened to include sport for all and elite sport eocahing as well as school physical education.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KSPR should move from Sport Teaching Pedaogy to Sport Coaching Pedagogy. First, the current trends in international SPR is described. Second, the changing practic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Korea is analyzed. Third, a conceptualization or reconceptualization of SPR based on a concept of physical activity and human needs is provided. The idea of Coaching Matrix has proposed in order to introduce the extended conceptualization of coaching an the subject area of research. Based on this, some further ideas of research areas and topics are presented. Finally, necessary efforts for the renewed KSPR have been outlined for the next 30 years to come.

      • KCI등재

        전문체육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소고

        조욱상(Ook Sang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1

        2015년부터 개정 시행될 전문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에 스포츠교육학이 연수프로그램과 자격검정시험 과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로 인해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될 전문체육지도자들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스포츠교육학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스포츠교육학은 현재까지 학교체육을 중심으로 학문적 깊이를 더해왔지만 전문체육분야로의 교육적 실천 영역 확대를 위한 학문적 움직임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전문체육은 한국에서 스포츠교육학이라는 학문영역이 태동할당시부터 그 하위학문영역으로 자리하고 있었지만 전문체육의 목표, 즉 전문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이라는 지향점과 학교체육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스포츠교육학의 학문적 지향점이 그 접점을 찾지 못했던 이유로 스포츠교육학 영역에서의 전문체육과 관련된 학술활동은 적극적이지 못했었다. 스포츠교육학이 전문체육으로의 독자적인 학문적 접근을 하는 데 있어서 구심점이 되어야 할 영역은 스포츠코칭이라는 데는 질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스포츠코칭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은 유럽과 오세아니아 스포츠선진국들의 연구자들에 의해 수년간 진행되고 있으며 스포츠코칭에 대한 개념정립과 이 과정에서 생산된 관련 이론들이 전문코치교육을 설계하고 그 실효성을 분석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포츠코칭을 교육학적으로 해석한 선행연구들이 채택한 전문체육영역으로의 학문적 접근 방향을 소개하고 한국의 전문체육과 스포츠교육학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문체육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주제의 선행연구들에 대한 수집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내용을 고찰함에 있어 스포츠교육학의 교육적실천영역을 전문체육으로 확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문적 혜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는 티칭(teaching)과 코칭(coaching)의 개념을 적용한 교육적 행위로서의 스포츠티칭과 스포츠코칭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학문적 지향점과 교육적 요소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체육에 대한 교육적 탐구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orean sports pedagogy was selected as a subject for national sports leader license system that will be operated since 2015.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eory and practice of sports pedagogy that could contribute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ite sport leaders begin in earnest. Sports pedagogy have made slow progress in extending academical perspectives on elite sports while school physical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Although elite sports has located as a sub-domain of sports pedagogy for a long time, academic activity related to elite sports has not been activated in the sports pedagogy area because academic directing points of these two academic areas were not matched. Sports coaching is the one and only element that is related to sports pedagogy among various elements that consist of elite sports. Researchers in european and oceania countries have attempted pedagogical approaches to sports coaching, sports teaching and related theories have been produced in this process. These theories are applicable to desig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elite sports lead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templat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elite sport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pedagogical interpretation of elite spor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oretical framework that previous studies have developed, related studies were extensively searched and collected by Kor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data bases.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y emphasized academic insights for extension of sports pedagogy toward elite sports.

      • KCI등재

        체육교사의 스포츠안전교육을 위한 역량 탐색

        박준환,김선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safety activities" as an independent area in 2015's revised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as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was emphasized.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sports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safety activities" introduced in the revised 2015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procedures used to develop teaching competency in various fields of IBSTPI, a specialized company that develops teaching competenc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a literature survey, a Delphi survey, and a survey were conducted. Delphi commissioner consisted of eight sports education scholars, four safety education experts, 1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 total of 2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reliability using SPSS Ver. 23.0, and Microsoft Excel (Microsoft Excel) to check the content level (CVR) index.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e sports safety education belief competence, sports safety education knowledge competence, sports safety education practice competence, sports safety education information competence, sports safety educ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sports safety accident prevention competence, sports safety accident rehabilitation competence, sports safety education assessment competence, and sports safety education total nine competences were obtained. 시대적, 사회적으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안전 활동’이 독 립 영역으로 도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도입된‘안전 활동’을 체육교육 현장 에서 내실 있게 구현하기 위해서 스포츠안전교육을 위한 체육교사의 역량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 교수역량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인 IBSTPI(International Board of Standards for Training, Performance, and Instruction)에서 교수 역량 개발을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수정, 보완하여 문헌조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위원은 스포츠교육학 전공 학자 8명, 안전교육 전문가 4명, 체육교사 13명, 총 25명으로 구성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내용타당도(CVR) 지 수를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Microsoft Excel)를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스포츠안전교육 신념 역량, 스포츠안전교육 지식 역량, 스포츠안전교육 실천 역량, 스포츠안전교육 정보 역 량, 스포츠안전교육 소통 역량, 스포츠안전사고 예방 역량, 스포츠안전사고 대처 역량, 스포츠안전사고 재 활 역량, 스포츠안전교육 평가 역량, 총 9개의 역량과 개념을 구안하였다.

      • KCI등재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

        고문수(Moonsoo K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미래는 불확실성과 다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교육이 어떠한 방향을 지녀야 하는지를 탐색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미래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스포츠교육의 길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환경 변화 속에서 스포츠교육의 연구 실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 교육환경의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스포츠 교육환경의 변화에서는 물리적 환경에서 온라인 학습 환경으로 확장, 절차적 지식과 통합교과로의 학습 내용 전환 그리고 과학 기술과 인문적 접근의 통합적 방법의 활용 등을 탐색하였다. 둘째,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핵심역량과 이 핵심역량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스포츠교육의 두 가지 방향을 실천해야 한다. 하나는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교수 · 학습의 방향을 실천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스포츠교육에서 과학적 관점과 인문적 관점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의 두 축을 구축해야 한다. 여기서 제1축은 외적 힘과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의 관계를 조성하는 일이다. 제2축은 내적 힘과 스포츠교육 연구와 실천을 강화해야 한다. 논의에서는 스포츠교육 방향의 설정은 스포츠교육학자의 역량과 스포츠교육 관련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future is premised on uncertainty and diversification.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to explore what direction sports education should take. The reason is that sports education can be diversified amid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contents of research and practice of sports education in the futur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First, due to the change of the sports education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conversion of learning content to procedural knowledge and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use of an integrated method of science technology and humanities approach were explored. Second, in order to adapt well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wo directions of sports education that help to realize core sports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ne is to practic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other is to use a scientific perspective and a humanistic perspective in sports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wo axes of sport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The first axis here is to create a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trength and sport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The second axis should strengthen research and practice in sports education and inner strength. In the discus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sports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competence of sports educators and active will and efforts of sports education related researchers.

      • KCI등재

        부모-자녀세대의 e스포츠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온라인 롤(LOL)게임학교’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영선(Youngseon Kim),방승호(Seungho Bang),황옥철(Okchul Hwa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 하에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교육원에서는 2021년 3월부터 7월까지 ‘세상에서 제일 큰 학교: 온라인 롤(LOL)게임 학교’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학교에 참여한 부모-자녀세대를 중심으로 게임 및 e스포츠를 둘러싼 일상적 갈등경험과 e스포츠교육 경험을 살펴보고, e스포츠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한국 사회에서 e스포츠와 세대차이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e스포츠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선행연구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필요성을 언급하는 지점에 머물러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e스포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온라인 롤(LOL)게임학교’ 내용을 검토하고, 둘째, ‘온라인 롤 게임 학교’ 참가한 부모-자녀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통하여 게임을 둘러싼 부모-자녀의 일상적인 갈등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e스포츠교육에 대한 경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e스포츠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의미들을 탐색하였다. 부모-자녀의 갈등 양상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차원의 문제이다. 즉 e스포츠교육은 학교와 가정의 공간을 넘어서 디지털 사회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 확대되어야 할 사안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온라인 롤 게임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교사 및 전문가의 노력, 다양한 학교의 학생 참여, 그리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지지를 통하여 가능하였으며, e스포츠 교육의 안전성, 공정성, 공공성의 의미를 알려준 사례가 되었다.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Student Education Center held "The World"s Largest School: Online LOL(League of Legend) Game School" from March to July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aily conflicts surrounding games and eSports and eSports education experiences, focusing on the parents-child generation who participated in ‘Online LOL Game School’. Based on this, it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Sports education. As the issue of eSports and generation gap emerged in Korean society, there were prior studies emphasizing the need for eSorts education, but most of them remained at the point of mentioning the need.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previous studies on eSports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Online LOL Game School" were reviewed. Secon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LOL Game School’, we examined the daily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ver the gam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 in eSports education. Third,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meanings to be included in eSports education were explored. The aspect of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not an individual issue but a social one. In other words, eSports education is an issue that should be extended beyond the space of schools and homes to a wider area of the digita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Online LOL Game School’ was achieved through the efforts of teachers and experts in various fields, student participation in various schools, and parental interest and support for their children. This attempt became an example of the meaning of safety, fairness, and publicness of eSports education.

      • KCI등재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역할 및 향후 과제

        권민정(Min Jung Kw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4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체육교육혁신형 창의경영학교 지원 사업을 통해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선도적 모델 개발 및 일반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 학교들은 각 지역 및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특화된 학교스포츠클럽 모델을 개발 및 운영 중이어서 모델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성 교육 측면에서도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통한 학생 체육활동 확대가 강조됨에 따라 거대 규모의 행·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역할을 모색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거시적 측면에서의 체육교육혁신형 창의경영학교 지원 사업의 구조와 함께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기대해 볼 수 있는 교육적 역할과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이 단기간의 교육 지원 사업에 그치지 않고, 정과체육 수업과 더불어 교육적 가치를 내포한 학교체육 활성화 토대로서 기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In recent time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s pushing ahead with the support project on a physical-eduction-innovation-type creative management school for the development & generalization of the leading model of ``a Korean School Sport Club.`` Attention is being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model generalization as these schools are under the development & operation of a specialized school sport club model with diverse topics as the center in consideration of actual conditions of each district and school. Particularly,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students`` sports activities through revitalization of a school sport club even from the aspect of desirable personality education for students, the educational role of ``a Korean School Sport Club`` ,which is getting the large-scaled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is also being emphasiz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the educational role of ``a Korean School Sport Club`` and suggesting th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In an effort to achieve such a research objective, first, this study roughly examined the structure of supporting ``a Korean School Sport Club`` together with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roject on a physical-education-innovation-type creative management school from the macroscopic aspect, on the basis of which this study suggested the tasks for the educational role and future development which are potentially expected. Such a study as this will be a basic work needed when ``a Korean School Sport Club`` plays a contributive role as a found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revitalization that connotes educational value along with the PE class as a regular course, instead of being limited to a short-term educational support project.

      • KCI등재

        메츨러 트랩 벗어나기: 새로운 스포츠교육론들의 탐색과 그 지형도 그리기

        최의창(Eui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신체활동을 가르치고 배우는 전 과정”(목적, 내용, 방법, 대상 등)에 관련된 개념적, 실천적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스포츠교육론은 스포츠교육학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지난 이십년간 마이클 메츨러의 “체육교수모형”의 개념틀은 이 논의를 진행시키는 대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제는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스포츠교육학의 다음 단계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스포츠교육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며, 우리가 넘어야 할 첫 번째 고개는 바로 메츨러의 개념틀로 국한되어버린 모형기반 사고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체육교수모형 논의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스포츠교육론의 아이디어들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넓어진 지평에 근거하여 스포츠교육론의 새로운 지형도를 대략적으로 그려보는 것이다. 우선, 스포츠교육론의 개념을 폭넓게 규정하면서 기존 아이디어들을 정리하며 살펴보도록 한다. 이어서 새롭게 제안되어 개념적, 실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여러 스포츠교육적 이론과 모형들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한다. “스포츠교육론사분면”(Sport Pedagogy Quadrant)이라는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소개된 스포츠교육론들이 전체 속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속해있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새로운 접근이 현재 우리에게 당면한 주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어떤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는지 살펴보며 마무리한다. Sport pedagogy(SP) refers to the discourse and practice o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physical activities(goals, content, and methods etc.). It stands firmly as one of the central topic areas in Sport Pedagogy Studies. Mike Metzler’s “Instructional Models in Physical Education”(IMPE) introduced in 1999 has been the main character in this SP discourses. Although the idea of IMPE ha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and practical spheres in SP, it is time for a re-examination. It has become a kind of trap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especially in Korea. To think about and act on SPs beyond the eight models have become difficult, or worse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me new possible SPs emerged for the last two decades in diverse fields such as sport philosophy, sociology and psychology. It would widen the horizon of current SP territory extending our sights beyond the IMPE. Based on this extended horizon of SP, a typological map is drawn in order to locate the each SP. The idea of Sport Pedagogy Quadrant i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arranging SPs in each of the four quadra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attempt to recruit new pedagogical ideas and practices in the discourse of SP would give new insights for the solution of several problems that Korean sport is now confronting hardly, such as content relevance for the sport instructor licensing subject, the prevention of violence in sport co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the COVID―19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